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413A -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7413A KR20190017413A KR1020170102247A KR20170102247A KR20190017413A KR 20190017413 A KR20190017413 A KR 20190017413A KR 1020170102247 A KR1020170102247 A KR 1020170102247A KR 20170102247 A KR20170102247 A KR 20170102247A KR 20190017413 A KR20190017413 A KR 201900174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percent
- content
- present
- comparative example
- wel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6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Ni as next major constitu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극저온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C: 0.01~0.2%, Si: 0.1~1.0%, Mn: 1.0~9.0%, P + S: 0.04%미만, Cr: 15.0~20.0%, Ni: 15.0~20.0%, Mo: 1.5~4.5%, Ti: 0.01~1.0%, N: 0.01~0.3%, SiO2: 0.1~3.0%, MnO: 0.5~5.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12%,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관계식 2]로 정의되는 값이 0.5 이하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극저온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C: 0.01~0.2%, Si: 0.1~1.0%, Mn: 1.0~9.0%, P + S: 0.04%미만, Cr: 15.0~20.0%, Ni: 15.0~20.0%, Mo: 1.5~4.5%, Ti: 0.01~1.0%, N: 0.01~0.3%, SiO2: 0.1~3.0%, MnO: 0.5~5.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12%,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관계식 2]로 정의되는 값이 0.5 이하를 만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탄에서부터 액화천연가스 등의 극저온 용기 및 화학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2.25~5% Ni합금강을 용접할 때 사용되는 철계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산업화 및 기술 개발에 따라서 -80℃에서 -196℃까지 저장 냉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25~9% Ni합금강, Invar,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Al 등을 모재로 이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 2.25~5% Ni 합금강은 전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재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Ni 합금강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Ni기 용접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Ni기 용접재료의 경우, 기존 조선 및 해양플랜트에서 사용되어 왔던 철계 용접재료에 비하여 kg당 가격이 20~100배까지 증가 되기 때문에 비용 및 사용상의 문제점이 많다.
또한 이러한 Ni기 용접재료의 경우 대부분 SMAW로 시공되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이 극히 낮고 용접시공의 고 능률화가 필요성이 대두 되면서 플러스 코어드 와이어 개발 필요성이 산업 전반에 걸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25~5% Ni합금강 용접에 있어서, 전자세에서 용접 작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강도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C: 0.01~0.2%, Si: 0.1~1.0%, Mn: 1.0~9.0%, P + S: 0.04%미만, Cr: 15.0~20.0%, Ni: 15.0~20.0%, Mo: 1.5~4.5%, Ti: 0.01~1.0%, N: 0.01~0.3%, SiO2: 0.1~3.0%, MnO: 0.5~5.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12%,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하기 [관계식 2]로 정의되는 값이 0.5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용 철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23.2-Cr×0.54≤Ni≤ 14.5+Cr×0.31
[관계식 2]
{([Na2O]+[K2O]+[Li2O]+0.2×[MnO])/([SiO2]+0.5×([Al2O3]+[TiO2]+[ZrO2]))}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는, 그 자체 중량%로, C: 0.001~0.1%, Si: 0.1~1.0%, Mn: 0.5~9.0%, Cr: 14.0~22.0%, Ni: 8~22%, Mo: 0.1~3.5%, Ti: 0.01~1.0%, N: 0.01~0.3 %, 나머지 Fe 및 블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극저온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플럭스 및 플럭스 코어를 감싸는 외피의 합금조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양호한 용접성을 나타내면서 균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이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재료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C: 0.01~0.2%, Si: 0.1~1.0%, Mn: 1.0~9.0%, P + S: 0.04%미만, Cr: 15.0~20.0%, Ni: 15.0~20.0%, Mo: 1.5~4.5%, Ti: 0.01~1.0%, N: 0.01~0.3%, SiO2: 0.1~3.0%, MnO: 0.5~5.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12%,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하기 [관계식 2]로 정의되는 값이 0.5 이하를 만족한다.
[관계식 1]
23.2-Cr×0.54≤Ni≤ 14.5+Cr×0.31
[관계식 2]
{([Na2O]+[K2O]+[Li2O]+0.2×[MnO])/([SiO2]+0.5×([Al2O3]+[TiO2]+[ZrO2]))}
이하, 본 발명의 와이어의 조성 성분 및 그 제한사유를 설명하며, 이하에서, "%"는 중량%를 나타낸다.
·C: 0.01~0.2%
탄소(C)는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C의 함량이 0.01% 미만이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한편 0.2%를 초과하면 내고온균열성과 인성이 저하되고, 스패터(spatter)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의 함량을 0.01~0.2%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C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Ni기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Mn-C, Cr-C, W-C 등의 금속 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Si: 0.1~1.0%
실리콘(Si)은 탈산 작용과 작업성(퍼짐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그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탈산력이 부족하여 비드 퍼짐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그 함량이 1.0%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부 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균열감수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i의 함량을 0.1~1.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금속의 Si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Si 및 Fe-Si 합금 등, 또는 SiO 등의 슬래그 성분으로부터 환원된 Si이다
·Mn: 1.0~9.0%
망간(Mn)은 슬래그 유동성을 개선하여 비드 형상을 개선 시키며, 용접부의 적정 강도와 인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0% 이상으로 Mn을 함유할 필요가 있으며, 다만 그 함량이 9.0%를 초과하게 되면 급격한 인성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n의 함량을 1.0~9.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Mn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Fe기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Mn, Fe-Mn 합금, MnO2 및 MnCO3등이 있으며, 어느 것의 첨가에 의해서든 Mn량을 조정할 수 있다
·P + S: 0.040% 미만
P 및 S는 고온균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소 중 하나로, Ni3S7, NiS, Ni3P등 Ni합금과 저융점 화합물을 발생시켜 고온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P 및 S 불순물 제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P 및 S의 총 함량을 제어하여 고온균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P 및 S 중 1종 이상이 그 합계로 0.04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Cr: 15.0~20.0%
크롬(Cr)은 용접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15% 미만이면 그 효과가 없고 20%를 초과하게 되면 크롬탄화물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r의 함량을 15.0~20.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Cr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Cr, Fe-Cr 합금 및 Cr2O3 등을 들 수 있다.
·Ni: 15.0~20.0%
Ni은 용접금속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15% 미만이면 용접부 페라이트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인성을 저하시키며 20%를 초과하게 되면 비드 퍼짐성이 과도하게 감소하여 용접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i의 함량을 15.0~20.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Ni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Ni, Fe-Ni 합금 및 Ni-Mg 등을 들 수 있다.
·Mo: 1.5~4.5%
몰리브덴(Mo)은 용착 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Mo의 함량이 1.5% 미만이면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반면에 4.5%를 초과하게 되면 용착 금속의 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o의 함량을 1.5~4.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본 발명에서 Mo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Mo 및 Fe-Mo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Ti: 0.01~1.0%
Ti는 아크안정성 증가 및 석출경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함량이 0.01%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반면에, 그 함량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Fe3Ti, Ni3(Ti,Al) 등의 화합물을 형성하여 strain-age-Crack 발생으로 인한 건전한 용접부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Ti의 함량을 0.01~1.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N: 0.01~0.3%
질소(N)은 용착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질소의 함량이 0.01% 미만이면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반면에 0.3%를 초과하게 되면 용착금속의 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의 함량을 0.01~0.3%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N원으로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합금, 플럭스에 포함되는 금속 Fe-N,Cr-Fe-N,Cr-N.Mn-N 합금 등일 수 있다.
·SiO2(이산화규소): 0.1~3.0%
상기 SiO2는 슬래그 형성제로서 용접 슬래그의 유동성 및 용접비드 퍼짐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는 본 발명에서는 0.1%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량이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금속 내에 Si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과도한 강도 상승, 2차 석출물 증가로 인한 내균열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SiO2의 함량은 0.1~3.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MnO(산화망간): 0.5~5.0%
MnO는 슬래그 응고 온도를 저하시켜 용접 슬래그의 유동성 및 용접 비드 퍼짐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는 0.5%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량이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금속의 아크집중성 감소 및 균열발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nO의 함량은 0.5~5.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본 발명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용접 중 아크의 이온화 포텐셜을 저하시켜 아크의 발생을 용이하게 해주며, 용접 중 안정된 아크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상기 알카리 금속 산화물은 0.05% 이상 첨가되어야 이러한 효과가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이 1.5%를 초과하면, 높은 증기압으로 인하여 용접흄(Fume)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첨가효과는 각각의 함량비와는 무관하다.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12%
Al, Ti, Zr 산화물은 슬래그의 융점을 높여 전 자세 용접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첨가한다. 만일 상기 산화물들의 첨가량의 합이 5 % 미만이면, 슬래그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슬래그의 포피성이 열화된다. 반면에 상기 산화물의 첨가량의 합이 12%를 초과하면, 슬래그 권취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산화물 첨가 효과는 각각의 함량비와는 무관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Ni와 Cr 함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지 못하는 화학성분 조성의 경우, Cr와 Ni 함량에 따른 용접부 페라이트 함량이 증가하여 충격 인성이 저하되거나 유해상의 발생이 증가하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용접부를 얻을 수 없다.
[관계식 1]
23.2-Cr×0.54≤Ni≤ 14.5+Cr×0.31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각 산화물의 첨가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기 [관계식 2]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 0.5 이하가 되도록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값이 0.5를 초과하면 용접성 및 균열성 저하로 인한 우수한 용접부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
[관계식 2]
{([Na2O]+ [K2O]+[Li2O]+0.2×[MnO])/([SiO2]+0.5×([Al2O3]+[TiO2]+[ZrO2]))}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상술한 성분 외에도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불순물로서 Nb: 0.1%, 질량 % 이하, V: 0.10%, 질량 % 이하, Al: 0.10%, 질량 % 이하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한편 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이루는 금속 외피는, 자체 중량%로, C: 0.001~0.1%, Si: 0.1~1.0%, Mn: 0.5~9.0%, Cr: 14.0~22.0%, Ni: 8~22%, Mo: 0.1~3.5%, Ti: 0.01~1.0%, N: 0.01~0.3 %, 나머지 F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용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금속 외피가 합금 성분의 플럭스를 감싸는 단일 외피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은 0.9~1.6mm 정도가 적당하며, 상기 금속 외피의 무게 분율은 외피의 밀도와 플럭스의 밀도차이를 고려하면 대략 용접용 와이어의 전체 대비 무게 분율로 50~90%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용접 재료의 플럭스의 합금조성 및 플럭스 코어를 감싸는 외피의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세 용접(All Position Welding)이 가능하며, 인장 강도 및 충격 인성이 우수한 용접 이음부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을 갖는 용접용 와이어를 마련하였으며, 이때, 각 성분의 단위는 중량%이다.
그리고 발명재와 비교재에 있어서, 용접용 와이어를 이루는 금속 외피 구성 및 외피의 성분은 동일하며, 플럭스의 함량만 달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금속 외피는, 중량%로, C: 0.001~0.1%, Si: 0.1~1.0%, Mn: 0.5~9.0%, Cr: 14.0~22.0%, Ni: 8~22%, Mo: 0.1~3.5%, Ti: 0.01~1.0%, N: 0.01~0.3%,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용접 재료를 이용하여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 Flux Cored Arc Welding)을 실시하였다. 이때, 판 두께 20mm의 SM490 강판의 개선 면에, 개선 각도가 45°가 되도록 사면을 형성하고, 이 개선부를 와이어로 버터링하여, 버터링층을 형성했다. 이 후, 버터링된 모재들끼리 루트 갭이 12mm가 되도록 배치하고, 개선이 좁아지는 측에, 마찬가지로 그 표면이 버터링된 덧대기쇠 (강재)를 배치하였다. 이 개선에 JIS Z 3111: 2005에 준해서 용접하여, 용착 금속을 제조하였다.
FCAW의 경우, 100% CO2 조건과 Ar+15~25% CO2 조건에서 입열량 1.7 kJ/m으로 용접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100% CO2 보호가스 적용할 경우, Ar+15~25% 적용시보다 인장 강도는 유사 수준이나 용착 금속의 산소함량 증가로 인한 충격 인성은 저하된다. 따라서 시험 결과는 100% CO2 보호가스 용접시 물리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CAW용 와이어의 직경은 1.2mm 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얻어진 용접 이음부의 항복 강도(YS), 인장 강도(TS), 연신율(EL) 및 -140℃의 샤르피 충격흡수에너지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자세 용접성은 아크 안정성과 슬래그 박리성을 고려하여 육안으로 비교 판단하였으며, A(우수), B(미흡), C(불량)의 3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아울러, 균열 및 기공 여부도 육안으로 비교 판단하여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균열 미발생(A), 다층 균열 발생(B), 초층 균열발생(C)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 C | Si | Mn | P+S | Ni | Cr | Mo | N2 | Ti | D1 | SiO2 | MnO | D2 | D3 | A1 | A2 |
발명예1 | 0.03 | 0.75 | 2.5 | 0.01 | 16 | 18 | 2.5 | 0.08 | 0.2 | 0.2 | 0.5 | 2.4 | 7.8 | 0.15 | 13.5 | 20.1 |
발명예2 | 0.15 | 0.74 | 2.7 | 0.01 | 16 | 19 | 3 | 0.26 | 0.3 | 1.4 | 0.7 | 2.5 | 8.9 | 0.37 | 12.9 | 20.4 |
발명예3 | 0.07 | 0.4 | 3.5 | 0.01 | 15 | 19.1 | 3.8 | 0.12 | 0.2 | 0.4 | 3.1 | 2.6 | 11.5 | 0.10 | 12.9 | 20.4 |
발명예4 | 0.05 | 0.9 | 4.2 | 0.01 | 16 | 19.5 | 3.5 | 0.09 | 0.3 | 1.5 | 2.5 | 2.8 | 6 | 0.37 | 12.7 | 20.5 |
발명예5 | 0.04 | 0.6 | 1.8 | 0.01 | 17 | 19.5 | 2.7 | 0.09 | 0.05 | 1.2 | 2.2 | 0.9 | 7 | 0.24 | 12.7 | 20.5 |
발명예6 | 0.1 | 0.7 | 8.5 | 0.02 | 15.5 | 18.9 | 3.1 | 0.1 | 0.8 | 0.4 | 2.3 | 4.8 | 7.8 | 0.22 | 13.0 | 20.4 |
발명예7 | 0.08 | 0.8 | 4.8 | 0.03 | 16 | 19.5 | 1.8 | 0.04 | 0.25 | 0.6 | 2.4 | 3.5 | 10.4 | 0.17 | 12.7 | 20.5 |
발명예8 | 0.09 | 0.9 | 2.2 | 0.02 | 16 | 18.5 | 4.2 | 0.08 | 0.8 | 1.4 | 2.8 | 3.4 | 11.2 | 0.25 | 13.2 | 20.2 |
비교예1 | 0.21 | 0.75 | 2.5 | 0.01 | 16 | 18.5 | 2.5 | 0.08 | 0.2 | 0.5 | 0.36 | 4.5 | 12.5 | 0.21 | 13.2 | 20.2 |
비교예2 | 0.07 | 1.2 | 2.9 | 0.02 | 17 | 19 | 3.5 | 0.02 | 0.3 | 0.7 | 1.2 | 2.5 | 4.8 | 0.33 | 12.9 | 20.4 |
비교예3 | 0.02 | 0.9 | 0.3 | 0.03 | 16.5 | 18.9 | 3.3 | 0.2 | 0.01 | 0.5 | 3.1 | 2.4 | 7.5 | 0.14 | 13.0 | 20.4 |
비교예4 | 0.09 | 0.33 | 9.5 | 0.03 | 16.9 | 19.3 | 2.3 | 0.29 | 0.05 | 0.05 | 0.25 | 3.8 | 7.9 | 0.19 | 12.8 | 20.5 |
비교예5 | 0.02 | 0.77 | 2.4 | 0.02 | 17.5 | 15.5 | 1.9 | 0.17 | 0.07 | 1.5 | 0.2 | 4.8 | 5.2 | 0.88 | 14.8 | 19.3 |
비교예6 | 0.03 | 0.85 | 3.4 | 0.03 | 20.2 | 15.5 | 4.4 | 0.05 | 0.7 | 1.2 | 1.3 | 6.5 | 11.5 | 0.35 | 14.8 | 19.3 |
비교예7 | 0.09 | 0.45 | 7.8 | 0.02 | 14.9 | 15 | 2.7 | 0.25 | 0.4 | 1.2 | 2 | 1.5 | 5.4 | 0.32 | 15.1 | 19.2 |
비교예8 | 0.04 | 0.61 | 4.8 | 0.02 | 18.8 | 14.8 | 2.2 | 0.04 | 0.25 | 0.5 | 0.3 | 0.38 | 7.7 | 0.14 | 15.2 | 19.1 |
비교예9 | 0.07 | 0.91 | 5.1 | 0.03 | 18.9 | 20.1 | 2.8 | 0.18 | 0.8 | 1.5 | 2 | 1.5 | 7.7 | 0.31 | 12.3 | 20.7 |
비교예10 | 0.02 | 0.66 | 6 | 0.03 | 17.2 | 18.5 | 1.1 | 0.27 | 0.6 | 1.4 | 2 | 1.8 | 7.9 | 0.30 | 13.2 | 20.2 |
비교예11 | 0.09 | 0.69 | 6.6 | 0.01 | 19.5 | 18 | 4.8 | 0.15 | 0.4 | 1.3 | 2 | 1.7 | 8.5 | 0.26 | 13.5 | 20.1 |
비교예12 | 0.09 | 0.69 | 6.6 | 0.01 | 19.5 | 18 | 2.3 | 0.33 | 0.4 | 1.4 | 1.5 | 2.8 | 7.7 | 0.37 | 13.5 | 20.1 |
*표 1에서 각 성분은 함량은 중량%이고 잔여는 Fe 및 불순물이며,
D1은 ·Li2O+Na2O+K2O, D2는 Al2O3+TiO2+ZrO2, D3는 {([Na2O]+ [K2O]+[Li2O]+0.2×[MnO])/([SiO2]+0.5×([Al2O3]+[TiO2]+[ZrO2]))}, A1은 23.2-Cr×0.54, 그리고 A2는 14.5+Cr×0.31이다.
구분 | YS(MPa) | TS(MPa) | EL (%) | 샤르피충격흡수에니지(-140℃) | 내균열성 | 용접성 (100% CO2) |
발명예1 | 540 | 630 | 40.5 | 60 | A | A |
발명예2 | 600 | 755 | 27.5 | 35 | A | A |
발명예3 | 580 | 700 | 30.5 | 40 | A | A |
발명예4 | 550 | 660 | 38.5 | 63 | A | A |
발명예5 | 560 | 650 | 38.5 | 65 | A | A |
발명예6 | 560 | 625 | 40.4 | 80 | A | A |
발명예7 | 540 | 660 | 32.4 | 70 | A | A |
발명예8 | 545 | 625 | 39.5 | 60 | A | A |
비교예1 | 525 | 690 | 40.8 | 30 | A | C |
비교예2 | 545 | 630 | 42.5 | 55 | A | C |
비교예3 | 500 | 610 | 43.5 | 60 | B | C |
비교예4 | 577 | 720 | 35.5 | 25 | C | C |
비교예5 | 569 | 680 | 38.5 | 50 | A | A |
비교예6 | 540 | 600 | 43.2 | 60 | B | C |
비교예7 | 601 | 670 | 39.9 | 40 | B | C |
비교예8 | 540 | 610 | 45.2 | 80 | A | C |
비교예9 | 602 | 700 | 27.2 | 25 | B | B |
비교예10 | 520 | 610 | 35.5 | 60 | A | A |
비교예11 | 650 | 780 | 24.5 | 20 | C | B |
비교예12 | 660 | 780 | 23.5 | 20 | C | C |
상기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금 성분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관계식 1(23.2-Cr×0.54≤Ni≤ 14.5+Cr×0.31)을 만족하고 관계식 2로 정의되는 값이 0.5 이하인 발명예 1 내지 8의 경우에는 내균열성 및 전자세 용접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발명예 1-8을 이용한 용접이음부의 인장강도는 620MPa 이상, -140℃ 충격 인성 27J이상을 모두 만족하였다.
이에 대하여, C 함량이 0.2%를 초과하는 비교예 1의 경우, 용접부 흄 및 스패터 발생량이 과다하여 용접부 및 용접부 주변에 양호한 비드 외관 확보가 불가하였다. 또한 Al2O3+TiO2+ZrO2 함량이 12%를 초과함으로써 슬래그 함량이 과다하여 전자세 용접시 용접부와 슬래그의 분리가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슬래그 혼입이 발생 되어 전자세 용접성이 미흡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Si 함량이 1.0%를 초과한 경우로서, 비드 퍼짐성이 과다하고 용접부 용입 특성이 저하되어 양호한 용접 비드를 확보하기 힘들었다. 그리고 Al2O3+TiO2+ZrO2 함량이 5.0% 미만으로 슬래그 함량이 과소하여 슬래그 포피성이 떨어지고 양호한 용접 비드를 확보하기 힘들었다.
또한 Mn 함량이 1.0% 미만인 비교예 3은 SiO2 함량이 과도하여 슬래그 유동성이 열세하여 양호한 용접비드를 확보하기 힘들며 목표 인장강도 확보가 힘들었다.
또한 Mn 함량이 9.0%를 초과하는 비교예 4는 비드 퍼짐성이 과다하고 용접부 용입특성이 저하되어 양호한 용접 비드를 확보하기 힘들었다.
비교예 5는 관계식 1을 만족하여 양호한 인장 강도 및 충격 인성을 확보하였으나 관계식 2를 만족하지 못하여 양호한 용접성을 확보하기 힘들었다.
또한 Ni 함량이 20%를 초과하는 비교예 6은 비드 퍼짐성이 과도하여 감소되어 수직 자세에서 슬래그 형성이 나빠져 비드가 흘려 내렸다. 그리고 MnO 함량이 5.0%을 초과하여 비드 퍼짐성이 열세하며 용입 특성이 부족하였다.
비교예 7은 Ni 함량이 15%를 미만으로 용접부 페라이트 함량이 과도하여 다층 용접시 균열에 취약하였으며, 또한 관계식 1을 만족하지 못하여 초층 균열이 발생하였다.
또한 Cr 함량이 15% 미만인 비교예 8은 용접부 강도가 저하되어 목표강도에 부족하였으며, MnO 함량이 0.5%을 미만으로 비드 퍼짐성이 열세하여 양호한 용접 작업성을 확보하기 힘들었다.
또한 Cr 함량이 20%를 초과하는 비교예 9는 용접부 인장 강도가 과도하여 충격 인성이 저하되었으며 다층용접시 균열이 발생하였다.
또한 Mo 함량이 1.5% 미만인 비교예 10은 용접부 강도가 저하되어 목표강도에 부족하였으며, 또한 Mo 함량이 4.5%를 초과하는 비교예 11은 용접부 인장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충격 인성이 저하되었다.
나아가, 질소 함량이 0.3%를 초과하는 비교예 12는 용접부의 기공발생이 증가하여 용접부 건전성이 저하되었으며, 용접부 인장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충격 인성이 저하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2)
- 금속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자체 중량%로, C: 0.01~0.2%, Si: 0.1~1.0%, Mn: 1.0~9.0%, P + S: 0.04%미만, Cr: 15.0~20.0%, Ni: 15.0~20.0%, Mo: 1.5~4.5%, Ti: 0.01~1.0%, N: 0.01~0.3%, SiO2: 0.1~3.0%, MnO: 0.5~5.0%, Li2O, Na2O 및 K2O 중 1 종 이상: 0.05~1.5%, Al2O3, TiO2 및 ZrO2 중 1종 이상: 5~12%, 잔여 Fe 및 불가피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하기 [관계식 2]로 정의되는 값이 0.5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용 철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관계식 1]
23.2-Cr×0.54≤Ni≤ 14.5+Cr×0.31
[관계식 2]
{([Na2O]+ [K2O]+[Li2O]+0.2×[MnO])/([SiO2]+0.5×([Al2O3]+[TiO2]+[ZrO2]))}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그 자체 중량%로, C: 0.001~0.1%, Si: 0.1~1.0%, Mn: 0.5~9.0%, Cr: 14.0~22.0%, Ni: 8~22%, Mo: 0.1~3.5%, Ti: 0.01~1.0%, N: 0.01~0.3 %, 나머지 Fe 및 블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극저온용 철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247A KR101965666B1 (ko) | 2017-08-11 | 2017-08-11 |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247A KR101965666B1 (ko) | 2017-08-11 | 2017-08-11 |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7413A true KR20190017413A (ko) | 2019-02-20 |
KR101965666B1 KR101965666B1 (ko) | 2019-04-04 |
Family
ID=6556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2247A KR101965666B1 (ko) | 2017-08-11 | 2017-08-11 |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566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9785A (ko) * | 2020-02-05 | 2021-08-13 |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CN114845835A (zh) * | 2019-11-29 | 2022-08-02 | 世亚伊萨有限公司 | 镍基合金药芯焊丝 |
US20220281037A1 (en) * | 2019-11-26 | 2022-09-08 | Esab Seah Corp. | Stainless steel flux cored wire for manufacturing lng tank |
KR20220133643A (ko) * | 2021-03-25 | 2022-10-05 |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 내균열성 및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KR20230078330A (ko) * | 2021-11-26 | 2023-06-02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우수한 저온충격인성 및 파괴인성을 갖는 용접 와이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8278B1 (ko) | 2021-11-15 | 2023-09-1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Fe계 합금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7313B2 (ja) * | 1995-03-31 | 2000-04-04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
KR20070079579A (ko) * | 2006-02-02 | 2007-08-07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CN103737198A (zh) * | 2014-01-15 | 2014-04-23 | 四川大西洋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不锈钢焊接用的气保护药芯焊丝 |
KR20150053718A (ko) | 2013-11-08 | 2015-05-18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내장 와이어 및 극저온용 강의 용접 방법 및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
JP2017013118A (ja) * | 2015-07-06 | 2017-01-19 |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 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
-
2017
- 2017-08-11 KR KR1020170102247A patent/KR1019656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7313B2 (ja) * | 1995-03-31 | 2000-04-04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
KR20070079579A (ko) * | 2006-02-02 | 2007-08-07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Ni기 합금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KR20150053718A (ko) | 2013-11-08 | 2015-05-18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내장 와이어 및 극저온용 강의 용접 방법 및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
CN103737198A (zh) * | 2014-01-15 | 2014-04-23 | 四川大西洋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不锈钢焊接用的气保护药芯焊丝 |
JP2017013118A (ja) * | 2015-07-06 | 2017-01-19 |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 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281037A1 (en) * | 2019-11-26 | 2022-09-08 | Esab Seah Corp. | Stainless steel flux cored wire for manufacturing lng tank |
CN114845835A (zh) * | 2019-11-29 | 2022-08-02 | 世亚伊萨有限公司 | 镍基合金药芯焊丝 |
KR20210099785A (ko) * | 2020-02-05 | 2021-08-13 |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KR20220133643A (ko) * | 2021-03-25 | 2022-10-05 |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 내균열성 및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KR20230078330A (ko) * | 2021-11-26 | 2023-06-02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우수한 저온충격인성 및 파괴인성을 갖는 용접 와이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5666B1 (ko) | 2019-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5666B1 (ko) | 극저온용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
US9981346B2 (en) | Welded joint of extremely low-temperature steel, and welding materials for preparing same | |
JP4478059B2 (ja) | 耐火構造用鋼の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ワイヤ。 | |
JP5763859B1 (ja) |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 |
EP2374571B1 (en) | Flux-cored wire for gas-shielding arc welding | |
KR101657825B1 (ko) | 고망간강용 tig 용접 재료 | |
US4017711A (en) | Welding material for low temperature steels | |
US20220288724A1 (en) | Ni-based alloy flux-cored wire | |
US20220281038A1 (en) | Stainless steel welding wire for use in lng tank manufacturing | |
CN112512742B (zh) | 实心焊丝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 |
JP2014050882A (ja) |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高Ni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 |
KR102509889B1 (ko) | 내균열성 및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
KR101657836B1 (ko) | 극저온 인성, 내열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 |
KR102197132B1 (ko) |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
KR102022448B1 (ko) | 극저온 Ni 합금강용 Ni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
KR101417424B1 (ko) |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 |
KR20160083355A (ko) |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 |
KR102308327B1 (ko) |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전자세 용접 가능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
KR101859373B1 (ko) | 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 |
KR20230132902A (ko) | 극저온용 고망간강 용접을 위한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
WO2023248656A1 (ja) | メタル系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 |
KR20240018837A (ko) | 고강도 스테인리스강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 |
KR20220038988A (ko) |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용접 와이어 | |
US20240300056A1 (en) | Flux-cored wire | |
KR20220113255A (ko) |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 금속, 가스 실드 아크 용접 방법 및 용접 이음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