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294A -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294A
KR20190016294A KR1020170100336A KR20170100336A KR20190016294A KR 20190016294 A KR20190016294 A KR 20190016294A KR 1020170100336 A KR1020170100336 A KR 1020170100336A KR 20170100336 A KR20170100336 A KR 20170100336A KR 20190016294 A KR20190016294 A KR 20190016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ignal
information
vehicl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석
김태선
김승년
윤용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294A/ko
Priority to US16/011,766 priority patent/US10798188B2/en
Priority to PCT/KR2018/007643 priority patent/WO2019031708A1/en
Publication of KR2019001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8Gesture-dependent or behaviour-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4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corresponding n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DRIVING}
다양한 실시예들은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driver) 또는 동승자(passenger)의 편의(convenience)를 위해, 차량(vehicle) 내에서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화면(screen)을 표시하는 기능,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운전자(driver)가 차량을 운전하는 동안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것(handling)은 사고(accident)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운전 중 운전자가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solution)이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운전 중 조작이 요구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다른 전자 장치에게 위임(authorize)하기 위해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1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명령어(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와, 디스플레이(display)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능적으로 연결(operably coupled to)되고,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driving)과 관련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request signal)를 송신하고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response signal)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in)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driving)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되는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제4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1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다른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되는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제4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의 방법은, 전자 장치의 기능들 중 일부 기능을 다른 전자 장치에게 위임(authorize)함으로써, 보다 높은 안전성(safety)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environment)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위임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위임의 대상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엿듣기(over-hearing)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또 다른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위임을 위한 연결을 해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연결을 해제하는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움직임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표시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전자 장치(102), 서버(1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00)은 전자 장치(101), 다른 전자 장치(102), 서버(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차량(vehicle)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운전자(driver)와 관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운행 중인 차량 내의 운전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 내에서 운전자와 근접하여(in proximity to)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동성(mobility)을 가지면서 차량 내에서 임시적으로 고정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차량에 임베디드된 독(dock)을 통해 고정되는(fixed)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등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차량에 부착 가능한(attachable) 독을 통해 고정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되는 고정된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차량의 생산 과정에서 차량 내에 삽입(insert)되는 컴퓨팅 장치(computing device)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생산 과정 이후 튜닝(tuning)을 통해 차량 내에 삽입되는 컴퓨팅 장치(computing device)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차량 내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통신 장치(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모듈, 모뎀 등)를 통해 다른 개체(entity)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예: 서버(108) 등)와 같은 다른 개체에게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을 송신하거나, 다른 개체로부터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다른 개체에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music streaming service)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movie streamining service)와 관련된 트래픽을 송신하거나, 다른 개체로부터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base station) 등과 같은 다른 개체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에게 발신 통화(outgoing call)와 관련된 트래픽을 송신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다른 개체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통화(incoming call)와 관련된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출력 장치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장치(예: 차량 내에 임베디드된 장치 또는 차량에 부착된 장치)에 포함된 출력 장치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display) 또는 스피커(speaker)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통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장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통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차량 내에서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예: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GPS 등)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장치의 IMU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차량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동승자(passenger)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전자 장치(102)는 동승자가 소지하거나 휴대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차량 내에서 전자 장치(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8)는 차량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버(108)는, 차량 외부에 위치되며, 전자 장치(101)과 무선적으로(wirelessly) 또는 원격으로(remotely) 연결 가능한(connectable) 장치일 수 있다.
서버(108)는 차량 내에 위치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등)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8)는 차량 내에 위치된 전자 장치(101)에게 네비게이션 서비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통화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거나 전자 장치(101)에게 트래픽을 송신할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중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것은 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핸즈프리 서비스 의무화 규정 등이 제정(establish, legislate)되었지만, 전자 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러한 규정만으로 안전을 보장(gurantee)하는 것은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운전자와 관련된 전자 장치(101)와 동승자와 관련된 다른 전자 장치(102) 사이의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함(authorize)으로써, 운전 중 운전자가 전자 장치(101)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서버(1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300)은 제1 전자 장치(104), 제2 전자 장치(101), 제3 전자 장치(102), 서버(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내에서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location)에 배치(dispose)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된 독(dock)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내의 표면(surface)에 부착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내의 표면(예: 차량 내의 유리, 차량 내의 보드(board) 위 등)에 부착 가능한 독(dock)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 제3 전자 장치(102)와 같은 전자 장치에게 무선 경로 또는 유선 경로를 통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 제3 전자 장치(102)와 같은 전자 장치에게 파워를 제공하기 위해, 신호를 송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01) 또는 제3 전자 장치(102)가 이동성을 가지는 장치인 경우, 제2 전자 장치(101) 또는 제3 전자 장치(102)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파워를 제공 받는 것이 요구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이러한 제2 전자 장치(101) 또는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신호를 통해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 제3 전자 장치(102)와 같은 전자 장치에게 통신 서비스 또는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장치(beacon devic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4)는 제1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 제1 전자 장치(104)의 MAC(medium access control) ID(identifier) 또는 주소(address) 등)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beacon signal)을 주기적으로(periodically) 송신하는 비콘 장치(또는 송신기(transmitter))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와 임시적으로 결합되는(coupled or connected)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2 전자 장치(101)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전자 장치(101)를 거치(hold)하는 독(dock)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제1 전자 장치(104)에 포함된 IMU 센서 또는 제1 전자 장치(104)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차량 내의 IMU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 또는 제3 전자 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가 제2 전자 장치(101)에게 파워를 제공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104)는, 파워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 또는 상기 경로와 구별되는 다른 경로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가 비콘 장치일 경우, 제1 전자 장치(104)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coverage)는 차량 내부 전체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무선 경로를 통해 차량 내에 위치되는(즉, 커버리지 내에 위치되는) 제2 전자 장치(101) 또는 제3 전자 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 상응할 수 있고, 제3 전자 장치(102)는 도 1에 도시된 다른 전자 장치(102)에 상응할 수 있으며, 서버(108)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8)에 상응할 수 있다.
사고의 예방을 위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101)는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제2 전자 장치(101)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의 정보를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하는 허브(hub) 또는 링크(link)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4)는 제1 전자 장치(104)에 거치된 제2 전자 장치(101)에게 파워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제2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2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무선적으로 연결된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위임(authorization)을 위한 제2 전자 장치(101)와 제3 전자 장치(102)의 연결을 유도(guide, lead, 또는 incent)하는 허브 또는 링크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4)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2 전자 장치(101)와 제3 전자 장치(102)가 비콘 서버(미도시)에게 제2 전자 장치(101)와 제3 전자 장치(102)가 동일한 차량 내에 위치됨을 알리는 것을 유도하는 허브 또는 링크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을 통해, 비콘 서버는, 상기 위임을 위한 제2 전자 장치(101)와 제3 전자 장치(102) 사이의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2 전자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전자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기능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2), 도 2에 도시된 다른 전자 장치(102), 도 3에 도시된 제3 전자 장치(102) 등과 같은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디스플레이(160), 센서 모듈(176), 전력 관리 모듈(188),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component)들(예: 메모리(130), 디스플레이(160), 센서 모듈(176), 전력 관리 모듈(188), 통신 모듈(190) 등)과 기능적으로(operably 또는 operatively) 결합(coupled)되거나 연결(connected)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과 관련되는 복수의 명령어(instruction)들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력 관리 모듈(188) 또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전력 관리 모듈(188)을 통해 수신되는 충전을 위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충전을 위한 신호는 차량 내에 위치되는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4)과 같은 충전 장치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장치의 ID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 PSK(phase shift keying) 등과 같은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에 기반하여 변조됨으로써 상기 충전을 위한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변조 방식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상기 충전을 위한 신호를 복조(demodulate)함으로써, 상기 충전을 위한 신호 내에 포함된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예: identifier(ID))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획득된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가 차량과 관련된 장치의 식별 정보임을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예: 기준 정보, 등록 정보, 지정된 정보 등)를 통해 확인하거나,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차량 내에 위치되고 차량 내부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상응하는 크기의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는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1)와 같은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상기 비콘 장치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차량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 관리를 위한 신호(예: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신호 등)를 통신 모듈(190)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차량 관리를 위한 신호의 경로가 상기 차량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됨을 확인하거나 상기 차량 관리를 위한 신호에 포함된 차량의 식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을 통해 생성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GPS 등과 같은 센서를 통해 획득되고 생성되는 신호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예: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 상태임을 확인(예: 전자 장치(101)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10 (m/s) 이상인 15 (m/s)임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위임을 위한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위임을 위한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즉,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거나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위임은, 차량 내에 위치된 전자 장치(101)가 전자 장치(101)의 기능에 대한 제어 권한을 차량 내에 위치된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위임은, 다른 전자 장치(102) 내에서 상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임은, 다른 전자 장치(102) 또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1)를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인가하는 행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송신되거나 방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다양한 통신 기법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BT(bluetooth)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Wi-Fi 다이렉트(direc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지정된 시간 동안 방송되거나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은, 상기 위임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시간이 30초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30초 동안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방송하고 30초가 경과되는 경우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신호의 방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과 관계없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30초가 경과되기 이전에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이 수행될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상기 위임을 위한 인증의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즉,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NFC 또는 MST를 통해 송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NFC 또는 MST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다른 전자 장치(102) 사이의 태깅(tagging)이 NFC 또는 MST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NFC 또는 MST는 제한된 커버리지를 가지는 통신 기법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태깅은, 오프라인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예: 운전자)가 다른 전자 장치(102)의 사용자(예: 동승자)가 태깅을 수행함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위임에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BT 또는 BLE를 통해 송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BT 또는 BLE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BT 또는 BLE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상기 인증을 승인(approval 또는 allow)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즉,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전자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에 대한 제어권한을 위임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의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수락을 요구하기 때문에, 상기 위임에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Wi-Fi 다이렉트, LTE 사이드링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Wi-Fi 다이렉트, LTE 사이드링크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또는 LTE 사이드링크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2)는 상기 문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문의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수락을 요구하기 때문에, 상기 위임에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101)과 다른 전자 장치(102) 사이의 연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예: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상기 위임을 위한 인증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위임을 위해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생성(또는 수립(establish))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의 생성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에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연결의 생성은, 다른 전자 장치(102)의 프로세서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에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다른 전자 장치(102)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기법(communication scheme)에 따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은, 해당 통신 기법의 프로토콜(예: 해당 통신 기법의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 기법은,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위해 이용되는 통신 기법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동작에서 이용된 통신 기법은 MST 또는 NFC이고, 상기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기법은 BT 또는 BLE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동작에서 이용된 통신 기법은 BT이고, 상기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기법은 BT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 권한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기 위한 위임 메시지(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 내에서 전자 장치(101)을 통해 제공되는 일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표시 중인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권한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기 위한 신호(또는 메시지)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권한(예: 목적지 설정, 경로 변경 등)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기 위한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운전 중 운전자의 조작(handling)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권한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기 위한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현재 표시되고 있지는 않으나 운전자에게 운전 중 조작을 요구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권한, 음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권한, 동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권한 등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기 위한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서버(예: 서버(108) 등)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버 등과 같은 개체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신호가 상기 위임과 관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가 상기 위임과 관련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상기 신호에 대한 정보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일부 제어 권한(예: 영상 통화에 대한 제어 권한)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통화와 관련된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위임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과 관련된 신호는 위임과 관련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를 통해 제어된 정보(예: 목적지 설정, 경로 변경 등)를 포함하는 위임과 관련된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위임과 관련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운전자의 직접 입력(예: 터치 입력) 없이 목적지가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경로가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의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위임을 위한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해제(release)하거나 종료(terminate 또는 cease)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서 생성되거나 전자 장치(101)로부터 송신되거나 전자 장치(101)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또는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176)을 통해 생성되는 신호가 나타내는 전자 장치(101)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이 차량 외부에 위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되지 않음(즉,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상태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상기 위임을 종료(또는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을 종료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으로부터 차량의 도어락을 잠그기 위한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신호의 송신에 기반하여,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확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상기 위임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 후,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의 모드를 기본 모드(default mode)에서 운전 모드(driving mode)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운전 모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을 직접 조작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운전 모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소화된 화면 구성(예: 기본 모드보다 적은 숫자의 아이콘을 가지는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운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101)는 제스쳐 인식 또는 음성 인식을 통해 동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이 상기 운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진입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별도의 입력 없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인증을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은 상기 위임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인증이 완료됨(또는 수행됨)을 확인(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증의 성공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 후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위임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위임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위임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중첩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위임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종료하고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4) 등)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하거나 차량 내에 탑재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생성할수 있다. 상기 연결을 통해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에게, 외부 전자 장치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에게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연결을 통해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에게, 외부 전자 장치의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을 통해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GPS 등을 통해, 차량의 속도, 차량의 위치 등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176)의 동작 주파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센서의 동작 주파수와 다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176)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의 움직임과 관련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176)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된 차량의 움직임과 관련된 상태를 다른 개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운전 습관 분석, 차량의 상태 정보 제공 등을 위해, 빅 데이터 서버에게 상기 결정된 차량의 움직임과 관련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송신은, 지정된 주기마다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사고의 발생에 따른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재난 관련 기관과 관련된 서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움직임과 관련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에 상응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의 읽기 명령 또는 쓰기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본 개시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명령어들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30)에 상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60)에 상응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1)이 위치된 환경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모듈(176)에 상응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유선적으로 또는 무선적으로 수신되는 파워와 관련된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4)로부터 무선적으로 제공되는 파워를 프로세서(120)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4)로부터 유선적으로 제공되는 파워를 프로세서(120)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관리 모듈(188)에 상응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다양한 통신 기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은 셀룰러 통신과 같은 광역 범위 통신(wide range communication), WLAN 통신(예: Wi-Fi), 블루투스, BLE, NFC, MST, QR 코드 등과 같은 SRC(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모듈(190)에 상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다른 전자 장치에게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임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되는 경우, 보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와 전자 장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모두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권한들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vehicle) 내에 탑재(embedded)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상기 차량 또는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정해진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장치(beacon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함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vehicle)의 도어락을 해제(release)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상기 차량을 향해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movement velocity)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속도와 관련된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지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내에 탑재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designated) 상태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difference)가 지정된 범위 밖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사고(accident)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함으로써,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1 통신 기법(communication scheme)은,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2 통신 기법과 적어도 일부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guide)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 각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1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명령어(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와, 통신 인터페이스(예: 통신 모듈(190))와,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능적으로 연결(operably coupled to)되고,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driving)과 관련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request signal)를 송신하고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response signal)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in)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예: 프로세서(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2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1 통신 기법(communication scheme)은,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2 통신 기법과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guide)하기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차량(vehicle) 내에 탑재되거나(embedded)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한(attachable)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battery)에 파워(power)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파워가 공급되는 경우 주기적으로(periodically)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장치(beacon device)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1 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차량(vehicle)의 도어락(door lock)을 해제(release)하기 위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차량을 향해(toward)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movement velocity)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임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신호는, 차량(vehicle) 내에 탑재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다른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3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연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designated) 상태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difference)가 지정된 범위 밖임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과 관련된 사고(accident)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됨을 결정하고,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중단(cease)하기 위한 제3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연결을 해제(release)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 각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driving)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되는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제4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상기 제3 정보, 및 상기 제4 정보 각각은,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2 정보에 중첩된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를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상기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4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다른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다른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수신과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송신 각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프로세서(120),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송신되거나 전자 장치(101) 내에서 생성되거나, 전자 장치(101)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차량 제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송신되는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176)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확인하고, 전자 장치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결정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차량과 관련되는 제1 전자 장치(104)로부터 수신되는 충전을 위한 신호 또는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을 수행하기 위해, 인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전자 장치(101)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예: 태깅(tagging))이 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NFC 또는 MST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신호는, 블루투스, BLE, Wi-Fi 다이렉트, LTE 사이드링크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신호가 블루투스, BLE, Wi-Fi 다이렉트, LTE 사이드링크 등을 통해 송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인증을 위한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 다른 전자 장치(102)를 인증하기 위해, 인증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의 표시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이전에 인증된 이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 또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상기 위임을 위해 전자 장치(101)에 등록된 경우, 우회(bypass)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지정된 시간 동안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이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의도(intend)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정된 시간(또는 타이머)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이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이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는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위임을 위한 동작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상기 위임을 위한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타이머를 활성화(또는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2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101)이 상기 위임을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와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는, 상기 위임을 위한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의 생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에 접속함으로써,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이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증을 수행할 것을 가이드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제공(또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증이 성공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운전 모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상기 운전 모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사용자(즉, 운전자)의 전자 장치(101)에 대한 조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본 모드에서 제공되는 일부 기능을 제한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기법은, 상기 인증을 위한 시그널링에서 이용된 통신 기법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연결은, 상기 위임을 위한 신호가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경로일 수 있다. 상기 연결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는 전자 장치(101)의 기능에 대한 정보(예: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한 정보 등)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의 일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일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프로세서는, 위임 메시지를 상기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다른 전자 장치(102) 내에서 제어될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다른 전자 장치(102) 내에서 상기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인가함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다른 전자 장치(102) 내에서 상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임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이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요구되는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위임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에서 현재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화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의 송신 이후, 전자 장치(101)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은 다른 전자 장치(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의 송신으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입력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우회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임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다른 전자 장치(102) 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임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에서 표시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구별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다른 전자 장치(102) 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도시와 달리, 상기 위임이 다른 전자 장치(102)와 이전에 수행된 경우 또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상기 위임을 위해 미리 등록된 경우, 동작 520 및 동작 540은 생략되거나 우회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은, 상기 위임이 다른 전자 장치(102)와 이전에 수행된 경우 또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상기 위임을 위해 미리 등록된 경우, 상기 위임 메시지와 같은 별도의 메시지의 송신 없이, 다른 전자 장치(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가 상기 위임을 위해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위임을 위해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위임을 위한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 또는 상기 위임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운전 중 운전자가 전자 장치(101)를 조작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상기 위임을 통해 운전자의 전자 장치(101)의 조작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및 다른 전자 장치(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송신되거나, 전자 장치(101) 내에서 생성되거나, 전자 장치(101)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위임에 대한 인증을 가이드(또는 유도)하기 위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정보(701)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701)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하기 위해,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송신됨(또는 인증 절차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711)(또는 시각적 효과(visual effect))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710)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하기 위한 텍스트(72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721)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이라이트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710)는 지정된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73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731)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이 중단될 때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머(731)에 의해 표시되는 숫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710)는 위임을 위한 절차를 취소(또는 중지)하기 위한 객체(7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741)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위임을 위한 절차를 중지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불특정된(unspecified) 전자 장치에게 송신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방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즉,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커버리지)은, 상기 차량이 차지하는(점유하는, possess)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커버리지가 상기 차량이 차지하는 영역에 상응하도록,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밖에 위치되는 전자 장치가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다양한 송신 기법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지정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또는 반복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은, 사용자에게 상기 위임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묵시적으로 문의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의 잔여량이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지정된 시간은 감소될 수도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을 위한 요? 신호의 송신 주기는 고정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의 잔여량이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송신 주기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에 위치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615와 동작 620은 전자 장치(101)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동작 615와 동작 620는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625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이 NFC 또는 MST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다른 전자 장치(102)의 사용자(예: 동승자)는 동작 615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전자 장치(102)를 전자 장치(101)에 태깅할 수 있다. 상기 태깅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는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101)로부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동작 625에서 전자 장치(101)에게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함을 나타내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블루투스 또는 BLE를 통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수신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의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2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전자 장치(102)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사용자의 조작(즉, 태깅을 수행하지 않는 액션, 표시된 메시지를 무시하는 액션)에 따라,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작 6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동작 635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인증을 위한 신호를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1)는 동작 675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35에서, 지정된 시간 동안(또는 내에)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정보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제1 정보의 표시와 상기 제2 정보의 표시 사이에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다른 정보(75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정보(751)는, 상기 인증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다른 정보(751)는 상기 인증이 성공됨을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7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정보(751)의 표시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중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다른 정보(751)는 제2 정보로 변경(또는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다른 정보(751)를 표시한 후 제2 정보(801)를 표시하거나,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지정된 시간 내에서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정보의 표시 없이 제2 정보(80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801)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801)는, 운전자가 주행 중 상기 제2 정보(801)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을 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전자 장치(101)와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와 다른 전자 장치(102) 사이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에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연결의 생성은 다른 전자 장치(102)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에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연결의 생성은 전자 장치(101)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상기 위임과 관련된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상기 인증을 위한 시그널링에서 이용된 통신 기법과 구별되는 통신 기법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인증을 위한 시그널링에서 이용된 통신 기법과 동일한 통신 기법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동작 645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생성된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제어를 위임하는 전자 장치(101)의 기능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 또는 상기 위임의 만료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이 위임 메시지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하는 기능이 전자 장치(101)이 표시 중인 제2 정보(635)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위임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의 표시를 공유하기 위한 정보(예: 미러링 또는 캐스팅을 위한 정보)와 함께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위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이 승인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50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정보에 상응하는 제3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정보의 표시 구성(configuration)은 상기 제2 정보의 표시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정보와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하지만, 상기 제3 정보의 표시 구성은 상기 제2 정보의 표시 구성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정보(90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정보(901)는 상기 제2 정보(801)과 비교하여(relative to)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9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운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에서 표시되는 제2 정보(801)는 상기 영역(91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정보(801)와 관련된 제어를 위임 받은 장치이기 때문에, 다른 전자 장치(102)에서 표시되는 제3 정보(901)는 상기 영역(911)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55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제3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위임 받은 기능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전자 장치(101)는 제3 정보(901)에 포함된 영역(91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영역(911)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제3 정보(901) 내에서 텍스트(예: 정안마을)를 포함하는 영역(936)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텍스트를 승인(또는 확정)하는 입력을 더 검출할 수 있다.
동작 660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생성된 연결을 통해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변경(예: 전자 장치(101)가 표시 중인 화면의 변경 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영역(936)에 포함된 텍스트를 승인하는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를 승인하는 입력을 검출할 때까지 다른 전자 장치(102)에서 발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665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5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5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정보로부터 변경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전자 장치(102)는 영역(936)에 포함된 텍스트를 확정(즉, 목적지 설정을 완료)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정보(901)로부터 변경된 제5 정보(95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5 정보(9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의 설정이 완료(또는 경로 설정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동작 660과 동작 665는 도 6의 도시와 달리,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동작 660과 동작 665는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동작 67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4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전자 장치(101)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제어에 따라 표시 대상을 상기 제2 정보에서 상기 제4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정보(801)를 표시하는 동안 동작 66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정보(801)로부터 변경된 제4 정보(1001)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의 설정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위임을 통해 전자 장치(10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없이,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4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675에서, 지정된 시간 동안(또는 내에)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가 수신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위임을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운전 모드와 관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다른 전자 장치(102)과의 시그널링을 통해 위임을 수행함으로써, 운전 중인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예: 운전자)가 전자 장치(101)에 대한 입력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과 이격된 상태에서 다양한 인터액션(interaction)들을 전자 장치(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서, 동작 1110과 동작 1120은 동작 51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10에서, 프로세서(120)는, 배터리 충전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4)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되거나 차량 내의 표면 상에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이동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에게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배터리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 관리 모듈(188)을 통해 파워를 충전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는 ASK, FSK, PSK 등과 같은 다양한 변조 기법들에 의해 변조되어 상기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유선적으로 전자 장치(101)에 제공될 수도 있고, 무선적으로 전자 장치(101)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동작 11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가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됨을 확인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와의 시그널링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 결과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가 차량과 관련됨을 확인하는 것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기법(예: BLE의 비코닝(beaconing) 기법, LED 점멸 기법, NFC 기법, QR 코드 기법 등)을 통해 배터리 충전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신호의 파형 분석, 주파수 특성 분석, 상기 신호의 세기(amplitude) 분석 등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배터리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충전을 위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모드를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동작 1210, 동작, 1220, 및 동작 1230은 동작 51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10에서, 프로세서(120)는 차량과 관련된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과 관련된 비콘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4)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관련된 비콘 장치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되거나 차량 내의 표면 상에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파워를 제공받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제공받는 파워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콘 장치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는 차량이 차지하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동작 12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비콘 장치와 관련된 서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제공 받은 서버는, 전자 장치(101)에게 상기 비콘 장치가 차량과 관련됨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101)가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술한 서버와의 시그널링을 이미 수행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와의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전자 장치(101)가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2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이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모드를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동작 1310 및 동작 1320은 동작 51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10에서, 프로세서(120)는 차량의 도어락(door lock)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차량을 향해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130)에 차량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는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는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는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객체(14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객체(1410)를 상기 이미지(1420) 로 이동하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차량을 향해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3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의 도시와 달리,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과 전자 장치(101)이 연동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이 이동됨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차량이 이동됨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차량과 관련된 신호가 송신됨을 확인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모드를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5에서, 동작 1510, 동작 1520, 및 동작 1530은 동작 51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10에서,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GP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176)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176)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5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 또는 차량과 관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정된 조건은, 전자 장치(101)이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 전자 장치(101)이 자동차 전용 도로 내에 위치되는 것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0)는 동작 153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0)는 동작 1510을 재차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530에서,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모드를 운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5을 통해 기술된 동작들의 예는 서로 조합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배터리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센서 모듈(176)을 통해 생성된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에서, 동작 1610, 동작 1620, 및 동작 1630은 동작 52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동작 1610에서, 프로세서(120)는 NFC 또는 MST를 통해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NFC 또는 MST를 통해 지정된 시간 동안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송신되는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은 제한된 넓이를 가질 수 있다. NFC 또는 MST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제한된 넓이의 커버리지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태깅(tagging)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동작 16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상기 인증을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깅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120)는 상기 태깅을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상기 인증을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170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1700)는 상기 태깅을 가이드하기 위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텐츠는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예: 애니메이션),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170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별도의 입력 없이 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위임이 전자 장치(101)에서 요구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동작 1610 이후 동작 1620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동작 1610과 동작 1620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630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NFC 또는 MST를 통해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NFC 또는 MST를 통해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는 제한된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태깅이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서 수신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가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에 태깅될(tagged)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프로세서(120)는 인증을 위한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MST 또는 NFC를 통해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MST 또는 NFC를 통한 인증을 위한 시그널링은, 물리적으로 드러나는 동작인 태깅을 요구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는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게 전자 장치(101)의 제어 권한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에서, 동작 1810, 동작 1820, 및 동작 1830은 동작 52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동작 1810에서, 프로세서(120)는 블루투스를 통해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통해 송신되는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MST 또는 NFC를 통해 송신되는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와 비교하여(relative to) 넓은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블루투스를 통해 송신되는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수신을 위해 태깅 등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를 통해 송신되는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는, 차량이 차지하는 영역에 상응하는 넓이의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리지는, 상기 블루투스틀 통해 송신되는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전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동작 18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인증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대기 화면을 인증을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상기 인증 대기 화면(19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대기 화면(1900)은 인증을 유도하고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가 송신 중임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인증을 유도하는 텍스트, 인증 수행의 완료를 위해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또는 인증을 취소하기 위한 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가 전자 장치(101)가 위치된 차량에 위치되는 경우,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는 도 19에서와 같이, 블루투스와 관련된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 received signal strength)를 나타내는 이미지와 함께 블루투스와 관련된 신호의 송신 주체를 나타내는 객체들을 포함하고, 홈 화면(1910)으로부터 변경된 화면(1915)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화면(1915)이 다른 전자 장치(102)에서 표시되고 있는 동안, 전자 장치(101)는 화면(192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1920)은 상기 화면(1900)으로부터 변경된 화면으로, 화면(1900)과 비교하여 숫자가 감소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1915) 내의 상기 객체들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동작 1830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블루투스를 통해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화면(1915)에 포함된 상기 객체들 중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객체에 대한 입력(1918)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0)는 인증 대기 화면으로 변경되고, 인증이 성공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증 대기 화면(1920)으로부터 변경된 인증 성공 화면(1925)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성공 화면(1925)은 인증이 성공됨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성공 화면(1925)은 특정 시간 동안 표시된 후 다른 화면(예: 대기 화면, 홈 화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 등)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BT를 통해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 및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가 교환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 장치를 인증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화면은, 인증을 인가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executable) 객체, 인증을 인가하지 않기 위한 실행 가능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20)는 인증의 확정을 위한 화면을 더 표시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제어 권한이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블루투스를 통해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릍 통한 인증을 위한 시그널링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위임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위임의 대상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의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에서, 동작 2010 및 동작 200은 동작 54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동작 2010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표시 중인 정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고 제어 권한을 위임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 중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윈도우(210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100)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가이드하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객체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1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위임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기 위한 윈도우의 예를 도시한다. 하지만, 전자 장치(101)에서 표시되는 윈도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객체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나타내는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user selection)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위임 대상을 기능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동작 2020에서, 프로세서(120)는 동작 2010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위임 메시지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최초 위임 시 송신될 수도 있고, 다른 위임이 수행된 상태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윈도우(2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신호 흐름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다른 전자 장치(102), 및 서버(1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동작 22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위임 메시지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인증이 완료된 후 최초로 송신되는 위임 메시지일 수도 있고, 위임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일부)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215에서,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수신 통화(incoming call)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신져(messenger)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주행 중인 자동차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2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가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제어 권한을 위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2210에서 전자 장치(101)가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수신 통화 서비스에 대한 제어 권한을 위임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동작 2215에서 수신된 수신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이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제어 권한을 위임한 트래픽임을 동작 2220에서 확인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2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가 상기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230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생성을 위해, 다른 전자 장치(102)에 대한 동승자의 입력이 요구될 수도 있다.
동작 2235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응답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2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를 서버(108)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위임 메시지의 송신 후 전자 장치(101)와 다른 전자 장치(102) 사이의 시그널링을 통해 전자 장치(101)에 대한 운전자의 인터액션(interaction) 없이 다른 전자 장치(102)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의 제어를 통해 전자 장치(101)는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보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신호 흐름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다른 전자 장치(102), 및 서버(1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동작 23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위임 메시지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인증이 완료된 후 최초로 송신되는 위임 메시지일 수도 있고, 위임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신호가 서버(108)로부터 전자 장치(101)에 수신되는 경우, 이를 엿듣기 위한(over-hearing 또는 tapp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는 주파수 자원(예: 대역(band))에 대한 정보, 시간 자원(예: 프레임(frame))에 대한 정보, 또는 복호화 키(decryption key)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원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으로서 다른 전자 장치(102)가 동작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원 정보는, 전자 장치(101)가 이용하는 암호화 키(encryption key)에 대한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1)가 서버(108)와의 통신을 위해 이용하는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 메시지에 포함된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신호를 엿듣기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315에서,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에게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경우,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신호의 수신은 서버(108)의 관점에서 투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의 신호의 수신은 서버(108)에게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23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신호는 위임으로 인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에 의해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2330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3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위임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서버(108)에 대하여 전자 장치(101)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101)의 식별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2335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응답 신호를 서버(108)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응답 신호를 서버(108)에게 송신하지만, 다른 전자 장치(102)의 상기 응답 신호의 상기 송신은 서버(108)에게 투명할 수 있다. 서버(108)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8)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지라도, 서버(108)에 의해 인지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발신자는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동작 2340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응답 신호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위임과 관련된 시그널링에서 위임 대상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자원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함으로써, 다른 전자 장치(102)가 상기 위임 대상에 한하여, 전자 장치(101)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엿듣기(over-hearing)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자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프로토콜 스택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및 다른 전자 장치(102)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모뎀(modem)(2420),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inter device protocol)(2430), 근접 MAC/PHY(proximity MAC/PHY)(24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뎀(2420)은 서버(108) 등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뎀(2420)은 광대역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예: MAC, PH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전자 장치(101)의 위임과 관련된 자원을 위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전자 장치(101)에 의해 지정된(또는 결정된) 위임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전자 장치(101)가 상위 계층으로부터 의뢰 받은 동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모뎀(2420)으로부터 상기 위임을 위해 이용되는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할 자원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상기 결정된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상기 생성된 정보를 근접 MAC/PHY(24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근접 MAC/PHY(2440)은 근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MAC/PHY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MAC/PHY (2440)은 모뎀(2420)과 다른 기술(예를 들면, Wi-Fi,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근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접 MAC/PHY(2440)은 모뎀(2420)과 기능적으로 독립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근접 MAC/PHY(2440)은 상기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으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102)는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 근접 MAC/PHY(2460), 보조 모듈(assist module)(24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 MAC/PHY(2460)은 근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MAC/PHY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근접 MAC/PHY(2460)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근접 MAC/PHY(244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근접 MAC/PHY(2460)은 근접 MAC/PHY(2460)을 통해 전자 장치(101)에게 보고(report) 메시지(예를 들면, 동작 2340에서의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 등)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은 근접 MAC/PHY(2460)으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은 수신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요청에 따른 동작을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또는 다른 전자 장치(102)에 포함된 구성 요소(예를 들면, 보조 모듈(2470) 등)에게 명령할 수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은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의 명령에 따른 결과를 전자 장치(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은 전자 장치(101)의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과 논리적으로(또는, 동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모듈(2470)은 전자 장치(101)의 요청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조 모듈(2470)은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모듈(2470)은 전자 장치(10)로부터 위임된 기능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무선 신호의 수신을 요청한 경우, 보조 모듈(247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모듈(2470)은 상기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이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무선 신호의 수신 및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처리를 요청한 경우, 보조 모듈(2470)은 수신 장치 및 제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모듈(2470)은 상기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처리(또는, 제어)할 수 있다.
보조 모듈(2470)은 전자 장치(101)의 요청(또는 위임)에 따른 결과를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은 보조 모듈(2470)으로부터 제공 받은 결과에 기반하여 보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50)은 상기 생성된 보고 메시지를 근접 MAC/PHY(246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근접 MAC/PHY(2460)은 상기 근접 MAC/PHY(2440)을 통해 전자 장치(101)에게 상기 보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근접 MAC/PHY(2440)은 상기 수신된 보고 메시지를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인터 디바이스 프로토콜(2430)은 상기 수신된 보고 메시지를 상위 계층(layer)로 전달하거나, 모뎀(24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또 다른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신호 흐름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다른 전자 장치(102), 서버(108), 및 가상화 장치(2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동작 25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위임 메시지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 메시지는,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고 가상화 장치(2500)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임 메시지는, 가상화 장치(2500)에 대한 ID 및 비밀번호(passwor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고 가상화 장치(2500)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515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상기 위임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고 가상화 장치(2500)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가상화 장치(2500)와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화 장치(2500)는 다른 장치에게 작업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동작 2520에서,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전자 장치(1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5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가 상기 위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가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위임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가 상기 위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5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가상화 장치(2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처리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전달하기 위해, 가상화 장치(2500)에게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가상화 장치(2500)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533에서, 가상화 장치(2500)은,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535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102)는 가상화 장치(2500)와의 연계(association)을 통해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5에서 동작 2535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주체로 수행됨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전자 장치(102)와 연계하여 표시되지만, 동작 2535는 가상화 장치(2500)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540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는 가상화 장치(2500) 내에서 다른 전자 장치(102)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를 가상화 장치(2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545에서, 가상화 장치(2500)는 상기 응답 신호를 서버(108)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상화 장치(2500)은 전자 장치(101)에게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위임을 위한 시그널링에서 가상화 장치(2500)를 이용함으로써, 위임의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이 다른 전자 장치(102)의 능력(capability)을 벗어나는 경우(예: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전자 장치(102)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등)에도, 다른 전자 장치(102)가 상기 위임의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위임을 위한 연결을 해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연결을 해제하는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동작 2600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제어 권한을 위임한 후, 운전과 관련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송신되거나, 전자 장치(101) 내에서 생성되거나, 전자 장치(101)에서 수신되는 차량 또는 운전과 관련된 신호에 기반하여, 운전과 관련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차량 내부에서 차량 외부로 변경됨을 확인하는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되지 않음을 결정(즉, 운전과 관련된 상태가 변경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임된 제어 권한을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회수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동작 2610에서, 프로세서(120)는 위임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임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는, 위임되었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할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임을 중단(또는 해제)하기 위한 신호는, 해제되는 위임 대상을 나타내는 정보, 위임이 해제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620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위임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에 대한 확인 메시지(예: ACK(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연결이 해제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을 통해 화면(2700) 내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운전과 관련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위임과 관련된 대상을 취소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운전과 관련된 상태의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상기 위임과 관련된 대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함으로써, 상기 위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그널링에 의해 야기되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신호 흐름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2 전자 장치(101), 제3 전자 장치(102), 제1 전자 장치(104), 및 서버(1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동작 2810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가 마운트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되거나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마운트된 제2 전자 장치(101)에게 파워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가 충전을 위해 무선적으로 또는 유선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2820에서, 제1 전자 장치(104)와 제2 전자 장치(101)는 인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은, 제2 전자 장치(101)를 제1 전자 장치(104)에 태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증은 도 16 내지 도 19에 의해 설명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동작 2825에서, 제2 전자 장치(101)는 제1 전자 장치(104)에게 제2 전자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증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4)에게 제2 전자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는, 제2 전자 장치(101)가 상기 위임을 수행할 상대에게 제2 전자 장치(101)로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전자 장치(104)에게 송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4)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제3 전자 장치(102)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는, 제2 전자 장치(101)의 보안을 위해,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104)로부터 제거되거나, 인식 불가능(invalid) 상태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동작 2830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제3 전자 장치(102)와 인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은, 제3 전자 장치(102)를 제1 전자 장치(104)에게 태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증은, 도 16 내지 도 19에 의해 설명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 또는 상기 인증 동작 중, 상기 제2 전자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4)로부터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동작 2835에서, 제3 전자 장치(102)는 제2 전자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101)와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2840에서, 제3 전자 장치(102)와 제2 전자 장치(101)는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2845에서, 제2 전자 장치(101)는 상기 생성된 연결을 통해 위임 메시지를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101)는, 차량과 관련되는 다른 전자 장치인 제1 전자 장치(104)를 접속 정보 공유를 위한 매개체로 이용함으로써, 위임과 관련된 시그널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101) 및 제3 전자 장치(102)는 제 1 전자 장치(104)를 통해 인증을 위한 동작들(2820, 2830)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2)와 인증을 수행한 전자 장치들(예: 제2 전자 장치(101) 및 제3 전자 장치(102) 등) 각각은 위임 메시지를 통해 차량 내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관계를 수립(또는 구성(configure))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임 메시지를 통해 제2 전자 장치(101)의 거치 여부, 인증 순서, 마스터(즉, 주 디바이스)로 기 지정된 전자 장치가 무엇인지 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criterion)에 따라 제2 전자 장치(101)와 제3 전자 장치(102) 사이의 계층 관계(hierarchy)가 구성될 수 있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다른 개체들 사이의 신호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신호 흐름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2 전자 장치(101), 제3 전자 장치(102), 제1 전자 장치(104), 및 서버(1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동작 2905와 동작 2910은 도 28에 도시된 동작 2810과 동작 2820에 상응할 수 있다.
동작 2915에서, 제2 전자 장치(101)는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4)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01)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3 전자 장치(102))에게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전자 장치(104)에게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로부터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920은 도 28에 도시된 동작 2830에 상응할 수 있다.
동작 2925에서, 제1 전자 장치(104)는 제2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공 받은 가상화 장치(250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930에서, 제3 전자 장치(102)는 가상화 장치(2500)와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통해 제3 전자 장치(102)는 가상화 장치(2500) 내의 인터페이스를 자신의 작업 필드로 이용할 수 있다.
동작 2935에서, 서버(108)는 제2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940에서, 제2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1)과 관련된 신호가 제3 전자 장치(102)와의 위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945에서, 제2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가상화 장치(25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가상화 장치(2500)는 제2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950에서, 가상화 장치(2500)는 제2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화 장치(2500)는 가상화 장치(25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3 전자 장치(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955에서, 제3 전자 장치(102)는, 가상화 장치(25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102)는 제3 전자 장치(102)의 능력을 이용하여 가상화 장치(250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2960에서, 제3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가상화 장치(2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3 전자 장치(102)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가상화 장치(25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화 장치(2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965에서, 가상화 장치(2500)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서버(108)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상화 장치(2500)는 제2 전자 장치(101)에게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101)는 가상화 장치(2500)를 이용함으로써, 제3 전자 장치(102)에 위임의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위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동작 3010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1) 등)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되거나 차량 내의 표면 상에 부착 가능한 충전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01)에게 파워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15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510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020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3025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된 센서일 수도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작적으로 결합된 차량의 내부에 포함된 센서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는, 전자 장치(101)의 요청(미도시)에 기반하여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는, 전자 장치(101)의 별도의 요청 없이,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동작 303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176)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환경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은, 보다 정확하게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동작 3035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된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된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된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108)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된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결정된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가 위치된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결정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1에서, 동작 3105 내지 동작 3125는 동작 3025와 관련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동작 3105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생성하는 것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311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된 동작 주파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측정을 위한 다이버시티(diversity)를 확보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115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는, 변경될 동작 주파수를 나타내는 값 또는 범위에 대한 정보,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120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변경된 동작 주파수로 동작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주파수에 기반하여 측정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측정을 위한 다이버시티를 센서의 동작 주파수의 변경을 통해 확보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전자 장치(101)이 위치된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움직임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표시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2에서, 동작 3210 및 동작 3220은 동작 3035와 관련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동작 3210에서, 프로세서(120)는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상태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정된 상태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지정된 범위 밖인 것 일 수 있다.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전자 장치(101)의 상태와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차량의 상태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상기 차량의 상태가 비정상적(예: 사고 상태)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 상태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작 3210에 따른 확인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동작 322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220에서, 프로세서(120)는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또는 설정에 의해 지정된 번호와 관련된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재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관련된 전자 장치에게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차량에서 사고 발생함을 나타내거나, 상기 차량을 위한 조치가 필요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화면 3300에서, 사고 발생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의 표시 주체는, 전자 장치(101)일 수도 있고, 전자 장치(101)과 연동된 다른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내의 센서와 차량과 관련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응급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 대한 빠른 조치를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차량(vehicle) 내에 탑재(embedded)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battery)에 파워(power)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차량 또는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파워가 공급되는 경우 주기적으로(periodically)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장치(beacon device)일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차량(vehicle)의 도어락을 해제(release)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상기 차량을 향해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movement velocity)를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임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차량 내에 탑재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designated) 상태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difference)가 지정된 범위 밖임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과 관련된 사고(accident)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하는 동작은,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한 후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음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음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함으로써,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3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1 통신 기법(communication scheme)은,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2 통신 기법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guide)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4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4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 각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1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driving)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request signal)를 송신하고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response signal)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in)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3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1 통신 기법(communication scheme)은,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2 통신 기법과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guide)하기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4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4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은, 차량(vehicle) 내에 탑재되거나(embedded)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한(attachable)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battery)에 파워(power)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파워가 공급되는 경우 주기적으로(periodically)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장치(beacon device)이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됨을 결정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은, 차량(vehicle)의 도어락(door lock)을 해제(release)하기 위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차량을 향해(toward)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movement velocity)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임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상기 운전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신호는, 차량(vehicle) 내에 탑재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다른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3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연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designated) 상태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difference)가 지정된 범위 밖임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과 관련된 사고(accident)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됨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중단(cease)하기 위한 제3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연결을 해제(release)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 각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의 방법은, 다른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driving)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되는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제4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상기 제3 정보, 및 상기 제4 정보 각각은,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정보에 중첩된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4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가상 키패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상기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4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되고, 상기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다른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다른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수신과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송신 각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권한들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고, 및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vehicle) 내에 탑재(embedded)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차량 또는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정해진 주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장치(beacon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함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차량 내에 위치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vehicle)의 도어락을 해제(release)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상기 차량을 향해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movement velocity)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 속도와 관련된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지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내에 탑재되거나 상기 차량 내에 부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지정된(designated) 상태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차이(difference)가 지정된 범위 밖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가 상기 지정된 상태에 상응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사고(accident)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제2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함으로써,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1 통신 기법(communication scheme)은,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의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제2 통신 기법과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전자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인증을 가이드(guide)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위한 요청 신호의 송신 및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의 수신 각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통해 수행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1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외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중 일부 권한의 양도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운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고, 및
    상기 요청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운전과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일부 권한을 상기 제 2 외부 전자 장치로 양도하는 동작을 삼가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명령어(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
    디스플레이(display);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능적으로 연결(operably coupled to)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다른 전자 장치의 상태가 운전(driving)과 관련됨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되는 운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정보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정보를 표시하고; 및
    상기 제2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제4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상기 제3 정보, 및 상기 제4 정보 각각은,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2 정보에 중첩된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를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로부터 변경된 상기 제3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 내에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변경되고 상기 제3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제4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더 이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수신되는 다른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관됨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다른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170100336A 2017-08-08 2017-08-08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16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36A KR20190016294A (ko) 2017-08-08 2017-08-08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6/011,766 US10798188B2 (en) 2017-08-08 2018-06-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driving
PCT/KR2018/007643 WO2019031708A1 (en) 2017-08-08 2018-07-0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RELATING TO DR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36A KR20190016294A (ko) 2017-08-08 2017-08-08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94A true KR20190016294A (ko) 2019-02-18

Family

ID=6527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336A KR20190016294A (ko) 2017-08-08 2017-08-08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98188B2 (ko)
KR (1) KR20190016294A (ko)
WO (1) WO2019031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5436B (zh) * 2016-01-15 2021-12-14 美国iRobot公司 自主监视机器人系统
JP6443477B2 (ja) * 2017-03-24 2018-12-26 マツダ株式会社 緊急通報システム、緊急通報装置及び緊急通報方法
US11297451B2 (en) * 2017-09-18 2022-04-05 Sonova Ag Pairing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TWI692228B (zh) * 2018-10-24 2020-04-2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網狀網路的連線建立系統及方法
JP7302964B2 (ja) * 2018-11-29 2023-07-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者支援方法
US11026069B2 (en) * 2019-02-18 2021-06-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iscovery of application server and/or services for V2X communications
US11122081B2 (en) 2019-02-21 2021-09-1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by deploying and utilizing multi-path data relay systems and sectional transmission techniques
FR3095730B1 (fr) * 2019-05-03 2021-04-09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et système pour traiter un message transmis à un véhicule automobile par une entité communicante distante
EP3888978A1 (en) * 2020-04-03 2021-10-06 Volvo Car Corporation Rack system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6352T3 (es) 2004-04-29 2012-08-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utenticación de un dispositivo externo a un vehículo
KR20120063389A (ko) 2010-12-07 2012-06-15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사고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8938224B2 (en) 2011-05-12 2015-0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abling a car mode in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101860024B1 (ko) 2011-09-26 2018-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 기반 통신 서비스 포워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146900B2 (en) 2012-02-21 2015-09-29 Htc Corporation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car system
US8818276B2 (en) 2012-05-16 2014-08-2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to guest apparatus based on presence of hosting apparatus
US8868254B2 (en) 2012-06-08 2014-10-21 Apple Inc. Accessory control with geo-fencing
US20140111138A1 (en) 2012-10-18 2014-04-24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based car mode activation
WO2015008290A2 (en) * 2013-07-18 2015-01-22 Secure4Drive Communication Ltd.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in safe driving of a vehicle
US9326089B2 (en) * 2014-06-24 2016-04-26 Google Inc. Passenger casted content to infotainment system
US9743260B2 (en) * 2014-12-17 2017-08-22 Allstate Insurance Company Text message control system
EP3068017B1 (en) 2015-03-10 202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KR101714516B1 (ko) 2015-07-27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에 구비된 전자장치, 그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53396B1 (ko) 2015-08-21 201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휴대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61489A (ko) 2015-11-26 2017-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이의 운송 기기 제어 방법
US10212274B2 (en) * 2017-06-08 2019-02-19 Khaled A. ALGHONIEM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with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52714A1 (en) 2019-02-14
WO2019031708A1 (en) 2019-02-14
US10798188B2 (en)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6294A (ko) 운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1542822B (zh) 用于共享屏幕数据的电子装置和方法
US104701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086296B1 (en) Mobile terminal
CN10606792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WO2015101273A1 (zh) 一种安全验证方法、相关设备和系统
US108108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key thereof
US10164978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KR20200045367A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70006859A (ko)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4169A (ko) 스마트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154997B (zh) 车载控制设备、终端设备、车辆控制程序更新方法及系统
KR2019003694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25065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1245B1 (ko)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78245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출입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19026211A (ja) 操作監視システム
KR102384518B1 (ko)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571953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KR20190088820A (ko)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50403A (ko) 다중 통신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90395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0474436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CN110576765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KR20190066989A (ko) 커버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커버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