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342A -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342A
KR20190016342A KR1020170100446A KR20170100446A KR20190016342A KR 20190016342 A KR20190016342 A KR 20190016342A KR 1020170100446 A KR1020170100446 A KR 1020170100446A KR 20170100446 A KR20170100446 A KR 20170100446A KR 20190016342 A KR20190016342 A KR 2019001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ndow
frequency hopping
spectrum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297B1 (ko
Inventor
오성준
김남경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0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2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36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hop frequencies, e.g. using a bank of frequency sources, using continuous tuning or using a trans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36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hop frequencies, e.g. using a bank of frequency sources, using continuous tuning or using a transform
    • H04B2001/71367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hop frequencies, e.g. using a bank of frequency sources, using continuous tuning or using a transform using a trans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23Adaptiv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53Fast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61Slow frequency 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수신된 신호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 1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기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detection rate of frequency hopping signals}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다. 특히, 군사용 통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다.
신호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역 확산(Spread Spectrum)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역확산 기술 중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방법은 군사용 통신과 상용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용 통신에서는 다중 사용자들이 간섭현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주파수 도약 기술이 이용된다. 상용 통신에서 주파수도약기술은 Bluetooth 표준과 WLAN 표준 등의 기술로서 사용되고 있다.
군사용 통신에서도 주파수 도약 기술은 우수한 항 재밍(Anti-Jamming) 성능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주파수 도약 기술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고정된 반송파를 사용하지 않고 광대역 상에서 반송파가 다양한 주파수 채널로 도약하는 통신 방식이다. 이러한 주파수 도약 기술은 아군의 전송 신호에 대해 적군의 탐지 및 복원이 어렵도록 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적군이 주파수 도약 신호의 형태로 송수신을 한다면 아군 역시 이를 탐지 및 복원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주파수 도약 신호에 대한 탐지 및 복원하는 방법은 중요한 연구 분야이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많은 연구에서 주파수 도약된 신호의 탐지율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수신된 신호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 1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기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윈도우의 크기 및 상기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size)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상기 제 2 스펙트럼 각각의 피크 값을 합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MFSK(M-ary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모듈레이션(modulation)된 신호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는 빠른 주파수 도약(Fast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및 느린 주파수 도약(Slow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신호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 1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기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기 소정의 범위를 갖는 상기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3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하는 탐지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윈도우의 크기 및 상기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size)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탐지부는,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상기 제 2 스펙트럼 각각의 피크 값을 합친 결과를 출력한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MFSK(M-ary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모듈레이션(modulation)된 신호를 포함한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는 빠른 주파수 도약(Fast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및 느린 주파수 도약(Slow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도약 신호의 검출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주파수 도약 신호의 의사잡음성 랜덤 패턴(Pseudo random pattern)을 모른다고 가정할 때,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방식으로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FT(Frequency-Time) domain에서 수집된 신호의 Energy Map을 만들 때, 본 발명은 수집한 FFT 신호의 검출성능을 높이기 위해 Windowing을 사용한다. 이는 주파수 도약 통신 방법 중 빠른 주파수 도약(Fast Frequency Hopping), 느린 주파수 도약(Slow Frequency Hopping) 방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군의 신호에 대해 재밍(Jamming)을 시도할 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Bluetooth와 같은 상용 통신에도 적용하여 더 좋은 품질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100)는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및 탐지부(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10)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미도시), 수신된 신호를 증폭, 변환 등을 수행하는 고주파 수신 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도약 신호는 빠른 주파수 도약(Fast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또는 느린 주파수 도약(Slow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일 수 있다.
빠른 주파수 도약 기술은 한 비트 당 여러 개의 홉(hop)을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느린 주파수도약 기술은 한 개의 홉 당 여러 비트를 할당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빠른 주파수 도약 기술 및 느린 주파수 도약 기술의 구체적인 방식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는 MFSK(M-ary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모듈레이션(modulation)된 신호일 수 있다.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의 구체적인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비트 시퀀스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b)에는 BFSK(Binary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에 의하여 도 2의 (a)에 나타난 데이터를 변조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d)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6개의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신호와 도 2의 (b)에 도시된 신호를 조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직접 확산 시스템에서는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으로 주로 PSK(Phase Shift Keying) 방식이 활용된다. 다만, 주파수 도약 시스템에서는 변조 방식으로 주로 FSK(Frequency Shift Keying)이 활용된다. 한편, 신호의 송신단(transmitter)(미도시)에 포함된 FH-Modulator에서 PN sequence를 곱해주게 되는데, 이것에 의해 변조된 신호의 반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가 의사 랜덤(Pseudo random)하게 호핑(Hopping)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주파수 도약 신호는, 신호의 반송 주파수가 빠른 속도로 호핑(Hopping)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신호를 잡아내기 어려운 것도 있지만, 그 신호의 세기(Power)가 매우 낮은 수준(즉, 잡음 수준)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신단(receiver)에서 이러한 신호를 잡음과 구별해 검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된 신호에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 1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제 1 신호 및 제 1 스펙트럼이 생성되는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에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 2 윈도우는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윈도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제 2 윈도우는, 제 1 윈도우의 시작 지점에서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된 지점을 시작 지점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 1 윈도우의 크기 및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고속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size)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탐지부(130)는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한다. 구체적으로, 탐지부(130)는 제 1 스펙트럼 및 상기 제 2 스펙트럼 각각의 피크 값을 합친 결과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광 대역에서 주파수 도약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FFT'라고 함) 수신기를 사용한다. FFT는 시간 축의 성분을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FFT point 에 따라 주파수의 해상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FFT의 point가 N 이고,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fs 라고 했을 때, FFT point 1개가 표현하는 주파수는 fs/N이 된다. 예를 들어, fs = 0 ~ 16MHz, N = 1024 일 때, 16M/1024 만큼의 간격마다 주파수가 표현된다. FFT 수신기가 주파수도 약 신호를 탐지(detection)할 때, 탐지 신호의 주파수가 정확히 fs/N의 정수 배와 일치한다면, 가장 좋은 탐지성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탐지 신호의 주파수가 정확히 fs/N의 정수 배와 일치하지 않으면 스펙트럼 누출(Spectral leakage)이 발생한다. 만약, 탐지신호의 주파수가 FFT point의 가운데에 위치하면, 스펙트럼 누출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가 가장 나쁜 탐지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스펙트럼 누출로 인한 탐지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에 윈도우를 적용한다. 윈도우가 적용되는 경우, 스펙트럼 누출이 발생하는 범위를 압축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역으로, 탐지 신호의 주파수가 정확히 FFT 신호와 일치하는 좋은 탐지성능을 보이는 경우에는, 윈도우를 적용함으로써 약간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100)는 윈도우의 적용으로 인한 신호 파워의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를 적용한다. 다시 말해,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제 1 윈도우 및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적용한다. 이에 따라, 장치(100)는, FFT point에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 및 FFT point에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스펙트럼 누출이 생기는 경우 모두에서 더욱 향상된 탐지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20) 및 탐지부(1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수신부(110)의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수신부(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에 제 1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 1 윈도우의 크기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사이즈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신호 처리부(120)는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설정한다. 다시 말해, 신호 처리부(120)는 제 1 윈도우의 시작 지점보다 지연된 지점을 제 2 윈도우의 시작 지점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20)는 신호 처리부(120)가 기 처리한 신호(즉, 수신부(110)가 기 수신한 신호)의 지연 값에 기초하여 제 2 윈도우의 시작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의 전송 경로가 달라지는 등의 요인에 따라, 송신단(미도시)에서 발신한 신호가 지연되어 수신부(110)에 도착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20)가 제 2 윈도우의 시작 지점을 기 처리한 신호의 지연 값에 기초하여 결정함에 따라, 주파수 도약 신호의 검출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윈도우의 크기와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사이즈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에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신호 처리부(120)가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호에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를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는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신호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b)에는 신호 처리부(120)가 도 4의 (a)에 도시된 신호에 제 1 윈도우를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c)에는 신호 처리부(120)가 도 4의 (a)에 도시된 신호에 제 2 윈도우를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FFT point는 총 512개가 될 수 있다. 이때, 도 4의 (b) 내지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127개의 FFT point에 대응하는 크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윈도우의 시작 지점은 제 1 윈도우의 시작 지점보다 127개의 FFT point에 대응하는 시점만큼 지연된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탐지부(130)는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한다. 구체적으로, 탐지부(130)는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 각각의 피크 값을 합친 결과를 출력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의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510 단계에서,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부(110)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 1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 1 윈도우의 크기는 고속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수신부(110)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는 MFSK(M-ary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모듈레이션(modulation)된 신호일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신호 처리부(120)는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530 단계에서,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된 신호에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 2 윈도우의 크기도 고속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540 단계에서, 신호 처리부(120)는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550 단계에서, 탐지부(130)는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한다. 예를 들어, 탐지부(130)는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 각각의 피크 값을 합친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그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가능한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그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의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또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디스크 저장부, 자성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성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절히 명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쌍,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그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쌍,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성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상기의 조합들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수행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형태들로 제한하려고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성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허여하려는 것이다.
100: 장치
110: 수신부
120: 신호 처리부
130: 탐지부

Claims (11)

  1.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 1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기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윈도우의 크기 및 상기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size)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상기 제 2 스펙트럼 각각의 피크 값을 합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MFSK(M-ary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모듈레이션(modulation)된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는 빠른 주파수 도약(Fast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및 느린 주파수 도약(Slow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방법.
  6.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주파수 도약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신호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 1 윈도우(window)를 적용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제 1 스펙트럼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기 제 1 윈도우가 지연된 제 2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기 소정의 범위를 갖는 상기 윈도우를 적용하여 제 3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신호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제 2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제 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를 탐지하는 탐지부;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윈도우의 크기 및 상기 제 2 윈도우의 크기는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size)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부는,
    상기 제 1 스펙트럼 및 상기 제 2 스펙트럼 각각의 피크 값을 합친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MFSK(M-ary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모듈레이션(modulation)된 신호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약 신호는 빠른 주파수 도약(Fast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및 느린 주파수 도약(Slow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이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장치.
KR1020170100446A 2017-08-08 2017-08-08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95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46A KR101953297B1 (ko) 2017-08-08 2017-08-08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46A KR101953297B1 (ko) 2017-08-08 2017-08-08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342A true KR20190016342A (ko) 2019-02-18
KR101953297B1 KR101953297B1 (ko) 2019-02-28

Family

ID=6556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446A KR101953297B1 (ko) 2017-08-08 2017-08-08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377B1 (ko) * 2021-04-20 2022-10-14 국방과학연구소 주파수 도약 신호의 도약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483A (ko) * 1999-04-12 2001-12-07 러셀 비. 밀러 확산 스펙트럼 무선 기지국에서 밴드내 방해전파를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40017A (ko) * 2000-11-23 2002-05-30 구자홍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신호 수신 장치
KR20070061027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밴드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초광대역 시스템에서의고속푸리에변환 윈도우 위치 조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483A (ko) * 1999-04-12 2001-12-07 러셀 비. 밀러 확산 스펙트럼 무선 기지국에서 밴드내 방해전파를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40017A (ko) * 2000-11-23 2002-05-30 구자홍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신호 수신 장치
KR20070061027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밴드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초광대역 시스템에서의고속푸리에변환 윈도우 위치 조정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효배 외 3명, "FHSS/BFSK 시스템에서의 블라인드 도약 주파수 추정 기법",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0.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377B1 (ko) * 2021-04-20 2022-10-14 국방과학연구소 주파수 도약 신호의 도약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297B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8082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462364B1 (ko) 근거리 자기장 통신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1880A (ko) 무허가 대역에서의 스펙트럼 공유
US7450650B2 (en) UWB pulse sequence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UWB pulse sequence
EP2062397A1 (en) Method for detection and avoidance of ultra wideband signal and ultra wideband device for operating the method
CN111404579A (zh) 多序列跳频通信方法、发射机和接收机
KR102149456B1 (ko) 재밍 기능 및 통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3297B1 (ko)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55955A (ko) 데이터 변조방법 및 복조방법
KR102005098B1 (ko) 추적 재밍에 강인한 주파수 도약 통신 방법
US20230198818A1 (en) Communication Devices, Systems, Software and Methods employing Symbol Waveform Hopping
Olama et al. Analysis, optim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hybrid DS/FFH spread-spectrum technique for smart grid communications
JP4123433B2 (ja) Uwb受信方法及びuwb受信装置
US10931403B2 (en) Communication devices, systems, software and methods employing symbol waveform hopping
Jákó et al. Multiple access capability of the FM-DCSK chaotic communications system
US7778149B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ing fast access channel
Molchanov et al. A novel bispectrum-based frequency encoding technique developed for noisy and multipath fading radio links
Zhou et al. Novel spread spectrum based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low signal-to-noise ratio environments
CN115580511B (zh) 扩频调制的方法及装置
CN115276713B (zh) 信号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Ra et al. Superimposed DSSS transmission based on cyclic shift keying in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US20170019226A1 (en) Preamble Detection on a Communication Channel
Killough et al. FPGA-based implementation of a hybrid DS/FFH spread-spectrum transceiver
Li et al. Under‐sampling spectrum‐sparse signals based on active aliasing for low probability detection
JP5787846B2 (ja) 受信装置、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