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245A -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245A
KR20190019245A KR1020170103657A KR20170103657A KR20190019245A KR 20190019245 A KR20190019245 A KR 20190019245A KR 1020170103657 A KR1020170103657 A KR 1020170103657A KR 20170103657 A KR20170103657 A KR 20170103657A KR 20190019245 A KR20190019245 A KR 2019001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or
eye
unit
visual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797B1 (ko
Inventor
김석배
남진수
하홍기
김선미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석배
김종호
김선미
남진수
하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배, 김종호, 김선미, 남진수, 하홍기 filed Critical 김석배
Priority to KR102017010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7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좌안과 우안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시야장착부와, 시야장착부에 구비되어 좌안과 우안에서 인식되는 영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하여 조사하는 분리영상조사부와, 분리영상조사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재귀 반사시키는 재귀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IMAGE REALIZATION APPARATUS USING POTABLE PROJECTOR}
본 발명은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프로젝터를 시야장착부재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부착하고 조사된 영상을 재귀반사부재를 거쳐 좌안인식영역과 우안인식영역으로만 각각 재귀반사시켜 좌안(左眼)과 우안(右眼)에서 보여지는 영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초대형영상, 입체(3D)영상과 브이알(VR)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이 점차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영상장치와, 3D 입체화면을 구현하는 3D 영상장치와, 오락과 게임을 위해 가상현실을 유도하는 브이알시스템(Virtual Reality system)등이 점차적으로 대중화되는 추세이다.
대형 디스플레이 영상장치의 경우 엘이디 또는 엘씨디 디스플레이를 대형화면으로 구현하고 있으나, 초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3D영상장치는 인간이 사물을 입체로 인식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수평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인간의 두 눈이 각기 다른 각도에서 망막을 통하여 사물을 받아들이고 당해 두 개의 상이 전기신호화하여 대뇌로 전달되어 합성됨으로써 구현된다. 이로써, 게임의 배경과 등장인물(캐릭터)이 3차원적 기법으로 제작되어 고체화(solidization)된 것이므로 두 눈의 각도만큼의 차이를 가지는 시각차로 얻어진 두 개의 상을 좌안과 우안으로 분리하여 보게 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브이알(VR)시스템에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가 있다.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보안경이나 헬멧형 기기로 눈앞에 있는 스크린을 보도록 이루어지며, 가상현실감을 실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양안(좌안, 우안)에 근접한 위치에 액정 등의 소형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영상을 투영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현재는 우주 개발, 원자로, 군사 기관 및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과 업무용이나 게임용 등에 대한 각종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대형 디스플레이 영상장치는 100인치 이상의 초대형화면을 구현하는 경우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3D 영상장치는 좌안과 우안을 격벽으로 분리하거나 편광패널을 이용하여 입체화면을 구현하므로 장시간 시청시 눈이 피로감을 느끼는 단점을 지니며, 브이알시스템은 두부에 장착하는 보안경과 헬멧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므로 사용자에게 폐쇄공포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2644호(2011.03.30, 발명의 명칭: 디스플레이 장치 및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프로젝터를 시야장착부재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부착하고 조사된 영상을 재귀반사부재를 거쳐 좌안인식영역과 우안인식영역으로만 각각 재귀반사시켜 좌안(左眼)과 우안(右眼)에서 보여지는 영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초대형영상, 3D영상과 브이알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좌안과 우안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시야장착부; 상기 시야장착부에 구비되어 좌안과 우안에서 인식되는 영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하여 조사하는 분리영상조사부; 및 상기 분리영상조사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재귀 반사시키는 재귀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안과 상기 우안의 가장자리에 근접 배치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측에서 후측으로 연장되어 귀에 걸거나 머리에 장착하는 위치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영상조사부는,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좌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좌안에서 인식 가능한 영상을 조사하는 좌측프로젝터; 및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우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우안에서 인식 가능한 영상을 조사하는 우측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영상조사부는,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좌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조사하는 좌측프로젝터; 및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우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조사하는 우측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는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조사하거나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 중 어느 하나에서만 영상을 조사하여 복귀된 영상을 좌안과 우안에서 인지시켜 원거리에서의 초대형화면과 근거리에서의 대형화면을 통해 2D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영상조사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시야장착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분리영상조사부에 구비된 프레임부재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부는, 상기 분리영상조사부에 구비된 좌측프로젝터와 우측프로젝터에서 각각 조사되는 영상을 비추는 스크린부재; 및 상기 스크린부재의 전면에 설정각도를 갖도록 함몰되어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에서 비춰진 영상을 재귀반사시키는 디수의 재귀반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홈부의 재귀반사각도(θ)는 90° 내지 95°범위로 형성되어 좌안인식영역(L)과 우안인식영역(R)의 범위를 상호 겹치지 않으면서도 넓혀주어 상기 좌,우안과 상기 스크린부재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줄이면서도 영상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영상은 3D 영상쵤영장치로 쵤영한 영상을 각각조사하므로 3D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스크린부재는 돔형(dome type)으로 제작되고,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에서 조사된 영상 재귀반사시켜 브이알(VR, Virtual Reality)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휴대용 프로젝터를 시야장착부재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부착하고 조사된 영상을 재귀반사부재를 거쳐 좌안인식영역과 우안인식영역으로만 각각 재귀반사시켜 좌안(左眼)과 우안(右眼)에서 보여지는 영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초대형영상, 3D영상과 브이알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에서 스크린부재의 재귀반사홈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재귀반사영역을 확장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에서 스크린부재를 돔형(dome type)으로 형성하여 브이알(VR)용 입체화면을 구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의 작동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에서 스크린부재의 재귀반사홈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재귀반사영역을 확장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에서 스크린부재를 돔형(dome type)으로 형성하여 브이알(VR)용 입체화면을 구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시야장착부(100), 분리영상조사부(200), 재귀반사부(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사용자의 좌안(왼쪽 눈)과 우안(오른쪽 눈)에서 각각 인지할 수 있는 영상을 후술하는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재귀반사부(300)에 의해 반사되어 좌안인식영역(L)과 우안인식영역(R)으로 복귀된 영상을 좌안과 우안에서 각각 인지함으로써, 대형영상, 초대형영상, 3D영상, 브이알(VR)영상 등을 구현하여 볼 수 있다.
이?, 좌측프로젝터(210)에 의해 반사되어져 온 좌안인식영역(L)과, 우측프로젝터(220)에 의해 반사되져 온 우안인식영역(R)은 반대측 눈에서 인식되지 못하도록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게 분리되므로 3D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영상을 큰 화면의 크기에 제약받지 않고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시야장착부(100)는 좌안과 우안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시야장착부(100)는 좌안장착부위와 우안장착부위가 상호 분리되거나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시야장착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장착부위와 우안장착부위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시야장착부재(100)는 좌안과 우안의 가장자리에 근접 배치되는 프레임부재(110)와, 프레임부재(100)의 양측에서 후측으로 연장되어 귀에 걸거나 머리에 장착하는 위치유지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110)는 안경테, 보안경테, 선글라스테와 같이 귀에 걸어 머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거나, 고글 등과 같이 벨트를 이용하여 머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거나, 이어폰타입으로 귀에만 걸어 착용하도록 구성되거나, 반헬멧 형식으로 착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영상조사부(200)는 시야장착부(200)에 구비되어 좌안과 우안에서 인식되는 영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하여 조사하는 구성이다.
분리영상조사부(200)는 시야장착부(100)에서 좌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좌안에서 인식 가능한 영상을 조사하는 좌측프로젝터(210)와, 시야장착부(100)에서 우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우안에서 인식 가능한 영상을 조사하는 우측프로젝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는 영상을 조사하고 반사하여 좌안에서만 인식가능한 영역인 좌안인식영역(L)과, 우안에서만 인식가능한 영역인 우안인식영역(R)으로 복귀시킨다.
이때, 좌안인식영역(L)과 우안인식영역(R)은 상호 겹치지 않아야 한다.
분리영상조사부(200)는 착탈부(230)에 의해 시야장착부(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분리영상조사부(200)는 시야장착부(100)에서 좌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조사하는 좌측프로젝터(210)와, 시야장착부(100)에서 우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조사하는 우측프로젝터(220)를 포함하고,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는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조사하거나,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 중 어느 하나에서만 영상을 조사하여 복귀된 영상을 좌안과 우안에서 인지시켜 원거리에서의 초대형화면과 근거리에서의 대형화면을 통해 2D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초대형화면은 500~10,000인치 정도의 화면으로서, 십미터 ~ 수백미터 정도의 원거리를 지칭하고, 대형화면은 100~500인치 정도의 화면으로서, 2미터 ~ 10미터정도의 근거리를 지칭한다.
여기서,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잭터(220)에서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조사하고 좌안과 우안에서 함께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잭터(220)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여도 좌우 양안에서 영상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잭터(220)를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는 광량이 2배로 증가하므로 2D 영상을 대형화면과 초대형화면으로 더욱더 깨끗하고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착탈부(230)는 분리영상조사부(200)에 구비된 프레임부재(210)에 마련되는 지지부재(240)와, 지지부재(240)와 프레임부재(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250)와, 지지부재(240)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탄성고정부재(26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4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봉일 수 있다. 물론, 지지부재(24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250)는, 지지부재(240)의 일단부 또는 프레임부재(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회동부(252)와, 회동부(252)가 삽입되어 사방으로 회동하도록 프레임부재(110)의 측면 또는 지지부재(24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회동삽입홈부(254)를 포함활 수 있다.
회동부(252)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삽입홈부(254)에서 사방으로 좌우롭게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고정부재(260)는 지지부재(24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의 저면 또는 측면이 지지되는 접촉부재(262)와, 접촉부재(262)의 양단부에서 상방 또는 측방으로 한 쌍 연장되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의 양측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6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재(26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탄성부재(25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262)의 상하단부에서 측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의 상면과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탄성부재(254)는 접촉부재(262)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의 삽입시 탄성적으로 벌려져서 가압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54)의 단부에는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안내부(26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진입안내부(266)는 탄성부재(264)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유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벌려지도록 구성된다.
재귀반사부(300)는 분리영상조사부(200)에 구비된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에서 각각 조사되는 영상을 비추는 스크린부재(310)와, 스크린부재(310)의 전면에 설정각도를 갖도록 함몰되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에서 비춰진 영상을 재귀반사시키는 디수의 재귀반사홈부(32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재귀반사홈부(320)의 재귀반사각도(θ)는 90°내지 95°범위로 형성되어 좌안인식영역(L)과 우안인식영역(R)의 범위를 상호 겹치지 않으면서 넓혀주어 좌,우안과 스크린부재(310)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줄이면서도 영상 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반사홈부(320)의 재귀반사각도(θ)가 정확하게 90°인 경우, 사용자와 재귀반사부(3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에서 조사된 영상이 재귀반사부(300)에서 반사되어져 온 좌,우인식영역(L)(R)인 재귀반사영역의 범위가 협소하여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서 인지되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좌,우인식영역(L)(R)인 재귀반사영역의 범위를 확장각도(α, 또는 관찰각도) 만큼 확장됨으로써, 재귀반사각도를 넓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넓은 영역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거나 개인 사용시 좌,우안과 스크린부재(310)와의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사용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에서 조사되는 영상은 3D 영상촬영기기로 좌측과 우측에서 촬영한 영상을 각각 조사하므로 3D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재(310)는 돔형(dome type)으로 제작되어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에서 조사된 영상을 재귀반사시켜 브이알(VR, Virtual Reality)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초대형화면을 구현하는 데 있어, 재귀반사기능을 이용하므로 스크린부재(310)에서 빛 반사율이 99%이상을 유지할 수 있어 500~1000인치 이상의 초대형 화면을 구성하더라도 휘도의 저하 없이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휘도가 높음에 따라 낮에도 좌측프로젝터(210)와 우측프로젝터(220)의 광량을 높이면 초대형화면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3D영상을 구현하는 데 있어, 좌측프로젝터(210)에서 조사된 영상은 좌안인식영역(L)에서만 인식되고, 우측프로젝터(220)에서 조사된 영상은 우안인식영역(R)에서만 인식되므로 좌안과 우안 간의 영상 간섭이 발생되지 ?는다. 이로써, 좌측프로젝터(210)에서 조사되는 영상과 우측프로젝터(220)에서 조사된 영상을 3D 영상기기로 각각 촬영하여 조사하는 경우, 3D 영상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기존과 달리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브이알(VR)화면을 구현하는 데 있어, 밀폐된 공간을 활용하지 않고, 스크린부재(100)와 설정 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대형화면을 이용하므로 뇌에서 스트레스 없이 브이알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310)를 돔형으로 360°로 구성하여 실제 영상처럼 항공기 훈련, 자동차 연습, 스포츠경기 훈련, 게임등과 같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는, 휴대용 프로젝터를 시야장착부재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부착하고 조사된 영상을 재귀반사부재를 거쳐 좌안인식영역과 우안인식영역으로만 각각 재귀반사시켜 좌안(左眼)과 우안(右眼)에서 보여지는 영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초대형영상, 3D영상과 브이알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시야창착부재 110 : 프레임부재
120 : 위치유지부재 200 : 분리영상조사부
210 : 좌측프로젝터 220 : 우측프로젝터
230 : 착탈부 240 : 지지부재
250 : 각도조절부재 252 : 회동부
254 : 회동삽입홈부 260 : 탄성고정부재
262 : 접촉부재 264 : 탄성부재
300 : 재귀반사부 310 : 스크린부재
320 : 재귀반사홈부 α: 재귀반사영역 확장각도
L : 좌안인식영역 R : 우안인식영역

Claims (7)

  1. 좌안과 우안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시야장착부;
    상기 시야장착부에 구비되어 좌안과 우안에서 인식되는 영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하여 조사하는 분리영상조사부; 및
    상기 분리영상조사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재귀 반사시키는 재귀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장착부재는,
    상기 좌안과 상기 우안의 가장자리에 근접 배치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측에서 후측으로 연장되어 귀에 걸거나 머리에 장착하는 위치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영상조사부는,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좌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좌안에서 인식 가능한 영상을 조사하는 좌측프로젝터; 및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우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우안에서 인식 가능한 영상을 조사하는 우측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영상조사부는,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좌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조사하는 좌측프로젝터; 및
    상기 시야장착부에서 우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영상을 조사하는 우측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는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조사하거나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 중 어느 하나에서만 영상을 조사하여 복귀된 영상을 좌안과 우안에서 인지시켜 원거리에서의 초대형화면과 근거리에서의 대형화면을 통해 2D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영상조사부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시야장착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분리영상조사부에 구비된 프레임부재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부는,
    상기 분리영상조사부에 구비된 좌측프로젝터와 우측프로젝터에서 각각 조사되는 영상을 비추는 스크린부재; 및
    상기 스크린부재의 전면에 설정각도를 갖도록 함몰되어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에서 비춰진 영상을 재귀반사시키는 디수의 재귀반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홈부의 재귀반사각도(θ)는 90° 내지 95°범위로 형성되어 좌안인식영역(L)과 우안인식영역(R)의 범위를 상호 겹치지 않으면서도 넓혀주어 상기 좌,우안과 상기 스크린부재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줄이면서도 영상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영상은 3D 영상쵤영장치로 쵤영한 영상을 각각조사하므로 3D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스크린부재는 돔형(dome type)으로 제작되고, 상기 좌측프로젝터와 상기 우측프로젝터에서 조사된 영상 재귀반사시켜 브이알(VR, Virtual Reality)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KR1020170103657A 2017-08-16 2017-08-16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KR10196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57A KR101969797B1 (ko) 2017-08-16 2017-08-16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57A KR101969797B1 (ko) 2017-08-16 2017-08-16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45A true KR20190019245A (ko) 2019-02-27
KR101969797B1 KR101969797B1 (ko) 2019-08-21

Family

ID=6556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657A KR101969797B1 (ko) 2017-08-16 2017-08-16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7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4658A (ja) * 2007-03-26 2008-10-09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
KR20160075571A (ko) * 2013-10-15 2016-06-29 캐스트에이알, 인크. 재구성 가능한 프로젝트된 증강/가상 현실 기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4658A (ja) * 2007-03-26 2008-10-09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
KR20160075571A (ko) * 2013-10-15 2016-06-29 캐스트에이알, 인크. 재구성 가능한 프로젝트된 증강/가상 현실 기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797B1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9073B2 (en) Virtual reality attachment for a head mounted display
US5808589A (en) Optical system for a head mounted display combining high and low resolution images
US20100214635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head-up display
US201403404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ble projected augmented/virtual reality appliance
CN206497255U (zh) 增强现实显示系统
CN110476105A (zh) 均匀性提高并且颜色之间的交叉耦合减少的波导显示器
JPH09105885A (ja) 頭部搭載型の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70055908A (ko) 모자형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영상시스템
CN104898276A (zh) 头戴式显示装置
CN104777616B (zh) 透视头戴式光场显示装置
TW201812385A (zh) 可調整顯示模組之可調式虛擬實境裝置
JP2016536635A (ja) 再構成可能な投影拡張現実/仮想現実アプライアン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0145718A (ja)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CN204595329U (zh) 头戴式显示装置
JP2011528814A (ja) めがね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108427193A (zh) 增强现实显示系统
CN204595328U (zh) 头戴式显示装置
WO2016101861A1 (zh) 头戴式显示装置
CN113272710A (zh) 通过分色扩展视场
KR20190130702A (ko) 균일한 조도를 구현하는 스크린구조를 갖는 다중 디스플레이장치
KR20190019245A (ko)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US9857592B2 (en) Display device
EP3615987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US20060152580A1 (en) Auto-stereoscopic volu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JP2004258594A (ja) 広角度から鑑賞できる立体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