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072A - 이중 코니시티를 가지는 피펫팅 시스템의 팁 - Google Patents

이중 코니시티를 가지는 피펫팅 시스템의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072A
KR20190019072A KR1020187035929A KR20187035929A KR20190019072A KR 20190019072 A KR20190019072 A KR 20190019072A KR 1020187035929 A KR1020187035929 A KR 1020187035929A KR 20187035929 A KR20187035929 A KR 20187035929A KR 20190019072 A KR20190019072 A KR 2019001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diameter
tip
maximum outer
group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노 두덱
조나단 바르비유
Original Assignee
길슨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슨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길슨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1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6Ergonomic aspects, e.g. form or arrangement of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75Interchangeable or disposable dispensin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3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adapted for different sizes of tubes, tips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7Ergonomic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75Interchangeable or disposable dispensing tips
    • B01L3/0279Interchangeable or disposable dispensing tips co-operating with positive eje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다양한 유형의 콘을 가진 피펫팅 시스템의 팁의 호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큰 외경(Dmax1)을 정의하는 제 1 콘 보유 요소(24-1a)의 제 1 그룹과, 큰 외경(Dmax2)을 정의하는 제 2 콘 보유 요소(24-2a)의 제 2 그룹과, 큰 외경(Dmax3)을 정의하는 제 3 콘 보유 요소(24-3a)의 제 3 그룹을 포함하는 팁(6)을 제공한다. 상기 직경(Dmax1) 및 직경(Dmax2)은 제 1 코니시티(Con1)를 가지는 제 1 팁 부(6a)를 정의하도록 서로 상이하며, 상기 직경(Dmax2) 및 상기 직경(Dmax3)은 제 1 코니시티보다 작은 제 2 코니시티(Con2)을 가지는 제 2 팁부(6b)를 정의하도록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이중 코니시티를 가지는 피펫팅 시스템의 팁
본 발명은 로봇이라고 불리는 자동화된 피펫팅 시스템 및 교정된 샘플링 및 액체의 도입을 위한 실험실 피펫 또는 공기 치환 액체 이송 피펫으로 불리는 단일 채널 또는 다중 채널 샘플링 피펫과 같은 다중 채널 피펫팅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피펫은 수동식, 전동식 또는 하이브리드식 어느 것이든지 간에 시료 채취 및 액체 분배 작업 중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한 피펫팅 시스템의 팁의 설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팁은 소모성 요소를 형성하는 샘플링 콘을 운반하도록 의도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핸들을 형성하는 본체와, 그 말단에 공지된 기능이 샘플링콘을 운반하는 것이며 소모성으로 불려지는 다수의 샘플링 콘 운반 팁을 가지는 하부를 일체로 한 타입의 디자인 형태를 가지는 다중 샘플링 피펫은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피펫에서, 각각의 팁은 콘을 유지하기 위한 2 개의 환형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은 팁의 외부 표면 위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팁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돌출부 형태의 상부 지지부는 주로 마찰에 의해 콘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팁에서 콘의 도입을 제한한다. 하부는 콘을 지지하는데 기여하지만, 샘플링 콘과 팁 사이의 밀봉 기능을 수행한다. 두 개의 지지부는 팁과 콘의 중심 맞춤을 보장한다.
이 디자인은 수십 년 동안 피펫 분야에서 보아왔던 디자인이다.
그러나 콘 디자인의 인체 공학적 설계를 강화하기 위해 최근 새로운 디자인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문서 FR 3 026 658에 개시되었다. 이 문서는 시일(seal)의 어느 한면에 배열된 콘을 지지하기 위한 두 부분뿐만 아니라 샘플링 콘에 대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팁에 립 시일(lip seal)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두 개의 지지부의 높이에서 콘과 팁 사이의 접촉력은 이들 부분이 더 이상 밀봉을 얻는데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약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콘의 가압체결력은 콘 및 립 시일과의 협동에 의해 유리하게 감소되고 약간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립 시일의 본질적인 유연성에 기인한다. 정보를 목적으로, 이러한 설계로, 팁을 통과하는 약 5N의 축 방향 가압체결력은 각 멀티 채널 피펫 콘의 밀봉 및 정확한 지지를 얻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예를 들어, 멀티 채널, 8 팁 피펫에서 약 40N의 축방향 가압체결력으로 충분한 결과가 얻어진다.
콘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작업은 인체 공학적이며 운영자를 위한 근골격계 장애(MSD)의 위험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는 마찰에 의한 콘의 기계적 지지에 전용되며, 립(들)의 굽힘 힘이 실질적으로 일반적인 O-링의 압축력보다 작은 립 시일에 의해 형성된 밀봉에 전용되는 적은 립 실(lip seal)에 의해 형성된 밀봉을 얻는데 전용되는 팁 수단을 분리하는 특수성을 갖는다.
또한, 2 개의 지지부를 축 방향으로 오프셋 시킴으로써, 이들은 피펫팅 작업 중에 피펫을 취급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반경 방향 응력에 저항 할 수 있는 샘플링 콘의 측면에서 완벽하게 지지하는 긴 센터링을 보장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2 개의 돌출된 지지부 사이에서 시일을 삽입하는 동작, 즉 팁의 외부 표면 상에 릴리프를 형성하는 작용은 팁을 축 방향 길이로 최적화한다.
상기의 관점에서, FR 3 026 658 문서의 솔루션은 가압체결력/배출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요구에 응답하여, 콘이 응력을 받는 경우조차도, 콘의 밀봉 및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였다. 이러한 기계적 응력은, 예를 들어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릭킹(licking)" 작업 중에 발생하며, 그 동안 콘의 단부는 샤프트의 내부 표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소모될 수 있는 단부에서 모세관에 의해 담겨지게 되는 액체의 마지막 방울을 전달하게 된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특히 연속적인 샤프트 상에서 스크레이핑을 하는 동안에 서로 나란하게 하기 위하여 각 콘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압체결력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샘플링 콘의 칼라의 반경 방향의 변형을 촉진시키기 위해, 고리형 지지부는 문헌 FR 3 026 658에 언급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특정 요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이 또한 주목된다. 따라서, 가압체결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콘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기술이 관련되어있다.
일반적으로, FR3 026 658 문서의 솔루션은 샘플링 콘을 지지/기계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두 구역 사이에 배치된 밀봉재의 존재에 기반하는데, 이는 멀티 채널 피펫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있는 경우에도 단일 채널 피펫에 적용할 수 있다.
어쨌든, 위에서 언급한 장점으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 피펫 팁을 최적화 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유형의 소모품, 특히 시판중인 샘플링 콘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칼라 원뿔을 가진 소모품의 호환성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필요성은 로봇의 경우와 유사하게 존재하며, 다른 모양의 소모품과도 기능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먼저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를 위한 샘플링 콘 운반 팁에 대한 것이며, 상기 팁은 제 1 가상 평면으로 떨어지는 종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팁은 팁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그 종축을 따라 바닥에서부터 상부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팁의 제 1 환형 구역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샘플링 콘을 보유하기 위한 제 1 그룹의 제 1 보유 요소로서 - 상기 제 1 보유 요소 중 2 개는 상기 제 1 가상의 평면과 수직하게 된 제 2 가상 평면 상에 배치되고, 제 1 최대 외경으로 지칭되는 보다 큰 외경을 정의하는, 제 1 그룹의 제 1 보유 요소;
상기 팁의 제 2 환형 구역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샘플링 콘을 보유하기 위한 제 2 그룹의 제 2 보유 요소로서 - 상기 제 2 보유 요소 중 2개는 제 2 가상 요소 평면에 배치되고 제 2 최대 외경이라 지칭되는 더 큰 외경을 정의하는, 제 2 그룹의 제 2 보유 요소; 및
- 상기 팁의 제 3 환형 구역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샘플링 콘을 보유하기 위한 제 3 그룹의 제 3 보유 요소로서 - 상기 제 2 보유 오소 중 2개는 제 2 가상 평면에 배치되고 제 3 최대 외경이라고 불리는 더 큰 외경을 정의하는, 제 3 보유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팁은 팁의 제 1 및 제 3 환형 구역 사이에 배치된 가스켓을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한편으로는, 제 1 최대 외경 및 제 2 최대 외경은 제 1 코니시티(conicity)을 갖는 제 1 팁 부를 함께 형성하도록 서로 다르게 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최대 외경뿐만 아니라 제 3 최대 외경은 제 1 코니시티 보다 작은 제 2 코니시티를 갖는 제 2 팁 부를 함께 형성하도록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은 서로 축 방향으로 이어지고 서로 다른 코니시티를 가지며 다양한 샘플링 콘에 적용될 수 있는 두 개의 팁 부를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상기 콘은 제 1 및 제 2 그룹의 보유 요소에 의해, 또는 제 2 및 제 3 그룹의 보유 요소에 의해 마찰에 의해 유지되는 한편,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시일과 협력한다. 어떤 경우든지, 마찰에 의한 콘의 이중 기계적 유지는 특히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리킹(licking)"운동 중에 콘의 만족스러운 유지를 보장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이러한 팁을 사용하는 범위는 샘플링 콘의 유지, 정렬 및 밀봉에 대한 타협이 없고, 팁과 콘 사이의 커플링 동안 생성되는 가압체결력의 강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확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콘 운반 팁을 포함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에 대한 것이다.
상기 하부는 단일 채널 피펫팅 시스템을 위한 것이므로 하나의 샘플링 콘 운반 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펫의 하부는 다중 채널 피펫팅 시스템을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가상 표면에 떨어지는 종축을 갖는 복수의 샘플링 콘 운반 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 자체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지는 다음의 임의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상기 제 1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상기 2 개의 제 1 보유 요소를 제외하고 제 1 그룹의 제 1 보유 요소는 상기 제 1 최대 외경에 의해 정의된 제 1 가상의 원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비-축대칭 설계는 제 1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2 개의 제 1 보유 요소를 사용하여 비-원형 콘의 칼라를 변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익하게 팁을 사용하는 범위의 더욱 증가된 확장은 이로부터 유리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제 1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2 개의 상기 제 1 보유 요소에 추가하여, 제 1 보유 요소의 하나 이상의 쌍은 제 1 최대 외경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제 1 직경을 정의하며, 제 1 직경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작은 직경은 상기 제 1 가상의 평면에 위치한다. 이것은 다양하게 된 코니시티(conicity)의 칼라(collar)에 적용될 수 있는 팁을 사용하는 범위의 증가를 위해 콘의 칼라의 실질적으로 타원형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하게, 제 3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두 개의 제 3 보유 요소를 제외하고 제 3 그룹의 제 3 보유 요소는 상기 제 3 최대 외경에 의해 정의된 제 3 가상 원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 3 그룹은 제 3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상기 두 개의 제 3 보유 요소에 추가하여, 제 3 최대 외경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제 3 직경을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제 3 보유 요소 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3 직경 중 적어도 하나의 제 3 작은 직경은 제 1 가상의 평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그룹의 제 2 보유 요소는 상기 제 2 최대 외경에 의해 정의된 제 2 가상 원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 1 및 제 3 그룹에 대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비-축대칭 솔루션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 2 그룹에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축대칭 솔루션에서, 상기 제 2 그룹은 상기 제 2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2 개의 제 2 보유 요소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제 2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보유 요소의 쌍을 포함하되,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최대 외경은 제 1 가상 평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코니시티는 3 내지 4.5°이고, 제 2 코니시티는 2 내지 3.4°이다.
멀티 채널 피펫팅 시스템의 경우, 팁의 개수는 2 내지 16 개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개로 된다.
가압체결력을 제한하기 위해, 개스킷은 립 실(lip seal)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오-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동 샘플링 피펫, 전동식 또는 하이브리드식 샘플링피펫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부를 포함하는 피펫팅 시스템 또는 이러한 시스템이 로봇이라고 하는 자동화된 피펫팅 시스템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팁에 장착되고 제 1 보유 요소와 제 2 보유 요소의 마찰 또는 제 2 보유 요소와 제 3 보유 요소의 마찰에 의해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콘뿐만 아니라 이러한 피펫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이하의 비-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유형의 소모품, 특히 시판중인 샘플링 콘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칼라 원뿔을 가진 소모품의 호환성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치환 멀티 채널 샘플링 피펫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샘플링 콘을 가압체결하기 전의 도 1에 도시된 피펫의 팁 중 하나의 부분 확대된 종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라인 IIIa-IIIa 내지 IIIc-IIIc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것과 유사한 도면으로, 콘-팁 조립체가 기능 위치에 있고 콘이 제 1 원뿔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라인 Va-Va 및 Vb-Vb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의 것과 유사한 도면으로, 콘-팁 조립체는 기능 위치에 있고 콘은 제 2 원뿔형상을 갖는다.
도 7b 및 도 7c는 도 6의 라인 VIIb-VIIb 및 VIIc-VIIc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채널 샘플링 피펫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샘플링 피펫(1)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멀티 채널 피펫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 8에 나타낸 피펫과 같이 "단일 채널"로 불리는 피펫과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수동 또는 전동식의 공기 변위 피펫(1)은 상부에 손잡이(2)를 형성하는 본체와, 본 발명의 하부 부분(4)을 포함하고, 하단부에 소모성 콘(8)이 가압체결될 피펫 샘플링 콘-운반 팁(6)을 일체로 포함한다. 각각의 콘(8) 및 이의 연관된 팁은 본 발명에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형성한다.
샘플링 콘-운반 팁(6)은 화살표(10)로 나타낸 피펫팅 시스템의 측 방향 또는 피펫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팁(6)은 중심 축으로도 지칭되며 방향(10)에 직교하는 종축(7)을 가진다. 모든 종축(7)은 나란하게 제 1 가상 평면(P1)으로 떨어진다. 또한, 제 2 가상 평면(P2)이 도 1에 도시되며, 이러한 제 2 평면(P2)은 피펫(14)의 종방향 중심축에 나란하며 제 1 가상 평면(P1)에 직교한다.
후속하여, 각각의 팁(6)에서, 문제의 팁의 종축(7)의 레벨에서 인터셉트되는 제 1 가상 평면(P1) 및 제 2 가상 평면(P2)이 연관되는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평면(P2)에서, 방향(15)은 피펫에서 먼저 샘플링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피펫이 플레이트의 샤프트의 연속적인 라인 위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리킹" 운동시에 작업자에 의해 피펫을 이동시키는 것에 관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팁(6)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이고, 사용된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384 개의 샤프트에 도달하는 다수의 라인뿐만 아니라 샤프트의 열을 균일하게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팁(6)은 그 상부 단부에서 흡입 챔버(도 1에서는 미도시)와 연통하고, 그 하부 단부에서는 샘플링 콘(8)과 연통한다. 관통 보어(12)는 관련된 팁(6) 상에서 중앙에 놓이는데, 즉, 가압체결된 콘(8)을 중심으로 하는 팁의 종축(7)을 중심으로 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하부(4)는 바람직하게는 핸들을 형성하는 본체(2) 상에 나사 결합되어 장착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하부(4)는 제거 가능한 외부 캡(17)에 의해 덮인 고정 본체(16), 및 그 하부 단부에서 팁(6)을 포함한다. 이 하부 단부(4)의 이동 가능한 내부 부분은 종래의 것이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은 특히 축(14)에 평행하고 팁(6)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피스톤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하부(4), 특히 그 팁(6)의 디자인에 있으며, 상기 팁 중 하나는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 내지 도 3c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피펫의 다른 팁(6)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며, 모든 팁이 평행하고 제 1 가상 평면(P1)으로 떨어진다.
팁(6)은 그 하단부에서 원통형 또는 절두 형상의 외부 표면(20)을 가지며, 바닥쪽으로 갈수록 더 좁아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팁은 수용할 콘과 협동하기 위한 4 개의 구역을 구비하고, 이들 구역은 종축(7)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우선 이것은 마찰로 샘플링 콘을 유지하기 위한 세 가지 요소 그룹과 관련된다. 최하부 그룹은 표면(20)의 제 1 구역(20-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서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보유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그룹이다. 여기서, 네 개의 제 1 보유 요소(24-1a)에 대한 것인데, 그 중 2개의 제 1 보유 요소(24-1a)는 제 2 가상 평면(P2)에 배치되며, 제 1 최대 외경(Dmax1)로 지칭되는 큰 외경을 정의한다. 이 직경(Dmax1)은 축(7)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가상 원(C1)을 정의하며, 그 내부에는 이러한 동일한 원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떨어진 2 개의 다른 제 1 보유 요소(24-1b)가 포함된다. 2 개의 보유 요소(24-1b)는 직경(Dmax1)보다 작은 제 1 하부 직경(Dinf1)을 정의하는 커플을 형성한다. 이 직경(Dinf1)은 직경(Dmax1)에 직각이며, 제 1 가상 평면(P1)에 위치한다.
그림에서 명확성을 위해 보유 요소는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약 0.2 내지 0.7mm의 낮은 높이(h)를 갖는 간단한 릴리프부가 존재하며, 그 높이(h)는 외부 표면(20)으로부터의 돌출 거리에 대응한다.
그 다음, 표면(20)의 표면(20)의 제 2 구역(20-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배치된 제 2 보유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그룹이 제공되되, 서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4 개의 제 2 보유 요소에 관한 것으로, 그 중 2 개의 제 2 보유 요소(24-2a)는 제 2 가상 평면(P2)에 배열되고, 제 2 최대 외경(Dmax2)으로 불리는 더 큰 외경을 정의한다. 이러한 직경(Dmax2)은 축(7)을 중심으로 하고 또 다른 제 2 보유 요소(24-2a)가 위치하는 제 2 가상 원(C2)을 규정한다. 이들 2 개의 다른 요소들은 제 1 가상의 평면(P1)에 위치한 다른 제 2 최대 외경(Dmax2)을 정의하는 커플을 형성한다. 따라서, 두 개의 최대 외경(Dmax2)은 동일한 크기이고, 보다 일반적으로, 모든 제 2 보유 요소(24-2a)는 동일한 제 2 가상 원(C2)으로 떨어진다.
팁 상의 최상위 그룹은 표면(20)의 제 3 구역(20-3)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서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3 보유 요소를 포함하는 제 3 그룹이다. 여기서, 네 개의 제 3 보유 요소(24-3a)와 관련하여, 이중에서 2개의 제 3 보유 요소(24-3a)는 제 2 가상 평면(P2)에 배치되며, 제 3 최대 외경(Dmax3)으로 지칭되는 더 큰 외경을 정의한다. 이러한 직경(Dmax3)은 축(7) 상에 중심이 맞추어진 제 3 가상 원(C3)을 정의하며, 그 내부에는 이러한 동일한 원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떨어진 2 개의 다른 제 3 보유 요소(24-3b)가 포함된다. 2 개의 요소(24-3b)는 직경(Dmax3)보다 작은 제 3 하부 직경(Dinf3)을 정의하는 커플을 형성한다. 이러한 직경(Dinf3)은 직경(Dmax3)과 직교하고, 제 1 가상의 평면(P1)에 위치한다.
또한, 콘과 협동하는 제 4 구역은 팁의 외부 표면(20)의 리세스(28) 내에 수용된 환형 개스킷(26)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체결력을 감소시키는 립 시일(26)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시일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 사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일(26)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립 시일(26)은 하나 이상의 립,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일 립을 갖는다. 상기 립은 시일의 환형 기저부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확장되며 상부가 잘려진 형태이다. 환형 기저부 및 립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의 쇼어(Shore) A 경도를 갖는 반면 EPDM- 타입 엘라스토머 물질로부터의 단일 부분으로 제조된다.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립 시일(26)은 예를 들어 약 4mm의 외경을 갖는다.
상기 제 1 최대 외경(Dmax1)은 상기 제 2 최대 외경(Dmax2)보다 작다. 또한, 그것들은 그 크기의 차이에 기인하여, 축(7) 상에 중심이 있고 도 2의 Con1로 표시된 선으로 도식화된 제 1 코니시티(conicity)를 갖는 팁(6a)의 제 1 종 방향부를 정의한다. 유사하게, 제 2 최대 외경(Dmax2)은 제 3 최대 외경(Dmax3)보다 작다. 이들은 치수의 차이로 인해 제 1 부분(6a)에 인접하고 또한 축(7)의 중심에 있는 팁(6b)의 제 2 종방향부를 정의한다. 제 2 부분(6b) 자체는 도 2의 라인 기준(Con2)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 2 코니시티를 가지며, 이 제 2 코니시티는 제 1 코니시티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 1 코니시티(Con1)는 3 ~ 4.5 °이고 제 2 코니시티(Con2)는 2 ~ 3.4 °이다.
따라서, 가압체결될 콘의 칼라(8a)의 코니시티에 따라, 상기 콘은 제 1 및 제 2 그룹의 보유 요소에 의해, 또는 제 2 및 제 3 그룹의 보유 요소에 의해, 내면이 마찰에 의해 유지될 것이다. 어쨌든, 마찰에 의한 보유(retain)는 만족스러운 기계적 유지를 위해, 그리고 멀티 채널 피펫의 다른 팁 상에 존재하는 콘들 사이의 센터링 및 평행도의 보존을 위해,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된 두 그룹을 사용하여 달성될 것이다.
밀봉 자체는 전용 시일(26)에 의해 별도로 수행되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제 1 보요 요소 및 제 2 보유 요소에 의해 형성된 제 1 코니시티(Con1)에 적합한 코니시티를 갖는 콘(8)과 팁(6)사이의 협력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콘 상에 표시된 화살표는 리킹 동작(15) 중에 플레이트(40)의 샤프트(42) 상에 그 단부의 스크래핑 동안 가해지는 힘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4는 한편으로는 제 1 요소(24-1a)와 콘의 칼라의 내부 절두 표면 사이의 접촉 또는 제 2 요소(24-2a)와 이러한 동일한 내측 표면 사이의 접촉을 도시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서, 콘의 크기는 2 개의 다른 제 1 요소(24-1b)와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제 1 그룹의 레벨에서의 보유는 두 개의 제 1 요소(24-1a)에 의해서만 달성되도록 정해진다. 이 예제는 도 4와 도 5a에 나와 있다. 또한, 그것의 축 대칭 특성 때문에, 제 2 그룹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유 요소(24-2a)와 칼라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접촉을 형성한다.
도 5c에 도시된 또 다른 예에서, 더 큰 콘(8)은 콘 내에서 팁(6)이 더 깊이 삽입되는 동안에 제 1 요소(24-1a)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은 콘의 내부 표면과 다른 요소(24-1b)를 접촉시키도록 실질적으로 타원인 특성을 가진다.
이제,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제 2 및 제 3 보유 요소에 의해 한정된 제 2 코니시티(Con2)에 적합한 코니시티를 갖는 콘(8)과 상기 팁(6) 사이의 협력의 또다른 예가 도시된다.
도 6은 한편으로는 제 2 요소(24-2a)와 콘의 칼라의 내부 절두 표면 사이의 접촉 및 다른 한편으로는 제 3 요소(24-3a)와 이러한 동일한 내부 표면 사이의 접촉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콘의 크기는 두 개의 제 3 요소(24-3b)와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제 3 그룹의 레벨에서의 보유가 두 개의 제 3 요소(24-3a)에 의해서만 달성되도록 정해진다. 이 예제는 도 6과 도 7a에 도시되고 있다. 또한, 그것의 축대칭성으로 인해, 여기서 제 2 그룹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요소(24-2a)와 칼라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접촉을 또한 형성한다.
도 7c에 도시된 또 다른 예에서, 더 큰 콘(8)은 콘 내에서 팁(6)이 더 깊이 삽입되는 동안 제 3 요소(24-3a)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은 실질적으로 타원인 특성을 가져서, 다른 제 3 요소(24-3b)와 콘의 내부 표면을 접촉시키게 된다.
물론, 통상의 기술자는 방금 정의된 발명에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로봇이라고도 하는 자동화된 피펫팅 시스템의 팁에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된다.
1: 피펫
2: 손잡이
4: 하부
6: 팁
7: 종축
8: 콘

Claims (15)

  1. 제 1 가상면(P1)으로 떨어지는 종축(7)을 갖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를 위한 샘플링 콘-운반 팁(6)으로서,
    상기 샘플링 콘-운반 팁은 종축(7)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속적으로팁의 외부 표면(2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제 1 그룹의 제 1 보유 요소(24-1a, 24-1b), 제 2 그룹의 제 2 보유 요소(24-2a), 제 3 그룹의 제 3 보유 요소(24-3a, 24-3b)을 포함하되,
    - 샘플링 콘을 위한 상기 제 1 그룹의 제 1 보유 요소(24-1a, 24-1b)는 상기 팁의 제 1 환형 구역(20-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보유 요소(24-1a) 중 2 개의 보유 요소는 제 1 가상 평면(P1)에 직교하게 제 2 가상 평면(P2)에 배치되고 제 1 최대 외경(Dmax1)인 더 큰 외경을 정의하며,
    - 샘플링 콘을 위한 상기 제 2 그룹의 제 2 보유 요소(24-2a, 24-2b)는 상기 팁의 제 2 환형 구역(20-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보유 요소 중 2 개의 보유 요소는 상기 제 2 가상 평면에 배치되고 제 2 최대 외경(Dmax2)인 더 큰 외경을 정의하며,
    - 샘플링 콘을 위한 상기 제 3 그룹의 제 3 보유 요소(24-2a, 24-3b)는 상기 팁의 제 3 환형 구역(20-3)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보유 요소(24-3a) 중 2 개의 제 3 보유 요소는 상기 제 2 가상 평면(P2)에 배치되고 제 3 최대 외경(Dmax3)인 더 큰 외경을 정의하며,
    상기 팁은 상기 팁의 제 1 환형 구역(20-1) 및 제 3 환형 구역(20-3)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26)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최대 외경(Dmax1) 및 상기 제 2 최대 외경(Dmax2)은 제 1 코니시티(con1)를 갖는 제 1 팁부(6a)를 함께 정의하도록 형성하도록 서로 상이하고, 제 2 최대 외경(Dmax2) 및 제 3 최대 외경(Dmax3)은 제 1 코니시티보다 작은 제 2 코니시티(Con2)를 가지는 제 2 팁부(6b)를 함께 정의하도록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콘-운반 팁(6)
  2. 제 1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콘-운반 팁(6)을 포함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4).
  3. 제 2 항에 있어서,
    단일-채널 피펫팅 시스템을 위해 의도되고, 하나의 단일 샘플링 콘-운반 팁(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4. 제 2 항에 있어서,
    다중 채널 피펫팅 시스템을 위해 의도되고, 상기 제 1 가상 표면(P1)으로 떨어지는 종축(7)을 갖는 복수의 샘플링 콘-운반 팁(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최대 외경(Dmax1)을 정의하는 2개의 상기 제 1 보유 요소(24-1a)를 제외한 제 1 그룹의 제 1 보유 요소(24-1b)는 상기 제 1 최대 외경(Dmax1)에 의해 정의된 제 1 가상 원(C1)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은, 상기 제 1 최대 외경을 정의하는 2 개의 제 1 보유 요소(24-1)에 추가하여, 상기 제 1 최대 외경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제 1 외경(Dinf1)을 정의하는 제 1 보유 요소(24-1b)의 하나 이상의 쌍을 포함하며, 그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작은 직경(Dinf1: first smaller diameter)은 상기 제 1 가상 평면(P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최대 외경(Dmax3)을 정의하는 2개의 제 3 보유 요소(24-3a)를 제외한 제 3 그룹의 제 3 보유 요소(23-3b)는 상기 제 3 최대 외경(Dmax3)에 의해 정의된 제 3 가상 평면(C3)으로부터 내부로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그룹은, 상기 제 3 최대 외경(Dmax3)을 정의하는 2 개의 상기 제 3 보유 요소(24-3a)에 추가하여, 상기 제 3 최대 외경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제 3 직경(Dinf3)을 정의하는 제 3 보유 요소(24-3b)의 하나 이상의 쌍을 포함하되,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3 작은 직경(Dinf3: third smaller diameter)은 상기 제 1 가상 평면(P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의 상기 제 2 보유 요소(24-2a)는 상기 제 2 최대 외경(Dmax2)에 의해 정의된 제 2 가상 원(C2)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은, 상기 제 2 최대 외경(Dmax2)을 정의하는 2 개의 상기 제 2 보유 요소(24-2a)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제 2 최대 외경(Dmax2)을 정의하는 제 2 보유 요소(24-2a)의 하나 이상의 쌍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최대 외경(Dmax2)은 제 1 가상 평면(P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니시티(Con1)는 3 내지 4.5 °이고, 상기 제 2 코니시티(Con2)는 2 내지 3.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6)의 개수는 2 내지 16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13. 제 2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26)은 립 시일(lip se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의 하부.
  14.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부(4)를 포함하는 피펫팅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피펫팅 시스템은 샘플링 피펫 또는 자동 피펫팅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팅 시스템.
  15. 제 14 항에 따른 피펫팅 시스템(1)과, 상기 팁(6)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보유 요소와 상기 제 2 보유 요소의 마찰에 의해 또는 상기 제 2 보유 요소와 상기 제 3 보유 요소의 마찰에 의해 보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콘(8)을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187035929A 2016-06-17 2017-06-15 이중 코니시티를 가지는 피펫팅 시스템의 팁 KR20190019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5652A FR3052688B1 (fr) 2016-06-17 2016-06-17 Embout de systeme de pipetage presentant une conicite double
FR1655652 2016-06-17
PCT/FR2017/051552 WO2017216489A1 (fr) 2016-06-17 2017-06-15 Embout de systeme de pipetage presentant une conicite dou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72A true KR20190019072A (ko) 2019-02-26

Family

ID=5685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929A KR20190019072A (ko) 2016-06-17 2017-06-15 이중 코니시티를 가지는 피펫팅 시스템의 팁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33411B2 (ko)
EP (1) EP3471882B1 (ko)
JP (1) JP6888032B2 (ko)
KR (1) KR20190019072A (ko)
CN (1) CN109311016B (ko)
CA (1) CA3027936A1 (ko)
ES (1) ES2776884T3 (ko)
FR (1) FR3052688B1 (ko)
PL (1) PL3471882T3 (ko)
WO (1) WO2017216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2426S1 (en) * 2014-01-13 2016-11-22 Gilson, Inc. Pipette system cartridge
DE102022004362A1 (de) 2022-11-07 2024-05-08 Brand Gmbh + Co Kg Pipettenschaft einer Pipetti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7345B1 (fr) * 2000-04-07 2002-07-12 Gilson Sa Pipette de prelevement a demontage simplifie
JP4382252B2 (ja) * 2000-05-16 2009-12-09 アロカ株式会社 ノズル装置
US6550349B1 (en) * 2000-09-19 2003-04-22 Molecular Devices Corporation Pipette tip holder
US6596240B2 (en) * 2001-01-12 2003-07-22 Porex Corporation Pipette tip for easy mounting and ejecting from a pipette
US6967004B2 (en) * 2001-10-30 2005-11-22 Rainin Instrument, Llc Pipette with improved pipette tip and mounting shaft
FI20031683A0 (fi) * 2003-11-19 2003-11-19 Thermo Electron Oy Pipetti jossa on kärjenpoistomekanismi
EP1862219B1 (de) * 2006-05-29 2018-02-07 Qiagen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pipettenspitzen sowie pipettiervorrichtung
US7662344B2 (en) * 2006-10-24 2010-02-16 Viaflo Corporation Locking pipette tip and mounting shaft
FI121457B (fi) * 2009-03-24 2010-11-30 Thermo Fisher Scientific Oy Kärkiosapipetti
JP2011149767A (ja) * 2010-01-20 2011-08-04 Fukae Kasei Kk ピペット装置
JP5635811B2 (ja) * 2010-05-28 2014-12-03 深江化成株式会社 ピペット装置
US8858898B2 (en) * 2012-05-16 2014-10-14 Gene Era Biotech Co. Ltd. Pipette tip with improved seal
US20150273463A1 (en) * 2012-11-02 2015-10-01 Biotix, Inc. Pipetting system device
FR3019895B1 (fr) 2014-04-10 2016-05-27 Gilson Sas Systeme de pipetage multicanaux comprenant deux chambres d'aspiration imbriquees l'une dans l'autre
FR3026658B1 (fr) * 2014-10-02 2020-12-25 Gilson Sas Embout de pipette comprenant un joint a levre
FR3026648A1 (fr) * 2014-10-06 2016-04-08 Sorin Crm Sas Accessoire d'explantation de capsule intracorporelle
FR3037825B1 (fr) 2015-06-24 2017-07-28 Gilson Sas Bouton de commande ameliore pour pipette de prelevement
FR3040896B1 (fr) * 2015-09-15 2017-10-13 Gilson Sas Pipette de prelevement comprenant un organe de commande a double fonction d'ejection de cone et de deverrouillage du systeme de reglage de volu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1882B1 (fr) 2019-12-11
FR3052688A1 (fr) 2017-12-22
CN109311016B (zh) 2020-12-25
EP3471882A1 (fr) 2019-04-24
WO2017216489A1 (fr) 2017-12-21
US10933411B2 (en) 2021-03-02
JP6888032B2 (ja) 2021-06-16
US20190329239A1 (en) 2019-10-31
JP2019518219A (ja) 2019-06-27
FR3052688B1 (fr) 2018-07-06
CA3027936A1 (fr) 2017-12-21
ES2776884T3 (es) 2020-08-03
CN109311016A (zh) 2019-02-05
PL3471882T3 (pl)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8264B1 (en) Pipette tip coupling device
US11351534B2 (en) Ejection plate for a pipetting system device
US81179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tip collar on pipette tips providing structural rigidity
KR20190019072A (ko) 이중 코니시티를 가지는 피펫팅 시스템의 팁
US20010043885A1 (en) Multiple channel pipetting device
US20170028397A1 (en) Multichannel pipetting system comprising two aspiration chambers that are imbricated in one another
EP3412362B1 (en) Use of a pipette tip adapter
CN106166503A (zh) 用于腔室系统和样品容器的进液阀,以及具有该进液阀的腔室系统和样品容器
CN113438973A (zh) 吸头杯体
US20140353967A1 (en) Device for sealed connecton having no retention zone
RU2388538C2 (ru) Наконечник пипетки для взятия проб и пипетка, снабженная этим наконечником
US6550349B1 (en) Pipette tip holder
JP6926376B2 (ja) 低挿入力、低ぐらつき性の血清ピペット
NZ209865A (en) Disposable pipette tip
US20160332157A1 (en) Attachment for liquid injection and liquid injection method
KR100637030B1 (ko)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WO2018043119A1 (ja) 液体注入用アタッチメント
CN111545263A (zh) 用于样品移液器的中空针
WO2023026359A1 (ja) セプタ
EP3974841B1 (en) Multichannel pipetting device
US201702821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tip collar on a single row of pipette tips
US20170282174A1 (en) Tip Collar with Integrated Filters
JP2015213987A (ja) ワークチャ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