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726A -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726A
KR20190016726A KR1020170101015A KR20170101015A KR20190016726A KR 20190016726 A KR20190016726 A KR 20190016726A KR 1020170101015 A KR1020170101015 A KR 1020170101015A KR 20170101015 A KR20170101015 A KR 20170101015A KR 20190016726 A KR20190016726 A KR 2019001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erence
telephone conference
user
telepho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균
Original Assignee
최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균 filed Critical 최현균
Priority to KR102017010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726A/ko
Publication of KR2019001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전화 회의의 시작 요청 신호를 전달받으면, 전달된 상기 시작 요청 신호를 푸시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110), 상기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에 의해서 식별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화 회의의 참여를 요청하도록 상기 시작 요청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110)에 전달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접속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전화 회의에 접속 중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음성 병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믹서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SERVER FOR PROVIDING TELEPHONE CONFERENCE, SYSTEM FOR PROVIDING TELEPHONE CONFERENCE SYSTEM,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NFERE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STORE APPLICATION FOR PROVIDING TELEPHONE CONPERENCE}
본 발명은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 회의 참여자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이종 통신망 간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전화 회의를 제공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고 알려진 멀티 기능 휴대 전화는 일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및 인터넷망(Internet Network)을 통해서 원격지에 사람과 음성, 영상 및 문자 통신 등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반전화망을 이용한 통화뿐 아니라 모바일 메신져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카카오톡 또는 라인)을 이용하는 VoIP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통화, 즉 앱전화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업무용 앱전화인 경우 업무효율을 높여주는 회의통화 기능을 지원한다.
일반적인 통화(1:1 통화)와 달리 회의통화(N:M 통화)는 회의참가자 1인의 통화 상태가 열악해지면, 전화 회의에 참여한 다른 참가자에게도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전화 회의 참가자는 모두 안정적인 통화품질을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인터넷망으로 접속한 스마트폰 사용자가 이동 중에 와이파이(WiFi)에서 이동통신사의 데이터망으로 인터넷 접속이 전환되거나 반대의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접속 전환 과정에서 통화음질이 저하되므로 원활한 회의진행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예를 들어, 회의참가자가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스마트폰이 정차중인 지하철역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에 자동 접속했다가, 차량이 다음 역으로 이동하면, 정차했던 역의 와이파이 신호강도가 약해지면서 데이터망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지하철차량 내부 와이파이로 전환되면서 수초 간 음질저하가 생긴다. 또는, 전화 회의 참자가가 탑승한 지하철차량 내 와이파이 이용자가 많다면 인터넷 접속지연으로 인해 지속적인 통화 품질 저하가 생긴다.
또한, 스마트폰 인터넷이 데이터망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에도 지하철 차량이 이동하면서 기지국간 핸드오버로 인해 수초 간 통화 품질 저하가 생긴다, 이러한 통화 품질 저하는 전화 회의 참가자의 전체 통화 품질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전화 회의 도중에는 인터넷 접속이 전환되지 않도록 회의참가자 전체가 회의 종료 시까지 이동하지 않고 한 장소에 머물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전화 회의 제공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 1 : 등록특허 제10-0393633호(공고일 : 2003년 8월 2일) 선행문헌 2: 공개특허 제10-2008-0074657호(공개일 : 2008년 8월 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유저가 참여하는 전화 회의에서 유저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전화 회의의 통화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이종 통신망 간의 전환을 제어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전화 회의의 시작 요청 신호를 전달받으면, 전달된 상기 시작 요청 신호를 푸시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110), 상기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에 의해서 식별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화 회의의 참여를 요청하도록 상기 시작 요청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110)에 전달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접속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전화 회의에 접속 중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음성 병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믹서부(130)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통신 접속 방식을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으로 전화 회의에 참여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분석하여, 기 결정된 횟수 이상의 인터넷 재접속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인터넷망에서 일반 전화망으로 통신 접속을 전환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접속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부, 전화 회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전화 회의 제공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화 회의 개시 알림을 전송하며, 상기 전화 회의 개시 알림을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통신 접속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화 회의 개시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통신 접속 방식의 선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 중인 경우에 통신 접속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접속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도록 통신 접속 방식의 전환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신 접속 신호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인터넷망 재접속 요청 횟수가 기 결정된 횟수 이상인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통신망을 인터넷망에서 일반전화망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방법은, 전화 회의 접속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부, 전화 회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여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 회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통신 방식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접속 통신 접속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하게 되면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통신망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통신망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통신망 전환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선택된 통신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도록 통신망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접속 신호를 분석하여, 인터넷망 재접속 요청 횟수가 기 결정된 횟수 이상인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단말에 대해서 통신망을 인터넷망에서 일반전화망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전화 회의 접속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부, 전화 회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 회의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통화망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저장수단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통신 접속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하면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통신망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유저가 참여하는 전화 회의에서 유저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이종 통신망 간의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전화 회의의 통화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 회의 제공 서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사용자 단말에서 전화 회의 참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은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 및 통신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통신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로 전화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와 통화제어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에게 전화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해당 서버를 오퍼레이팅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이때 통화제어신호는 일반전화(PSTN 방식) 또는 인터넷전화(VoIP)를 연결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와 복수의 단말(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통화제어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스마트폰 식별정보 예컨대, 전화번호(예:010-1234-5678)를 단말(200)의 식별정보로 사용한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망(300)과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에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와 통화제어신호 및 음성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화 회의 사용자 소프트웨어가 미리 설치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와 복수의 단말(200) 사이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 장비는 달라질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 사이의 통화제어신호 및 음성데이타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로서, 전화와 인터넷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은 유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모바일 네트워크 예컨대 3G, WiFi 망, Wibro 망, LTE 망 등의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거나 연동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 회의 제공 서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신호 처리부(11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화 회의의 시작 요청 신호를 전달받는다. 신호 처리부(110)는 전달된 상기 시작 요청 신호를 푸시신호로 변환하여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단말(200)에 일괄적으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부(110)는 복수의 단말(200)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확인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전화회의 접속대상인 사용자 단말(200)들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전화회의 시작알림 요청을 신호 처리부(110)로 송신하고, 복수의 단말(200)로부터 신호 처리부(110)을 통해 수신한 접속신호를 믹서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단말(200)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120)는 추출된 식별정보에 의해서 식별된 복수의 단말(200)에 전화 회의의 참여를 요청하도록 시작 요청 신호를 신호 처리부(110)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전달받으면, 접속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200)의 접속 방식을 제어한다.
믹서부(130)는 전화 회의에 접속 중인 복수의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음성 병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믹서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접속 확인 신호로부터 전화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들을 구분하여 각각의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타를 병합 처리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로 송신한다. 믹서부(130)의 데이터 신호 처리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아도, 음성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병합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병합 음성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에 전송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VoIP모듈부(220), 전화연결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통신 네트워크(300)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지원하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네트워크(3G, 4G, 5G 방식 등), 유무선 랜, Wibro, Zigbee, Bluetooth, 저전력통신(Low Power Communication)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통신부(210)는 신호처리부(110)로부터 수신한 전화 회의 시작알림 푸시신호를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VoIP모듈부(220)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통신하는 구성이다. VoIP(Voice Internet Protocol)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으로 변환하고 전송한다.
전화연결부(23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전화연결부(230)는 유·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모바일 네크워크를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화상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시각적인 방식으로 표시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CRT, LCD, LED, OLED,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화상 회의 시작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패널에 의해서 감지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 전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10)로부터 전화회의 시작알림을 수신하여 전화회의 접속요청을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서 표시한다.
저장부(250)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된 전화 회의 제공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소프트웨어의 설치 파일이 저장된다. 저장부(250)는 RAM, ROM, SSD, HD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의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접속 방식에 따라 VoIP모듈부(220) 또는 전화연결부(240)로 연결을 요청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통화를 선택하는 경우 VoIP모듈부(220)는 제어부(260)로부터 상기 연결을 요청받아 신호처리부(110)로 인터넷통화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또는 사용자가 일반전화 통화를 선택하는 경우 전화연결부(240)는 제어부(260)로부터 상기 연결을 요청받아 사용자 단말이 전화 회의 제공 서버로 전화발신을 개시하도록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 에이피아이(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한다.
이러한 API는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인 경우에는 “ACTION_CALL”를, 아이오에스(IOS) 계열인 경우에는 “callWithOpenURL”또는 “callWithWebView”를 사용하도록 소프트웨어 운영체제가 지원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Mobile Network(310)는 3G, 4G, 5G 등 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다. 3G는 3세대 이동통신 규격이고, 4G는 LTE 통신 규격이며, 5G는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이다. 3G 내지 5G는 초당 전송 속도 및 패킷 처리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다. Mobile Network(310)는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 서비스에 따라 그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Internet Network(320)는 무선 통신 사업자에 의해서 제공하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유선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된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공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무선 LAN)를 의미한다. PSTN(330)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상적인 가입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망을 의미한다. PSTN(330)은 주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VoIP(340)는 인터넷 전화라고 불리지만, VoIP는 Internet의 IP계층을 이용한 음성전송 기술을 의미한다. 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후 패킷 단위로 설정 IP망(Internet)을 통하여 수신측까지 전송한데 비하여 인터넷전화(IP telephony)는 IP망은 물론 음성, 팩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망(Frame relay, ATM)의 전화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 중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단말의 다운로드 요청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에 전달된다.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단말의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허용하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요청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한다. 통신 네트워크(300)는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전송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이때,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단말 고유 번호(IMEI) 등)를 저장하여 보관한다. 또한,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화 회의 참여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 회의 실시 요청이 입력되면, 전화 회의 요청의 내용에 따라 전화 회의 참여 대상을 목록으로 만들고, 목록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 회의 참여 대상 목록에서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독출한 뒤,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이 전화 회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하의 절차를 수행한다.
우선,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제어부(120)에 의해서 시작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110)에 전달한다. 신호처리부(110)는 시작 요청 신호를 푸시 신호(push signal)로 변환하고, 전화 회의에 참여 대상인 사용자 단말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일괄적으로 푸시 신호를 전송한다. 푸시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화상 회의 참여 의사를 나타내는 접속 확인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신호처리부(110)에 의해서 접속 확인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접속 확인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의 인터넷 재접속 요청 횟수, 인터넷 접속 실패 횟수 등 다양한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120)는 인터넷 재접속 요청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서 전화 회의 접속 방식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서 통신 접속 방식의 변경을 요청받은 경우에, 요청된 통신 접속 방식에 따라 전화 회의를 접속하도록 대상 사용자 단말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통신 네트워크(300)를 경유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과 접속하여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사이에 전화 회의 화상 서비스 채널이 형성되므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은 전화 회의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전화 회의 중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N)이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면,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시간 순서대로 정렬하여 하나의 음성 데이터로 병합한다.
믹서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믹서부(130)는 수신된 복수의 음성 데이터를 발신자별, 시간별로 정렬한다. 믹서부(130)는 정렬된 복수의 음성 데이터를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가능하도록 일반적인 형식의 음성 병합 데이터로 생성한다. 믹서부(130)는 음성 병합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전달하고, 제어부(120)로 전달되면 신호처리부(110)를 통해서 음성 병합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전화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의 예시적인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UI_1, UI_2, UI_3)는 전화 회의 참여 요청 메뉴라는 점에서 설명한다.
도 8(a)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전화회의 시작 알림 메뉴(UI_1)가 표시된다. 전화 회의 시작 알림 메뉴(UI_1)에는 인터넷 접속(a1), 일반전화 접속(a2) 또는 회의 접속 거부(a3) 중의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항목에 대해서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8(b)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전화회의 시작 알림 메뉴(UI_2)가 표시된다. 전화 회의 시작 알림 메뉴(UI_2)에는 인터넷으로 전환(b1)하는 항목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전환(b1) 항목을 클릭하면, 기 접속 방식인 전화 접속 방식을 인터넷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요청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8(c)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전화회의 시작 알림 메뉴(UI_3)가 표시된다. 전화 회의 시작 알림 메뉴(UI_3)에는 일반전호로 전환(c1)하는 항목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일반전화로 전환(c1) 항목을 클릭하면, 기 접속 방식인 인터넷 접속 방식을 일반전화 접속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요청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전화회의 시작알림 수신하면, 제어부(260)는 전화회의시작알림 메뉴(UI_1)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인터넷, 혹은 일반전화로 전화회의에 연결시키거나 전화회의 연결을 거절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사전에 인터넷, 또는 일반전화 중 하나의 통화망을 선택해 두었다면 제어부(260)은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VoIP모듈부(320)가 인터넷으로 전화회의에 접속한 경우 제어부(260)는 일반전화로 전환(도 8의 (c))을 화면에 표시하고, 제어부(260)가 일반전화로 전화회의에 접속한 경우 제어부(260)는 인터넷으로 전환(도 8의 (b))을 화면에 표시하여 전화 회의 접속 도중 언제라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통신 접속 네트워크의 전환 동작을 반복한다. 사용자가 전화 회의 시작알림(도 8의 (a))에서 인터넷으로 회의접속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26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인터넷 접속을 감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횟수를 초과하여 인터넷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접속을 일반전화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사용자 단말에서 전화 회의 참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부(210)가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의 신호처리부(110)로부터 전화 회의 시작 알림을 푸시 신호로 수신한다(S910).
제어부(260)는 수신된 푸시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전화 회의 시작 알림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UI_1)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회의 접속 거부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20). 접속을 거부하면(S920-Yes), 전화 회의에 참여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전화 회의 종료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접속을 거부하지 않으면(S920-No), 전화 회의 시작 알림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UI_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접속 방식을 식별하고, 식별된 접속 방식을 접속확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접속 방식 선택을 처리한다(S930).
사용자 단말(200)은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화 회의 참여 허락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다른 사용자 단말(200-2 내지 200-N)와 함께전화 회의에 참여하게 된다(S940).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방식 전화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UL_2 또는 UL_3)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접속 방식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950). 접속 방식 변경을 하지 않은 경우(S950-No)에는 통화 종료 프로세스(S970)로 진행한다.
접속 방식 변경을 한 경우(S950-Yes), 기 접속 방식을 해제한다(S960). 만약, 기 접속 방식이 인터넷 접속 방식일 경우, 일반전화로 접속 방식을 전환한다. 또는 기 접속 방식이 일반전화 접속 방식일 경우, 인터넷전화 접속 방식으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접속 방식 변경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방식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접 변경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통신 방식 전환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UI_2 또는 UI_3)를 통해서 직접 방식을 선택하여 접속 방식 변경을 잔화 회의 제공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넷 접속 상태에 따라 인터넷 접속을 일반전화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 중 하나가 인터넷 재접속 요청을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요청할 경우에,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는 해당 단말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통신 접속 방식 변경의 요청이 없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접속 방식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화 회의 시작 알림을 푸시 신호로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접속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접속 거부를 하지 않는다면, 원하는 접속 방식을 선택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접속 방식에 따라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접속을 선택한 경우, VoIP모듈부(2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통화 접속 제어신호를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의 신호처리부(110)로 송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부(210)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의 믹서부(13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화 접속동작을 실행한다.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부(260)는 "일반전화로 전환"을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고 대기한다. 사용자가 일반전화로의 통신 접속 방식 전환을 선택하면 기존 접속(인터넷을 통한 접속)을 해제하도록 VoIP모듈부(220)에 요청한다. VoIP모듈부(220)가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통화접속해제 제어신호를 전화 회의 제공 서버(100)의 신호처리부(110)로 송수신하고, 믹서부(13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데이타 송수신을 종료함으로써 기존 통화접속 해제 동작을 완료한다. 그 후에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부(260)는 전화연결부(230)에 통화접속을 요청한다. 전화연결부(230)가 에이피아이(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코드로 전화번호를 스마트폰 운영체제에 전달하고 일반전화로 통화접속이 완료되면 제어부(260)는 "인터넷으로 전환"을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고 대기한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 종료 버튼을 눌러 일반전화로 연결되어 있던 기존 통화접속 해제를 완료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인터넷으로 전환"을 선택하면, VoIP모듈부(220)는 통화접속 동작을 다시 수행하므로써 반복적인 통신 접속 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전화회의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부(210)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200)의 신호처리부(210)로부터 통화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전화 회의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망 전환방식 전화회의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전화 회의 제공 서버 110: 신호 처리부
120 : 제어부 130 : 믹서부
200 : 사용자 단말 210 : 통신부
220 : VoIP모듈부 230 : 전화연결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저장부
260 : 제어부 300 : 통신 네트워크
310 : Mobile Network 320 : Internet Network
330 : PSTN 340 : VoIP

Claims (10)

  1. 전화 회의의 시작 요청 신호를 전달받으면, 전달된 상기 시작 요청 신호를 푸시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부(110);
    상기 전화 회의의 접속 대상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정보에 의해서 식별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화 회의의 참여를 요청하도록 상기 시작 요청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110)에 전달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접속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전화 회의에 접속 중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음성 병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믹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통신 접속 방식을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으로 전화 회의에 참여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분석하여, 기 결정된 횟수 이상의 인터넷 재접속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인터넷망에서 일반 전화망으로 통신 접속을 전환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
  4. 전화 회의 접속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부, 전화 회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전화 회의 제공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전화 회의 개시 알림을 전송하며, 상기 전화 회의 개시 알림을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통신 접속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화 회의 개시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통신 접속 방식의 선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 중인 경우에 통신 접속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접속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도록 통신 접속 방식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신 접속 신호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인터넷망 재접속 요청 횟수가 기 결정된 횟수 이상인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통신망을 인터넷망에서 일반전화망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방법.
  7. 전화 회의 접속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부, 전화 회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여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 회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통신 방식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접속 통신 접속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하게 되면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통신망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통신망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통신망 전환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선택된 통신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도록 통신망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접속 신호를 분석하여, 인터넷망 재접속 요청 횟수가 기 결정된 횟수 이상인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식별된 단말에 대해서 통신망을 인터넷망에서 일반전화망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방법.
  10. 전화 회의 접속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처리부, 전화 회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전화 회의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 회의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통화망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저장수단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 전화 개시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통신 접속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화 회의 제공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된 통신 접속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전화 회의에 참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상기 전화 회의에 참여하면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통신망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70101015A 2017-08-09 2017-08-09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90016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15A KR20190016726A (ko) 2017-08-09 2017-08-09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15A KR20190016726A (ko) 2017-08-09 2017-08-09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26A true KR20190016726A (ko) 2019-02-19

Family

ID=6552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015A KR20190016726A (ko) 2017-08-09 2017-08-09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7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33B1 (ko) 2001-02-21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JP2008074657A (ja) 2006-09-21 2008-04-03 Hitachi Zosen Corp 低温における自己熱改質反応の起動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33B1 (ko) 2001-02-21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JP2008074657A (ja) 2006-09-21 2008-04-03 Hitachi Zosen Corp 低温における自己熱改質反応の起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014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8290525B2 (en) Text alternative to established voice call session
KR20170105545A (ko) 차량 내 무선 통신
US7917640B2 (en) Communication bandwidth control method for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 server and a user terminal used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nd a program
US97561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erminals
US201800548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 for call routing
WO2017113581A1 (zh) 一种通话控制方法以及装置、系统
CN101184194A (zh) 播放视频的方法、装置及系统
CN104853135A (zh) 一种在语音通话过程中的视频切换的方法及系统
EP3843370A1 (en) Relay device and voice communication recording method
JP6206184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KR20190016726A (ko) 전화 회의 제공 서버, 전화 회의 제공 시스템, 전화 회의 제공 방법 및 전화 회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194257B1 (ko) 청각 장애인을 고려한 통화 중계 시스템
KR101605259B1 (ko) 일반 통화 모드 및 인터넷 통화 모드를 스위칭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050887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call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235261B (zh) 一种多模智能通信设备信息可靠传递的方法
KR20140054963A (ko) 모바일 인터넷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827846A (zh) 通信终端通话及控制通信终端通话的方法和通信终端
KR101545587B1 (ko) 화상 회의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96315B1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and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2426290B1 (ko)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3068193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设备和存储介质
KR101599101B1 (ko) 통신 단말 및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통화 기록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