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678A -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ergy efficient road sig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ergy efficient road sig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5678A KR20190015678A KR1020170099033A KR20170099033A KR20190015678A KR 20190015678 A KR20190015678 A KR 20190015678A KR 1020170099033 A KR1020170099033 A KR 1020170099033A KR 20170099033 A KR20170099033 A KR 20170099033A KR 20190015678 A KR20190015678 A KR 201900156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vehicle
- display
- cover
- display modu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Controlling traffic signals according to detected number or speed of veh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는 도로 표지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모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능동형 도로 표지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road sign for controlling road sig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road sign control apparatus for efficientl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 표지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Generally, a road sign installed on a road serves to provide information to a driver or a pedestrian.
또한, 도로 표지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설치 위치 및 도로 종류 등에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되어 정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road markers nee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road markers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road type, and provide information.
도로 표지는 문자와 기호로 정보를 제공하며 인쇄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고정된 내용을 제공하는 도로 표지는 도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야간에 시인성이 약화되어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Road signs provide information in letters and symbols, and most of them provide information in printed form. However, road markers providing fixed contents can not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and visibility at night is weak,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not be accurately transmitted.
한편, 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광판 형태의 도로 표지도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다. 전광판 형태의 도로 표지는 고속도로와 같이 대규모 차량 통행이 이루어지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통 정보 또는 중앙 서버에서 전달하는 정보를 수동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전광판 형태의 도로 표지는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대형화되어 있어서 소모 전력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road signs in the form of electric signboards capable of dynamically providing inform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installed. The road sign is installed on the road where the large-scale vehicle traffic such as the highway is provided, and passively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o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erver. However, a road sign in the form of an electric signboard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consumes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because it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by u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is enlarged.
따라서, 소모 전력 측면에서 산길과 같이 소규모 도로에는 운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on small roads such as a mountain road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전술한 배경에서 본 개시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 표지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view of the foregoing background, the present disclosure seeks to provide a road sign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개시는 저전력 상황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도로 표지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also seeks to provide a customized road sign control device that improves visibility and provides customized information even in low power situations.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일 실시예는 차량의 위치 정보, 차속 정보, 차종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와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의 전원 개시 시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와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의 밝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밝기 제어부 및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에 표시되는 표지정보를 생성하는 표지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acquires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type information, and movement route information; A brightness controller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ased on vehicl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 cov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cov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전술한 배경에서 본 개시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 표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view of the foregoing background, 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road signs that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개시는 저전력 상황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even in a low power situ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a driver who provides personalized information in a timely mann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aving road sig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trol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type road mar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type road mar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개시는 도로표지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표지의 소모 전력을 절감하면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소모 전력을 절감하면서도 차량 맞춤형 표지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도로 표지판 기술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oad sig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road sign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visibility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road signboards installed on roads. The present disclosure also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vehicle-customized label information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is a smart road sign technology.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로 표지는 도로, 보도, 건물 외부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는 기구물을 의미하며, 특정 표지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지판을 의미한다. 도로표지는 전자적 방법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며, 고정된 표지정보를 표출함과 동시에 전자적 방법으로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도로 표지는 도로전광판, 도로표지판, VMA(Variabl Message Sign) 등 다양한 용어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road sign described below means an apparatus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road, a sidewalk, and a building, and signboards performing a function of providing specific sign information. The road sign may be controlled by an electronic method, and the message may be provided in an electronic manner while displaying the fixed mark information. That is, the road sign should be understood to mean a variety of terms including a road signboard, a road sign, and a Variable Message Sign (VMA).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aving road sig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100)는 차량의 위치 정보, 차속 정보, 차종 정보 및 이동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110)와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의 전원 개시 시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120)와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의 밝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밝기 제어부(130) 및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에 표시되는 표지정보를 생성하는 표지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power saving road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표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출 모듈은 표지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LED 발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출 모듈은 LED 전광판, LED 표시장치, LCD 표시장치, 레이저 표시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정보를 표시하는 다양한 기기를 통칭하는 명칭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표출 모듈은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표출될 수 있다. 또한, 표출 모듈은 정보를 표시하는 모듈과 정보를 표시하는 모듈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광판과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은 광원을 반사시켜서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색상의 변화를 통해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표출 모듈은 도로표지의 일정 구역에 구성되는 도광판과 광원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표출 모듈은 야간에 표출 모듈의 전원 제어를 통해서 도로 표지의 특정 부분의 밝기를 조절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ower-saving road
한편, 차량 정보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위치정보, 차속정보, 차종정보 및 차량의 네비게이션을 통해서 수집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 정보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통해서 획득되는 차량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 출발 후 경과시간 정보, 목적지까지 남은 예상 소요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type information, and travel route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naviga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tarting and end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through the navig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elapsed time after departure, and the estimated time remaining to the destination.
환경 정보는 서버로부터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100)가 수신할 수 있는 기상 정보, 도로 상황 정보, 사고 정보 및 공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정보는 절전형 도로표지에 구성되는 각종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적 감지 센서를 통한 우적정보, 습도 및 안개 감지센서를 통한 날씨 정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시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필요에 따라 절전형 도로표지에 부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road situation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at the power saving road
전원 제어부(120)는 위치 정보 및 차속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 각각의 전원 개시 시점 및 전원 종료 시점을 결정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 각각의 전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부(120)는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차량 정보 중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속 정보를 통해서 차량이 절전형 도로표지를 기준으로 어느 위치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절전형 도로표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차속 정보를 통해서 산출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20)는 이렇게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의 전원 개시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120)는 차속 정보를 통해서 차량이 절전형 도로표지를 인식할 수 없는 거리까지 접근할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전원 종료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20)는 이렇게 계산된 전원 개시 시점에 복수의 표출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전원 종료 시점에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한편, 전원 제어부(120)는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 중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표출 모듈만 전원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부(120)는 도로표지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시인성이 약화된 야간 또는 악천후 상황에서 차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출 모듈만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제어부(120)는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확인한 결과 차량이 해당 도로표지가 지시하는 분기도로에서 우회전을 할 예정인 경우에 다른 표출 모듈은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우회전을 표시하는 위치의 표출 모듈만 온 상태로 전환하여 차량이 해당 정보를 인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원 제어부(120)는 차량의 차속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규정된 제한 속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제한 속도를 표출하는 표출 모듈만 온 상태로 전환하여 차량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원 제어부(120)는 차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특정 차선으로 주행하도록 규정된 경우에 해당 차선 정보를 표출하는 표출 모듈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원 제어부(120)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안개가 발생한 경우에 안개 경고를 표출하는 표출 모듈과 차량의 이동 경로 방향과 대응되는 표지를 표출하는 표출 모듈만을 온 상태로 전환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전원 제어부(120)는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일부 표출 모듈의 전원만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를 통해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도 차량에 꼭 필요한 정보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a vehicle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한편, 밝기 제어부(130)는 차속 정보, 이동 경로 정보,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표출 모듈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제어부(130)는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해서 복수의 표출 모듈이 모두 온 상태인 경우에도 우선순위에 따라 각 표출 모듈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과속을 하고 있는 경우면서, 특정 경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밝기 제어부(130)는 규정속도를 표출하는 모듈과 경로를 표출하는 모듈의 밝기를 다른 모듈 대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 경우, 우선순위는 차속 정보와 기준 차속의 비교 결과, 이동 경로 정보와 대응되는 표출 모듈 위치 및 환경 정보에 포함되는 기상 정보에 따른 시인성 판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규정 속도(기준 속도)를 위반하였는지 판단한 결과를 통해서 휘도 조절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표출 모듈의 위치를 인지하고 해당 표출 모듈의 휘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상 정보에 따라서 특정 표출 모듈의 시인성을 차등적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차등적으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상태가 좋아서 시인성이 높은 경우에 우선순위를 선정하였으나, 휘도를 상대적으로 차등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표출 모듈의 휘도를 균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priority order can be determined using at least one of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vehicle speed, the visibility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expression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necessity of adjusting the luminance through the result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a specified speed (reference speed). Or the position of the displ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and set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module to be relatively high.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visibility of the specific display module needs to be improv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o adjust the brightness differentially only when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visibility is good and the visibility is high, the priority is selected.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ghtness is not required to be differentiate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uniformly applied.
이를 통해서, 차량은 도로 표지에 대한 정보를 모두 인식할 수 있는 상태에서도 차량에 맞는 정보를 더욱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절전형 도로표지도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차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vehicle can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vehicle even in a state where it can recognize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road sign. In addition, power saving road signs can als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vehicle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한편, 표지정보 생성부(140)는 차속 정보와 기준 차속의 비교 결과, 이동 경로 정보와 대응되는 환경정보의 존재 여부 판단 결과, 환경 정보에 포함되는 기상 정보에 따른 시인성 판정 결과 및 차종 정보에 따른 규정 존재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표출할 표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지정보 생성부(140)는 차속 정보와 기준 차속의 비교 결과 해당 차량의 기준 차속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규정 속도를 표지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표지정보 생성부(140)는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통해서 해당 이동 경로 상에 사고 발생 또는 공사 진행과 같은 환경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환경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환경 정보를 표지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표지정보 생성부(140)는 환경정보를 통해서 수집되는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안개 주의, 빗길 주의와 같이 기상정보의 종류와 대응되어 저장된 표지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표지정보 생성부(140)는 차량의 차종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 규정된 차선정보 등을 확인하여 해당 차선정보를 표지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표지정보 생성부(140)는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표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표지정보 생성부(140)는 미리 설정된 다양한 표지정보 중 해당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여 표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ver
한편,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100)는 표지정보를 복수의 표출모듈에 독립적으로 표출하는 표출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saving road
예를 들어, 표출 제어부(150)는 복수의 표출 모듈의 개수가 표지정보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표지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된 표지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출 제어부(150)는 차량 맞춤형으로 생성되는 표지 정보가 복수의 표출 모듈의 개수 이상인 경우에 표지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출 제어부(150)는 차량 맞춤형으로 생성되는 표지 정보가 복수의 표출 모듈의 개수 이상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표지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일부 표지정보만 우선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exceeds the number of the cover information, the
또한, 표출 제어부(150)는 표지정보의 우선순위 및 복수의 표출 모듈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지정보가 표출될 표출 모듈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출 제어부(150)는 표지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위치적 시인성이 높은 표출 모듈에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표지정보가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표출 제어부(150)는 레이저 표출모듈이 포함되는 경우에 레이저 표출모듈을 제어하여 표지정보가 도로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표출모듈은 레이저 빔 또는 광원을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도로 위쪽 면과 같은 전광표지 외부에 표시하는 모듈을 의미하며, 명칭에 제한은 없다. 따라서, 표출 제어부(150)는 표지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표지정보가 레이저 표출모듈을 이용하여 도로 위에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출 제어부(150)는 레이저 표출모듈을 통해서 각 차선 위에 해당 차선의 화살표 정보를 표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표출 제어부(150)는 레이저 표출모듈을 제어하여 차선 위에 해당 차선의 규정속도 정보가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aser display module is included, the
한편, 통신부(110)는 표지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표지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차량이 과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규정 속도 정보를 표출하였으나, 차량이 과속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규정속도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cover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이를 통해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규정속도를 능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인식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으로 전달한 표지정보의 종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표지정보와 대응되는 차량 정보의 변경 여부에 따라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by actively providing the prescribed spe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100)는 복수의 표출 모듈의 전원, 휘도, 표지정보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 맞춤형으로 표지정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지정보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표지 정보를 차량으로 직접 전송하여 차량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aving type road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once agai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for the sake of clarity,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trol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서 차량(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은 V2X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차량 대 인프라 통신 방식을 통해서 차량(200)과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100)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2, the power saving type road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표지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표지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차량(200)이 과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규정 속도 정보를 표출하였으나, 차량(200)이 과속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규정속도 정보를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통해서, 차량(200)의 운전자에게 규정속도를 능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인식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200)으로 전달한 표지정보의 종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표지정보와 대응되는 차량 정보의 변경 여부에 따라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Through this, the driver of the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 정보를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200)의 위치정보, 차속정보, 차종정보 및 차량(200)의 네비게이션을 통해서 수집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 정보는 차량(200)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통해서 획득되는 차량(200)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 출발 후 경과시간 정보, 목적지까지 남은 예상 소요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통신부(110)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The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type road mar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도로 표지는 복수의 표출 모듈(310, 320, 330, 340, 35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출 모듈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Referring to FIG. 3, the road sign may include a plurality of
각 표출 모듈은 지정된 위치에서 특정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일 예로, 310 표출 모듈은 직진 방향의 목표 지점을 개시하고, 320 표출 모듈은 가변형 메시지를 전달하여 휴게소 존재 등의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330 표출 모듈은 좌회전 시의 목표 지점을 개시하고, 350 표출 모듈은 우회전 시의 목표 지점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340 표출 모듈은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Each display module can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at a specified location. For example, the 310 display module starts the target point in the straight forward direction, and the 320 display module transmits the variable message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presence of the rest area. 330 The display module starts the target point at the time of left turn, and the 350 display module can start the target point at the right turn. Also, the 340 display module can display the direction of travel.
일 예로, 340 표출 모듈은 진행 방향의 화살표 색상을 통해서 진행 방향에 따른 정체 정보 등을 표출할 수 있다. 즉, 직진방향이 정체되어 있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직진방향 부분에 미리 설정된 색상을 표출함으로써, 정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340 display module can display conges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 direction through the arrow color of the progress direction. That is, when the straight forward direction is stagnated, the stagn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expressing the preset color in the rectilinear direction portion set in advance.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제어부(120)는 표출 모듈(310, 320, 330, 340, 350) 각각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 중 차량의 출발 지점, 출발 이후 경과 시간, 목표 지점 및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전원 제어부(120)는 해당 정보를 확인하여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할 표출 모듈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출발 이후 경과 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하였고,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320 표출 모듈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차량에 휴게소의 존재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사거리에서 직진할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 제어부(120)는 이동 경로와 대응되는 위치의 표출 모듈(310)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력 소모 절감 필요에 따라 330과 350 표출 모듈은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전원 제어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속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표출 모듈(310, 320, 330, 340, 350)의 전원 상태 변환 시점을 결정하여 전원 상태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한편, 표출 모듈이 도광판과 광원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해당 광원의 온 오프 제어를 통해서 야간에 해당 표출 모듈의 시인성을 차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module is composed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light sourc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provided differently at night through on / off control of the light source.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type road mar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밝기 제어부(130)는 각 표출 모듈(310, 320, 330, 340, 350)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직진하는 경로로 진행할 것으로 예측되면, 직진 경로의 310 표출 모듈의 밝기를 타 표출 모듈 대비 밝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표출 모듈(310, 320, 330, 340, 350)은 모두 온 상태일 수도 있고, 일부만 온 상태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다른 예를 들어, 밝기 제어부(130)는 차속 정보와 기준 속도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이 과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변 메시지를 표출하는 320 표출 모듈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밝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320 표출 모듈는 표지정보 생성부(140)에 의해서 결정된 규정 속도에 대한 표지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이를 통해서, 차량 운전자는 도로표지 상의 모든 정보를 인지할 수는 있되, 차량에 맞는 정보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제어됨으로써 직접 연관된 정보를 보다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recognize all the information on the road sign but can recognize the directly related information more quickly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vehicle to be relatively high.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표출 모듈(310, 320, 330, 340, 350)은 밝기 뿐만 아니라 색상도 변화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brightness but also the hue of each of the
한편, 밝기 제어부(130)는 환경 정보에 따라 시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진 경우에만 각 표출 모듈(310, 320, 330, 340, 350)의 밝기를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시계가 좋은 경우에는 밝기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더라도 차량 운전자의 인식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이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기 위해서 밝기 차등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the
또한, 표출 제어부(150)는 생성된 표지정보가 표출모듈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 우선순위에 따라 표출될 표지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표지정보가 표출될 표출모듈을 결정할 수도 있다. If the generated cover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display modules, the
예를 들어, 차량이 과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의 트럭으로 톨게이트를 통과할 경우에 과적 여부를 검사 받아야 하는 경우에 차량의 경로에 따른 방향 표시, 규정속도 정보, 차량이 사용할 차선 정보를 표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의 목표 소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남은 경우에 휴게소 정보가 있다면 이를 표시하는 표지정보도 표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정보를 표시할 표출 모듈의 개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경우에 표출 제어부(150)는 우선순위가 가장 낮게 설정되는 휴게소 정보의 표출을 생략할 수 있다. 즉, 규정속도는 320 표출 모듈을 통해서 제공하고, 경로 방향은 310 표출 모듈과 340 표출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이용 차선 정보는 350 표출 모듈 또는 330 표출 모듈을 통해서 표출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verspeed, and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overloaded when passing through a tollgate with a truck of the vehicle, a direction indication, a specified speed information, and lane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vehicle are displayed Needs to be. Also, if the target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if there is a rest area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isplay cov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t area information.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display modules to display information is limited to three, the
차량의 이용 차선 정보를 표시할 경우, 표출 제어부(150)는 해당 차선이 중앙선 쪽에 근접한 1차선인 경우에 이용 차선 정보가 표출된 표출 모듈을 330 표출 모듈로 선택하여 운전자의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해당 차량이 이용할 이용 차선 정보가 갓길 쪽인 3차선이나 4차선인 경우에 직관성 향상을 위해서 350 표출 모듈에 해당 정보가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도로표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별 차량에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ad marking so a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improving the visibil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formation can be customized to individual vehicles,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특히, 본 실시예들을 산간지방이나 차량 통행이 잦지 않은 도로의 도로표지에 적용하는 경우에 차량이 접근하지 않는 경우에 전원을 오프하여 전력을 아끼면서도 차량 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도로표지 자체 전원(예를 들어, 태양광 전원)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embodiments are applied to road signs of roads that are not frequent in mountainous regions or vehicles, when the vehicle is not approachable, the power is turned off to save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while providing power, For example, solar pow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상기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출 모듈의 전원 개시 시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차량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의 밝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밝기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에 표시되는 상기 표지정보를 생성하는 표지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A communication unit that obtains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type information, and movement route information;
A power control unit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power start point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 brightness controller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nd a cov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cov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 환경 정보는,
서버 또는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정보, 도로 상황 정보 및 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Wherein the road sig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weather information, road situation information, and accid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rver or a sensor.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차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 각각의 상기 전원 개시 시점 및 전원 종료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 각각의 전원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control un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wer supply ope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y determining the power supply start time and the power supply end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에 포함되는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 중 상기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표출 모듈만 전원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control un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be started only in the displ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based on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상기 밝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ightness control unit includes: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is set based on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movement rout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is controll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priority. Control device.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차속 정보와 기준 차속의 비교 결과, 상기 이동 경로 정보와 대응되는 표출 모듈 위치 및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되는 기상 정보에 따른 시인성 판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iority order may be,
Wherein the determination is made using at least one of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vehicle speed, a visibility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 to weath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n expression modul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route information. .
상기 표지정보 생성부는,
상기 차속 정보와 기준 차속의 비교 결과, 상기 이동 경로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환경정보의 존재 여부 판단 결과,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되는 기상 정보에 따른 시인성 판정 결과 및 상기 차종 정보에 따른 규정 존재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표출할 상기 표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 result of comparing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with a reference vehicle spee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route information exists, a visibility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 to weath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cover information to be displayed using one result.
상기 표지정보를 상기 복수의 표출모듈에 독립적으로 표출하는 표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의 개수가 상기 표지정보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상기 표지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된 표지정보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unit for independently displaying the mark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e display control unit includes:
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exceeds the number of the cover information, displays the cover information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of the cover information set in advance.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표지정보의 우선순위 및 상기 복수의 표출 모듈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지정보가 표출될 표출 모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control unit includes:
Wherein the display module determines the display module to display the cover information using the priority of the cover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상기 통신부는,
상기 표지정보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transmits the sign information to the vehicle.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차속 정보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표지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 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cover information based on the vehicle speed change amount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033A KR20190015678A (en) | 2017-08-04 | 2017-08-04 |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ergy efficient road sig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033A KR20190015678A (en) | 2017-08-04 | 2017-08-04 |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ergy efficient road sig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5678A true KR20190015678A (en) | 2019-02-14 |
Family
ID=6536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9033A KR20190015678A (en) | 2017-08-04 | 2017-08-04 |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ergy efficient road sig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15678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1619B1 (en) * | 2020-05-14 | 2020-10-05 |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road transport |
CN112116821A (en) * | 2020-09-18 | 2020-12-22 | 杭州普乐科技有限公司 | Variable lane ground indic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KR102306855B1 (en) | 2021-04-23 | 2021-09-30 | 주식회사 비츠에스앤지 | Road install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GB2594540A (en) * | 2019-11-21 | 2021-11-03 | Agd Systems Ltd | Traffic signalling apparatus |
KR20230060588A (en) * | 2021-10-27 | 2023-05-08 | 한국자동차연구원 | Intelligent road sign 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7672162A (en) * | 2024-02-01 | 2024-03-08 | 深圳市欧灵科技有限公司 | Display brightness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
-
2017
- 2017-08-04 KR KR1020170099033A patent/KR20190015678A/en unknow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4540A (en) * | 2019-11-21 | 2021-11-03 | Agd Systems Ltd | Traffic signalling apparatus |
GB2594540B (en) * | 2019-11-21 | 2024-05-01 | Agd Systems Ltd | Traffic signalling apparatus |
KR102161619B1 (en) * | 2020-05-14 | 2020-10-05 |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road transport |
CN112116821A (en) * | 2020-09-18 | 2020-12-22 | 杭州普乐科技有限公司 | Variable lane ground indic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KR102306855B1 (en) | 2021-04-23 | 2021-09-30 | 주식회사 비츠에스앤지 | Road install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KR20230060588A (en) * | 2021-10-27 | 2023-05-08 | 한국자동차연구원 | Intelligent road sign 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7672162A (en) * | 2024-02-01 | 2024-03-08 | 深圳市欧灵科技有限公司 | Display brightness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
CN117672162B (en) * | 2024-02-01 | 2024-05-03 | 深圳市欧灵科技有限公司 | Display brightness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5678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ergy efficient road sign | |
CN106878934B (en) | Electronic map display method and device | |
US7095337B2 (en) | Road traffic weather-monitoring system and self-luminous road sign system | |
US20120044090A1 (en) | Motor vehicle with digital projectors | |
CN109887311A (en) | A kind of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intelligently adjusting traffic-control device according to number | |
KR101937974B1 (en) | Light emitting sign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 |
KR20190069989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based-on weather environment,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 |
RU2620770C2 (en) | Device for direct active projection | |
KR101492578B1 (en) |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the road sign and the traffic safety sign | |
KR20160097490A (en) | Streetlamp with laser equipment and controlling system thereof | |
KR102300183B1 (en) | Road stud for arousing attention | |
KR102274695B1 (en) | Traffic sign with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1583720B (en) | Rural highway safety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thing networking LORA wireless technology | |
CN110599762A (en) | Road condi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 |
JP5097651B2 (en) | Roa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road lighting control system | |
US20230237902A1 (en) | Visual cue system for roadways | |
KR100577932B1 (en) | Device for displaying traffic signals, traffic-control signs and traffic information by one unit | |
KR20230121679A (en) |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Same | |
JP2016223847A (en) | Own vehicl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own vehicle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 |
KR102313374B1 (en) | Device and method that road marker control using self-generated electricity | |
KR20190123522A (en) | Road Marks Lighting Display Device | |
KR20210002290U (en) | Device and system that road marker control using self-generated electricity | |
KR20210095602A (en) | Exit display apparatus of driving guide line for improving visibility at bad weather and bad view and night | |
CN115128806A (en) | Display device for vehicle | |
US20220404160A1 (en) | Route selection using infrastructure performa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