KR20190019494A - 휴대물품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물품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494A
KR20190019494A KR1020170104515A KR20170104515A KR20190019494A KR 20190019494 A KR20190019494 A KR 20190019494A KR 1020170104515 A KR1020170104515 A KR 1020170104515A KR 20170104515 A KR20170104515 A KR 20170104515A KR 20190019494 A KR20190019494 A KR 2019001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iece
shoulder
mounting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792B1 (ko
Inventor
방소윤
정민시
Original Assignee
방소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소윤 filed Critical 방소윤
Priority to KR102017010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7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는,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편;과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거치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양 손에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휴대 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물품 거치장치{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본 발명은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편이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고, 상기 거치편에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거치수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기술발전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통신산업은 그 발달의 속도가 매우 높아 현대인들은 대부분 각자 하나 이상의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통신산업은 전자산업과 융합되어 많은 현대인들이 이미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태블릿 PC 등을 생활 필수품과 같이 휴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그 종류와 필요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필수 불가결적으로 현대인들은 휴대전화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나 휴대 물품을 수중에 지참하거나 의류 속에 구비한 상태로 생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일상 생활의 변화는 휴대하여야 할 장치의 수도 함께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기후가 점차적으로 온난화 열대화됨에 따라 국지성 호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많은 현대인들은 소형화된 휴대용 우산을 소지한 상태로 생활하고 있다. 나아가, 계절과 무관하게 연중 자외선 지수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양산의 휴대 빈도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지하여야 하는 휴대물품이 날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그 사용자의 신체적 한계로 인하여 다량의 휴대물품을 구비하거나 사용함에 있어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휴대물품을 분실할 위험성도 함께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각종 휴대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9021호 '도보용 모바일단말기 거치 크레이블'(2016. 6. 9.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관한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끈을 이용하여 벨트와 멜빵의 형상으로 장착본체를 제작하고, 상기 장착본체에 모바일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휴대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크레이들을 결합함으로써 휴대물품의 휴대성을 증진시키고, 양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장착본체를 신체에 착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벨트와 멜빵의 길이를 매번 조절해야만 했으며, 특히 착용과 해체 과정에서도 벨트와 멜빵을 풀고 조이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레이들과 장착본체를 체결하는 방식이 번고롭고, 사용자의 유동에 따라 내구성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나 의복 상에 장착본체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패션에 민감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7894호 '거치용 브래킷'(2017. 7. 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관한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다수의 휴대 물품을 동반한 이동 중이나 양 손을 사용해야 하는 여타의 작업 중에도 자유조정형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높낮이와 시야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화면 주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자유조정형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선행기술문헌 1과 마찬가지로 일단에 형성된 체결부에 의존하여 거치용 브래킷을 고정함에 따라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나 방법이 제한적이었으며,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치장치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물품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패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 물품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휴대물품의 위치나 각도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물품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11)가 형성된 거치편(10);과 상기 제1 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제2 결합부(21)가 형성되고,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22)가 형성된 거치수단(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의 뒤에 위치하는 중심부(12)의 양 단에 사용자의 어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어깨 걸침편(13)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12)는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바(12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 걸침편(13)은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는 연결편(14)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 걸침편(13)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장력을 가하는 탄성밴드(3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40)에 상기 탄성밴드(3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21)는 측방향으로 클립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편(11a)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가요성 로드(11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가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수용부(22)는 볼 하우징(22a)이 형성되어 휴대물품(P)의 볼 조인트(PJ)가 볼 하우징(22a) 내부에 마찰 결합되되, 외력에 의하여 3차원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의하면, 거치장치의 거치편이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이때, 거치편은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형상으로 착용되므로 사용자의 패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양손에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휴대 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치편의 중심부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부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심부는 단면 형상이 원형 내지는 정방형에 가까운 가요성 바로 형성되어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유연하게 대처함과 동시에 유동에 의한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거치편의 중심부와 어깨 걸침편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어깨 걸침편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의 양 단에는 탄성밴드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에 일측 단부를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편의 제1 결합부는 클립편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클립홈이 형성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물품의 안정적이고 간편한 거치가 가능하며, 무엇보다 다양한 종류의 거치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의 제1 결합부는 가요성 로드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물품의 위치나 각도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거치수단의 수용부는 볼 하우징이 형성되어 휴대물품의 볼 조인트가 3차원 회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용이성과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걸침편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로드를 이용한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편과 거치수단의 결속방식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거치편(10)과 거치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된다. 상기 거치편(10)는 신체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치편(10)의 재질은 휴대물품(P)의 자중이나 기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강성(rigidity)이 있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분적으로 외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소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상이 가요성 재질을 이용하거나 일시적인 외력에 의하여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20)은 각종 휴대물품(P)을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부(22)가 형성되어 각종 휴대물품(P)을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휴대물품(P)의 예로는 휴대폰, 테블릿 PC, 카메라, 조명기기, 휴대용 선풍기, 휴대용 온열장치, 우산, 양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휴대물품이 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휴대물품 거치장치(M)의 거치편(10)이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은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형상으로 착용되므로 사용자의 패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양손에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휴대물품을 소지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편(10)는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21)가 상호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와 거치수단(20)에 형성된 제2 결합부(21)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거치수단(20)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물품의 안정적이고 간편한 거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거치편(10)이 그 자체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조끼나 상의의 내부에 거치편(10)에 삽입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끼나 상의와 상기 거치편(10)을 분리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치수단(20)은 조끼나 상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의 뒤에 위치하는 중심부(12)의 양 단에 사용자의 어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어깨 걸침편(1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그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부합하게 유연한 거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2)는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바(12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바(12a)는 단면 형상이 원형 내지는 정방형에 가까운 것으로, 외력에 의하여 다방향의 입체적인 형상 변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가요성 바(12a)는 통상적으로 소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를 심재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을 에워싸도록 합성수지, 고무, 섬유재 등으로 제작되는 피복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바(12a)의 양단은 점진적으로 폭방향으로 넓은 단면형상을 지니도록 제작되어 사용자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요성 바(12a)의 양단은 후술할 연결편(14)에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연하게 변형되는 중심부(12)의 탄성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거치편(10)을 착용하고 해체함에 있어서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거치편(10)을 착용하여 이동함에 있어서 유동에 의한 하중을 상기 중심부(12)의 탄성체를 바탕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깨 걸침편(13)은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어깨 두께에 맞도록 형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rigidity)을 지니는 연결편(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편(10)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상기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을 바탕으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어깨 걸침편(13)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15)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도록 제작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편(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편(10)의 자중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하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착용감을 증진시키고 체온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장력을 가하는 탄성밴드(3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40)에 상기 탄성밴드(3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30)는 사용자의 벨트나 의복에 결속할 수 있으며, 끝단에는 핀이나 집게, 고리 또는 벨크로 등의 결속구(31)가 구비될 수 있어, 상기 탄성로프(30)의 일측 단부를 사용자의 의복 등에 고정한 상태로 탄성로프(30)에 지속적으로 장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30)는 사용 태양에 따라 그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32)를 형성하여 사용자에 신체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30)에 의한 장력의 크기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와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는 상호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21)는 측방향으로 클립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편(11a)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편(11a)은 클립홈(21a)에 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므로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거치수단(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21)는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 돌기 또는 끼움 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11) 또는 제2 결합부(21)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나 고무재질 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가요성 로드(11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가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편(10)의 단부에 연속되도록 가요성 로드(11b)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거치수단(20)이 결합될 수 있다. 거치편(10)의 단부에 가요성 로드(11b)가 형성되면 거치편(10)과의 간섭을 줄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거치수단(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요성 로드(11b)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그 형상과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휴대물품(P)의 높낮이나 시야각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와 상기 제2 결합부(21)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20)에 형성되는 수용부(22)는 휴대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용부(22)에는 볼 하우징(22a)이 형성되어 휴대물품(P)의 볼 조인트(PJ)가 볼 하우징(22a) 내부에 마찰 결합되되, 외력에 의하여 3차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거치편(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거치수단(2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용이성과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2)는 한 쌍의 가압편(22b)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편(22b)은 탄성부재(22c)에 의하여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가해져 상기 가압편(22b) 사이에 구비되는 휴대물품(P)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편(22b)은 힌지 회동하거나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복원력에 의하여 한 쌍의 가압편(22b) 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구비되는 휴대물품(P)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M:거치장치 P:휴대물품
10:거치편 11:제1 결합부
11a:클립편 11b:가요성 로드
12:중심부 12a:가요성 바
13:어깨 걸침편 14:연결편
15:연장편 16:관통공
20:거치수단 21:제2 결합부
21a:클립홈 22:수용부
22a:볼 하우징 30:탄성밴드
31:결속구 40:피결속구
PJ:볼 조인트

Claims (11)

  1.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11)가 형성된 거치편(10);과 상기 제1 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제2 결합부(21)가 형성되고,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22)가 형성된 거치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의 뒤에 위치하는 중심부(12)의 양 단에 사용자의 어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어깨 걸침편(13)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12)는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바(12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걸침편(13)은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는 연결편(14)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 걸침편(13)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장력을 가하는 탄성밴드(3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40)에 상기 탄성밴드(3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21)는 측방향으로 클립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편(11a)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가요성 로드(11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가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20)의 수용부(22)는 볼 하우징(22a)이 형성되어 휴대물품(P)의 볼 조인트(PJ)가 볼 하우징(22a) 내부에 마찰 결합되되, 외력에 의하여 3차원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KR1020170104515A 2017-08-18 2017-08-18 휴대물품 거치장치 KR10196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15A KR101967792B1 (ko) 2017-08-18 2017-08-18 휴대물품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15A KR101967792B1 (ko) 2017-08-18 2017-08-18 휴대물품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94A true KR20190019494A (ko) 2019-02-27
KR101967792B1 KR101967792B1 (ko) 2019-04-10

Family

ID=6556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15A KR101967792B1 (ko) 2017-08-18 2017-08-18 휴대물품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7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317A (ja) * 1998-10-05 2000-04-21 Hiroshi Fujita 携帯型機器具等の着装具
US20040005050A1 (en) * 2002-07-02 2004-01-08 Wayne Lewis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JP2005529661A (ja) * 2002-06-14 2005-10-06 メディレース・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物品用キャリヤ
US20090127309A1 (en) * 2007-11-16 2009-05-21 Gregory Jay Wilcox Strap on Mobile Laptop/Clipboard Platform
KR101529021B1 (ko) * 2015-01-21 2015-06-15 정민시 도보용 모바일단말기 거치 크레이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317A (ja) * 1998-10-05 2000-04-21 Hiroshi Fujita 携帯型機器具等の着装具
JP2005529661A (ja) * 2002-06-14 2005-10-06 メディレース・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物品用キャリヤ
US20040005050A1 (en) * 2002-07-02 2004-01-08 Wayne Lewis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US20090127309A1 (en) * 2007-11-16 2009-05-21 Gregory Jay Wilcox Strap on Mobile Laptop/Clipboard Platform
KR101529021B1 (ko) * 2015-01-21 2015-06-15 정민시 도보용 모바일단말기 거치 크레이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792B1 (ko)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2240A1 (en) Necklace for holding smart device
US9532639B2 (en) Customizable carri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300141A1 (en) Carrying aid equipped with thumbhole and button snap fastener to permit transporting and swiveling of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GB2447421A (en) Devices for carrying personal apparatus on a limb
KR20180097059A (ko) 끈조절장치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KR101264984B1 (ko) 분리형 배낭
US10631606B1 (en) Pocket for electronic device
CA2486617A1 (en) Neck support
AU2013291006A1 (en) Safety pin for fastening accessories
KR101967792B1 (ko) 휴대물품 거치장치
US8794495B1 (en) Carrier for mobile phone
KR20170000988U (ko) 다기능 벨트
KR101967795B1 (ko) 가요성 로드를 이용한 거치장치
CN105636559B (zh) 拇指矫形器
KR102509785B1 (ko) 끈조절장치
KR102155953B1 (ko)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KR101855624B1 (ko) 착용품 지지용구
KR20090002718U (ko) 착탈식 안주머니
KR20180002464U (ko) 핸드폰 고리
US20160128407A1 (en) Suspending device for trousers
KR200437920Y1 (ko)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KR200458997Y1 (ko) 우산 결착용 멜빵
KR10124594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DK201800051U3 (da) Ergonomisk frisørværktøjsmanch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