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913A -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913A
KR20190018913A KR1020170103649A KR20170103649A KR20190018913A KR 20190018913 A KR20190018913 A KR 20190018913A KR 1020170103649 A KR1020170103649 A KR 1020170103649A KR 20170103649 A KR20170103649 A KR 20170103649A KR 20190018913 A KR20190018913 A KR 2019001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e beam
voxel value
region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014B1 (ko
Inventor
이원진
강세룡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0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치조골 및 악골의 골밀도를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영역에 대하여 제1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1 콘 빔(cone beam) CT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2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제1 콘 빔 CT 영상 및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복셀값과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복셀값 산출부, 그리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제1 복셀값, 제2 복셀값 및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신체 영역의 골밀도를 산출하는 골밀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BONE MINERAL DENSITY}
본 발명은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치조골 및 악골의 골밀도를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 중의 하나인 임플란트는 자연치가 소실된 자리의 치조골에 임플란트의 뿌리 역할을 하는 픽스쳐를 식립하고 그 위에 지대주와 보철물을 차례로 연결하여 치아의 기능을 복원하는 시술로, 뼈를 다루는 시술이라는 점에서 환자의 구강 상태 및 식립 부위에 따른 치료 계획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술 전 환자의 치조골 및 악골의 골밀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종래 정량적 골밀도 측정방법으로는 단순 X-선 촬영법, 이중 에너지 흡수 계측법(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정량적 전산화 단층 촬영법(QCT,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등이 있다. 단순 X-선 촬영법과 이중 에너지 흡수 계측법(DEXA)은 고에너지와 저에너지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단위면적당 골밀도를 측정하는 기술로, 골밀도 계측의 정확도 및 재현도가 높아 2차원 골밀도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측정 장치의 구조상 악골 및 치조골의 골밀도 측정에 사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정량적 전산화 단층 촬영법(QCT)은 뼈에 대한 3차원 영상을 획득하므로 골밀도 뿐만 아니라 뼈의 구조적 특성까지 예측할 수 있으나, 방사선 조사량이 많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골밀도 측정에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방사량 조사량이 적으며 치아 및 치아 주변의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콘빔 CT 촬영법(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X-선 조사 형태에 따른 X선 산란에 의한 노이즈 때문에 콘빔 CT 영상의 복셀값은 종래 CT 영상의 하운스필드 단위(hounsfield unit)와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콘빔 CT 영상의 복셀값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정량화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듀얼 에너지 콘빔 CT 영상을 이용하여 치조골 및 악골의 골밀도를 정량화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환자의 신체 영역에 대하여 제1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1 콘 빔(cone beam) CT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2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제1 콘 빔 CT 영상 및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복셀값과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복셀값 산출부, 그리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제1 복셀값, 제2 복셀값 및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신체 영역의 골밀도를 산출하는 골밀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1 콘 빔 CT 영상과 제2 콘 빔 CT 영상은 슬라이스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복셀값 산출부는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제1 복셀값을 산출하고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제2 복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골밀도 산출부는 아래의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신체 영역의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를 산출할 수 있다(여기서, α, β, γ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CBCTh는 제1 복셀값, CBCTl은 제2 복셀값).
Figure pat00001
또한, 영상 획득부는 골밀도를 미리 알고 있는 팬텀에 대하여 제1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3 콘 빔(cone beam) CT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4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며,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3 콘 빔 CT 영상 및 제4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을 설정하며, 복셀값 산출부는 제3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3 복셀값과 제4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4 복셀값을 산출하며, 팬텀의 골밀도, 제3 복셀값 및 제4 복셀값에 기초하여 선형회귀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파라미터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영역은 치조골 또는 악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골밀도를 미리 알고 있는 팬텀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 환자의 신체 영역에 대하여 제1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1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2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복셀값을 산출하고,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정된 파라미터, 제1 복셀값, 제2 복셀값 및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신체 영역의 골밀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1 복셀값 및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제1 복셀값을 산출하고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제2 복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영역의 골밀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를 산출할 수 있다(여기서, α, β, γ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CBCTh는 제1 복셀값, CBCTl은 제2 복셀값).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조골 및 악골의 골밀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정량화하고, 치과 임플란트 시술시 활용하여 시술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골밀도 측정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피로인산칼륨(potassium pyrophosphate)용액의 콘빔 CT 영상과 골밀도 산출 결과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서, 선형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조골(alveolar bone)에 대한 골밀도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100)은 영상 획득부(110), 영역 설정부(120), 복셀값 산출부(130), 파라미터 추정부(140), 그리고 골밀도 산출부(150)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소스(X-ray)와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는 객체(환자의 치조골)에 대한 콘빔 CT 영상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소스는 원뿔형으로 엑스레이를 출력하며, 고에너지 대역의 X선과 저에너지 대역의 X선을 출력한다. 또한, 소스와 검출기 사이에 위치하는 환자의 치조골을 360°회전시키면서 슬라이스(slice) 위치별로 고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콘빔 CT 영상(이하 '제1 CBCT 영상'이라고 함)과 저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콘빔 CT 영상(이하 '제2 CBCT 영상'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객체(치조골)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슬라이스 위치는 원뿔형으로 출력되는 X선에 대응하는(또는 X선이 투과하는) 객체의 영역(단층면)을 의미한다. 이때, 슬라이스 위치는 X선 조사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110)는 골밀도 수치를 미리 알고 있는 팬텀에 대한 고에너지 대역의 콘빔 CT 영상(이하 '제3 CBCT 영상'이라고 함)과 저에너지 대역의 콘빔 CT 영상(이하 '제4 CBCT 영상'이라고 함)을 획득한다.
영역 설정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시술자(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 CBCT 영상과 제2 CBCT 영상의 관심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이때, 제1 CBCT 영상의 관심 영역과 제2 CBCT 영상의 관심 영역은 동일하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관심 영역은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부위의 치조골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영역 설정부(120)는 제3 CBCT 영상과 제4 CBCT 영상의 관심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복셀값 산출부(130)는 제1 CBCT 영상 내지 제4 CBCT 영상 각각의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복셀값 내지 제4 복셀값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 CBCT 영상에서 설정한 관심 영역은 복수개의 복셀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복셀에 대한 평균값인 제1 복셀값을 산출한다.
파라미터 추정부(140)는 미리 알고 있는 팬텀의 골밀도, 복셀값 산출부(130)를 통해 획득한 제3 복셀값 및 제4 복셀값에 기초하여 골밀도 산출을 위한 선형 회귀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아래 수학식 1의 다중 선형 회귀 방정식에 미리 알고 있는 팬텀의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 복셀값 산출부(130)를 통해 산출된 제3 복셀값 및 제4 복셀값을 적용하여 파라미터 α, β, γ를 추정한다.
Figure pat00003
골밀도 산출부(150)는 파라미터 추정부(140)에서 추정된 α, β, γ와 제1 복셀값 및 제2 복셀값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치조골의 골밀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1 복셀값은 CBCTh, 제2 복셀값은 CBCTl이다.
아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골밀도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방법을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골밀도 측정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먼저, 골밀도를 미리 알고 있는 팬텀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 방정식의 파라미터를 추정한다(S10).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골밀도를 미리 알고 있는 팬텀에 대하여 고에너지 대역의 제3 CBCT 영상과 저에너지 대역의 제4 CBCT 영상을 획득하고, 영역 설정부(120)를 통해 제3 CBCT 영상과 제4 CBCT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한다. 이후, 복셀값 산출부(130)를 통해 제3 CBCT 영상의 관심 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과 제4 CBCT 영상의 관심 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후, 파라미터 추정부(140)를 통해 수학식 1에 골밀도 수치(BMD), 제3 CBCT 영상의 관심 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CBCTh) 및 제4 CBCT 영상의 관심 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CBCTl)을 적용하여 파라미터 α, β, γ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10은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최초 사용시 수행되며, 초기 캘리브레이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환자의 치조골에 대응하는 CBCT 영상을 획득한다(S12). 도 3을 참고하면, 고에너지 대역의 X선에 따른 제1 CBCT 영상과 저에너지 대역의 X선에 따른 제2 CBCT 영상을 획득한다.
이후, 영역 설정부(120)를 통해 제1 CBCT 영상과 제2 CBCT 영상에서 관심영역을 설정한다(S14). 도 3을 참고하면, 제1 CBCT 영상 및 제2 CBCT 영상에서 좌측 어금니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후, 복셀값 산출부(130)를 통해 S14에서 설정된 관심영역 내 평균 복셀값을 산출한다(S16). 도 3을 참고하면, 제1 CB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한 CBCTh와 제2 CB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한 CBCTl을 산출한다.
이후, 골밀도 산출부(150)를 통해 S10에서 추정된 파라미터 α, β, γ와 S16에서 산출된 평균 복셀값 CBCTh 및 CBCTl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12 내지 S18은 슬라이스 개수만큼 반복되며, 환자의 치조골에 대하여 총 n개의 슬라이스 영상을 획득한 경우 슬라이스별 골밀도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4
도 4는 도 1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피로인산칼륨(potassium pyrophosphate) 용액의 콘빔 CT 영상과 골밀도 산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골조직과 동등한 물질로 알려진 피로인산칼륨(potassium pyrophosphate)(K4P207) 용액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정량화한 예시이다.
도 4에서 보면, 0.1, 0.2, 0.3, 0.4, 0.5 및 0.6 g/㎤로 골밀도 수치가 서로 다른 피로인산칼륨 용액에 대하여 제1 대역(8kVp) 및 제2 대역(120kVp)에서 획득한 CBCT 영상 및 골밀도 추정 영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골밀도가 각각 0.1, 0.3 및 0.5g/㎤인 팬텀에 대한 CBCT 영상을 통해 관심 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선형 회귀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0.2, 0.4 및 0.6g/㎤ 팬텀의 듀얼 에너지 복셀값을 골밀도 수치로 환산한 결과는 골밀도 추정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골밀도 추정 영상에서 보면, 골밀도 수치가 각각 0.2, 0.4 및 0.6 g/㎤인 팬텀에 대하여 선형 회귀 모델을 통해 0.19, 0.41 및 0.6 g/㎤의 골밀도 수치가 산출되어 거의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듀얼 에너지 CBCT 영상을 이용하여 치조골의 골밀도를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객관적인 골밀도 수치를 통해 골밀도 평가 및 수술계획을 수립하여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듀얼 에너지 CBCT 영상을 이용하여 악골의 골밀도를 정량화하여 구강악안면외과 분야에서 골밀도 평가 및 수술계획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방법은 장치에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개인정보단말기), 이동통신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골밀도 측정 시스템
110 : 영상 획득부
120 : 영역 설정부
130 : 복셀값 산출부
140 : 파라미터 추정부
150 : 골밀도 산출부

Claims (9)

  1. 환자의 신체 영역에 대하여 제1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1 콘 빔(cone beam) CT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2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제1 콘 빔 CT 영상 및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복셀값과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복셀값 산출부, 그리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상기 제1 복셀값, 상기 제2 복셀값 및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 영역의 골밀도를 산출하는 골밀도 산출부
    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콘 빔 CT 영상과 상기 제2 콘 빔 CT 영상은 슬라이스 위치가 동일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복셀값 산출부는 상기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제1 복셀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상기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골밀도 산출부는 아래의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 영역의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를 산출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Figure pat00005

    (여기서, α, β, γ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이며, CBCTh는 제1 복셀값이고, CBCTl은 제2 복셀값이다.)
  5. 제1항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골밀도를 미리 알고 있는 팬텀에 대하여 상기 제1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3 콘 빔(cone beam) CT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4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3 콘 빔 CT 영상 및 제4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복셀값 산출부는 상기 제3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3 복셀값과 제4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4 복셀값을 산출하며,
    상기 팬텀의 골밀도, 상기 제3 복셀값 및 상기 제4 복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회귀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파라미터 추정부를 더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신체 영역은 치조골 또는 악골을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7.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골밀도를 미리 알고 있는 팬텀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단계,
    환자의 신체 영역에 대하여 제1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1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에너지 대역의 X선에 대응하는 제2 콘 빔 CT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복셀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정된 파라미터, 상기 제1 복셀값, 상기 제2 복셀값 및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 영역의 골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복셀값 및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제1 복셀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콘 빔 CT 영상의 관심영역 내 복셀의 평균값인 상기 제2 복셀값을 산출하는 골밀도 측정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신체 영역의 골밀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선형회귀모델을 이용하여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를 산출하는 골밀도 측정 방법.
    Figure pat00006

    (여기서, α, β, γ는 추정된 파라미터이며, CBCTh는 제1 복셀값이고, CBCTl은 제2 복셀값이다.)
KR1020170103649A 2017-08-16 2017-08-16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7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49A KR101973014B1 (ko) 2017-08-16 2017-08-16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49A KR101973014B1 (ko) 2017-08-16 2017-08-16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13A true KR20190018913A (ko) 2019-02-26
KR101973014B1 KR101973014B1 (ko) 2019-04-26

Family

ID=6556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649A KR101973014B1 (ko) 2017-08-16 2017-08-16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0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0650A (zh) * 2019-05-31 2019-09-06 昆明理工大学 一种检测骨密度的方法
WO2021006472A1 (ko) * 2019-07-11 2021-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102516949B1 (ko) * 2022-03-24 2023-04-03 주식회사 쓰리디오엔에스 인공지능 기반의 두경부 특정 조직에 대한 밀도값 판별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909A (ko) * 2008-12-04 2010-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KR20100133921A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씨케어코리아 Ct방식에 의한 악골의 골밀도 측정장치
JP2012030035A (ja) * 2010-06-29 2012-02-16 Aichi Gakuin 骨塩定量ファントム及びコーンビームx線ct装置
KR101212556B1 (ko) * 2012-01-31 2012-12-14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치아 교정용 고정체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4565A (ko) * 2015-01-30 2016-08-10 주식회사바텍 구강 내 x선 촬영용 x선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스템
KR20170015674A (ko) * 2015-07-30 2017-0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팬텀 없는 영상 신호에서 골밀도 값 예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909A (ko) * 2008-12-04 2010-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KR20100133921A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씨케어코리아 Ct방식에 의한 악골의 골밀도 측정장치
JP2012030035A (ja) * 2010-06-29 2012-02-16 Aichi Gakuin 骨塩定量ファントム及びコーンビームx線ct装置
KR101212556B1 (ko) * 2012-01-31 2012-12-14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치아 교정용 고정체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4565A (ko) * 2015-01-30 2016-08-10 주식회사바텍 구강 내 x선 촬영용 x선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스템
KR20170015674A (ko) * 2015-07-30 2017-0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팬텀 없는 영상 신호에서 골밀도 값 예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0650A (zh) * 2019-05-31 2019-09-06 昆明理工大学 一种检测骨密度的方法
WO2021006472A1 (ko) * 2019-07-11 2021-01-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102516949B1 (ko) * 2022-03-24 2023-04-03 주식회사 쓰리디오엔에스 인공지능 기반의 두경부 특정 조직에 대한 밀도값 판별 방법 및 장치
WO2023182569A1 (ko)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쓰리디오엔에스 인공지능 기반의 두경부 특정 조직에 대한 밀도값 판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014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g et al. Accuracy assessment of three-dimensional surface reconstructions of in vivo teeth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Ye et al. Accuracy of in-vitro tooth volumetric measurements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gel et al. Monte Carlo simulations to assess the effects of tube current modulation on breast dose for multidetector CT
US10856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irradiation dose for patient application based on a radiation field model and a patient anatomy model
Gabusi et al. Radiation dose in chest CT: assessment of size-specific dose estimates based on water-equivalent correction
KR101973014B1 (ko)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3013722A (ja) X線撮像における散乱補正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0758201B2 (en) Variance reduction for monte carlo-based scatter estimation
US11419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with three-dimensional scout
Wong Bone Reconstruction Planning Using Computer Technology Management for of Surgical Severe Maxillomandibular Atrophy
Brough et al. Postmortem computed tomography age assessment of juvenile dentition: comparison against traditional OPT assessment
KR101087137B1 (ko)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JP6142172B2 (ja) ビームハードニング補正装置、ビームハードニング補正方法、及びx線撮影装置
JP2005095397A (ja) X線散乱線成分の補正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x線ct装置
Khojastepour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ay scales in digital intraoral radiographs and Hounsfield units in CT scans
Alhawasli et al. Volumetric analysis of the Jaws in skeletal class I and III patients with different facial divergence using CBCT Imaging
Raskó et al. Assessing the accuracy of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n measuring thinning oral and buccal bone
WO2019021543A1 (ja) X線ct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Lopez-Rendon et al. Do we need 3D tube current modulation information for accurate organ dosimetry in chest CT? Protocols dose comparisons
Kang et al. Tooth cracks detection and gingival sulcus depth measurement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N113034636B (zh) 基于跨尺度多能谱ct标签的锥束ct图像质量改善方法和装置
Alhawasli et al. Research Article Volumetric Analysis of the Jaws in Skeletal Class I and III Patients with Different Facial Divergence Using CBCT Imaging
Boellaard In vivo dosimetry with a liquid‐filled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Kima et al. Noise and patient dose analysis of intensity-modulated dental CBCT
Perepelytsia et al. Determining the length of an object in an X-ray image using a polynomial approximation of the segmented object’s mid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