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203A -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203A
KR20190017203A KR1020170101657A KR20170101657A KR20190017203A KR 20190017203 A KR20190017203 A KR 20190017203A KR 1020170101657 A KR1020170101657 A KR 1020170101657A KR 20170101657 A KR20170101657 A KR 20170101657A KR 20190017203 A KR20190017203 A KR 2019001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skin
information
cosmetic
corr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행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코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to KR102017010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203A/ko
Priority to PCT/KR2018/009090 priority patent/WO2019031868A1/ko
Publication of KR2019001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에서 실행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은 피부톤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이용하여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COSMETICS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란, 통상적으로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품이다. 과거에는 여성들만의 전유물로 인식되어 화장품을 이용하는 고객층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집단의 수많은 대인관계 속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상대방 또는 일반인에게 각인시키는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서, 자신의 용모를 가꾸기 위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대부분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어 그 고객층이 매우 확대되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장품은 공장 안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대량생산법에 의하여 각각 다른 기능 및 성능을 갖는 하나의 완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는 국내 화장품 법상 일정한 제조시설 및 품질관리 시설을 갖추고 당국의 허가를 받은 제조자만이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장 대량생산법은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각 공정을 모니터하기 용이하고, 엄격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며, 화장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나 사고에 대한 제조자 추적이나 사후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장 대량생산법은 표준화, 규격화, 대량 생산화라는 특성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화장품 시장을 활성화 시키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화장품들은 별도의 제조회사에서 평균적인 사용자의 기호나 피부 특성을 고려하여 대량적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별 피부 특성을 고려하여 화장품을 구입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 톤에 따라 맞춤 화장품을 제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부 톤에 맞는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광고 모델이 광고 시 사용한 화장품을 사용자의 피부 톤에 맞추어 제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런 화장상태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에서 실행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은 피부톤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에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는 피부톤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 및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에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 톤에 따라 맞춤 화장품을 제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부 톤에 맞는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광고 모델이 광고 시 사용한 화장품을 사용자의 피부 톤에 맞추어 제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런 화장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과정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은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 피부톤 측정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는 피부톤 측정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피부톤 측정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 맞춤 화장품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먼저,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한다. 사용자의 피수 수치 정보는 RGB(Read-Green-Blue), CMYK(Cyan, Magenta, Yellow, Key(Black))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톤 측정 장치(200)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은 구매 대상 화장품을 광고한 광고 모델의 정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구매 대상 화장품을 화장품 광고 모델이 광고할 때 화장품을 바르며 광고를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화장품 광고 모델을 본 후에 해당 화장품을 구매하지만 화장품 광고 모델 및 사용자의 피부 톤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발광되는 색이 달라 사용자의 만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화장품의 피부 톤에 따라 피부 톤 별 화장품을 제조하여 판매하지만, 사용자는 피부 톤 별 화장품 중 자신의 피부 톤에 해당하는 화장품이 어느 것이지 스스로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 톤 별 화장품 중 사용자의 피부 톤에 해당하는 화장품이 없는 경우에는 자신의 피부 톤 보다 조금 밝거나 또는 조금 어두운 색의 화장품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부 톤에 맞지 않는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만족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 사이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가 R:165 G: 178 B: 211이고,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가 R:180 G: 190 B: 220인 경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 사이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보정 정보 R: 15 G: 12 B: 9 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피부 보정 수치를 이용하여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에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서,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피부 보정 수치에 해당하는 화장품 혼합 정보를 추출하고,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한다.
상기의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피부 보정 수치에 따라 피부 톤 별 화장료 중 어느 화장료를 얼마만큼 혼합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의 용량만큼 추출한 후, 추출된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혼합 정보가 21호 12g, 23호 23g인 경우, 21호의 화장품 12g 및 23호의 화장품 23g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는 점액상, 겔상, 크림상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피부 톤 별로 화장료 각각의 용량만큼 추출하여 혼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톤에 맞는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피부톤 측정 장치(2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피부 수치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의 피수 수치 정보는 RGB(Read-Green-Blue), CMYK(Cyan, Magenta, Yellow, Key(Black))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구매 대상 화장품을 기초로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피부톤 측정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한다(단계 S220).
사용자의 피수 수치 정보는 RGB(Read-Green-Blue), CMYK(Cyan, Magenta, Yellow, Key(Black))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톤 측정 장치(200)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은 구매 대상 화장품을 광고한 광고 모델의 정보를 의미한다.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한다(단계 S220).
단계 S2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 사이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피부 보정 수치를 이용하여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한다(단계 S230).
단계 S2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피부 보정 수치에 해당하는 화장품 혼합 정보를 추출하고,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통신부(110),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120), 화장료 사출부(130),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의 피수 수치 정보는 RGB(Read-Green-Blue), CMYK(Cyan, Magenta, Yellow, Key(Black))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톤 측정 장치(200)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은 구매 대상 화장품을 광고한 광고 모델의 정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구매 대상 화장품을 화장품 광고 모델이 광고할 때 화장품을 바르며 광고를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화장품 광고 모델을 본 후에 해당 화장품을 구매하지만 화장품 광고 모델 및 사용자의 피부 톤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발광되는 색이 달라 사용자의 만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화장품의 피부 톤에 따라 피부 톤 별 화장품을 제조하여 판매하지만, 사용자는 피부 톤 별 화장품 중 자신의 피부 톤에 해당하는 화장품이 어느 것이지 스스로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 톤 별 화장품 중 사용자의 피부 톤에 해당하는 화장품이 없는 경우에는 자신의 피부 톤 보다 조금 밝거나 또는 조금 어두운 색의 화장품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부 톤에 맞지 않는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만족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하고, 제어부(150)를 통해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120)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120)는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 사이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가 R:165 G: 178 B: 211이고,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가 R:180 G: 190 B: 220인 경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 사이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보정 정보 R: 15 G: 12 B: 9 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120)로부터 수신된 피부 보정 수치를 수신하고,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피부 보정 수치에 해당하는 화장품 혼합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피부 보정 수치에 해당하는 화장품 혼합 정보만큼 화장료를 사출하도록 화장품 사출부(13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피부 보정 수치에 해당하는 화장품 혼합 정보를 추출하고,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도록 화장품 사출부(130)를 제어한다.
상기의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피부 보정 수치에 따라 피부 톤 별 화장료 중 어느 화장료를 얼마만큼 혼합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제어부(150)는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의 용량만큼 추출하도록 화장품 사출부(130)를 제어한 후,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에 화장품 사출부(130)에서 추출된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혼합 정보가 21호 12g, 23호 23g인 경우, 21호의 화장품 12g 및 23호의 화장품 23g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는 점액상, 겔상, 크림상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피부 톤 별로 화장료 각각의 용량만큼 추출하여 혼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톤에 맞는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 제조 과정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100)는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의 용량만큼 추출하도록 화장품 사출부(130_1, 130_2)를 제어한 후,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400)에 화장품 사출부(130_1, 130_2)에서 추출된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화장품 사출부(130_1)이 21호에 해당하는 화장료를 사출하는 사출부이고, 화장품 사출부(130_2)이 23호에 해당하는 화장료를 사출하는 사출부이고, 화장품 혼합 정보가 21호 12g, 23호 23g인 경우, 화장품 사출부(130_1)가 12g의 화장료를 사출하고, 화장품 사출부(130_2)가 23g의 화장료를 사출한 후,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400)에 화장품 사출부(130_1, 130_2)에서 추출된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110: 통신부
120: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
130: 화장료 사출부
140: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
150: 제어부
200: 피부톤 측정 장치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에서 실행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에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 사이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에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피부 보정 수치에 해당하는 화장품 혼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의 용량만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점액상, 겔상 및 크림상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점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6. 피부톤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구매 대상 화장품의 화장품 광고 모델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 및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이 사용한 화장품에 미리 생성된 색상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정 수치 산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치 정보 및 상기 화장품 광고 모델의 피부 수치 정보 사이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부 보정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화장품 제조부는
    피부 보정 수치 별 화장품 혼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피부 보정 수치에 해당하는 화장품 혼합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화장품 제조부는
    상기 화장품 혼합 정보에 따라 해당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의 용량만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피부 톤 별 화장료 각각을 혼합하여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점액상, 겔상 및 크림상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점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맞춤 화장품 제조 장치.
KR1020170101657A 2017-08-10 2017-08-10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90017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57A KR20190017203A (ko) 2017-08-10 2017-08-10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CT/KR2018/009090 WO2019031868A1 (ko) 2017-08-10 2018-08-09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57A KR20190017203A (ko) 2017-08-10 2017-08-10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203A true KR20190017203A (ko) 2019-02-20

Family

ID=6527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57A KR20190017203A (ko) 2017-08-10 2017-08-10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17203A (ko)
WO (1) WO2019031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5920B1 (en) 2019-01-03 2022-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ized skin car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735B2 (ja) * 2002-11-28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顔色補正方法及び顔色補正装置及び撮像機器
KR20060109797A (ko) * 2005-04-18 2006-10-23 엔프라니 주식회사 매장에서의 고객맞춤형 화장품 조제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8319B1 (ko) * 2006-09-18 2007-04-18 아람휴비스(주)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20140012386A (ko) * 2012-07-20 2014-02-03 코웨이 주식회사 고객 맞춤형 화장품의 제공방법
KR101774412B1 (ko) * 2014-10-13 2017-09-05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색 맞춤형 메이크업 색상 진단 방법 및 피부색 맞춤형 메이크업 색상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868A1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1711A (zh) 智能试衣方法和智能试衣系统
Wei et al. Package design: Colour harmony and consumer expectations
US8130219B2 (en) Metadata for avatar gener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WO2011155765A2 (ko) 소비자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KR20190097815A (ko) 토탈 뷰티 스타일 추천 방법
CN109379637B (zh) 一种添加弹幕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776904A (zh) 一种广告消息的展示方法及其设备
Hsiao et al. A computer‐assisted colour selection system based on aesthetic measure for colour harmony and fuzzy logic theory
CN106952142A (zh) 服饰搭配智能推荐系统、装置和方法
KR20190017203A (ko)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10125388A (ko) 카드 아이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286152A1 (en) Method for computer-assisted determination of a cosmetic product
KR102110053B1 (ko) 얼굴 특징 분석 및 개인화된 조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165187B2 (ja) メイクアップの評価方法、メイクアップの評価システム、及びメイクアップ製品の推奨方法
CN105160571A (zh) 定制假发的制造方法
Stefan et al. Effect of hair ornamentation on helping
MOSKOWITZ Sensory directionals for pizza: A deeper analysis
KR20230059887A (ko) 메이크업 배합 비율 판단 방법
KR20220036452A (ko)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제공방법
CN114240582A (zh) 基于云平台的定制处理方法和相关产品
CN109413481B (zh) 一种弹幕信息的归类处理方法及装置
JP7253325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TWI546756B (zh) 互動式導購系統
KR20190135095A (ko) 디아이와이 키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876527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商场试衣镜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