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122A -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122A
KR20190017122A KR1020170101434A KR20170101434A KR20190017122A KR 20190017122 A KR20190017122 A KR 20190017122A KR 1020170101434 A KR1020170101434 A KR 1020170101434A KR 20170101434 A KR20170101434 A KR 20170101434A KR 20190017122 A KR20190017122 A KR 2019001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circuit
signal
antenna elemen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132B1 (ko
Inventor
김주승
김영주
김정준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132B1/ko
Priority to PCT/KR2018/009020 priority patent/WO2019031840A1/ko
Priority to US16/637,029 priority patent/US11290225B2/en
Publication of KR2019001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122A/ko
Priority to US17/693,989 priority patent/US118049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132B1/ko
Priority to US18/371,533 priority patent/US2024007294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2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simultaneous baseba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2Modulated-carrier systems analog front ends; means for connecting modulators, demodulators or transceivers to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1 RF 블록,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를 수행하고,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다른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IT(information technology)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 또는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4G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르면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 중 국가(또는 기관)에서 허여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예컨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된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를 표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 대역은 수십 내지 수백 MHz의 대역폭(bandwidth)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은 상대적인 주파수 높낮이에 따라서 개괄적으로(roughly) 저주파수 대역(low band), 중간 주파수 대역(mid band), 및 고주파수 대역(high band)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가진 신호를 기지국(또는 다른 전자 장치)을 향해 송신하거나 상기 기지국(또는 다른 전자 장치)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예컨대, 저주파수 대역, 중간 주파수 대역, 또는 고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RF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신호의 품질 또는 다운로드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Rx 다이버시티(recieve diversity)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각 국가별 및/또는 통신사들은 2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집성하는 이른바, CA를 통해 사용자에게 향상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A는 저주파수 대역, 중간 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하위 주파수 대역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중간 주파수 대역에 속한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에 속한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집성(aggregate)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A의 구현을 위해 채택된 주파수 대역은 네트워크 사업자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는 가능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으로 CA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다양한 조합으로 CA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안테나 및 관련 부품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실장 영역은 제한적이므로 전자 장치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으로 CA를 구현하는 것은 극히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RF 블록 및 안테나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으로 CA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필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기 위한 제1 송수신 회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송수신 회로,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연결된 제1 송수신 연결 단자,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된 제2 송수신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를 상기 제1 송수신 연결 단자 또는 제2 송수신 연결 단자와 연결할 수 있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무선 모듈,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3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2 무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1 RF 블록,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를 수행하고,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제1 RF 블록에 포함된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RF 블록 및 RF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중간 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RF 블록을 통합함으로써 부품의 실장 공간을 최소화하고 안테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는 제한된 실장 영역 안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으로 CA를 구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통신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 장치는 효율적인 안테나 사용을 통해 여분의 안테나를 5G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안테나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CA 조합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5G 통신 서비스를 추가로 지원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엘리먼트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은 3GPP에서 정의한 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 및 밴드는 본 문서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대역폭(bandwidth)이란 주파수 대역이 갖는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를 의미할 수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경우 상향 링크의 주파수 범위와 하향 링크의 주파수 범위가 서로 구별되지만,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경우 상향 링크의 주파수 범위와 하향 링크의 주파수 범위가 서로 같다. 또한, 각각의 주파수 대역은 사용하는 대역폭에 따라 저주파수 대역(low band), 중간 주파수 대역(mid band), 및 고주파수 대역(high band)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의 주파수 대역 정의(band definition)에 따르면 각각의 밴드는 할당된 대역폭에 따라 아래의 [표 1]과 같이 low/mid/high-band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Band No. Band Definition Uplink Frequency Range Downlink Frequency Range FDD/TDD
1 Mid-Band 1920 - 1980 2110 - 2170 FDD
2 Mid-Band 1850 - 1910 1930 - 1990 FDD
3 Mid-Band 1710 - 1785 1805 -1880 FDD
4 Mid-Band 1710 - 1755 2110 - 2155 FDD
5 Low-Band 824 - 849 869 - 894 FDD
7 High-Band 2500 - 2570 2620 - 2690 FDD
8 Low-Band 880 - 915 925 - 960 FDD
9 Mid-Band 1749.9 - 1784.9 1844.9 - 1879.9 FDD
10 Mid-Band 1710 - 1770 2110 - 2170 FDD
11 Mid-Band 1427.9 - 1452.9 1475.9 - 1500.9 FDD
12 Low-Band 698 - 716 728 - 746 FDD
13 Low-Band 777 - 787 746 - 756 FDD
14 Low-Band 788 - 798 758 - 768 FDD
17 Low-Band 704 - 716 734 - 746 FDD
18 Low-Band 815 - 830 860 - 875 FDD
19 Low-Band 830 - 845 875 - 890 FDD
20 Low-Band 832 - 862 791 - 821 FDD
21 Mid-Band 1447.9 - 1462.9 1495.5 - 1510.9 FDD
25 Mid-Band 1850 - 1915 1930 - 1995 FDD
26 Low-Band 814 - 849 859 - 894 FDD
28 Low-Band 703 - 748 758 - 803 FDD
33 Mid-Band 1900 - 1920 1900 - 1920 TDD
38 High-Band 2570 - 2620 2570 - 2620 TDD
39 Mid-Band 1880 - 1920 1880 - 1920 TDD
40 High-Band 2300 - 2400 2300 - 2400 TDD
41 High-Band 2496 - 2690 2496 - 2690 TDD
44 Low-Band 703 - 803 703 - 803 TDD
각각의 밴드는 대역폭이 제1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제1 주파수 대역, 대역폭이 제2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제2 주파수 대역, 및 대역폭이 제3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제3 주파수 대역으로 범주화(categorized)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파수 범위는 제3 주파수 범위의 최대값보다 크고 제1 주파수 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3GPP에서 정의한 high band, mid band, 및 low band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3GPP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0M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밴드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수 대역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중간 주파수 대역이고, 제3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저주파수 대역은 약 700~900MHz, 중간 주파수 대역은 1.4GHz~2.2GHz, 고주파수 대역는 약 2.3GHz~2.7GHz일 수 있다. 그러나 범주화의 기준은 위 예시 또는 3GPP 표준에서 제시된 것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4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범주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ntenna element)(210),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 제1 RF 블록(230), RF 수신 회로(240), 트랜시버(transceiver)(250), 제1 전원(260), 제2 전원(270), 및 프로세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1)는 예컨대,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예: 안테나 모듈(197))는 RF 신호를 다른 장치(예: 기지국)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는 복수의 전기적 경로를 가질 수 있는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는 상기 복수의 전기적 경로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예: high band)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예: mid band)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의 방사체와 독립적인 하나 이상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는 제1 안테나로 참조될 수도 있고,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는 제2 안테나로 참조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는 CA를 지원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밴드의 RF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1]의 Band 1 및 [표 1]의 Band 3 사이의 CA를 지원하기 위해,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는 Band 1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는 Band 3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가 송신 또는 수신하는 신호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제3 주파수 대역(예: low band)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RF 블록(230)은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 및 트랜시버(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RF 블록(230)은 제1 송수신 회로(231) 및 제2 송수신 회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RF 블록(230)은 제1 스위치(예: 도 3의 제1 스위치(33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RF 블록(230)은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RF 블록(230)은 제1 무선 모듈로 참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송수신 회로(231) 및 제2 송수신 회로(232)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송수신 회로(231)는 트랜시버(25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가 완료된 신호를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또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를 통해 외부 장치(예: 기지국,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수신 회로(231) 및 제2 송수신 회로(232)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PA(power amplifier) 및 적어도 하나의 LNA(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PA는 트랜시버(25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충분한 전력을 갖는 신호로 증폭할 수 있다. LNA는 안테나 엘리먼트들(210, 2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RF 수신 회로(240)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RF 수신 회로(240)는 제1 RF 블록(230)에 통합(integrated)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F 수신 회로(240)는 제1 RF 블록(230)에 포함될 수도 있는 제1 스위치(예: 도 3의 제1 스위치(331))에 의해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RF 수신 회로(240)는 적어도 하나의 LN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F 수신 회로(240)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210) 또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22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트랜시버(25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RF 수신 회로(240)는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위한 회로일 수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들(210, 22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들은 보강 간섭(constructive interference) 또는 소멸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상기 신호의 왜곡을 경감시키기 위해 RF 수신 회로(24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이버시티는 예를 들어,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또는 방사 패턴 다이버시티 (radiation pattern divers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RF 수신 회로(24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1 RF 블록(230)에서 수신된 신호와 동일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랜시버(250)는 기저 대역(baseband)의 신호 및 RF 신호를 상호 변환(convert)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랜시버(250)는 프로세서(280)로부터 수신한 기저 대역의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제1 RF 블록(230)에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트랜시버(250)는 제1 RF 블록(230)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경하고 프로세서(28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랜시버(250)는 전자 장치(201)가 송신할 신호 또는 전자 장치(201)가 수신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랜시버(250)는 [표 1]의 Band 1 및 Band 3 사이의 상향 CA(uplink CA)를 위해 프로세서(280)로부터 수신된 기저 대역의 신호를 Band 1에 해당하는 신호 또는 Band 3에 해당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제1 RF 블록(2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랜시버(250)는 다이버시티를 수행하기 위해 제1 RF 블록(230)에서 수신된 신호와 RF 수신 회로(240)에서 수신된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power sourc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은 제1 송수신 회로(231) 또는 제2 송수신 회로(232)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원(260)은 제1 송수신 회로(231)의 PA에 전력(power)을 공급하고, 제2 전원(270)은 제2 송수신 회로(232)의 P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원(260) 및 제2 전원(270)은 프로세서(2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은 서플라이 모듈레이터(supply modulator)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플라이 모듈레이터는 제1 송수신 회로(231)에 포함된 PA에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에 추종하여 공급 전력의 전압(또는 전류)를 조절(adjus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플라이 모듈레이터는 PA 입력 신호의 엔벨롭에 추종하도록 공급 전력의 전압 파형을 조절할 수 있다.(이른바, 엔벨롭 트래킹(envelop tracking)). 상기 서플라이 모듈레이터의 공급 전력 조절에 의하면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8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예컨대, 전용의(dedicated) 하드웨어(예: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에 일부로서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80)는 직접 또는 트랜시버(250)를 통해, 제1 RF 블록(230) 또는 RF 수신 회로(240)와 같은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80)는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신호의 인터페이스(interface)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SPI(serial programming interfa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CA 조합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은 제1 RF 블록(301) 및 RF 수신 회로(302),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 트랜시버(305), 및 프로세서(3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00)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1)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RF 블록(301)은 제1 송수신 회로(311), 제2 송수신 회로, 제1 스위치(331), 및 제2 스위치(34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RF 블록(301)은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위치(331) 또는 제2 스위치(341)는 생략되거나 제1 RF 블록(30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RF 수신 회로(302)는 제1 RF 블록(301)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송수신 연결 단자(351) 및 제2 송수신 연결 단자(352)는 제1 RF 블록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송수신 연결 단자(35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송수신 연결 단자(352)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송수신 회로(311)는 제1 멀티플렉서(311_1) 및 제2 멀티플렉서(311_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송수신 회로(311)는 상기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송수신 회로(311)는 적어도 하나의 PA 또는 적어도 하나의 LN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멀티플렉서(311_1) 및 제2 멀티플렉서(311_2)는 각각 두 개의 PA 출력단 및 두 개의 LNA 입력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스위치(331)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멀티플렉서(311_1)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PA(311_1a)의 출력단(31), 제1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PA(311_1b)의 출력단(32),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LNA(311_1c)의 입력단(33), 및 제1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LNA(311_1d)의 입력단(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스위치(331)와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수신 회로(311) 및 제2 송수신 회로(321)에 포함된 PA들(예: 311_1a, 311_1b)은 스위치(311_S1)를 통해 트랜시버(30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11_S1)에 의해 선택된 PA는 트랜시버(305)와 연결되고, 트랜시버(305)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상기 PA를 통해 외부 장치(예: 기지국 또는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수신 회로(311) 및 제2 송수신 회로(321)에 포함된 LNA들(예: 311_1c, 311_1d)은 스위치(311_S2)를 통해 트랜시버(30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11_S2)에 의해 선택된 LNA는 트랜시버(305)와 연결되고,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선택된 LNA를 통해 트랜시버(305)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멀티플렉서(311_1) 또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311_2)와 연결되는 PA 또는 LNA의 수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멀티플렉서(311_1)는 세 개의 PA 출력단 및 한 개의 LNA 입력단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멀티플렉서(311_1) 및 제2 멀티플렉서(311_2)의 제어는 프로세서(30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6)는 RF 신호를 송신하려는 경우 PA의 출력 단자(예: 31 또는 32)를 제1 스위치(331)와 연결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들(311_1, 311_2)을 제어할 수 있고, RF 신호를 수신하려는 경우 LNA의 입력 단자(예: 33 또는 34)를 제1 스위치(331)와 연결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들(311_1, 311_2)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06)는 특정한 밴드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상기 멀티플렉서들(311_1, 311_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PA(311_1a)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1 PA(311_1a)의 출력단(31)이 제1 스위치(331)에 연결되도록 제1 멀티플렉서(311_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멀티플렉서(311_1) 및 제2 멀티플렉서(311_2)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멀티플렉서(311_1)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에 관여할 수 있고, 제2 멀티플렉서(311_2)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에 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송수신 회로(321)는 제1 송수신 회로(3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송수신 회로(321)는 제3 멀티플렉서(321_1) 및 제4 멀티플렉서(321_2)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멀티플렉서(321_1) 및 제4 멀티플렉서(321_2)는 각각 제1 멀티플렉서(311_1) 및 제2 멀티플렉서(311_2)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위치(331)는 제1 송수신 회로(311), 제2 송수신 회로(321), 또는 RF 수신 회로(302)를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 또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위치(331)는 제1 송수신 회로(311), 제2 송수신 회로(321), 또는 RF 수신 회로(302)를 제1 송수신 연결 단자(351) 또는 제2 송수신 연결 단자(361)와 연결할 수 있고, 제1 송수신 연결 단자(35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송수신 연결 단자(361)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치는 복수의 SPST(single pole single throw)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송수신 회로(311)의 제1 멀티플렉서(311_1) 및 제2 멀티플렉서(311_2), 제2 송수신 회로(321)의 제3 멀티플렉서(321_1) 및 제4 멀티플렉서(321_2), 및 RF 수신 회로(302)는 제1 스위치(331)의 폴과 연결될 수 있다. 폴(pole)은 스위치의 움직일 수 있는 팔(arm)을 의미하고, 스로우는 하나의 폴이 접할 수 있는 경로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PST 스위치는 하나의 움직일 수 있는 팔을 가지고, 상기 팔은 하나의 경로에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플렉서들(311_1, 311_2, 321_1, 321_2) 및 RF 수신 회로(302)는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SPST 스위치에 의해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 또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치(331)는 프로세서(30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06)는 CA를 수행하기 위해, 제1 멀티플렉서(311_1) 및 제2 멀티플렉서(311_2) 중 어느 하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와 연결되고, 제3 멀티플렉서(321_1) 및 상기 제4 멀티플렉서(321_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33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06)는 제1 멀티플렉서(311_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와 연결되고, 제3 멀티플렉서(321_1)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06)는 제1 멀티플렉서(311_1)에서 선택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 중 하나와 제3 멀티플렉서(321_1)에서 선택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향 CA 또는 하향 CA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6)는 다이버시티를 수행하기 위해, 제1 멀티플렉서(311_1), 제2 멀티플렉서(311_2), 제3 멀티플렉서(321_1), 또는 제4 멀티플렉서(321_2) 중 어느 하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와 연결되고, RF 수신 회로(302)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33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06)는 제1 멀티플렉서(311_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303)와 연결되고, RF 수신 회로(302)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304)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밴드에 속한 동일한 신호가 각각 제1 RF 블록(301) 및 RF 수신 회로(302)를 통해 수신될 수 있고, 프로세서(306)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6)는 상기 CA 또는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경우, 선택된 밴드를 위한 특정 멀티플렉서와 안테나가 연결되었다면, 나머지 멀티플렉서는 안테나 엘리먼트(303, 304)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06)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 간의 CA를 하려는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차단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2 멀티플렉서(311_2) 및 제4 멀티플렉서(321_2)는 안테나 엘리먼트(303, 304)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 주파수 대역의 4개의 밴드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4개의 밴드 간의 다양한 조합으로 CA를 수행할 수 있고, 각 밴드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스위치(341)는 RF 수신 회로(302)와 제1 스위치(33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스위치(34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RF 수신 회로(302)와 제1 스위치(331)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RF 수신 회로(302)는 제5 멀티플렉서(312) 및 제6 멀티플렉서(3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위치(341)는 제5 멀티플렉서(312) 및 제6 멀티플렉서(3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스위치(331)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스위치(341)는 상기 RF 수신 회로(302)가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서(30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RF 수신 회로(302)에 포함된 LNA들은 스위치(312_S1)를 통해 트랜시버(30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12_S1)에 의해 선택된 LNA는 트랜시버(305)와 연결되고,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선택된 LNA를 통해 트랜시버(305)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410), 제2 안테나 엘리먼트(420), 제1 RF 블록(430), 제2 RF 블록(440), 다이플렉서(diplexer)(450), RF 수신 회로(460), 제1 전원(470_1), 제2 전원(470_2), 트랜시버(480), 및 프로세서(4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설명에 있어서 도 2 또는 도 3에서 설명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안테나 엘리먼트(410)(예: 도 1의 안테나 모듈(197))는 복수의 전기적 경로를 가질 수 있고, 제1 주파수 대역(예: high band)의 신호, 제2 주파수 대역(예: mid band)의 신호, 및 제3 주파수 대역(예: low band)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RF 블록(430)(예: 도 3의 제1 RF 블록(301))은 제1 송수신 회로(431), 제2 송수신 회로(432), 제1 스위치(433)(예: 도 3의 제1 스위치(331)), 제1 송수신 연결 단자(434)(예: 도 3의 제1 송수신 연결 단자(351)), 및 제2 송수신 연결 단자(435)(예: 도 3의 제2 송수신 연결 단자(36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RF 블록(43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RF 블록은 제2 스위치(예: 도 3의 제2 스위치(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RF 블록(440)은 제3 송수신 회로(441)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 엘리먼트(410) 및 트랜시버(4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RF 블록(440)은 제2 무선 모듈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RF 블록(440)은 제3 송수신 회로(441)를 통해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RF 블록(440)은 트랜시버(48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가 완료된 신호를 제1 안테나 엘리먼트(410)를 통해 외부 장치(예: 기지국,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송수신 회로(441)는 적어도 하나의 PA 및 적어도 하나의 LN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플렉서(450)는 하나의 신호를 두 신호로 분리하는 분기용 필터 소자에 해당하고, 제1 RF 블록(430) 및 제2 RF 블록(440)을 제1 안테나 엘리먼트(410)에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이플렉서(450)은 필터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플렉서(450)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분리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1 RF 블록(430)에 전달될 수 있고, 분리된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2 RF 블록(440)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플렉서(450)는 제1 연결 단자(451) 및 제2 연결 단자(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451)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단자로서 다이플렉서(450)와 제1 RF 블록(430)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452)는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단자로서 다이플레서(450)와 제2 RF 블록(440)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원(470_1) 및 제2 전원(470_2)은 제1 RF 블록(430) 또는 제2 RF 블록(440)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원(470_1) 및 제2 전원(470_2)은 복수의 P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원 470_1)은 제1 RF 블록(430)의 제1 송수신 회로(431)에 포함된 PA 및 제2 RF 블록(440)의 제3 송수신 회로(441)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2 전원(470_2)은 제1 송수신 회로(431)에 포함된 PA 및 제2 송수신 회로(432)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원(470_1) 및 제2 전원(470_2)은 제1 송수신 회로(431), 제2 송수신 회로(432), 및/또는 제3 송수신 회로(441)와 다양한 조합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송수신 회로(431, 432, 441)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랜시버(480)는 제1 RF 블록(430), 제2 RF 블록(440), 및 RF 수신 회로(460)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하여 기저 대역 신호와 상호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90)는 직접 또는 트랜시버(480)를 통해 제1 RF 블록(430), 제2 RF 블록(440), RF 수신 회로(460), 제1 전원(470_1), 제2 전원(470_2) 및 다이플렉서(4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5G 통신 서비스를 추가로 지원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510)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520)를 사용하여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엘리먼트(510)는 다이플렉서(550)가 연결되어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분리되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2 RF 블록(56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510)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520)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1 RF 블록(57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는 제한된 실장 공간으로 인해 구비할 수 있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과, 상기 대역들에서 2×2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CA, 및 다이버시티의 수행을 두 개의 안테나 엘리먼트(510, 520)만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와 같이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여분의 안테나 엘리먼트(530, 540)는 5G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 엘리먼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전자 장치는 두 개의 안테나 엘리먼트(530, 540)를 5G 통신 서비스에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통신 서비스와 동시에 5G 통신에서의 2×2 MIMO, CA, 및 다이버시티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5G 통신 서비스를 위한 신호의 처리는 제1 5G RF 블록(580) 및 제2 5G RF 블록(59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엘리먼트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601)의 하단에는 네 개의 안테나 엘리먼트(610, 620, 630, 64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장 긴 전기적 경로를 형성하는 제1 안테나(610)는 제3 주파수 대역(예: low band)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610)는, 예컨대, 도 5의 제1 안테나 엘리먼트(51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나머지 세 개의 안테나(620, 630, 640)는 도 5의 제2 안테나 엘리먼트(520) 및 5G 통신 서비스를 위한 두 개의 안테나 엘리먼트(530, 540)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의 배치는 도 6에 도시된 안테나의 배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른 전자 장치는 중간 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RF 블록을 통합함으로써 부품의 실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테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전자 장치에 실장될 수 있는 안테나 중 일부를 5G용 안테나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자 장치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은 물론, 28GHz 이상의 초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RF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으로 CA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국가 및/또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CA에 대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을 하나의 전자 장치가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1 RF 블록,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와 연결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를 수행하고,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RF 블록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제1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은 서플라이 모듈레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3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2 RF 블록 및 다이플렉서(diplex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제2 RF 블록을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제1 송수신 회로에 포함되는 PA 및 상기 제3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RF 블록은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송수신 회로의 제1 멀티플렉서(multiplexer), 제1 송수신 회로의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의 제3 멀티플렉서,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의 제4 멀티플렉서, 및 상기 RF 수신 회로를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CA를 수행하려는 경우 상기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4 멀티플렉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려는 경우 상기 제1 멀티플렉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3 멀티플렉서, 또는 상기 제4 멀티플렉서 중 어느 하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고,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RF 수신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스로우는 상기 제1 스위치의 폴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폴은 각각 상기 RF 수신 회로의 제5 멀티플렉서 및 상기 RF 수신 회로의 제6 멀티플렉서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수신 회로가 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필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기 위한 제1 송수신 회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송수신 회로,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연결된 제1 송수신 연결 단자,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된 제2 송수신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를 상기 제1 송수신 연결 단자 또는 제2 송수신 연결 단자와 연결할 수 있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무선 모듈,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3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2 무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1 무선 모듈 및 상기 제2 무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또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RF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2 무선 모듈 및 상기 RF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무선 모듈과 통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3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은 서플라이 모듈레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36) 또는 외장 메모리(#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필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기 위한 제1 송수신 회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송수신 회로, 상기 제1 연결 단자와 연결된 제1 송수신 연결 단자,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된 제2 송수신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를 상기 제1 송수신 연결 단자 또는 제2 송수신 연결 단자와 연결할 수 있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무선 모듈;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3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2 무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1 무선 모듈 및 상기 제2 무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RF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1 무선 모듈 및 상기 RF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무선 모듈과 통합되어 구성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상기 제3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은 서플라이 모듈레이터(supply modulator)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엘리먼트;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1 RF 블록;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와 연결된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carrier aggregation)를 수행하고,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RF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RF 블록과 통합되어 구성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제1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은 서플라이 모듈레이터(supply modulator)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제3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제2 RF 블록 및 다이플렉서(diplex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제1 RF 블록 및 상기 제2 RF 블록을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송수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PA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제1 송수신 회로에 포함되는 PA 및 상기 제3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RF 블록은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송수신 회로의 제1 멀티플렉서(multiplexer), 제1 송수신 회로의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의 제3 멀티플렉서,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의 제4 멀티플렉서, 및 상기 RF 수신 회로를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CA를 수행하려는 경우 상기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4 멀티플렉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려는 경우 상기 제1 멀티플렉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3 멀티플렉서, 또는 상기 제4 멀티플렉서 중 어느 하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고,
    상기 RF 수신 회로는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RF 수신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스로우는 상기 제1 스위치의 폴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폴은 각각 상기 RF 수신 회로의 제5 멀티플렉서 및 상기 RF 수신 회로의 제6 멀티플렉서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수신 회로가 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제1 RF 블록에 포함된 제1 송수신 회로 및 제2 송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CA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RF 블록 및 RF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 회로 및 상기 제2 송수신 회로에 포함된 PA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또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는 동작; 및
    제2 RF 블록에 포함된 제3 송수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101434A 2017-08-10 2017-08-10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7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34A KR102375132B1 (ko) 2017-08-10 2017-08-10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18/009020 WO2019031840A1 (ko) 2017-08-10 2018-08-08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6/637,029 US11290225B2 (en) 2017-08-10 2018-08-0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US17/693,989 US11804932B2 (en) 2017-08-10 2022-03-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US18/371,533 US20240072949A1 (en) 2017-08-10 2023-09-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34A KR102375132B1 (ko) 2017-08-10 2017-08-10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122A true KR20190017122A (ko) 2019-02-20
KR102375132B1 KR102375132B1 (ko) 2022-03-17

Family

ID=6527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434A KR102375132B1 (ko) 2017-08-10 2017-08-10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290225B2 (ko)
KR (1) KR102375132B1 (ko)
WO (1) WO20190318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59A1 (ko) * 2020-08-26 2022-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회로와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WO2024014781A1 (ko) * 2022-07-12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WO2024025240A1 (ko) * 2022-07-25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관리 회로 및 송신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7261A (zh) * 2020-09-22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架构及终端设备
WO2023050421A1 (zh) * 2021-09-30 2023-04-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前端模组、射频装置以及通信设备
CN115276691A (zh) * 2021-10-14 2022-11-01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信号接收装置及系统
CN113965239B (zh) * 2021-12-06 2024-04-26 青岛歌尔智能传感器有限公司 射频信号的传输控制方法和装置、射频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094A (ko) * 2002-08-21 2004-03-02 혼하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2중모드 무선송수신기의 무선주파수 프론트엔드
KR20090056613A (ko) * 2007-11-30 2009-06-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 통신을 위한 통합 고주파 프런트 엔드장치
KR20150118052A (ko) * 2014-04-11 2015-10-2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반송파 집성을 갖는 라디오 주파수 수신기들에 관한 회로들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0574A1 (en) 2007-05-11 2008-11-13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RF transmitter with adjustable antenna assembly
US20080299935A1 (en) 2007-05-29 2008-12-04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IC with saw-less RF front-end
KR101821294B1 (ko) * 2011-09-21 201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소된 대역폭 이티 및 디피디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US9231672B2 (en) 2013-02-16 2016-01-05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9923621B2 (en) 2013-02-16 2018-03-20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9088313B2 (en) 2013-02-16 2015-07-21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28729A (ko) * 2013-02-16 2015-11-18 케이블텔레비젼래버러토리즈,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통신 시스템
KR20210051582A (ko) * 2019-10-30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론트홀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528093B1 (en) * 2021-05-24 2022-12-13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compatible puncturing ind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094A (ko) * 2002-08-21 2004-03-02 혼하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2중모드 무선송수신기의 무선주파수 프론트엔드
KR20090056613A (ko) * 2007-11-30 2009-06-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 통신을 위한 통합 고주파 프런트 엔드장치
KR20150118052A (ko) * 2014-04-11 2015-10-2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반송파 집성을 갖는 라디오 주파수 수신기들에 관한 회로들 및 방법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59A1 (ko) * 2020-08-26 2022-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회로와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WO2024014781A1 (ko) * 2022-07-12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WO2024025240A1 (ko) * 2022-07-25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관리 회로 및 송신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72949A1 (en) 2024-02-29
US20220209907A1 (en) 2022-06-30
US11804932B2 (en) 2023-10-31
WO2019031840A1 (ko) 2019-02-14
KR102375132B1 (ko) 2022-03-17
US20200244408A1 (en) 2020-07-30
US11290225B2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493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US1168924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rocessing transmission signal or reception signal
US106734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for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513290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8003B1 (ko) 상향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985786B2 (en) Method for multiband communication using single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1713930B1 (ko) 휴대 단말기의 송신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2021005822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plexer capable of adjusting cutoff frequency in connection with adjustment of reception frequency band of duplexer
KR2019005767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송신 신호의 피드백 경로 제공 방법
KR20210006157A (ko) 라디오 주파수 체인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817891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arrier aggregation using plurality of carrier frequencies via switc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59264B1 (ko)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30267274A1 (en) Expansion device
KR20210068827A (ko) 무선 통신 구조 및 그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20200037533A (ko)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최대 증폭 레벨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316543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US11742882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rect or in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KR20210058077A (ko) 다수 개의 통신 방식의 공존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23989A (ko) 스위치를 이용한 신호 분배를 위한 모바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