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316A -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316A
KR20190017316A KR1020170101981A KR20170101981A KR20190017316A KR 20190017316 A KR20190017316 A KR 20190017316A KR 1020170101981 A KR1020170101981 A KR 1020170101981A KR 20170101981 A KR20170101981 A KR 20170101981A KR 20190017316 A KR20190017316 A KR 2019001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present
lamp
wavelength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환
Original Assignee
서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형환 filed Critical 서형환
Priority to KR1020170101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316A/ko
Publication of KR2019001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의 외부 표면(outer surface)에 다층막을 형성하여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visible ray) 투과율이 24%~24% 이하가 되도록 이루어져 방현성을 향상시킨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는 벌브와, 상기 벌브의 내부에, 배치된 필라멘트와, 상기 벌브의 내부에 충진된 가스와, 상기 벌브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이 22%~24% 이하의 다층막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벌브의 외부 표면에 증착시키는 다층막은 벌브의 외부표면으로부터 1층, 3층, 5층에 각 두께 0.7μm의 산화 규소가, 2층, 4층, 6층에 각 두께 0.6μm의 산화철이 순차적으로 증착되어 총 6층의 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Heating lamps for preventing glare}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칼날부와 배출원판 그리고 분쇄안내링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조명 및 난방 겸용으로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조명 및 난방 겸용 램프는 공간의 난방용으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점등의 유무에 관계없이 공간에 있는 사용자로부터 시인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종래의 실내 난방용의 램프는 발열시에 가시광선(visible ray) 영역의 빛을 공간에 조사한다. 여기서, 난방용의 램프는 열원으로서의 성능이 요구되지만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서는 눈부시지 않는 이른바 눈부심 방지(방현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최근에 사용되는 난방용 램프는 눈부심이 심하여 사용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2497호(1998.04.3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5011호(2003.09.26.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9109호(2000.05.0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벌브의 외부 표면(outer surface)에 다층막을 형성하여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visible ray) 투과율이 24%~24% 이하가 되도록 이루어져 방현성을 향상시킨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는 벌브와; 상기 벌브의 내부에, 배치된 필라멘트와; 상기 벌브의 내부에 충진된 가스와; 상기 벌브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이 22%~24% 이하의 다층막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벌브의 외부 표면에 증착시키는 다층막은 벌브의 외부표면으로부터 1층, 3층, 5층에 각 두께 0.7μm의 산화 규소가, 2층, 4층, 6층에 각 두께 0.6μm의 산화철이 순차적으로 증착되어 총 6층의 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실로 유입되어 쌓인 음식물쓰레기는 회전칼날부의 양단의 서로 다른 경사를 이루는 경사날이 상측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고 수평칼날 및 분쇄칼날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때 분쇄안내링의 걸림돌기 및 분쇄공 그리고 상단에 형성된 날개부의 도움으로 음식물쓰레기를 혼합시키면서 중앙 쪽으로 안내하여 원활히 분쇄되도록 하고 배출원판의 배출공으로 이동하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재차 회전칼날부의 회전베이스에 의해 분쇄시켜 이격공간으로 낙하시키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미립자가 원활하게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단시간내에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함은 물론 분쇄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난방 램프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램프의 소등 및 점등 상태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램프와 종래의 램프의 시인성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램프(1)은 벌브(2)와, 필라멘트(3)와, 충진된 가스 및 다층막(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눈부심을 방지하는 다층막(4은) 벌브(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visible ray) 투과율이 22%~24%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램프(1)는 가열하고 싶은 것이나 공간에 열을 주는 것이며, 일 예로서 점포 등의 공간의 난방 기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램프(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브(2)와 필라멘트(3)와 충진되는 가스 및 다층막(4)과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지된 석영 유리 소재의 벌브(2)와, 텅스텐(tungsten) 소재의 필라멘트(3) 및 벌브(2)에 충진되는 미량의 디브로모 메탄이 포함된 약 0.8 기압의 아르곤(Ar) 가스 또는 브롬, 요오드 등의 중 1 종류 또는 조합한(combination) 할로겐 물질의 가스를 포함하는 구성도 괜찮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5)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막(4)은 벌브(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 즉, 다층막(4)은 외부 표면 중 빛이 전방 및 측면으로 조사되는 부분에 증착되어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이 24%~ 24%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파장 380 nm~780 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 이란, 예를 들면, 외부 표면에 다층막(4)이 형성된 벌브(2)에 대해서, 분광제 분광 광도계(spectral photometer)를 사용하고, 파장 380nm~780nm의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투과율을 5nm마다 측정한 것이며, 파장 380nm~780nm의 범위의 평균치를 요구해 그 수치를 파장 380 nm~780 nm의 범위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 했다.
이때, 다층막(4)의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이 22%~24%가 나타나면서 관능 평가에 의한 눈부심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램프(1)의 다층막(4) 중 1층, 3층, 5층은 두께 0.7μm의 산화 규소가 증착되어 이루어지고, 2층, 4층, 6층은 두께 0.6μm의 산화철이 증착되어 이루어지면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visible ray) 투과율이 22%~ 24%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 예로서, 다층막(4)이 8층(1층, 3층, 5층, 7층이 두께 0.7μm의 산화 규소이고, 2층, 4층, 6층, 8층이 두께 0.6μm의 산화철)으로 형성하고, 다층막(4)의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visible ray) 투과율이 19%~21%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외선량을 거의 유지한 상태로, 가시광선량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즉, 다층막(4)을 형성함으로써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이 22%~24%이므로 도 2의 소등 상태에서 도 3의 점등상태가 되어도 눈부심을 예방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방현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좌측에는 본 발명의 램프(1)이고 우측은 종래의 눈부심 방지용 램프로서 동시에 점등을 하였을 때 종래의 램프보다 현저하게 눈부심이 예방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다층막 (4)으로서 산화규소, 산화철을 이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층막(4)은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이 24% 이하이면 좋기 때문에, 다른 재료를 증착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석영 유리의 벌브(2)에 산화동이나 산화 주석을 포함한관으로 구성되고 벌브(2)의 외측에 다층막(4)이 형성되어 벌브(2) 및 벌브(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다층막(4)을 맞춘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이 24%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여도 괜찮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램프 2: 벌브
3: 필라멘트 4: 다층막
5: 베이스

Claims (2)

  1. 벌브와; 상기 벌브의 내부에, 배치된 필라멘트와; 상기 벌브의 내부에 충진된 가스와; 상기 벌브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파장 380nm~780nm에서 평균 가시광선 투과율이 22%~24% 이하의 다층막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벌브의 외부 표면에 증착시키는 다층막은 벌브의 외부표면으로부터 1층, 3층, 5층에 각 두께 0.7μm의 산화 규소가, 2층, 4층, 6층에 각 두께 0.6μm의 산화철이 순차적으로 증착되어 총 6층의 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KR1020170101981A 2017-08-11 2017-08-11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KR20190017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81A KR20190017316A (ko) 2017-08-11 2017-08-11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81A KR20190017316A (ko) 2017-08-11 2017-08-11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316A true KR20190017316A (ko) 2019-02-20

Family

ID=6556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981A KR20190017316A (ko) 2017-08-11 2017-08-11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31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97Y1 (ko) 1996-07-08 1999-07-15 박시흥 적외선 열전구
KR200229109Y1 (ko) 1998-10-12 2001-08-07 박시흥 스템압착부 보호용 세라믹 차열판을 갖는 열전구2
KR100445011B1 (ko) 1999-11-30 2004-08-2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97Y1 (ko) 1996-07-08 1999-07-15 박시흥 적외선 열전구
KR200229109Y1 (ko) 1998-10-12 2001-08-07 박시흥 스템압착부 보호용 세라믹 차열판을 갖는 열전구2
KR100445011B1 (ko) 1999-11-30 2004-08-2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7402B1 (en) Light source
JP6419729B2 (ja) 車両用灯具
JP2006344576A (ja) 紫外線濾過および防爆機能を有するナイトランプ膜
KR20070030731A (ko) 향상된 빔 색조를 갖는 자동차 전조등
US20200240601A1 (en) Lighting device for creating atmosphere of living environment
JP2006508499A (ja) ランプ
CN101881419B (zh) 一种使用具有透明基材的光学器件的led光源
KR20190017316A (ko) 눈부심 방지를 위한 난방 램프
JP2008268757A (ja) 照明器具用光学フィルタ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US5243251A (en) Lamp having a glass envelope with fluorocarbon polymer layer
JP2005221750A (ja) 光カットフィルタ、管球および照明器具
Wang et al. The preparation and UV absorb properties of the antidazzle glass doping Ce3+, Sm3+, Ho3+ ions
WO2010055458A1 (en) Lamp
CN107793684A (zh) 一种led灯罩材料
EP1734562A3 (en) Luminous thin film having ultraviolet filtering and explosion-proofing for fluorescent lamps
JP2007073461A (ja) 高輝度放電ランプまたは反射鏡付高輝度放電ランプ
CN208475045U (zh) 一种led灯具
JP2009105012A (ja) 金属蒸気放電灯及び照明器具
TWI617842B (zh) Optical element that reduces glare
TWI407053B (zh) 全射角之高照度led燈泡
CN211027152U (zh) 一种色选机光源
TWI421449B (zh) 照明裝置與其介質層之調色劑顏色選擇方法
CN108006453A (zh) 一种led球泡灯
CN207514650U (zh) 一种带底座槽可替代日光灯管的灯带结构
TWI396637B (zh) 電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