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363A -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363A
KR20190016363A KR1020170100506A KR20170100506A KR20190016363A KR 20190016363 A KR20190016363 A KR 20190016363A KR 1020170100506 A KR1020170100506 A KR 1020170100506A KR 20170100506 A KR20170100506 A KR 20170100506A KR 20190016363 A KR20190016363 A KR 20190016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index
information
wash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974B1 (ko
Inventor
고소연
이선주
박미영
홍경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974B1/ko
Priority to PCT/KR2018/008412 priority patent/WO2019031734A1/ko
Publication of KR20190016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06F39/005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56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06F2212/02
    • D06F2216/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조;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세탁 관련 기능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서버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고, 업데이트된 날씨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산출된 세탁지수와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에 기초하여 세탁조의 세탁 코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출력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WASHING MACHINE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와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예를 들어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세탁기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세탁기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세탁기에서,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고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컨트롤 유닛은 통상적으로 본체에 구비되었으며, 정해진 행정만을 온/오프 방식 등으로 간략하게 표시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나 노브가 구비되었다. 이러한, 도어와 컨트롤 유닛의 이분화는 세탁기의 심플한 외관에 저해가 되었으며, 세탁기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가 저차원 방식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이에, 최근에는 도어에 컨트롤 유닛을 위치시키고, 컨트롤 유닛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라도 정해진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기능만 제공되는 방식에 머물러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날씨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개별 세탁 행정들을 일일이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개별 행정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날씨 상황과 평소의 세탁 패턴을 고려한 최적의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여 세탁기와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더욱 향상된 사용자가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세탁 관련 기능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고, 업데이트된 날씨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지수와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조의 세탁 코스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옵션 화면에는 설정된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 정보를 알려주는 제1그래픽객체와 상기 세탁지수에 대응되는 제2그래픽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세탁 패턴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세탁 패턴 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와 상기 세탁지수를 기초로 상기 세탁 패턴 정보에 포함된 세부 행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옵션 화면에는 상기 세탁 패턴 정보의 세부 행정 중 조정된 세부 행정을 알려주는 시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 정보와 세탁 패턴을 수집하고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대기 시간 동안 정해진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옵션화면의 제2그래픽객체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옵션 화면이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와 상기 세탁지수를 알려주는 화면 정보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화면 정보에는 소정 기간 동안의 세탁지수와 날씨 정보의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에 가해진 터치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날짜의 세탁지수와 날씨 정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된 날짜의 세탁지수의 이미지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해당 날짜에 설정되었던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이 상기 이미지 주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는 동안,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세탁지수의 정보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에 팝업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에 가해진 터치가 해제되면 팝업된 세탁지수의 정보가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탁지수를 알려주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활성화 상태인 동안 정해진 영역에 계속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탁조의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세탁지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세탁지수의 세탁 적합도가 임계 레벨 미만이면, 정해진 알림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세탁코스로 세탁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여 세탁지수를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세탁지수를 기초로 건조 행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세탁조의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 완료 후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설정된 건조 행정을 실행하기 위한 건조 옵션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 완료 후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때까지 기준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여 세탁지수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옵션 화면에는 설정된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 행정 정보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옵션 화면을 유지하면서 상기 설정된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 코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행정 코스의 조작에 따라 변경된 세탁 코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업데이트하고, 변경된 세탁 코스를 해당 세탁지수에 대응되는 최적 세탁 코스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세탁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연결된 서버에 날씨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세탁지수와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기초로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에 의하면, 세탁 개시 명령만 입력되면, 현재의 날씨 정보와 사용 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알아서 최적의 세탁 코스를 설정해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날씨 상황에 따라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을 각각 추가 또는 변경해야했던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또한, 최적의 세탁 코스는 기존의 사용자의 세탁 패턴의 분석을 기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취향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지수를 직관할 수 있는 시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 진행 여부 및 행정 변경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세탁 완료 이후에도 최신 날씨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 제공해줌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세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최적의 세탁 코스가 설정된 후에도 편리한 터치 조작으로 원하는 개별 행정을 쉽고 빠르게 변경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컬러 표현을 통해 정보의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다른 예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들이다.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탁지수와 관련된 다양한 화면변화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또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들이다.
도 9a, 도 9b,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탁지수를 화면에 제공하는 시점과 관련된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또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세탁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도어(120)가 각각 1차 및 2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165)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본체(110) 및 도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세탁기(100)의 외형을 이루며,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 투입구(16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10)의 전면부에 의류 투입구(165)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의류 투입구(165)를 통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의류 수용부는 '세탁조'로 호칭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세탁기(100)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세탁기(100)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드럼(15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150)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를 커버하는 커버(112)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전원 버튼(170)이 구비되어, 세탁기(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터치 스크린(122)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2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세탁기(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버튼(170)이 미구비되어,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도어(120)는 힌지 유닛(140)에 의해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투입구(165)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의류 투입구(165)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20)는 도어 수용부(160)에 수용되고, 도어(120)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이에 인접한 본체(110)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120)가 도어 수용부(160)에 수용되는 구조상, 도어(120)의 개방시 도어(120)가 본체(11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유닛(14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1차 회전에 의해 도어(120)가 도어 수용부(160)로부터 이격된 후,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2차 회전에 의해 도어(12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20)의 일측에 힌지 유닛(140)이 장착된 구조에서, 도어(120)의 타측에는 도어(120)를 본체(11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로킹장치가 구비된다. 로킹장치는 누름식으로 구성되어, 도어(12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도어(12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20)가 잠금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120)에는 윈도우(121) 및 터치 스크린(122)가 구비된다.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121)는 의류 투입구(165)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121)를 통하여 의류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2)는 세탁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22)는 세탁기(100)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22)은 도어(12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22)은 본체의 상부, 측면, 하부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 또는 일측에 보조 세탁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d의 세탁기(100)는 주 세탁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캐비닛(110)과 보조 세탁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2 캐비닛(3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캐비닛(110) 및 제2 캐비닛(3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탑로딩 형태의 세탁장치로 형성되거나 주 세탁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상기 주 세탁장치에 비하여 세탁용량, 체적, 높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작도록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주 세탁장치 및 보조 세탁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주 세탁장치 및 보조 세탁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캐비닛(310), 상기 제2 캐비닛(310) 내로 인입되거나 제2 캐비닛(3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드로워 하우징과, 드로워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세탁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드로워 하우징은 보조 세탁장치의 전방향을 향하여 제2 캐비닛(31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제2 캐비닛(310)로 인입되거나 제2 캐비닛(3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 하우징의 전방에는 커버 패널(33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패널(331)은 드로워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패널(331)에는 드로워 하우징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패널(331)의 상면에는 상기 보조 세탁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도어(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120)는, 도어 프레임(130), 도어 윈도우(136), 디스플레이 모듈(128) 및 도어 커버(19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20)에는 본체(11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 유닛(140)이 장착되나, 본 도면에서는 힌지 유닛(140)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20)가 원형(정원형, 타원형 포함)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2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30)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힌지 유닛(140)이 도어 프레임(130)과 본체(110)에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30)은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성들이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으로 지칭되는 이유는,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30) 자체만을 놓고 보았을 때, 아우터 프레임(131)은 본체(110)의 외부를 향하고, 이너 프레임(132)은 본체(110)의 내부를 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별 없이,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은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각각 지칭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30)은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65)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130a)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131b)를 구비한다. 제1개구부(130a)에 도어 윈도우(136)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1개구부(130a)는 도어 윈도우홀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131b)에 디스플레이 모듈(128)이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2개구부(131b)는 디스플레이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개구부(131b)는 제1개구부(13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개구부(130a)는 아우터 프레임(131)에 형성된 전방측 개구(131a)와 이너 프레임(132)에 형성된 후방측 개구(13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개구부(131b)는 아우터 프레임(131)에 형성된다. 이너 프레임(132)의 후방측 개구(132a) 상에는 연통부(13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132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8)이 도어 프레임(13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36)는 제1개구부(130a)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0)에 설치된다. 도어 윈도우(136)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되어,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6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도어 프레임(13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8)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28)은 제2개구부(131b)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122)에서는 세탁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어 프레임(130)에는 도어(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90)가 결합된다. 도어 커버(19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90)는 불투광 영역(193)과, 불투광 영역(193) 내에서 제1개구부(130a)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191) 및 제2개구부(131b)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19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191, 192)은 불투광 영역(193)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도어(12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0)과 도어 커버(19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191, 192)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커버에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서로 구분된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투광 영역에 각각 윈도우와 디스플레이(또는 터치스크린)가 구성되어, 심플한 도어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도어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어 커버(190)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어진 벤딩부에 의해 벤딩부 양측의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커버(19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0) 또한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투광 영역(191)이 제1커버부와 벤딩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92)이 제2커버부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제2투광 영역(192)은 제2개구부(131b)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90)가 도어 프레임(130)에 결합시 제2개구부(13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구부(131b)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92)은 제2개구부(13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원형의 제2투광 영역(192)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만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원형의 터치 스크린(122)가 제공될 수 있다.
원형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가격이 높으며, 그 형태상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기가 어려워 조립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따르면, 보다 저렴한 비용을 가지며,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가능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원형으로 보이는 터치스크린(122)이 제공될 수 있다.
제2투광 영역(192)은 불투광 영역(193)에 의해 감싸지므로, 터치스크린(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이를 감안하여, 터치스크린(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가 미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스크린(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대응되는 부분에 세탁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외곽 이미지는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대응되는 부분에 세탁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은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28)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뿐만 아니라 외곽 이미지도 출력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22)의 일부만 구동되므로, 터치 스크린(122)의 전체가 구동되는 앞선 예에 비하여, 터치 스크린(122)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어 커버(190)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122)는 터치 센서(미도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122)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2)은, 세탁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세탁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모드의 선택 및 변경은 터치 스크린(122)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또는 터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2)은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가 구비된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22)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122)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122)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스크린(122) 상에 터치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스크린(122)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12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기로 보내진다.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 도 3)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22)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기는, 제어부(180)는 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제어부(180)는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는, 터치스크린(122)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세탁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2)은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touch), 스와이프 터치(swype touch),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2)은 제2투광 영역(192)을 포함하는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22)이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제2투광 영역(192)과 제2투광 영역(19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93)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터치스크린(122)의 터치 센싱 영역은 제2투광 영역(192)뿐만 아니라 제2투광 영역(19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93)의 일부까지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2투광 영역(19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93)의 일부를 이용한 다양한 UI 또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터치 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터치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90)와 디스플레이 모듈(1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필름으로 기 공지된 ITO 필름(Indium-Tin Oxide film), CNT 필름(Carbon Nano Tube fil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필름이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FF(Glass-Film-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28)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치필름이 하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1F(Glass-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도어 커버(19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별도의 터치필름 없이 메탈 와이어가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직접 패터닝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on-cell),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cell).
한편,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22)이 도어(120)에 구비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어(120)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22)은 본체(110)의 일 면에 구비되고, 상기 일 면은 본체(110)에서 전원 버튼(170)이 배치된 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스크린(122)이 도어(120)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위에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122) 외에도 제어부(180), 통신부(155), 음향 출력부(125), 센서부(145), 및 메모리(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는 통신부(155)를 통해 서버(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탁기(100)의 요청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5)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서버(2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세탁기(100)는 Wi-Fi 를 통해 연결된 서버(200)에 날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세탁기(100)에 전송해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서버(200)는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한 빅 데이터를 수집하는 스마트 서버일 수도 있고, 날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울트라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워치 타입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5)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100) 본체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가 근접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탁기(100) 와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세탁기(100)의 구동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세탁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들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5)는 세탁과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시 정해진 알림음 또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세탁과 관련된 이벤트란, 외부기기와의 연결, 전원의 온/오프, 세탁 코스 설정, 헹굼, 탈수, 건조 등 개별 행정의 설정/변경, 세탁의 개시, 세탁 완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센서부(145)는 세탁기(100) 내 정보, 세탁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부(145)는 도어(120)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형성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도어(120) 또는 힌지부(14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45)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통해 사용자가 세탁기(100)에 접근하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
메모리(195)는 세탁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95)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이하 '스마트 서버'로 명명될 수 있음, 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이 수신되면, 연결된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0)는 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세탁 적합도와 수신된 날씨 정보, 그리고 메모리(195)에 저장된 사용자의 세탁 패턴에 기초하여 최적 세탁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정된 최적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터치 스크린(122)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예, 헹굼, 탈수, 건조 등)을 각각 입력할 필요없이 옵션 화면을 터치하는 것만으로 최적의 세탁 코스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최적의 세탁 코스는 현재 날씨 상황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인의 취향도 고려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0)가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가 개시된다(S10).
여기에서,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은 세탁 개시를 위한 의도적인 입력으로, 예를 들어 세탁기(100)의 전원 버튼(170)에 푸쉬입력이 가해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은 터치스크린(122)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on)로 전환되거나, 터치스크린(122)에 홈 화면이 출력되거나, 홈 화면에서 특정 기능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진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가 세탁기(100)에 근접한 것이 감지된 경우이거나 스마트 서버(200)나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된 경우에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또는, 세탁조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도어(120)의 닫힘이 감지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세탁기(100)는 연결된 서버에 날씨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S20). 여기에서, 날씨 정보는 기온, 풍속, 습도, 강수량, 일사량, 미세먼지, 오존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날씨 정보의 요청은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고, 그때마다 최신 날씨 정보가 서버(200)로부터 세탁기(100)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00)와 서버(200)는 세탁 개시 명령이 처음 입력된 시점에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음이 음향 출력부(1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음, 세탁기(100)의 제어부(180)는 업데이트된 날씨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여기에서, '세탁지수(laundry index)'란 날씨 상황, 즉 일사량, 풍속, 기온, 습도 등을 고려하여 세탁물이 얼마나 잘 건조될 것인가를 지수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빨래지수'로도 명명된다. 일반적으로, 세탁지수가 80이상이면 '매우 좋음(가장 적당)', 세탁지수가 60~79 범위이면 '좋음(적당)', 세탁지수가 31~59 범위이면 '보통(가능)', 세탁지수가 30 이하이면 '나쁨(부적당)'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스마트 서버'에서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와 함께 세탁지수가 제공되는 경우이면 세탁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신된 세탁지수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만 수행하는 것으로 족하다.
계속해서, 세탁기(100)의 제어부(180)는 산출된 세탁지수, 업데이트된 날씨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기초로 세탁 코스를 설정한다(S40). 여기에서, 사용자의 세탁 패턴은 정해진 이전 기간 동안의 세탁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되거나 메모리(195)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세탁 패턴은, 세탁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계절별, 월별 및 요일별로 수행된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의 세탁 패턴은 기설정된 주기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시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의 주기는 세탁기 사용 횟수 및 간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복수의 사용자들마다 서로 다른 세탁 패턴을 갖도록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시 음성 인식 등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고,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세탁 패턴이 메모리(195)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또한, 세탁 코스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건조 행정 등의 개별 행정의 각각의 강도, 시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물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된 세탁 코스는 현재의 날씨상황과 사용자의 평소 세탁 패턴을 모두 충족하는 최적의 세탁 코스를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스마트 세탁 코스”로 명명될 수 있다.
날씨상황과 사용자의 세탁 패턴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변되므로, 스마트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의 강도, 시간, 횟수 등도 설정시마다 매번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세탁 코스는 업데이트된 날씨정보, 사용자의 세탁 패턴, 및 세탁지수의 조합에 따라 매우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갖는다. 일 예로, 세탁지수가 동일하더라도 사용자의 세탁 패턴(예, 탈수 '최강' 패턴)에 따라 세탁 코스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세탁지수 및 세탁 패턴이 동일하더라도 미세먼지량이 높은 날씨이면 기존의 세탁 패턴에서 헹굼 행정이 1~2회 더 추가될 수 있다.
다음, 이와 같이 설정된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이 터치 스크린(122)에 디스플레이된다(S50). 사용자는 옵션 화면을 통해 설정된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을 확인한 다음, 옵션 화면에 포함된 세탁 구동 버튼을 선택하기만 하면 설정된 최적 세탁 코스로 세탁이 수행된다.
도 5는 도 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개념도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122)이 활성화되면,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세탁 관련 기능에 대응되는 그래픽객체를 포함하는 홈 화면(501)이 터치 스크린(122)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래픽객체는 아이콘, 메뉴, 항목, 안내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홈 화면(501)에는 정해진 세탁 관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은, 세탁 시간, 세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세탁 방식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세탁, 스피드 워시, 합성섬유, 혼방세탁, 니트/울, 스마트 케어(510)로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들이 원형 터치 스크린의 외주면을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아이콘들의 배치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각형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이 열/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홈 화면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되는 하위 아이콘들이 나타나거나, 복수의 아이콘들 대신에 원하는 기능을 검색하기 위한 싱글 검색창이 표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홈 화면(501)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상단에는 서버(200)와의 무선 연결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 영역(520)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인디케이터 영역(520)을 통하여, 세탁기(100)와 서버(200)의 연결/연결해제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에서는 인디케이터 영역(520)을 통해 세탁기(100)와 서버(20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인디케이터 영역(520)에 근접시킴으로써,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세탁기(100)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화면(50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터치 대상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 케어(510)에 근접시키거나 터치하면, 스마트 케어(510)가 선택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는 스마트 케어(510)에 터치가 가해진 시점에 세탁 개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 케어(510)에 터치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세탁기(100)는 서버(200)와 무선 통신, 예를 들어 Wi-Fi 통신을 통해,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80)는 세탁기(100)의 세탁 운전 정보의 이력을 기초로 한 세탁 패턴 정보를 메모리(195)로부터 호출하여 리드(read)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수신된 날씨 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산출하거나 또는 서버(200)에서 산출된 세탁지수를 날씨 정보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80)는 날씨 정보와 세탁지수를 기초로 리드(read)한 세탁 패턴 정보에 포함된 세부 행정들을 조정하여 스마트 세탁 코스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습도, 강우량/일사량, 풍속 등의 날씨 정보와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기초로, 사용자의 평소 세탁 패턴에서 탈수 행정의 강도, 시간, 횟수 중 하나 이상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량 많은 경우, 사용자의 평소 세탁 패턴에서 헹굼 행정의 횟수를 1회 더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날씨와 세탁지수에 적합한 세부 행정의 조절은 사용자의 평소 세탁 패턴을 기초로 수행되기 때문에, 미세먼지량이 동일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평소 헹굼 횟수를 2회 사용하는지 또는 3회 사용하는지에 따라 설정되는 헹굼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세탁기(100)가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와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동안, 터치 스크린(122)에는 정해진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정보(502)가 출력될 수 있다.
영상정보(502)가 출력되는 동안 서버(200)와의 연결해제 등으로 날씨 정보 수집에 실패한 경우, 이러한 상태를 영상정보(502)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이때에, 인디케이터 영역(520)에 사용자 단말기를 근접하게 되면,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중단없이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 해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라도, 동작 중단 없이 사용자의 세탁 패턴만을 기초로 스마트 세탁 코스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스마트 세탁 코스 정보는 터치 스크린(122)에 출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 화면(502)에는 설정된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 정보를 알려주는 제1그래픽객체와 산출된 세탁지수에 대응되는 제2그래픽객체(511)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그래픽객체는, 스마트 세탁 코스 정보의 개별 행정 정보가, 예를 들어 헹굼 3회, 강한 탈수, 물 온도, 심한 오염 등의 텍스트 형태로 세탁 순서의 흐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그래픽객체는, 사용자가 세탁지수를 직관할 수 있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래픽객체는 산출된 세탁지수의 적합도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다른 이미지란 형상, 컬러, 하이라이팅 효과, 이모티콘의 표정/형상을 달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제2그래픽객체는 세탁지수의 적합도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지수의 적합도 레벨이 높을수록 푸른 계열의 컬러를 세탁지수 아이콘에 적용하고, 세탁지수의 적합도 레벨이 낮을수록 붉은 계열의 컬러를 세탁지수 아이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로, 세탁지수가 80이상(매우 좋음 또는 가장 적당)이면 파란색으로(blue), 세탁지수가 60~79 범위(좋음 또는 적당)이면 녹색으로(green), 세탁지수가 31~59 범위(보통 또는 가능)이면 노란색으로(yellow), 세탁지수가 30 이하(나쁨 또는 부적당)이면 빨간색(red)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세탁지수' 텍스트가 표시된 원형 이미지의 테두리를 따라 세탁지수의 적합도 레벨을 나타내는 컬러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 화면상에서 해당 그래픽객체를 통해 세탁지수가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시각적으로 직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세탁 수행 여부 및 개별 행정의 추가 조작 여부를 결정하는데 직관적인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옵션 화면(502)에는 제1그래픽객체에 대응되는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512)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실행 버튼(512)을 터치하면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 동작이 즉시 구동된다.
한편, 사용자가 실행 버튼(512)을 터치하여 세탁이 시작된 후라도 해당 버튼을 한번 더 터치하면 세탁 실행이 중단되고 제1그래픽객체에 대응되는 스마트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들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세탁이 일단 시작 된 후라도 표시된 세부 행정들을 터치하여 세탁 코스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옵션 화면(502)의 중앙에는 총 세탁 시간이 표시되며, 세탁 동작이 구동되면 카운트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옵션 화면(503)에서 세탁 패턴 정보의 세부 행정들 중 세탁 패턴 대비 조정된 세부 행정에는 제3 그래픽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기존의 세탁 패턴이 '헹굼 2회', '중간 탈수'의 행정이었는데 세탁지수 및 날씨 정보를 기초로 헹굼 1회 추가 및 강한 탈수로 스마트 세탁 코스가 설정되었다면, 변경된 행정 정보, 즉 '강한 탈수' 표시 영역과 '헹굼 3회' 표시영역 내에는 각각 사각 프레임 이미지들(511a, 511b)이 하이라이팅 효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변경된 행정 정보를 알려주는 안내음성이 음향 출력부(1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로써, 옵션 화면(503)의 출력시, '스마트 세탁 코스가 설정되었습니다'와 함께 '헹굼 3회와 강한 탈수로 세탁을 수행합니다'라는 음성정보가 음향 출력부(1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세탁기(100)에 마이크(미도시)가 구비된 경우이면, 이러한 음성정보에 응답하여 사용자 음성을 통하여 세탁 시작, 또는 헹굼이나 탈수 재설정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탁 개시 명령을 입력하기만 하면, 현재의 날씨 정보와 사용 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알아서 최적의 세탁 코스를 설정해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날씨 상황에 따라 개별 행정들을 추가 또는 변경해야했던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또한, 최적의 세탁 코스는 기존의 사용자의 세탁 패턴의 분석을 기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취향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세탁지수를 직관할 수 있는 시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 진행 여부 및 행정 변경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하에서는, 세탁지수 및 날씨 정보를 세탁기(100)의 터치 스크린(122)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먼저, 도 6a, 도 6b, 도 6c는 세탁지수 정보의 제공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변화의 예시들을 보여준다.
도 6a에서, 세탁기(100)의 터치 스크린(122)에는, 세탁지수, 날씨 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에 기초하여 설정된 스마트 세탁 코스를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603)이 디스플레이된다.
옵션 화면(603)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중앙에는 '세탁지수' 텍스트가 표시된 세탁지수 아이콘(611)이 표시되며, 세탁지수 아이콘(611)의 테두리에는 현재 세탁지수의 적합도 레벨(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에 대응되는 컬러(예, 가장 적당 -> 파란색)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지수 아이콘(611)에 탭(tab) 또는 싱글 터치(single touch)가 가해지면, 상기 옵션 화면(603)은 날씨 정보와 세탁지수의 지수를 알려주는 화면정보(604)로 전환된다.
전환된 화면정보(604)에는 도 6a와 같이 세탁지수의 지수(예, 85) 정보와 함께 날씨와 관련된 세부 정보들(예, 기온, 습도, 미세먼지, 강수확률 등)이 표시된다. 화면정보(604)의 외주면 테두리에는 세탁지수의 적합도 레벨('매우 좋음')에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세탁기(10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122)을 통해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와 세탁지수의 지수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604)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세탁기(100)는 서버(200)에 일정 시간 간격(예, 10초)으로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지속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업데이트 입력이 없더라도 최신의 날씨 정보와 세탁지수를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상기 화면정보(604)가 팝업창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지수 아이콘(611)에 터치가 가해진 동안에만 화면정보(604)가 옵션 화면(603)의 상위에 팝업되고, 터치가 해제되면 옵션 화면(603)으로 즉시 화면정보(604)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604)는 확인 버튼(614)을 터치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옵션 화면(603)으로 전환된다.
한편, 상기 세탁지수의 정보는, 구체적인 지수가 아닌 이미지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a)는 세탁 적합도가 높은 경우의 얼굴 이미지(605)(웃는 표정)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의 (b)는 세탁 적합도가 낮은 경우의 얼굴 이미지(606)(찡그린 표정)를 보인 것이다. 이에 의하면,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22)에 제공되는 얼굴 이미지의 표정을 통해서 세탁 적합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지수의 지수정보를 알려주는 제1 화면정보(605)의 상단에 세탁지수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615), 예를 들어 왼쪽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인디케이터(615)에 터치를 가하여, 지난 세탁지수의 지수정보와 지난 날씨 정보(미도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기(100)의 메모리(195)에는 소정 기간 동안 세탁지수의 지수정보, 날씨정보, 및 이를 기초로 생성된 스마트 세탁 코스와 관련된 정보가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누적된 정보들은 새로운 날씨 정보 등이 수신되면 오래된 순서대로 제거된다.
사용자는 제1 인디케이터(615)에 가해진 터치 횟수 또는 터치 시간에 비례하는 만큼 과거 시점으로 돌아가서 세탁지수와 날씨 정보(미도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로, 제1 인디케이터(615)를 한번 터치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제 세탁지수의 지수정보(예, '좋음, 65')를 알려주는 제2화면 정보(606)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제2화면 정보(606)의 상단 오른쪽에는 제1 화면정보(605)로 복귀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616), 예를 들어 오른쪽 화살표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때, 하루에 여러 번 세탁을 수행했던 경우이면 세탁지수도 여러 번 산출되었을 것이므로, 가장 마지막 또는 가장 처음 세탁 동작이 수행되었을 때 산출되었떤 세탁지수와 날씨 정보(미도시)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세탁지수들과 날씨정보들의 평균값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현재 설정된 스마트 세탁 코스와의 차이는 과거의 스마트 세탁 코스가 실제로 실행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일 예에서는 과거에 실행했던 스마트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들을 현재시점에서 즉시 확인 및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c에서 어제 세탁지수의 지수정보를 알려주는 제2 화면정보(606)에서 지수정보가 표시된 영역, 예를 들어 중앙 영역에 터치가 가해지면, 어제 실행했던 스마트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이 지수정보가 표시된 영역의 주변, 즉 터치 스크린(122)의 외주면을 따라 나타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이 변화된 화면을 제3 화면정보(607)로 명명하겠다. 사용자는 제3 화면정보(607)를 통해 어제 실행했던 스마트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에, 세탁기(100)의 제어부(180)는 현재 설정된 스마트 세탁 코스(이하, '제1 스마트 세탁 코스'라 명명함)와 과거에 실행한 스마트 세탁 코스(이하, '제2 스마트 세탁 코스'라 명명함)의 세부 행정을 비교한 다음, 제1 스마트 세탁 코스 대비 달라진 개별 행정 정보(예, '헹굼 5회')에 하이라이팅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617a).
사용자가 제3 화면정보(607)에 표시된 실행 버튼(512)을 터치하면 제2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이 실행된다. 또는, 제3 화면정보(607)에서 뒤로가기 버튼(621)를 터치하여 제1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는, 제3 화면정보(607)에 표시된 개별 행정을 터치하여 변경된 제2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a, 도 9b, 도 9c는 세탁지수 정보의 제공 시점과 연계된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준다.
먼저, 도 9a는, 터치 스크린(122)의 홈 화면에서 세탁지수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예이다. 세탁기(100)의 터치 스크린(122)이 활성화되면, 홈 화면(901)에는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세탁 관련 기능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출력된다.
복수의 아이콘들 중 특정 아이콘, 예를 들어 스마트 케어(910)에 처음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에 따라, 전술한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 요청 및 세탁지수의 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180)는 스마트 케어(910)에 터치가 가해지는 동안,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세탁지수의 지수정보를 터치 스크린(122)에 팝업 메시지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다. 예로써,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케어(910) 이외의 영역이 비활성화 되면서 세탁지수 '80'을 알려주는 말풍선 메시지(912)가 팝업될 수 있다.
말풍선 메시지(912)는 스마트 케어(910)에 터치가 가해지는 동안에만 표시되며, 터치가 해제되면 사라진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케어(910)에 대응되는 실행화면, 즉 전술한 옵션 화면은 예를 들어 스마트 케어(910)에 가해진 터치가 홈 화면(901)의 중앙을 향해 드래그된 경우에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도 9b는 세탁기의 터치 스크린(122)이 활성화 상태인 동안 세탁지수의 지수정보가 정해진 영역에 계속 표시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활성화 상태는 터치 스크린(122) 전체가 온(on) 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상단의 인디케이터 영역(920a)만 온(on) 상태인 경우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영역(920a)에는 서버(200)와의 연결 상태를 알려주는 아이콘과 함께, 세탁지수의 지수정보(912b)가 항시로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920a)에서 세탁지수의 지수정보(912b)에 터치가 가해지면 날씨 정보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c는 세탁기(100)에 세탁물 투입 후 도어를 닫았을 때에 세탁지수의 지수정보를 화면에 제공해주는 것이다. 세탁지수는 세탁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유용한 정보가 사용될 확률이 높고, 세탁을 시작하는 시점은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소정 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 9a의 경우 간단하지만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하는 점, 도 9b의 경우 적어도 터치 스크린의 일부는 활성화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원소모가 증가된다.
이에, 도 9c의 예시에서는,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터치 스크린(122)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900). 세탁조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도어(120)의 닫힘이 감지되면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에 따라, 세탁기(100)의 통신부(155)를 통하여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서버(200)에 요청한다. 이를 위해, 세탁기 도어(1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가 도어(120)의 일측 또는 힌지부(140)에 마련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전원 버튼(170)이나 터치 스크린(122)을 푸쉬 또는 터치하지 않더라도 터치 스크린(122)에 세탁지수의 지수정보가 알아서 제공된다(940).
이에 의하면, 세탁지수를 확인하기 위해 도 9a와 같이 홈 화면상에서 추가 입력을 수행하거나 도 9b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일부를 계속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한편, 일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22)에 디스플레이된 세탁지수의 세탁 적합도가 임계 레벨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부(125)를 통해 정해진 알림음이나 안내음성(예, '세탁지수가 너무 낮아요')을 출력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세탁을 나중으로 미루거나 건조 행정을 추가할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하,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또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세탁 코스 또는 변경된 세탁 코스로 세탁이 완료되면(S710), 세탁기(100)는 연결된 서버(200)에 날씨 정보의 업데이트를 재요청할 수 있다(S720).
그러면, 세탁기(100)의 제어부(180)는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다시 산출한다(S730). 이와 같이 세탁 완료 이후에 세탁지수를 한번 더 산출하는 이유는, 세탁 시간이 길어질 경우 날씨 상황이 세탁이 개시된 시점과 다르게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물이 실제 건조될 시점은 세탁 개시 시점보다는 세탁이 완료된 시점에 보다 가깝기 때문에 세탁지수의 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지수가 재산출되면, 세탁기(100)의 제어부(180)는 산출된 세탁지수를 기초로 건조 행정 코스를 설정한다(S740).
이때에,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서 산출되었던 제1세탁지수와 세탁 완료 후 산출된 제2세탁지수를 비교 및 분석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행정의 강도, 시간, 횟수 중 하나가 상기 비교 및 분석 결과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지수를 기초로 설정된 건조 행정 코스를 사용자 입력의 경우와 구분하기 위해, 이하부터는 '스마트 건조 행정 코스'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세탁 코스에서 이미 건조 행정이 추가된 경우이면, 제1세탁지수 및 제2세탁지수의 비교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부(180)는 스마트 세탁 코스의 건조 행정의 강도, 시간, 횟수 중 하나 이상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스마트 건조 행정 코스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세탁지수가 제1세탁지수보다 증가한 경우, 건조 행정 시간을 이전보다 감소시켜서 스마트 건조 행정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제2세탁지수가 제1세탁지수보다 감소한 경우이면 건조 행정 코스의 시간을 이전보다 늘리거나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스마트 건조 행정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스마트 건조 행정 코스 정보는 세탁기(100) 도어(120)의 개방 신호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22)에 출력될 수 있다(S750).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1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가 도어(120)의 일측 또는 힌지부(14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 완료 후 도어(120)의 개방이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122)이 활성화되고 상기 스마트 건조 행정을 실행하기 위한 건조 옵션 화면이 터치 스크린(122)에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사용자가 건조 옵션 화면의 실행 버튼을 터치하기만 하면, 현재 날씨 상황에 최적인 건조 행정으로 건조가 즉시 실행된다. 이와 같이, 세탁 완료 후 도어(120)의 개방 신호에 응답하여 건조 옵션 화면을 제공하는 이유는, 세탁이 완료된 후 한참 후에 세탁물을 수거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에 따른 구체적인 화면변화를 보여준다. 설정된 또는 변경된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이 완료되면, 터치 스크린(122)에는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화면정보(801)가 출력된다. 화면정보(801)의 인디케이터 영역(820)에는 서버(200)와의 연결/연결해제를 알려주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연결된 서버(200)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된 날씨 정보를 기초로 세탁지수를 재산출한다. 이와 같이 날씨 정보의 수집 및 세탁지수의 산출 동안, 터치 스크린(122)에는 정해진 대기 화면(802)이 출력된다.
제어부(180)는, 세탁 완료 후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때까지 기준 시간 간격으로 서버(200)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여 세탁지수를 재산출한다. 다만, 상기 대기 화면(802)는 전원 소모를 고려하여 세탁 완료 후 소정 시간 동안만 출력되고, 그 이후에는 터치 스크린(122)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최신 날씨 정보와 재산출된 세탁지수를 기초로 건조 행정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개시 시점에는 습도가 낮았으나, 세탁 완료 후 습도가 높아지거나 비가 오는 경우, 건조 행정의 강도, 횟수,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예에서는 세탁지수, 날씨 정보 이외에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기초로 스마트 건조 행정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소 세탁 완료 후 30분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패턴이었는데 세탁지수가 낮은 경우에는 건조 행정의 시간을 1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어(120)의 개방이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122)이 활성화되면서 설정된 스마트 건조 행정을 즉시 실행할 수 있는 건조 옵션 화면(803)이 출력된다. 건조 옵션 화면(803)의 중앙에는 세탁지수를 나타내는 그래픽객체(811)가 표시되고, 설정된 건조 시간이 내원 영역(802)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어(120)의 닫힘을 확인한 후 실행 버튼(812)을 선택하면, 설정된 스마트 건조 행정으로 건조가 실행된다.
이하,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또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설정된 스마트 행정 코스를 터치 스크린을 통해 변경 조작한 경우에 세탁기의 동작방법의 구체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세탁지수와 날씨 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에 기초하여 설정된 스마트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이 세탁기(10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122)에 디스플레이된다(S50).
세탁기(100)는 디스플레이된 옵션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별 행정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 즉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60).
이를 위해, 상기 옵션 화면에는 설정된 스마트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개별 행정, 예를 들어 헹굼 행정, 탈수 행정, 물온도, 건조 행정 등의 강도, 시간, 횟수를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화면전환 없이 옵션 화면상에서 개별 행정의 조절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세탁기(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세탁 패턴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70). 구체적으로, 변경된 세탁 코스로 세탁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변경된 세탁 코스를 기초로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된 세탁 패턴을 기초로 다음의 세탁지수를 산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변경된 세탁 코스를 해당 세탁지수에 대응되는 최적 세탁 코스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세탁지수가 동일한 경우라도 구체적인 날씨 정보가 다른 경우(예, 미세먼지 높음, 일사량 부족 등)에는 저장된 최적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을 대응되게 조절하여서 스마트 세탁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방법에 의하면, 세탁 개시 명령만 입력되면, 현재의 날씨 정보와 사용 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알아서 최적의 세탁 코스를 설정해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날씨 상황에 따라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을 각각 추가 또는 변경해야했던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또한, 최적의 세탁 코스는 기존의 사용자의 세탁 패턴의 분석을 기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취향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지수를 직관할 수 있는 시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 진행 여부 및 행정 변경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최적의 세탁 코스가 설정된 후에도 편리한 터치 조작으로 원하는 개별 행정을 쉽고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완료 이후에도 최신 날씨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 제공해줌으로써, 인터페이스가 편리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세탁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1. 세탁조;
    상기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세탁 관련 기능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고, 업데이트된 날씨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지수와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조의 세탁 코스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화면에는 설정된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 정보를 알려주는 제1그래픽객체와 상기 세탁지수에 대응되는 제2그래픽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세탁 패턴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세탁 패턴 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와 상기 세탁지수를 기초로 상기 세탁 패턴 정보에 포함된 세부 행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화면에는 상기 세탁 패턴 정보의 세부 행정 중 조정된 세부 행정을 알려주는 시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 정보와 세탁 패턴을 수집하고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대기 시간 동안 정해진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화면의 제2그래픽객체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옵션 화면이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와 상기 세탁지수를 알려주는 화면 정보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에는 소정 기간 동안의 세탁지수와 날씨 정보의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에 가해진 터치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날짜의 세탁지수와 날씨 정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날짜의 세탁지수의 이미지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해당 날짜에 설정되었던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이 상기 이미지 주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는 동안,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세탁지수의 정보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에 팝업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에 가해진 터치가 해제되면 팝업된 세탁지수의 정보가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지수를 알려주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활성화 상태인 동안 정해진 영역에 계속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개시 명령의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세탁지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세탁지수의 세탁 적합도가 임계 레벨 미만이면, 정해진 알림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세탁코스로 세탁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여 세탁지수를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세탁지수를 기초로 건조 행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 완료 후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설정된 건조 행정을 실행하기 위한 건조 옵션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 완료 후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때까지 기준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된 날씨 정보를 요청하여 세탁지수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화면에는 설정된 세탁 코스의 세부 행정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 행정 정보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옵션 화면을 유지하면서 상기 설정된 세탁 코스의 개별 행정 코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행정 코스의 조작에 따라 변경된 세탁 코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업데이트하고, 변경된 세탁 코스를 해당 세탁지수에 대응되는 최적 세탁 코스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으로서,
    세탁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연결된 서버에 날씨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정보를 기초로 세탁 적합도를 나타내는 세탁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세탁지수와 상기 업데이트된 날씨정보 및 사용자의 세탁 패턴을 기초로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세탁 코스로 세탁을 실행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작방법.
KR1020170100506A 2017-08-08 2017-08-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KR10244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06A KR102442974B1 (ko) 2017-08-08 2017-08-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PCT/KR2018/008412 WO2019031734A1 (ko) 2017-08-08 2018-07-25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06A KR102442974B1 (ko) 2017-08-08 2017-08-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363A true KR20190016363A (ko) 2019-02-18
KR102442974B1 KR102442974B1 (ko) 2022-09-14

Family

ID=6527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506A KR102442974B1 (ko) 2017-08-08 2017-08-08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2974B1 (ko)
WO (1) WO2019031734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58A1 (ko)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CN114075741A (zh) * 2020-08-11 2022-02-22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洗衣机洗涤程序配置方法、系统、存储介质、洗衣机
WO2023277396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77402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5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77598A1 (en) * 2021-06-30 2023-01-05 Lg Electronics Inc.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3277394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015694A4 (en) * 2019-08-13 2023-09-06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CLOTHING TREATMENT DEVICE
WO2023224186A1 (ko) * 2022-05-17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전기기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0939A (zh) * 2019-04-23 2020-10-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获取天气信息功能的洗涤设备的控制方法
KR20210009156A (ko) * 2019-07-16 2021-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12411118B (zh) * 2019-08-05 2024-03-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设备功能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0761031A (zh) * 2019-10-18 2020-02-07 衣锦浣香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家用智能洗衣机衣物识别防掉色系统
CN112941802A (zh) * 2019-12-11 2021-06-11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KR20240043889A (ko) * 2022-09-27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705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20120023497A (ko) * 2010-09-02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2585A (ko) * 2012-12-05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20150118749A (ko) * 2014-04-15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82060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76298B1 (en) * 2014-08-01 2020-12-3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705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20120023497A (ko) * 2010-09-02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2585A (ko) * 2012-12-05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20150118749A (ko) * 2014-04-15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82060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58A1 (ko)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EP4015694A4 (en) * 2019-08-13 2023-09-06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CLOTHING TREATMENT DEVICE
CN114075741A (zh) * 2020-08-11 2022-02-22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洗衣机洗涤程序配置方法、系统、存储介质、洗衣机
WO2023277396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77402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5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4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77598A1 (en) * 2021-06-30 2023-01-05 Lg Electronics Inc.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3224186A1 (ko) * 2022-05-17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전기기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734A1 (ko) 2019-02-14
KR102442974B1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6363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US11535967B2 (en)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2647035B1 (ko) 의류처리장치
AU201638533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733952B1 (en) Washing machine
EP2639676A2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8475177A (zh) 用于电器的拖动设置用户界面
TWI486868B (zh) 具有快捷啟動功能之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CN104885047A (zh) 终端和终端操控方法
CN107924271A (zh) 包括配置为外部或内部触摸屏的操作装置的家用器具
CN104199604A (zh) 一种具有触摸显示屏的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CN103809902A (zh) 用于改变设置值的电子装置和方法
CN105893130B (zh) 一种移动终端应用程序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WO2020013092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557678B1 (ko) 서버, 가전 기기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CN104335158A (zh) 终端和终端控制方法
JP6145706B2 (ja) 操作装置及び洗濯機
JP2015089390A (ja) 操作装置及び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