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405A -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405A
KR20190016405A KR1020170100598A KR20170100598A KR20190016405A KR 20190016405 A KR20190016405 A KR 20190016405A KR 1020170100598 A KR1020170100598 A KR 1020170100598A KR 20170100598 A KR20170100598 A KR 20170100598A KR 20190016405 A KR20190016405 A KR 2019001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duct
consumer
search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Priority to KR102017010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405A/ko
Publication of KR2019001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은 기존의 상품 위주의 커머스 환경에서 소비자 경험 위주의 커머스 환경으로 변모한 새로운 형태의 상거래 방법이다.
소비자는 기존에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품명을 검색하거나 상품의 카테고리를 여러 번 선택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구매했다. 본 특허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모델은 소비자가 On/Offline 활동을 하며 생성한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손쉬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머스 모델을 반영한다.
소비자는 On/Offline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이미지 검색을 함으로써,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인식하여 각 상품에 생성된 영역들 중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을 클릭하면 해당 상품의 판매 페이지로 이동하여 상품을 탐색하는 한편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시간적 가치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판매자는 소비자가 이미지를 활용하여 검색하는 이용 행태를 반영하여, Offline 상품 홍보 혹은 Offline 행사를 진행하는데 노력하기 보다, Online 홍보물 제작 및 Online 마케팅을 진행하여 상품 홍보 및 판매 촉진 행사를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경제적 낭비를 최소화해 이익 극대화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특허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은 소비자가 On/Offline 환경에서 수집 및 촬영한 이미지를 인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클릭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구매 및 판매 단계;
소비자가 On/Offline에서 촬영 및 수집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이미지 검색하면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가 포함하는 Text 및 세부 이미지의 형상을 인식하는 단계;
소비자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이미지 검색한 결과, 이미지에서 Text 및 세부 상품 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한 상품과 관련한 판매처를 링크하거나 상품 관련 설명 및 상품 사용 후기 등의 검색 결과를 노출하는 단계;
소비자가 특정 판매처의 전단지 혹은 홍보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검색하는 경우, 해당 판매처의 Online 판매 주소를 링크하여 제공하는 단계;
특정 Online 판매처에 게시된 해당 판매처의 디지털 전단지 및 홍보물의 이미지 혹은 Text 등을 세부 인식 처리하여, 개별 선택 및 인식이 가능하도록 영역 설정하여 검색하도록 하는 단계;
Online 판매처에 게시된 디지털 전단지 혹은 홍보물에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이미지 혹은 Text를 클릭하면 구매 페이지 혹은 장바구니 담기 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
판매처 A와 판매처 B가 협약하여, 상품 판매를 위해 제작하는 홍보물을 제작하는데 있어 각 사의 상품을 사용한 후, On/Offline에 노출된 홍보물을 소비자가 수집 및 촬영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이미지 검색할 때, 각 사의 상품을 모두 영역 설정하여 다양한 브랜드의 상품을 검색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형식의 사용자 중점 커머스 및 마케팅 방법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는 상품을 검색하는데 낭비되던 시간과 경제적 요소들을 절약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소비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과 상품 중심 커머스가 아닌 소비자 경험 중심의 커머스 환경 제공으로, 소비 활동에 있어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판매자 또한, 소비자의 이미지 기반 검색 활동을 활발하게 이용함으로써 Offline에서 활용하기 위한 홍보물 제작 및 Offline 마케팅 활동에 소요되는 비용 등을 절감하여 Online 홍보물 제작을 통해 파급 효과 제고와 함께 판로 확대로 판매 이익 상승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Customer-Recognized-Image-based Order Commerce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 및 OCR 인식 기술을 활용한 소비자 인식 이미지 기반 상품 주문 커머스 모델에 관한 것으로, 세부적으로 소비자 중점 상품 검색 및 구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미지 인식 및 OCR 인식 기술의 적용 방안 및 이를 활용한 커머스 환경 제공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상품 주문 환경을 분석하면, Offline 환경에서 실제 상품을 직접 경험한 후 상품 코드네임 혹은 상품명 등을 Online 환경에서 검색하여 저렴하게 구매하거나 Online 환경에서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명 등을 직접 입력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상품을 구매한다.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하거나, 정보가 없는 경우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검색 과정을 거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찾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었으며, Offline에서 판매되는 상품이 Online에서 판매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온전히 Text 검색에 의존하거나 상품 카테고리를 여러 단계 선택하여 검색하는 등의 방법만이 존재하여, 소비자의 사용 과정을 고려하지 않은 상품 중심의 커머스 환경이 구축되어 소비자의 상품 구매 환경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상품 중심의 커머스, Text 중심의 검색 환경에 변화를 주기 위해 본 서비스를 제안한다. 소비자는 Offline 환경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온라인에서 손쉽게 검색 및 구매하거나, Online 환경에서 떠도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처를 손쉽게 검색하여 원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비자는 Offline 환경에서 활동하는 중간, 관심이 생기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발생한다. 해당 상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할 때, 해당 상품을 사진 촬영하여, Online 환경에서 이미지 검색하여 해당 상품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거나, 판매처에 대한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비자는 Online 환경에서 활동하는 중간, 관심이 생기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발생한다. 이 때 보여지는 화면을 저장하여 본 특허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장치를 활용하여 이미지 검색을 한 후,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정보 및 판매처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비자의 On/Offline 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이미지를 활용한 검색에서 각 이미지에서 인식 및 추출 된 상품의 영역을 표시하고, 영역 인식 된 여러 개의 상품들 중에서 소비자가 검색을 원하는 상품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만 검색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비자의 On/Offline 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이미지 및 각기 다른 생산지/판매처에서 생성된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서비스 제공장치가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인식률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상품 이미지와 각 상품에 해당하는 정보 등을 딥러닝 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학습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인식 및 상품 정보 학습 등의 딥러닝 과정을 거친 데이터는 Master Data Base에 저장하여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Data Base를 확장하여 소비자는 더욱 다양한 상품들을 높은 정확도로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ffline 환경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활용하여 이미지 인식 상품 검색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ffline 환경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를 인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추출하기 위해 일반 시중에 기 유통되고 있는 상품들의 이미지 정보와 상품 정보 Data를 매칭하여 머신 러닝한 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 환경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활용하여 이미지 인식 상품 검색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line 환경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장치가 인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추출하고 영역 설정하기 위해 기 유통되고 있는 상품들의 이미지 정보와 상품 Data를 Offline 생성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머신 러닝하여 검색 정확도를 높여 서비스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이미지 검색을 실시하는 경우, 이미지에 포함되어 이는 여러 상품을 각각 인식하여 각 상품에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러 상품 영역 가운데, 소비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 및 판매처 정보 등에 대한 결과값을 노출하여 이미지를 활용한 간편한 검색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에서 추출 된 상품 영역 중,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 영역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 및 판매처 정보가 노출되며, 상품 판매처를 방문하여 검색 의뢰한 상품을 탐색 및 구매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품 이미지를 검색하여 원하는 상품을 손쉽게 검색하고 판매처를 찾아 간단한 Process만으로 효과적인 검색을 통한 소비 활동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를 확대함에 따라, 판매자의 상품 홍보 및 판매 경로는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품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상품 이미지 중심의 마케팅을 필요로 하며, 해당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부수적인 경제적 연쇄효과를 야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ffline 환경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 활용을 통한 상품 검색을 하여 보다 소비자 행동 중심의 커머스 환경을 제공해 소비자의 다양한 검색활동을 통한 상품 판매 기회 확대 및 상품 홍보 판로를 확대할 수 있다.
소비자는 Offline에서 판매되는 상품이 Online에서 얼마에 판매되고 있는지 혹은 상품의 재질이나 사용상 주의사항은 무엇인지 등을 빠르게 검색하여 보다 정확한 상품 정보를 확인하여 현명한 소비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제조자 및 판매자는 해당 상품에 대해 홍보하거나 정보 제공하는데 시간과 경제적 투자를 보다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에서 수집한 이미지 활용을 통한 상품 검색을 하여 보다 소비자 행동 및 경험 중심의 커머스 환경을 제공해 소비자의 다양한 검색 활동을 지원하여 상품 판매 기회 확대 및 상품 홍보 판로 확대를 모색할 수 있다. 소비자는 Online 탐색 활동 중 발견한 상품을 이미지 검색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On/Offline 판매 조건 혹은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 및 타 소비자의 상품 사용 후기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상품 구매에 참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자 및 판매자는 해당 상품에 대해 별도의 홍보 활동이나 마케팅을 진행하는데 소비되는 시간과 경제적 자원을 보다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검색 과정에서 검색에 활용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여러 상품의 영역을 각각 인식하고, 영역이 생성된 상품에 대한 각기 다른 상품 정보를 연동하여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하는 검색 Process를 통해 한 장의 이미지로 다양한 상품을 홍보하고, 다양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검색 단계를 최소화하고, 제조자 및 판매자의 상품 판매 경로 및 상품 판매를 위한 작업 단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Online 홍보를 위해 판매처가 제작한 홍보물을 통한 이미지 검색을 할 때, 해당 이미지 제작에 사용되는 상품 제조사 A와 B가 각각 협의하여 A사 홍보물에서 B사 상품의 영역을 선택 검색할 수 있도록 Link 제공하거나, B사 홍보물에서 A사 상품의 영역을 선택 검색할 수 있도록 Link 제공하는 등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업체가 협업하여, 각자의 상품을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판로를 확대하는 과정을 통해 상품 판매 상승 효과 및 판매 이익 상승 등의 경제적 이익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에 존재하는 이미지를 수집하거나, Offline 환경을 직접 촬영하는 활동을 설명하는 소비자 행동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ffline 매장에 입장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이미지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를 Online 환경에서 검색하여 상품 정보 혹은 상품 판매처 정보 등을 확인한 후 구매하게 되는 소비자 행동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특정 Online 매장에 방문하여, 해당 매장의 디지털 홍보물을 탐색하며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Text 혹은 이미지를 선택하여 구매하게 되는 소비자 행동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에서 수집하거나 Offline 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를 본 특허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에 게시하여 이미지를 인식한 뒤,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Text, 이미지 및 기타 내용을 추출하여 상품을 인식하고 해당 상품의 판매처, 상품 정보 혹은 상품 후기와 같은 내용들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에서 이미지를 수집하고, Offline에서 이미지를 촬영한 후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이미지 기반 검색 및 주문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온라인에서 이미지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프로세서를 통과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로 인해 발생하는 이미지 및 기타 상품 구매 및 판매를 위해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세부 프로세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의 전반적인 운영 Process 및 흐름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특허의 전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실제 사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의 시나리오 및 서비스 이용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한 공지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내용에 대해 불필요할 정도로 상세하게 서술되어 전달하고자 하는 본질을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소비자, 서비스 제공자, 상품 판매자 등 여러 이해관계자의 실제 관계 형성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되는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을 토대로 결정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에 존재하는 이미지를 수집하거나, Offline 환경을 직접 촬영하는 활동을 설명하는 소비자 행동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비자(1)는 Online 이미지를 수집(46)하거나 Offline 이미지를 촬영(47)하는 활동을 통해 다양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한다. 소비자는 Online 활동 혹은 일반적인 Offline 탐색 활동을 하는 동안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혹은 상품 정보가 궁금해지는 상황을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사진을 캡쳐하거나 저장 및 촬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후 해당 상품을 검색할 수 있는 자료를 저장한다. 이렇든 다양한 소비자 행동으로 이미지 검색에 활용 될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ffline 매장에 입장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이미지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를 Online 환경에서 검색하여 상품 정보 혹은 상품 판매처 정보 등을 확인한 후 구매하게 되는 소비자 행동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비자(1)는 Offline 매장(21)을 방문하여 관심 있는 상품을 이미지 촬영(41)한다. 촬영한 상품 이미지를 본 특허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Online 검색(42)하여 상품 정보(101) 및 상품 판매처 정보(102) 검색 결과를 제공받아 탐색 과정을 거쳐 구매(43)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특정 Online 매장에 방문하여, 해당 매장의 디지털 홍보물을 탐색하며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Text 혹은 이미지를 선택하여 구매하게 되는 소비자 행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1)는 Online 매장(22)을 탐색하며 상품 판매자가 상품 홍보물로 활용하는 디지털 홍보물(103)을 확인하게 된다. 본 특허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판매처의 디지털 홍보물(103)은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45)를 선택하거나 상품 Text(44)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의 판매 페이지로 Link 되어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품 탐색 및 구매(43)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에서 수집하거나 Offline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를 본 특허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에 게시하여 이미지를 인식한 뒤,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Text, 이미지 및 기타 내용을 추출하여 상품을 인식하고 해당 상품의 판매처, 상품 정보 혹은 상품 후기와 같은 내용들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비자로부터 생성된 Online 수집 이미지(46) 및 Offline 촬영 이미지(47)은 서비스 제공 장치(31)를 통해 이미지 인식(106) 과정을 거쳐 이미지를 분석(107)하게 된다. 이미지 분석(107) 단계에서는 이미지에 포함된 Text 추출(108), 이미지 추출(109) 및 기타 내용을 추출(110)하게 된다. 추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식한 상품이 어떤 상품인지 데이터 베이스의 자료와 매칭하여 상품을 인식(111)한다. 상품을 인식(111)한 이후, 인식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판매처 정보(102), 상품 정보(101) 및 타 소비자의 상품 후기(112) 정보 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소비자는 On/Offline에서 스스로 수집한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미지에 담긴 상품에 대해 손쉽게 검색 할 수 있어 상품 탐색 및 상품 구매 단계에 소비되었던 시간과 경제적 투자를 절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nline에서 이미지를 수집하고, Offline에서 이미지를 촬영한 후 서비스 제공장치를 통해 이미지 기반 검색 및 주문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비자가 Online에서 이미지를 수집(46)하거나 Offline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47)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본 특허에서 제안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 장치(31)를 통해 이미지 기반 검색 및 주문(48)이 가능하도록 인식된다. 서비스 제공 장치(31)는 소비자가 검색 의뢰한 이미지를 인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인식하고, 해당 인식 상품에 해당하는 정보를 Link하여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는 행위만으로 간단한 이미지 기반 검색 및 상품 주문(48)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자가 Offline에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Online에서 이미지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프로세서를 통과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비자의 Online 이미지 수집(46) 활동 및 Offline 이미지 촬영(47) 활동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서비스 제공장치의 통신부(32)로 수신되고, 프로세서(33)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다. 저장된 이미지 자료 및 상품 정보를 머신 러닝하여 이후 검색 활동에서 이미지 추출 및 인식의 성공률 및 정확도를 높이는데 활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로 인해 발생하는 이미지 및 기타 상품 구매 및 판매를 위해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세부 프로세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Online 수집 이미지 처리 관리부(11)는 소비자가 Online으로부터 수집한 이미지를 이미지 검색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수집 및 관리하며, Offline 촬영 이미지 처리 관리부(12)는 소비자가 Offline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 검색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수집 및 관리한다. 이미지 포함 상품 이미지+Text 추출 처리 관리부(13)는 소비자가 이미지 검색 의뢰한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와 상품명, 상품 설명 등과 관련한 Text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 이미지 및 Text Data를 관리한다. 이미지 포함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정보 및 판매처 정보 처리 관리부(14)는 소비자가 이미지 검색 의뢰한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인식한 후, 해당 상품이 어떤 상품인지 처리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해당 상품 종류를 판매하는 판매처 주소 등을 연계 관리하여 검색 결과로 보여주기 위한 데이터를 축적 및 관리하는 관리부이다. 상품 Text 클릭 주문/결제 구매 처리 관리부(15)는 소비자가 이미지 검색 의뢰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추출하고, 각 상품의 Text 정보 부분에 클릭이 가능한 영역을 설정한 후 소비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Text를 클릭하면 해당 상품의 검색 결과값을 노출하여 상품 주문 및 결제 구매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관리부이다. 상품 이미지 클릭 주문/결제 구매 처리 관리부(16)은 소비자가 이미지 검색 의뢰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추출하고, 각 상품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부분에 클릭이 가능하도록 영역을 설정한 후, 소비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상품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상품의 검색 결과값을 노출하여 상품 주문 및 결제 구매가 가능하도록 서비스 처리하는 관리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의 전반적인 운영 Process 및 흐름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특허의 전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비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서비스 제공장치에 게시(49)한다. 게시된 이미지는 서비스 제공장치 내에서 이미지 인식(106) 되어 이미지 안에 포함된 상품들을 추출(113)한다. 추출한 상품들에는 각각의 선택 영역이 생성되고, 소비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상품을 클릭하면 선택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정보 페이지 및 상품 구매 페이지가 검색 결과값으로 제공(114)된다. 제공된 검색 결과값에서 소비자는 본인의 구미에 보다 부합하는 상품을 탐색(50)하는 과정을 거쳐, 상품을 선택하고 주문 및 결제하여 배송(51)받게 된다. 소비자는 이미지만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을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어 상품 탐색 미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적 경제적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품 제조자 및 상품 판매자는 상품 홍보물 제작 및 마케팅에 사용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여 이익 증진을 제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실제 사용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의 시나리오 및 서비스 이용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소비자는 Offline 매장을 직접 촬영하거나 Online 전단지 혹은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미지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검색을 진행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이미지 검색을 하는 경우,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인식하여 각 상품에 해당하는 영역을 생성한다. 생성된 영역 중,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을 클릭하면 해당 상품의 판매 페이지로 이동하고 해당 페이지에서 상품을 주문 및 구매할 수 있다. 주문한 상품은 판매자에게 주문 접수되어 배달되는 프로세스이다. 기존에 상품 중심으로 운영되는 커머스 환경을, 소비자의 경험을 중점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며, 본 특허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모델의 활용을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경제적, 시간적, 공간적 이익을 제고할 수 있다.
1: 소비자
11: Online 수집 이미지 처리 관리부
12: Offline 촬영 이미지 처리 관리부
13: 이미지 포함 상품 이미지+Text 추출 처리 관리부
14: 이미지 포함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정보 및 판매 정보 처리 관리부
15: 상품 Text 클릭 주문/결제 구매 처리 관리부
16: 상품 이미지 클릭 주문/결제 구매 처리 관리부
21: Offline 매장
22: Online 매장
31: 서비스 제공 장치
32: 통신부
33: 프로세서
34: 데이터 베이스
41: 이미지 촬영
42: Online 검색
43: 구매
44: 상품 Text 선택
45: 상품 이미지 선택
46: Online 이미지 수집
47: Offline 이미지 촬영
48: 이미지 기반 검색/주문
49: 검색 원하는 이미지 선택 및 게시
50: 상품 탐색
51: 상품 선택/주문/결제/전달
101: 상품 정보
102: 상품 판매처 정보
103: 디지털 홍보물
104: Online 수집 이미지
105: Offline 촬영 이미지
106: 이미지 인식
107: 이미지 분석
108: Text 추출
109: 이미지 추출
110: 기타 추출
111: 상품 인식
112: 상품 후기
113: 이미지 내 상품 추출
114: 상품 정보 페이지 및 상품 구매 페이지

Claims (7)

  1. 소비자가 On/Offline 환경에서 수집 및 촬영한 이미지를 인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구매 및 판매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머스 방법,
  2. 소비자가 On/Offline에서 촬영 및 수집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이미지 검색 의뢰하면,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가 포함하는 Text및 세부 이미지의 형상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3. 제 2항에 관련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Text 및 세부 상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인식 결과에 해당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처를 링크하거나 상품 관련 설명 및 상품 사용 후기 등의 검색 결과를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4. 소비자가 특정 판매처의 전단지 혹은 홍보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검색하는 경우, 특정 판매처의 Online 판매 주소를 링크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및 커머스 방법,
  5. 특정 Online 판매처에 게시된 해당 판매처의 디지털 전단지 및 홍보물의 이미지 혹은 Text 등을 세부 인식 처리하여, 개별 선택 및 인식이 가능하도록 영역 설정하여 검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6. 제 5항과 관련하여, 특정 Online 판매처의 디지털 전단지 혹은 홍보물에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이미지 혹은 Text를 클릭하면 구매 혹은 장바구니 담기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7. 특정 판매처 A와 기타 판매처 B가 협약하여, 상품 판매를 위해 제작하는 상품 홍보물을 작업하는데 있어 한 장의 이미지에 각 사의 상품을 활용해 촬영을 진행하고, 이미지 검색 단계에서 해당 홍보물에서 인식되는 A와 B사 모두의 상품을 영역 표시하여, 소비자가 A판매처에서 B사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Link하거나, B 판매처에서 A사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마케팅 활동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방법.
KR1020170100598A 2017-08-08 2017-08-08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KR20190016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98A KR20190016405A (ko) 2017-08-08 2017-08-08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98A KR20190016405A (ko) 2017-08-08 2017-08-08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405A true KR20190016405A (ko) 2019-02-18

Family

ID=6556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598A KR20190016405A (ko) 2017-08-08 2017-08-08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4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55B1 (ko) * 2021-11-22 2022-04-26 조병현 관심 상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55B1 (ko) * 2021-11-22 2022-04-26 조병현 관심 상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75331A (ko) * 2021-11-22 2023-05-31 조병현 관심 사용자 추천 모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직업에 따른 관심 상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925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890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Media Sales
CN112435067A (zh) 跨电商平台与社交平台的智能广告投放方法及系统
WO2022095701A1 (zh) 一种对象推荐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US2014020095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athering consumer information
CN112258260A (zh) 基于用户特征的页面展示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20180059167A (ko)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의 비정형 정보와 소비자 소비 행태(구매 상관도) 분석을 통한 마케팅 및 캠페인 플랫폼 모델
JP6425297B2 (ja) 購買情報活用システム及び購買情報活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399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KR20160010756A (ko) 쇼핑 분석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분석 방법
CN109242563A (zh) 一种智能化信息监测应用方法和系统
KR10102654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랭킹 분석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그 장치
KR20190016406A (ko) 소비자 구매 경험 기반의 개별화 커머스 서비스 모델
KR102223656B1 (ko) 재고 폰케이스 판매 시스템
KR10176436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204090A (zh) 网络信息流通方法
KR20190016405A (ko) 사용자 인지 이미지 기반 주문 커머스 서비스 모델
CN116452299A (zh) 一种电商智能化推荐系统及方法
CN110020233B (zh) 调研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US202200839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taloging products based on cross-sell analytics
KR101657589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urai et al. Cloud Computing based Multipurpose E-Service Application using Flutter
KR20160005180A (ko) 복수 기업이 패션모델을 공유하여 이용하는 온라인 쇼윈도 시스템
KR20200103144A (ko) 소비자의 소비 행태 및 비정형적 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마케팅 캠페인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