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909A -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909A
KR20100063909A KR1020080122276A KR20080122276A KR20100063909A KR 20100063909 A KR20100063909 A KR 20100063909A KR 1020080122276 A KR1020080122276 A KR 1020080122276A KR 20080122276 A KR20080122276 A KR 20080122276A KR 20100063909 A KR20100063909 A KR 2010006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density
jaw
measuring
phanto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137B1 (ko
Inventor
이수열
이정원
김승환
박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37B1/ko
Priority to US12/506,371 priority patent/US8007171B2/en
Publication of KR2010006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03B42/042Holders for X-ray films for dent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16X-ray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8B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골(jawbone) 엑스선 영상을 이용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골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서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 치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악골 엑스선 촬영 장치로부터 악골밀도 측정할 수 있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악골밀도, 보조장치, 관심영역

Description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METHOD AND SUPPORT DEVICE FOR JAW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본 발명은 악골(jawbone) 엑스선 영상을 이용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장치와 치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악골 엑스선 촬영 장치를 이용해서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으로부터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분야에서 골다공증 진단과 관련하여 악골밀도 측정의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어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인공치아 이식의 사전 적절성 조사를 위해서도 악골밀도 측정의 필요성이 꾸준하게 제기되어왔다.
골다공증은 비정상적으로 골량이 감소된 상태로 동통, 척추 및 대퇴부 등의 골절, 골의 변형 등을 동반하는 병적인 상태이다. 그러나 일단 감소된 골량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골다공증의 발생방지와 조기치료가 무 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조기치료를 위해서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방법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한편, 골다공증은 일반적으로 전신에서 그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악골밀도 측정도 골다공증 진단의 한 척도가 될 수 있다.
종래 이용되고 있는 정량적 골밀도 측정방법으로는 QCT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등이 있다.
QCT를 이용하면 뼈의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피질골(cortical bone)과 해면골(trabecular bone)의 골밀도를 분리하여 계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의 구조적 안정성까지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QCT 장비는 고가이고 방사선 조사량이 많기 때문에 일상적인 골밀도 측정 방법으로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DEXA는 QCT에 비하여 장비 가격이 저렴하고, 방사선 조사량이 적고, 골밀도 계측의 정확도 및 재현도가 높아서 2차원 골밀도 측정 및 골다공증 치료의 경과판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DEXA 장비는 그 구조상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QCT와 같은 악골밀도 측정 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이나 방사선에 의한 유해성에 대한 문제 등으로 QCT에 대한 악골밀도 측정보다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한 악골밀도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성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악골밀도 엑스선 영상을 이용해 악골밀도를 측정방법의 필요성은 대부분의 치과병원이 악골 엑스선 촬영 장비를 기본으로 갖추고 있고, 치과진료 과정에서 악골 엑스선 촬영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성행하고 있는 인공치아 이식 과정에서도 악골밀도의 측정은 필요한 과정이다. 왜냐하면, 악골은 보통의 골처럼 피질골과 내부의 해면골로 이루어져 있다. 인공치아를 이식할 때, 우선 잇몸을 절개하고 악골에 구멍을 낸 후 인공치아를 삽입한다. 이때 악골의 피질골량과 해면골량이 충분치 않으면 인공치아가 악골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식 성공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인공치아 이식 이전에 악골밀도 측정을 실시하면 인공치아 이식의 실패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악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는 치과용 CT 장비밖에 없는 형편이다. 치과용 CT를 갖추지 못한 치과병원에서는 치과 파노라마 영상이나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의사가 경험적으로 판독하여 인공치아 이식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것이 보통이다.
현재까지 치과 파노라마 영상이나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계측하기 위한 몇몇 임상적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대부분 정성적인 방법이어서 악골밀도 측정의 정확도가 낮다. 치과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영상에 나타난 악골은 구강 뒤쪽의 중첩된 연부조직이나 목뼈에 의한 엑스선 흡수효과를 포함하고 있고, 적절한 정량화 팬텀도 없기 때문에 이 영상을 이용한 악골밀도 측정은 쉽지 않다. 한편, 악골 엑스선 영상의 경우, 중첩된 조직이 적고 정량화 팬텀의 사용이 용이하여 악골밀도 측정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편이나 아직까지 상용화된 예는 별로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해 악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해 악골밀도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보조장치를 이용하고, 필요한 경우 보정 과정을 거쳐 정확한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은 악골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1 단계,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2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서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악골 엑스선 영상의 팬텀의 각 단계별 평균 그레이레벨과 단계별 두께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관심영역에서 그레이레벨의 평균으로 설정된 악골밀도 지수를 계산하여 측정되거나, 상기 측정된 악골밀도 지수를 미리 설정된 악골밀도 지수와 악골밀도와의 선형관계식을 이용해 악골밀 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는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외장케이스 및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 빈 공간에 부착되고, 젤 또는 액체 형태의 물질이 채워져 치아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부 일측면에 영상 획득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엑스선 필름 또는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 대응되는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팬텀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팬텀은 다수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의 상하에 직교하는 수평홈 및 수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텀에 형성된 수평홈의 중간점과 수직홈의 중간점을 이은 직선은 팬텀 상하면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장케이스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악골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1 단계,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2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서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외장케이스에 치아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 일측면에 팬텀을 구비하여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부 일측면에 구비된 영상획득부를 통해 상기 팬텀 영상을 포함하는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보조장치;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을 입력하고,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으로부터 악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정치; 및 상기 보조장치, 상기 입출력장치 및 기억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의 영상을 보정한 후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은 악골용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연부조직 효과를 균일하게 만들고, 내장된 엑스선 팬텀을 이용하여 엑스선 흡수도를 정량화하고, 부주의하게 촬영된 악골 엑스선 영상을 배제하도록 하여 악골밀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은 일반 치과에서 이용되고 있는 엑스선 영상을 통해 악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골다공 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110), 악골밀도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120), 악골밀도 측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 기억장치(140) 및 보조 기억장치(150), 그리고 상기 입출력 장치(120) 및 주/보조 기억장치(140, 150)를 제어하고,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하여 악골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반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해 악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보조장치(110)는 도 2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에서 이루어진다.
입출력 장치(120)는 악골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보조 장치를 이용해 획득되는 악골 엑스선 영상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 장치로는 보조장치(110)에 구비되는 필름 스캐너 또는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장치는 모니터 또는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 기억장치(140) 및 보조 기억장치(150)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설정된 정보, 관심영역 영상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및 관심영역으로부터 계산된 악골밀도 지수로부터 실제 악골밀도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입출력 장치(120) 및 주/보조 기억장치(140, 150)를 제어하는 것은 물론,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으로부터 악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내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하여 악골밀도를 측정한다. 악골 엑스선 영상을 이용해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의 설명에서 이루어진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110)는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외장 케이스(210), 주머니(220), 영상획득부(230) 및 팬텀(240)을 포함한다.
외장케이스(210)는 치아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하나의 실시예로 도 2는 "ㄷ" 자 형태의 외장케이스(210)를 도시하고 있다. 외장케이스(210)는 인체 연부조직과 엑스선 흡수특성이 비슷한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는 젤이나 액체 형태의 엑스선 연부등가 물질로 채워진 주머니(220)가 구비된다. 엑스선 연부등가 물질로는 물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획득부(230)는 외장케이스(210)의 외부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230)는 엑스선 필름 또는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110)는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보조장치(110) 안쪽에 치아를 끼우고 엑스선 촬영을 실시한다. 엑스선은 보조장치의 외장케이스(210), 주머니(220)의 연부등가 물질, 입술(250), 잇몸(260), 치아(270) 및 악골(280) 등에 의해 감쇠된 후, 최종적으로 영상획득부(230)의 엑스선 필름 또는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에 엑스선 영상이 맺히게 된다.
악골 엑스선 영상을 얻을 때, 엑스선 발생장치의 관전압(kVp)은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하나의 예로, 엑스선 발생장치의 관전압은 60kVp를 유지할 수 있다. 악골 엑스선 영상은 단순 엑스선 필름이나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 될 수 있는데, 엑스선 필름의 경우는 필름스캐너로 디지털화하여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는 필름스캐너를 이용하는 과정 없이 직접 악골 엑스선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악골 엑스선 영상을 얻을 때, 영상의 공간 해상도 및 각 픽셀의 밝기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하나의 실시예로 영상의 공간 해상도를 200PPI(Pixels Per Inch)로 하고, 각 픽셀의 밝기는 256 그레이 레 벨로 할 수 있다.
악골 엑스선 영상의 밝기, 대조도 등의 영상 특성은 엑스선 영상 획득 조건(엑스선 발생장치의 mAs, 엑스선원까지의 거리 등)의 변화에 민감하다. 즉, 엑스선 영상의 각 픽셀에서의 밝기(그레이 레벨)는 해당 픽셀에서의 엑스선 흡수량의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다. 따라서 엑스선 영상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먼저 엑스선 영상 획득 조건에 의한 영상특성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 에서는 획득한 악골 엑스선 영상을 정량적으로 보정하기 위해 악골 엑스선 촬영 보조장치(110)에 팬텀(240)을 부착하였다.
도 3 은 보조장치에 부착되는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악골 엑스선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팬텀(240)은 엑스선 필름 또는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 등의 영상획득부(230)에 대응되는 외장케이스(21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엑스선 팬텀의 재질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알루미늄 팬텀의 두께는 골밀도를 측정하려는 부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는데, 골밀도를 측정할 부위가 악골일 경우, 알루미늄 팬텀의 최대 두께를 6㎜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에 예시한 엑스선 팬텀(240)은 밑면을 7㎜ x 21㎜로, 각 단계의 높이를 2, 6, 4mm로 할 수 있다.
한편, 엑스선 팬텀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할 때 팬텀 각 단계의 두께 정보가 필요한데, 만약 엑스선 조사가 팬텀(240)에 수직으로 조사되지 않을 경우에는 팬텀(240) 두께가 달라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보정이 부정확해진다. 또한, 팬 텀(240)에 밀착된 엑스선 필름이나 디지털 엑스선 센서가 엑스선 조사축에 비스듬하면 엑스선 빔의 강도가 고르지 않아 엑스선 영상 밝기에 상당한 왜곡이 생긴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텀의 한 단계(여기서는 6mm 단계)의 상하부에 직교하는 가로홈(241) 및 세로홈(242)을 만들어 악골 엑스선 영상에 십자형 패턴이 생기도록 한다. 상기 팬텀(240) 상하부에 형성되는 가로 및 세로홈의 길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팬텀(240)의 정 위쪽에서 보았을 때 가로와 세로홈이 서로를 이등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의 팬텀을 상기 보조장치(110)에 부착하고 악골 엑스선 촬영을 실시하면 악골 엑스선 영상에 팬텀(110)의 영상이 나타나고, 이 팬텀의 6mm 단계에 십자형 패턴이 만들어진다. 악골 엑스선 영상을 얻을 때, 가로패턴의 중심과 세로패턴의 중심간 거리(D)와 패턴이 있는 단계의 두께(T)가 이루는 각
Figure 112008083583010-PAT00001
이 수 도(degree) (예를 들어,
Figure 112008083583010-PAT00002
) 이내에 해당해야 한다. 왜냐하면 엑스선원이 팬텀(240)과 엑스선 필름이나 디지털 엑스선 센서 등의 영상획득부(230)에 상당히 비스듬하게 조사되면, 상당한 엑스선 영상 왜곡이 발생하여 골밀도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엑스선원의 축을 정렬하고 악골 엑스선 촬영을 다시 실시해야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보조장치를 이용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은 먼저, 보조장치를 이용해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한다.(S410) 악골 엑스선 영상은 보조장치(110) 외장케이스(210) 의 일측에 구비된 영상획득부(230)에서 얻어진다. 영상획득부(230)를 통해 촬영된 엑스선 영상은 보조장치(110)에 구비된 팬텀(240)에 의해 형성되는 팬텀(240) 영상을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촬영 조건을 바꾸어 최적의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230)를 통해 악골 엑스선 영상이 획득되면,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골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의 관심영역을 설정한다.(S420) 관심영역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 형태로 만들 수 있으나, 도 5와 같이 원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반경 25픽셀의 원으로 설정한다. 관심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관심 영역의 위치, 관심 영역의 형태 및 관심 영역의 크기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미리 설정되어 주/보조 기억장치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골밀도 측정을 위한 관심영역이 설정되면, 악골밀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엑스선 팬텀 영상을 이용하여 관심영역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S430) 관심영역을 보정하기 위해 엑스선 팬텀(520)의 각 단계별 평균 그레이레벨을 측정한다.
한편, 십자형 패턴을 포함하는 영역(521)의 평균 그레이 레벨을 계측할 때에는 십자형 패턴에 의한 영향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우선, 십자형 패턴을 포함하는 영역(521)에 평균 그레이 레벨 측정을 위한 계측영역을 설정하고, 히스토그램을 분석한다. 이 히스토그램은 두 개의 피크를 형성하는 데, 십자형 패턴이 어두운 쪽 피크를 형성한다. 따라서 두 피크 사이의 적절한 값(예를 들면, 중간값)을 문턱치로 설정한 후, 이 문턱치보다 밝은 픽셀들의 평균 그 레이 레벨을 그 단계의 평균 그레이 레벨로 설정한다. 이후 엑스선 팬텀의 각 단계별 평균 그레이레벨과 단계별 두께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심영역 영상을 보정한다. 관심영역 영상 보정을 위해서는 팬텀의 두께(t)와 평균 그레이 레벨(g) 사이의 관계식[g=f(t)]을 얻어야 한다. 상기 관계식은 상기 데이터의 다항식 피팅을 이용하거나, tanh 등의 함수 피팅을 이용하거나, 구간별 선형 관계식을 이용하여 얻는다. 이후, 관심영역 내 픽셀을 보정하기 위하여 그 픽셀의 밝기에 해당하는 팬텀환산두께[f-1(g)]를 계산한다. 만약, 팬텀환산두께가 0mm보다 작으면 그레이 레벨을 0으로 보정하고, 팬텀의 최대두께 6mm보다 크면 255로 보정하고, 나머지는 255*f-1(g)/6.0의 정수부로 보정한다.
관심 영역(510)의 보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관심영역(510)의 악골밀도를 측정한다(S440). 관심영역에서 악골밀도 측정을 위해서는 우선 악골밀도 지수를 계산한다. 악골밀도 지수는 상기 보정된 관심영역에서 그레이 레벨의 평균으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악골밀도 지수를 악골밀도로 직접 활용할 수도 있고, 실제 악골밀도로 환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악골밀도 지수를 실제 악골밀도로 환산하기 위해서 다수의 피험자에 대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악골밀도와 악골밀도 지수를 각각 QCT 장비 및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후 다수의 피험자에서 측정한 QCT 악골밀도와 상기 악골밀도 지수의 선형관계식을 도출하여 악골밀도 지수로부터 실제 악골밀도를 환산한다. 따라서, 악골밀도 지수를 실제 알골밀도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피험자에 의해 미리 구해진 악골밀도 지수와 악골밀도의 선형관계에 대한 정보가 주/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_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여기서 사용되는 수치들이나 영상들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보조장치에 부착되는 팬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악골밀도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악골 엑스선 영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5)

  1. 악골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1 단계;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2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에서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악골 엑스선 영상의 팬텀의 각 단계별 평균 그레이 레벨과 단계별 두께 데이터의 관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관심영역에서 그레이 레벨의 평균으로 설정된 악골밀도 지수를 계산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악골밀도 지수를 미리 설정된 악골밀도 지수와 악골밀도와의 선형관계식을 이용해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 방법.
  6. 적어도 일측면이 오픈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외장케이스; 및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 빈 공간에 부착되고, 젤 또는 액체 형태의 물질이 채워져 치아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주머니를 포함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부 일측면에 영상 획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엑스선 필름 또는 디지털 엑스선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 대응되는 외장케이스의 내측면에 팬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은 다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은
    상기 다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의 상하에 직교하는 수평홈 및 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에 형성된 수평홈의 중간점과 수직홈의 중간점을 이은 직선은 팬텀 상하면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14. 외장케이스에 치아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 일측면에 팬텀을 구비하여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부 일측면에 구비된 영상획득부를 통해 상기 팬텀 영상을 포함하는 악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보조장치;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을 입력하고,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으로부터 악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장치; 및
    상기 보조장치, 상기 입출력장치 및 기억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악골 엑스선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관심 영역의 영상을 보정한 후 악골밀도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악골밀도 측정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은 다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의 상하에 직교하는 수평홈 및 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골밀도 측정 시스템.
KR1020080122276A 2008-12-04 2008-12-04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KR10108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76A KR101087137B1 (ko) 2008-12-04 2008-12-04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US12/506,371 US8007171B2 (en) 2008-12-04 2009-07-21 Method and support device for measuring jawbone mineral den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76A KR101087137B1 (ko) 2008-12-04 2008-12-04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909A true KR20100063909A (ko) 2010-06-14
KR101087137B1 KR101087137B1 (ko) 2011-11-25

Family

ID=4223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276A KR101087137B1 (ko) 2008-12-04 2008-12-04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07171B2 (ko)
KR (1) KR101087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0567B2 (en) 2012-01-31 2014-10-28 Infinitt Healthcare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orthodontics mini-screw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018913A (ko) * 2017-08-16 2019-02-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2691B2 (ja) * 2012-10-17 2016-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骨密度測定用アダプタおよび骨密度測定システム
US9844324B2 (en) * 2013-03-14 2017-12-19 X-Nav Technologies, LLC Image guided navigation system
KR102393294B1 (ko) * 2014-09-26 202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CN110381837A (zh) * 2017-01-10 2019-10-25 媒堤亚株式会社 骨密度测定装置、骨密度测定系统以及拍摄辅助件
CN110930513B (zh) * 2019-11-18 2023-04-1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牙颌仿真模型生成方法、系统、牙齿矫治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218A (en) * 1965-07-16 1967-04-04 Alfred G Jacobs Mouth protector
US3304423A (en) * 1966-03-25 1967-02-14 Fred M Medwedeff Dental X-ray shield and aiming means and film holder means mounted on opposite ends of bite means
CH666803A5 (de) * 1985-01-25 1988-08-31 Hanspeter Dr Med Dent Delnon Geraet zur aufnahme von roentgen-schichtbildern.
CA1288176C (en) * 1987-10-29 1991-08-27 David C. Hatcher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alignment of radiographic images
US5090047A (en) * 1990-10-23 1992-02-18 Applied Research Company Apparatus for reproducibly positioning an image receptor for intraoral diagnostics
US5629972A (en) * 1993-05-18 1997-05-13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Intraoral radiograph alignment device
FI110574B (fi) * 1994-03-03 2003-02-28 Pauli Juhani Kossila Digitaalinen suunsisäinen röntgenkuvausmenetelmä ja siinä käytettävä kuvalevyn- tai filminpidin
US6904123B2 (en) * 2000-08-29 2005-06-07 Imaging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x-ray images
AU2001286892B2 (en) 2000-08-29 2007-03-15 Imaging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x-ray images
US7050534B2 (en) * 2000-08-29 2006-05-23 Imaging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x-ray images
AU1319302A (en) 2000-10-11 2002-04-22 Osteonet Com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nalysis of x-ray images
KR100479207B1 (ko) 2001-05-09 2005-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엑스선 영상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방법
US7046834B2 (en) 2001-05-09 2006-05-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easuring bone mineral density by using X-ray image
USD496995S1 (en) * 2002-12-06 2004-10-05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Combined dental lip and tongue retractor
WO2004086972A2 (en) * 2003-03-25 2004-10-14 Imaging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he compensation of imaging technique in the processing of radiographic images
JP4077430B2 (ja) 2003-07-31 2008-04-16 佳知 高石 骨密度評価装置および骨密度評価方法
US7172339B2 (en) * 2004-07-26 2007-02-06 Jennifer A Diederich Intraoral dental radiology positioning device for use with aiming ring
DE102005021327A1 (de) 2005-05-04 2006-11-16 "Stiftung Caesar" (Center Of Advanced European Studies And Research) Verfahren und System zur Knochendichtekalibrierung
US7517148B2 (en) * 2007-03-28 2009-04-14 Ceisel Robert J Dental device having a sensor film holder with tooth cla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0567B2 (en) 2012-01-31 2014-10-28 Infinitt Healthcare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orthodontics mini-screw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018913A (ko) * 2017-08-16 2019-02-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137B1 (ko) 2011-11-25
US20100142674A1 (en) 2010-06-10
US8007171B2 (en)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lrick et al. Image distortion and spatial resolution of a commercially available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achine
Versteeg et al. Efficacy of digital intra-oral radiography in clinical dentistry
Loubele et al. Comparative localized linear accuracy of small-field cone-beam CT and multislice CT for alveolar bone measurements
KR101087137B1 (ko) 악골밀도 측정 방법 및 악골밀도 측정을 위한 보조장치
Reddy Radiographic methods in the evaluation of periodontal therapy
US7599468B2 (en) Bone density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Fourmousis et al. Digital image processing. I. Evaluation of gray level correction methods in vitro.
US8831322B2 (en) Method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digital radiological volume topography recording of a patient's body part
US20070058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oral bone mineral density with a panoramic x-ray system
Inscoe et al. Characterization and preliminary imaging evaluation of a clinical prototype stationary intraoral tomosynthesis system
Azeredo et al. Computed gray levels in multislice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ong et al. Bone reconstruction planning using computer technology for surgical management of severe maxillomandibular atrophy
Akdeniz et al. Evaluation of bone height and bone density by computed tomography and panoramic radiography for implant recipient sites
Liedke et al. Accuracy of detecting and measuring buccal bone thickness adjacent to titanium dental implants—a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 vitro study
Asma'a Comparative study of the accuracy of CBCT implant site measurements using different software programs
KR100479207B1 (ko) 엑스선 영상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방법
Buchanan et al. The role of software in quality assurance for indirect digital intraoral imaging
US10032269B2 (en) Method of determining an indicator for the stability of a bone implant
EP2878268B1 (en) Method and apparatus time adjusting technical exposure factors during a radiographic acquisition
JP2012030035A (ja) 骨塩定量ファントム及びコーンビームx線ct装置
Fakhar et al. A comparison of radiographic film densitometry using a new computerized tool with a digital densitometer
Elhayes et al. Calibration of new software with cone beam ct for evaluation of its reliability in densitometric analysis around dental implants
Verhoeven et al. Densitometric measurements of the mandible: accuracy and validity of intraoral versus extraoral radiographical techniques in an in vitro study
JP6947424B2 (ja) 散乱線強度算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散乱線補正装置並びに散乱線強度算出方法
Gao et al. Evaluation and Calibration of CBCT Reconstruction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