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392A -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392A
KR20190015392A KR1020187037955A KR20187037955A KR20190015392A KR 20190015392 A KR20190015392 A KR 20190015392A KR 1020187037955 A KR1020187037955 A KR 1020187037955A KR 20187037955 A KR20187037955 A KR 20187037955A KR 20190015392 A KR20190015392 A KR 2019001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eptide
subject
serum
disease
nt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084B1 (ko
Inventor
홍리 리우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헵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헵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헵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2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30/00Reverse transcribing DNA viruses
    • C12N2730/00011Details
    • C12N2730/10011Hepadnaviridae
    • C12N2730/10111Orthohepadnavirus, e.g. hepatitis B virus
    • C12N2730/101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30/00Reverse transcribing DNA viruses
    • C12N2730/00011Details
    • C12N2730/10011Hepadnaviridae
    • C12N2730/10111Orthohepadnavirus, e.g. hepatitis B virus
    • C12N2730/10133Use of viral protein as therapeutic agent other than vaccine, e.g. apoptosis inducing or anti-inflammato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Vi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원에는 개체에 B형 간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함으로써 개체에서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본 출원은 ASCII 양식으로 전자적으로 제출된 서열 목록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의 전체는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2016년 4월 14일자로 생성된 상기 ASCII 사본은 13230.0001_SL.txt로 명명되며, 이의 크기는 56,034바이트이다.
본 발명은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를 이용하여 대사성 질환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대사성 질환은 탄수화물, 지방, 지질, 및 생물의 건강에 중요한 무기물을 포함하는 대사산물의 불균형에 의해 야기된다.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 및 고지혈증은 2개의 가장 흔한 대사성 질환을 나타낸다. 대사산물의 불균형은 노화, 행동, 유전학 및 환경적 영향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고, 종종 다중 인자들의 조합이 질병의 징후의 원인이 된다.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예를 들어 고혈당증,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인슐린 내성, 및 아미노산 및 무기물과 같은 기타 대사산물의 조절장애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종종 대사성 질환의 근본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이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더욱이,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고혈압, 심장혈관계 질환, 신장 손상 및 신경 손상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는 심각한 합병증에 걸릴 위험성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질병의 이질성으로 인해,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다수의 상이한 약물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증상을 동시에 다루기 위한 시도로 복수의 대사 경로를 표적화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연구에 따르면 본 연구에 조사된 제2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평균 8.4개의 상이한 약제 화합물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예를 들어, 문헌[Bauer et al, Diabetic Medicine, 31: 1078~85 (2014)] 참조).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다양한 상이한 약을 섭취하는 이유들 중 하나는 이들 약은 종종 대사성 질환의 특정 증상 또는 경로를 다루기 위해 특화(specialization)되고, 따라서 기타 관련 증상을 표적화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복수의 약을 섭취하게 되면 환자의 삶의 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질병의 진행 과정이 악화된다. 실제로, 통계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이들의 약물 용법의 복잡성으로 인해 부분적으로는 이들 용법을 고수하기 어렵다는 것을 경험한다(예를 들어, 문헌[
Figure pct00001
et al, Diabetes Therapy, 4: 175~94 (2013)] 참조).
더욱이, 대사성 질환에는 종종 복잡한 신호전달 경로의 네트워크가 수반되며, 따라서 하나의 약제로 하나의 특정 경로를 표적화하는 것이 항상 환자에서 치료학적으로 연관된 효과를 초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거부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장기 이식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 A(CsA)는 담즙산 흡수 및 배양된 간세포 매개 타우로콜산나트륨 공동 수송 폴리펩티드(NTCP) 내로의 HBV의 진입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NTCP는 담즙산을 혈류에서 간세포로 수송하는 Na+ 의존성 담즙산 수송체이다(문헌[Watashi et al, Hpatology, 59: 1726~37 (2014)]). 그러나 CsA에 의한 처리는 글루코오스 대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인슐린 반응을 손상시킬 수 있다(문헌[Dresner et al, Surgery, 106(2): 163~69 (1989)]). 게다가, CsA는 주로 저밀도 지질 단백질(LDL) 콜레스테롤 수준의 증가로 인해 총 콜레스테롤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환자에서 고지혈증을 유도할 수 있다(문헌[Ballantyne et al., JAMA, 262(1): 53~56 (1989)]). 다양한 기타 화합물은 NTCP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들은 이들 화합물 중 일부가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반면 나머지 화합물이 인핸서로서 작용함에 따라 NTCP에 대해 균일한 효과를 나타나지 않는다(문헌[Kim et al, J. Pharmacol. Exp. Ther., 291(3): 1204~09 (1999)]). 대부분의 이들 약제가 현재까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이들의 치료 결과로 인해 입증되었을지라도 NTCP의 일부 인핸서는 글루코오스 또는 지질 대사에 대해 역효과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문헌[Beaudoin et al., Appl. Physiol. Nutr. Metab. 38(2): 140~47 (2013)]; 문헌[Thelle et al., N. Engl. J. Med. 308(24): 1454~57 (1983)]; 문헌[Phillips et al., Br. Med. J. 292: 1319~21 (1986)]; 문헌[Boden et al., Circulation, 85(6): 2039~44 (1992)]참조). 생체 내에서 NTCP를 조절하는 것이 임의의 치료학적으로 연관된 효과를 야기하는지가 또한 명확하지 않은데, 이는 NTCP 결핍에 걸린 개체가 임의의 명확한 임상적 표현형을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문헌[Vaz et al, Hepatology, 61(1): 260~267 (2015)] 참조). 따라서 잠재적으로는 강력한 치료 효능과 동시에 복수의 증상을 다룰 수 있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HBV 바이러스 외피는 대(L), 중(M) 및 소(S) 3개의 표면 항원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들 단백질은 S 유전자 상의 단일 개방 판독 프레임에 의해 암호화되며, 이는 3개의 상이한 번역 개시 부위, 즉 L(프리-S1 + 프리-S2 + S), M(프리-S2 + S) 및 S(S)에서 시작한다. HBV는 이의 외피 단백질 상에 존재하는 항원성 에피토프에 기초하여 4개의 주요 혈청형(adr, adw, ayr, ayw)으로 분류되고, 게놈의 전체 뉴클레오티드 서열 변이에 따라 8개의 유전자형(A~H)으로 분류된다. 바이러스 감염 도중에 HBV의 L 단백질 상의 프리-S1 영역은 NTCP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Yan et al, eLife, 1: e00049 (2012)]).
본 발명은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를 이용하여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A, B, C, D, E, F, G 및 H 중 임의의 하나의 프리-S1 영역(pre-S1 region)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간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동물 모델을 포함하는 개체에서 글루코오스 및 지질 대사와 같은 대사를 변경할 수 있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를 추가로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때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에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는 혈청 농도의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폴리펩티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발명은 혈청 지질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청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혈청 지질은, 예를 들어 총 콜레스테롤("TC"), 트리글리세리드("TG") 및 LDL-C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혈당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당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인 경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93 nmol/ℓ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에서의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투여 약 20분 후에 최고 농도(즉, Cmax)에 도달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Tmax는 약 20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최고 농도는 93 nmol/ℓ 초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가 투여되는 개체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예를 들어,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고혈당증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또는 비만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심장혈관계 질환(예를 들어, 동맥경화성 질환), 심장 질환 또는 신장 손상을 앓고 있거나 심장혈관계 질환(예를 들어, 동맥경화성 질환), 심장 질환 또는 신장 손상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수준 또는 활성을 감소 또는 안정화시킬 수 있다. 대사와 연관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는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유리 지방산, 아미노산, 호르몬,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및 무기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또한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값을 감소 또는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생리학적 매개변수는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therosclerosis index), 심박동 지수(heart index), 신장 지수(kidney index),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A, B, C, D, E, F, G 또는 H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 내지 59번째 아미노산의 서열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 내지 59번째 아미노산의 서열에 상응하는 임의의 기타 HBV 유전자형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1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는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능력을 유지하면서 결실, 치환 또는 삽입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A, B, C, D, E, F, G 또는 H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1 내지 서열번호 40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의 동일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째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글리신 및/또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20번째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아스파라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소수성 기에 의한 N-말단 변형 및/또는 폴리펩티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C-말단 변형을 포함한다. 소수성 기는,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콜레스테롤 및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C-말단 변형은, 예를 들어 아미드화(아민화), 이소펜탄디올화(isopentanediolization), 및 폴리펩티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C-말단 변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미리스트산에 의한 N-말단 변형 및/또는 아민화에 의한 C-말단 변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1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대사성 질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약제의 투여 이전, 동시 또는 이후에 개체에 투여된다. 제2 약제는, 예를 들어 고지혈증 치료제, 고혈당증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비만 치료제 및 담즙산 유사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약제는, 예를 들어 인슐린, 메트포르민(metformin), 시타글립틴(sitagliptin), 콜레세브이람(colesevelam), 글리피지드(glipizide), 심바스타틴(sim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에제티미브(ezetimibe),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니코틴산, 올리스타트(orlistat), 로르카세린(lorcaserin), 펜터민(phentermine),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오베티콜산(obeticholic acid) 및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경구, 폐 내, 비강 내, 병소 내,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및 피하 투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개체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피하 투여된다.
도 1a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측정할 때 Cmyr-47의 순도를 나타낸 예시적인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1b는 질량 분석법으로 확인할 때 Cmyr-47의 분자량을 나타낸 예시적인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2a는 FIFC로 표지된 Cmyr-47이 나무타기쥐(tupaia)의 1차 간세포에 결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b는 FIFC로 표지된 Cmyr-47이 인간 간세포 유래 세포주인 HepG2 세포에 결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FIFC로 표지된 Cmyr-47이 L02 세포를 발현하는 NTCP("NTCP-L02")에 결합하지만 대조군 L02 세포("BLANK-L02")에는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FIFC로 표지된 Cmyr-47이 HEK293 세포를 발현하는 NTCP("NTCP-293")에 결합하지만 대조군 HEK293 세포("BLANK-293")에 결합하는 것을 보여준다. 왜가리 HBV에서 유래하고 FIFC로 표지된 폴리펩티드를 대조군 폴리펩티드로서 사용하였다.
도 5a는 시험관 내에서 담즙산의 흡수에 미치는 Cmyr-47의 효과를 보여준다. 사이클로스포린 A("CsA")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도 5b는 담즙산의 흡수에 미치는 Cmyr-47의 양방향성 효과를 보여준다. 도 5c 및 도 5d는 시험관 내에서 담즙산의 흡수에 미치는 CsA의 효과를 보여주고, CsA의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5e 및 도 5f는 62.5 ng/㎖(11.58 nmol/ℓ)의 Cmyr-47에 대한 몰 당량인 저농도에서, 그리고 1 ㎍/㎖(185.23 nmol/ℓ)의 Cmyr-47에 대해 몰 등량인 고농도에서 시험 내에서 담즙산의 흡수에 미치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의 효과를 각각 보여준다.
도 6은 Cmyr-47 또는 CsA로 4주 동안 처리된 고지혈증 명주쥐(golden 햄스터)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TC")의 변화를 보여준다. 규칙적인 식이가 제공된 명주쥐를 PBS로 처리하여 "정상 대조군"으로서 사용하는 반면, PBS로 처리된 고지혈증 명주쥐를 "모델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페노피브레이트로 처리된 고지혈증 명주쥐("양성 처리")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도 7a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에 의한 처리 이전의 혈청 TC 수준을 보여준다. 도 7b는 4주간 처리 후의 혈청 TC 수준을 보여준다.
도 8은 4주간 Cmyr-47 처리 동안의 고지혈증 명주쥐의 혈청 트리글리세리드("TG")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9a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에 의한 처리 이전의 혈청 TG 수준을 보여준다. 도 9b는 4주간 처리 후의 혈청 TG 수준을 보여준다.
도 10은 4주간 Cmyr-47 처리 후의 고지혈증 명주쥐의 혈청 LDL-C 수준을 보여준다.
도 11a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에 의한 처리 이전의 혈청 LDL-C 수준을 보여준다. 도 11b는 4주간 처리 후의 혈청 LDL-C 수준을 보여준다.
도 12는 4주간 Cmyr-47 처리 후의 고지혈증 명주쥐의 혈청 HDL-C 수준을 보여준다.
도 13은 4주간 Cmyr-47 처리 후의 고지혈증 명주쥐의 동맥경화 지수("AI")를 보여준다.
도 14는 4주간 Cmyr-47 처리 후의 고지혈증 명주쥐의 혈청 총 담즙산(TBA)의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비교를 위해 페노피브레이트 및 CsA를 시험하였다.
도 15는 3개의 상이한 투여량(1 ㎎/㎏, 3 ㎎/㎏ 및 10 ㎎/㎏)의 Cmyr-47로 4주 동안 처리된 고지혈증 명주쥐의 혈청 TC의 변화를 보여준다. 규칙적인 식이가 제공된 명주쥐를 PBS로 처리하여 "정상 대조군"으로서 사용하는 반면, PBS로 처리한 고지혈증 명주쥐를 "모델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도 16은 1 ㎎/㎏, 3 ㎎/㎏ 또는 10 ㎎/㎏의 Cmyr-47로 4주 동안 처리된 고지혈증 명주쥐의 혈청 TG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17은 4주간 Cmyr-47 또는 CsA 처리 동안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Zucker diabetic fatty rat)에서의 혈청 글루코오스("GLU")의 변화를 보여준다. PBS로 처리된 주커 결핍 래트(Zucker lean rat)를 "정상 대조군"으로서 사용하는 반면, PBS로 처리된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를 "모델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메트포르민으로 처리된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양성 처리")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도 18a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로 처리되기 전의 혈청 GLU 수준을 보여준다. 도 18b는 4주간 처리 후의 혈청 GLU 수준을 보여준다.
도 19는 4주간 Cmyr-47 처리 동안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의 HbA1c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0a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에 의한 처리 이전의 HbA1c 수준을 보여준다. 도 20b는 4주간 처리 후의 HbA1c 수준을 보여준다.
도 21은 4주간 Cmyr-47 처리 동안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에서의 인슐린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2는 4주간 Cmyr-47 처리 동안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에서의 혈청 TC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3a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에 의한 처리 이전의 혈청 TC 수준을 보여준다. 도 23b는 4주간 처리 후의 혈청 TC 수준을 보여준다.
도 24는 4주간 Cmyr-47 처리 동안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에서의 혈청 TG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5a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에 의한 처리 이전의 혈청 TG 수준을 보여준다. 도 25b는 4주간 처리 후의 혈청 TG 수준을 보여준다.
도 26은 4주간 Cmyr-47 처리 후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에서의 혈액 요소 질소("BUN") 수준을 보여준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4주간 Cmyr-47 처리 후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의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및 총 지방 지수를 보여준다. "Cmyr-47(L)"은 1일 10 ㎎/㎏의 투여량의 Cmyr-47을 나타내는 반면, "Cmyr-47(Hi)"는 1일 30 ㎎/㎏의 투여량의 Cmyr-47을 나타낸다.
도 28은 4주간 Cmyr-47 처리 후의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에서 혈청 TBA 수준을 보여준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 이해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하기 용어는 하기에 정의되어 있다.
"하나" 및 "일"이란 관사는 상기 관사의 하나 또는 하나 초과(즉, 적어도 하나)의 문법 대상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일 성분"은 하나의 성분 또는 하나 초과의 성분을 의미한다.
"또는"이란 용어는 문맥에서 달리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는 한 "및/또는"이란 용어를 의미하며, 상기 용어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함유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이란 용어 또는 이 같은 용어의 문법적 변형체가 본 발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정도까지 이 같은 용어는 "포함하기"란 용어가 청구범위에서 전이 단어(transitional word)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해석되므로 "포함하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포함하기"란 용어 또는 이의 문법적 변형체는 "~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란 문구를 의미하며, 상기 문구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약"이란 용어는 기준 수량, 수준, 값, 개수, 빈도, 비율,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만큼 변경되는 수량, 수준, 값, 개수, 빈도, 비율,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수치 범위와 함께 "약"이란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개시된 수치 값의 초과 및 미만으로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그 범위를 변경한다. 일반적으로, "약"이란 용어는 표시된 값의 초과 및 미만의 수치 값을 =10%의 차이로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I. 폴리펩티드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예를 들어 당뇨병 및 고지혈증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폴리펩티드를 제공하며,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에서 유래한다. 폴리펩티드는 HBV의 프리-S1 영역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또는 무세포 시스템(예를 들어, 세포 용해물 또는 재구성된 시스템)에서와 같이 시험관 내에서, 또는 세포, 예를 들어 배양물 내의 세포(예를 들어, NTCP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간세포)에서 생체 외 또는 개체 내의 세포에서 생체 내에서 NTCP에 결합할 수 있다.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인간일 수 있다.
"폴리펩티드", "펩티드" 및 "단백질"이란 용어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전장 단백질 및 절편뿐만 아니라 전장 단백질 및 절편의 변이체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이 같은 절편 및 변이체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다. "폴리펩티드", "펩티드" 및 "단백질"은 천연 및/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용어는 또한 번역 후 변형된 단백질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변형된 단백질은, 예를 들어 글리코실화, 시알릴화(sialylation), 아세틸화 및/또는 인산화 단백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 예를 들어 N-말단 및/또는 C-말단에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단백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폴리펩티드의 N-말단은,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콜레스테롤 및 아라키돈산과 같은 소수성 기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폴리펩티드의 C-말단은 변형되어 폴리펩티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C-말단 변형은 아미드화(아민화), 이소펜탄디올화, 및 폴리펩티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기타 C-말단 변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란 용어는 HBV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폴리펩티드의 기원 또는 공급원을 지칭하며, 고유 또는 재조합의 합성 또는 정제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란 용어는 고유의 전장 HBV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절편뿐만 아니라 고유의 전장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절편의 변이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편은 적어도 3개 내지 5개의 아미노산, 적어도 5개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적어도 10개 내지 20개의 아미노산, 적어도 20개 내지 30개의 아미노산, 적어도 30개 내지 50개의 아미노산, 또는 고유 서열의 전체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그 외에도 고유 서열 내의 이의 기원을 갖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확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임의의 HBV 아형의 L 단백질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임의의 HBV 아형의 L 단백질의 전체 프리-S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A, B, C, D, E, F, G 및 H 중 임의의 하나의 L 단백질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할 수 있다. 이들 HBV 유전자형의 게놈 서열은 유전자은행(GenBank) 기탁 번호: KC875260(서열번호 41), AY220704(서열번호 42), AF461363(서열번호 43), AY796030(서열번호 44), AB205129(서열번호 45), DQ823095(서열번호 46), HE981176(서열번호 47) 및 AB179747(서열번호 48)에서 각각 찾아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L 단백질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는 상응하는 고유의 HBV 폴리펩티드의 본원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며, 이때 상기 생물학적 활성으로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들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변이체"는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 소정의 폴리펩티드(즉,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와는 다르지만 소정의 폴리펩티드의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본원에 기술된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다. 본원에 기술된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소정의 폴리펩티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부가(예를 들어, 삽입), 결실 또는 치환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변이체 폴리펩티드는 소정의 폴리펩티드로부터의 1개 내지 30개,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부가(예를 들어, 삽입), 결실 또는 치환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치 범위는 이들 범위 사이의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 서열은 아미노산의 보존적 치환을 함유할 수 있다. 아미노산의 보존적 치환, 즉 하나의 아미노산을 유사한 특성(예를 들어, 친수성 및 하전된 영역의 정도 및 분포)을 갖는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기는 전형적으로 약간의 변화를 수반하며, 따라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의하게 변경하지 않는다. 이들 약간의 변화는 부분적으로는 소수성 및 아미노산의 전하를 고려하여 아미노산의 수치요법 지수(hydropathic index)를 고려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유사한 수치요법 지수 및 친수성 값을 갖는 아미노산은 치환될 수 있으며, 여전히 단백질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아미노산의 소수성 지수 및 친수성 값은 둘 모두 아미노산의 특정 곁사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관찰과 일치하게도, 생물학적 기능과 양립 가능한 아미노산 치환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및 기타 특성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아미노산의 상대적 유사성, 및 특히 이들 아미노산의 곁사슬에 의존한다.
또한 "변이체"란 용어는 소정의 폴리펩티드에 대해 특정 동일성,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의 동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변이체"는 또한 HBV 단백질의 고유 서열에 상응하는 소정의 폴리펩티드의 일부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또한 "변이체"는 2개 이상의 상이한 공급원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또는 키메라 단백질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융합 단백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HBV에서 유래하는 하나의 폴리펩티드와 비-HBV 단백질에서 유래하는 다른 폴리펩티드의 융합 단백질, 상이한 HBV 아형에서 유래하는 2개의 폴리펩티드의 융합 단백질, 및 HBV 아형 중 임의의 하나의 L 단백질의 상이한 영역 또는 HBV 아형 중 임의의 하나의 L 단백질의 프리-S1 영역 내의 상이한 서열에서 유래하는 2개의 폴리펩티드의 융합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이체"란 용어는 소정의 폴리펩티드(즉,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의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소정의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지만, 소정의 폴리펩티드와는 상이한 방식으로 화학적으로 변형되고/되거나 번역 후 변형된다. 또한 "변이체"는, 예를 들어 단백질분해, 인산화 또는 기타 번역 후 변형에 의해 다르게 가공되어 있는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절편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이의 생물학적 활성을 여전히 보유한다. 본원에서 "변이체"의 사용은 문맥에서 달리 반박하지 않는 한 변이체의 절편을 포함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변이체"란 용어는 헤파드나바이러스 속(hepadnavirus genus)의 다양한 바이러스 종, 균주 또는 아형에서 발견되는 상동성 폴리펩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HBV는 이의 외피 단백질 상에 존재하는 항원성 에피토프에 기초하여 4개의 주요 혈청형(adr, adw, ayr, ayw)으로 분류되고, 게놈의 전체 뉴클레오티드 서열 변이에 따라 8개의 유전자형(A 내지 H)로 분류된다. 따라서 "변이체"란 용어는 임의의 이들 HBV 아형에서 발견되는 상동성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또한 "변이체"는 N 및/또는 C 말단에 부가된, 임의의 이들 HBV 아형에서 유래하는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 및 "보존적 치환"이란 용어는 하나의 아미노산이 유사한 크기, 구조, 전하 및/또는 극성을 갖는 다른 아미노산으로 교체되는 일군의 아미노산 내에서의 의도된 아미노산 교체(amino acid swap)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유사한 곁사슬을 갖는 아미노산 잔기의 부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곁사슬로는 염기성 곁사슬(예를 들어,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산성 곁사슬(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하전되지 않은 극성 곁사슬(예를 들어,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시스테인), 무극성 곁사슬(예를 들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베타-분지형 곁사슬(예를 들어, 트레오닌, 발린, 이소류신) 및 방향족 곁사슬(예를 들어,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폴리펩티드 내의 아미노산 잔기는 동일한 곁사슬 부류에서 유래하는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대체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에서, 일련의 아미노산은 곁사슬 부류의 멤버의 순서 및/또는 조성이 다른 구조적으로 유사한 일련의 아미노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 다른 기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티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서 무작위로 돌연변이가 도입될 수 있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의 예로는, 예를 들어 지방족 또는 소수성 아미노산인 Ala, Val, Leu, 및 Ile 중 하나와 이러한 4개의 아미노산의 그룹 중의 기타 아미노산들 중 하나와의 교환; 하이드록실 함유 잔기인 Ser과 Thr 사이의 교환; 산성 잔기인 Asp와 Glu 사이의 교환; 아미드 잔기인 Asn과 Gln 사이의 교환; 염기성 잔기인 Lys, Arg 및 His 사이의 교환; 방향족 잔기인 Phe, Tyr 및 Trp 사이의 교환; 및 소형의 아미노산인 Ala, Ser, Thr, Met 및 Gly 사이의 교환을 들 수 있다. 유사하고 구조적으로 관련된 아미노산에 의해 보존 아미노산의 치환과 같은 보존적 치환은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지 않을 것이다.
"서열 동일성"(예를 들어, "~와 50% 동일한 서열")이란 용어는 서열이 비교 범위(window of comparison) 전체에서 아미노산 대 아미노산 기준으로 동일한 정도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소정의 폴리펩티드의 서열에 대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소정의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여전히 보유할 수 있다. "동일성 비율"(또는 "동일성(%)")은 서열 동일성의 비율(%)을 얻기 위해 비교 범위 전체에서 최적으로 배열된 2개의 서열을 비교하고, 상기 서열 둘 모두에서 동일한 아미노산이 발생하는 위치의 개수를 측정하여 매칭되는 위치의 개수를 얻고, 비교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의 개수를 위치의 전체 개수로 나누고, 결과치에 100을 곱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비교 범위를 배열하기 위한 서열의 최적의 배열은, 당업계에서 구매 가능한 알고리즘, 예를 들어 BLAST® 프로그램 계열의 전산화 실행에 의해 수행되거나, 임의의 다양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시각 검사 및 최상의 배열(즉, 비교 범위 전체에서 가장 높은 상동성 비율(%)을 초래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열 비교를 위해, 하나의 서열은 참조 서열로서 작용하며, 이때 시험 서열을 이와 비교한다. 서열 비교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시험 및 참조 서열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하위서열 좌표(subsequence coordinate)를 설계하고, 서열 알고리즘 프로그램 매개변수를 지정한다. 이어서 서열 비교 알고리즘에서는 지정된 프로그램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참조 서열 대비 시험 서열에 대한 해당 서열 동일성(%)을 계산한다. 서열 알고리즘 프로그램 매개변수의 지정은 충분히 당업계의 지식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비교 범위는 비교 서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전체 길이에 대해, 예를 들어 참조 서열의 전체 길이에 대해 지정될 수 있으며, 참조 서열 내의 총 아미노산 개수에 대해 최대 5%의 간격이 허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분자 또는 경로의 "양방향 조절"은 본원에 기술된 HBV 유래 폴리펩티드가 특정 농도 또는 그 이하에서 분자 또는 경로의 활성(즉, 인핸서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농도를 초과하면 분자 또는 경로의 활성(즉, 인핸서로서의 기능)을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특정 농도 또는 그 이하에서는 NTCP에 결합할 수 있고, 간세포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즉, NTCP의 "인핸서"로서의 기능)를 조장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폴리펩티드는 이러한 농도를 초과하면 NTCP에 결합할 수 있지만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즉, NTCP의 "억제제"로서의 기능)를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에서는 NTCP의 인핸서로서 기능을 할 수 있고, 93 nmol/ℓ 초과에서는 NTCP의 억제제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는 500 ng/㎖ 또는 그 이하에서는 NTCP의 인핸서로서 기능을 할 수 있고, 500 ng/㎖ 초과에서는 NTCP의 억제제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시험관 내에서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양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특정 농도 또는 그 이하에서 시험관 내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을 조장할 수 있는 반면, 폴리펩티드는 이러한 농도를 초과하면 시험관 내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에서 시험관 내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조장할 수 있는 반면, 폴리펩티드는 93 nmol/ℓ 초과에서 시험관 내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는 500 ng/㎖ 또는 그 이하에서 시험관 내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조장할 수 있는 반면, 500 ng/㎖ 초과에서 시험관 내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특정 혈청 농도 또는 그 이하에서는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조장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이러한 혈청 농도를 초과하면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개체에서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인 경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개체에서 93 nmol/ℓ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는 500 ng/㎖의 혈청 농도 또는 그 이하에서 개체에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고, 500 ng/㎖의 혈청 농도를 초과하면 개체에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대사성 질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생물학적 활성은 대사성 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수준 또는 활성을 조절하고/하거나,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값을 조절하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하나 이상의 이 같은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활성을 감소 또는 안정화시키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는 담즙산 대사, 글루코오스 대사, 지질 대사 및/또는 아미노산 대사를 지칭한다. 대사와 연관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는,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담즙산, 아미노산, 호르몬(예를 들어, 인슐린),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 및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생리학적 매개변수는, 예를 들어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I),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개체에서 혈청 담즙산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간세포에서의 담즙산 합성을 통해 콜레스테롤의 제거를 향상시키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에서 지질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혈청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에서 예를 들어 트리글리세리드, 총 콜레스테롤 또는 LDL-C와 같은 혈청 지질의 혈청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에서 글루코오스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혈청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에서 글루코오스 또는 HbA1c의 혈청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 인슐린의 혈청 수준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개체에서 대사성 질병을 치료하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병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대사성 질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 예를 들어 고지혈증(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병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어 당뇨병 및 비만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이 같은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합병증을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환자의 건강에 미치는 이 같은 질환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거나 이 같은 질환에 걸릴 위험성을 줄이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또한, 예를 들어 동맥경화증 및/또는 심장혈관계 질환, 심장 질환, 신장 손상 또는 비만과 같은 기타 연관 질병의 중증도 또는 기타 연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을 줄이는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포함한다.
이론과 결부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이들 생물학적 활성은 개체에 대한 폴리펩티드의 투여 이후에 상기 혈청 농도에서는 폴리펩티드에 의해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의 결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같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특정 농도 또는 그 이하인 경우,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향상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특정 농도를 초과하면,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억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같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인 경우,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향상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93 nmol/ℓ를 초과하면,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억제된다. 예를 들어, 이 같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500 ng/㎖ 또는 그 이하인 경우,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향상된다.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500 ng/㎖를 초과하면,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억제된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생체 내, 시험관 내 및 생체 외 검정이 고려되고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개체에서 유래하는 샘플을 수집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확인될 수 있다. 샘플은, 예를 들어 간, 근육, 지방 및 췌장과 같은 특정 조직으로부터 수집한 생검 샘플, 또는 검시용 동물로부터 수집한 급속 냉동된 조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샘플은 개체에서 뽑은 혈액으로부터 수집된 혈청 샘플일 수 있다. 개체로부터 혈청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꼬리 출혈(tail-bleeding), 안와후부 천자(retro-orbital puncture) 및 심장 천자(cardiopunctur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형질전환된 세포주 또는 동물에서 단리된 세포인 세포와 접촉시킴으로써 시험관 내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동물에서 단리된 1차 간세포일 수 있다.
NTCP를 정량적인 방식으로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TCP를 발현하는 세포(예를 들어, NTCP를 과발현하는 포유동물 세포 또는 간세포)는 시험관 내에서 담즙산으로 처리되고,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로 증가하는 양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세포에 첨가되는 담즙산은 검출을 위해 방사성으로 표지될 수 있거나 화학적으로 표지될 수 있다. 이어서 세포를 수확하고, 세포가 흡수한 담즙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NTCP를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능력은, 폴리펩티드가 특정 농도 또는 그 이하에서 담즙산 흡수를 향상시키는 반면 이러한 농도를 초과하면 담즙산 흡수를 억제하는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예시적인 검정은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개체로부터 수집되는 샘플에 대한 기능 분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기능 분석으로는,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생산 검정, 글루코오스 흡수 검정, 지방산 산화 검정, 콜레스테롤 검정, 담즙산 검정, 요소 검정 및 트리글리세리드 검정을 들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검정은 또한,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와 NTCP 사이의 결합 분석, 담즙산을 수송하기 위한 NTCP의 활성 검정, 및 담즙산 대사, 글루코오스 대사, 지질 대사, 및 아미노산 대사와 같은 대사에 연루된 분자 인자의 발현, 국부화 또는 활성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상술한 기법 및 절차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및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임의의 HBV 아형의 프리-S1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 내지 59번째 아미노산의 서열을 포함한다: GTNLSVPNPLGFFPDHQLDPAFGANSNNPDWDFNPNKDHWPEANQVG(서열번호 23). 부가적인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다른 HBV 유전자형, 예를 들어 유전자형 A, B, D, E, F, G 및 H 중 임의의 하나에서 유래하는 상응하는 프리-S1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하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HBV 유전자형 A의 13번 내지 59번째 프리-S1 아미노산: GTNLSVPNPLGFFPDHQLDPAFGANSNNPDWDFNPVKDDWPAANQVG(서열번호 34),
HBV 유전자형 B의 13번 내지 59번째 프리-S1 아미노산: GTNLSVPNPLGFFPDHQLDPAFKANSENPDWDLNPNKDNWPDANKVG(서열번호 35),
HBV 유전자형 D의 2번 내지 48번째 프리-S1 아미노산: GQNLSTSNPLGFFPDHQLDPAFRANTANPDWDFNPNKDTWPDANKVG(서열번호 36),
HBV 유전자형 E의 12번 내지 58번째 프리-S1 아미노산: GKNISTTNPLGFFPDHQLDPAFRANTRNPDWDHNPNKDHWTEANKVG(서열번호 37),
HBV 유전자형 F의 13번 내지 59번째 프리-S1 아미노산: GQNLSVPNPLGFFPDHQLDPLFRANSSSPDWDFNTNKDSWPMANKVG(서열번호 38),
HBV 유전자형 G의 12번 내지 58번째 프리-S1 아미노산: GKNLSASNPLGFLPDHQLDPAFRANTNNPDWDFNPKKDPWPEANKVG(서열번호 39), 또는
HBV 유전자형 H의 13번 내지 59번째 프리-S1 아미노산: GQNLSVPNPLGFFPDHQLDPLFRANSSSPDWDFNTNKDNWPMANKVG(서열번호 40).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의 프리-S1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일부는 적어도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의 전체 프리-S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의 길이가 10개 내지 100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의 길이가 15개 내지 100개, 15개 내지 80개, 20개 내지 100개, 20개 내지 80개, 20개 내지 60개, 25개 내지 60개, 30개 내지 60개, 35개 내지 60개, 또는 40개 내지 60개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치 범위는 이들 범위 사이의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의 길이가 적어도 20개, 예를 들어, 적어도 25개, 30개, 35개, 40개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의 길이가 20개, 25개, 30개, 35개, 40개, 47개, 55개, 60개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의 길이가 47개일 수 있다. 길이가 상이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변이체는 상응하는 폴리펩티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며, 이때 상기 생물학적 활성으로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들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소수성 기에 의한 N-말단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 기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콜레스테롤 및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소수성 기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콜레스테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소수성 기는 미리스트산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 말단은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콜레스테롤로부터 선택되는 소수성 기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 말단은 미리스토일화(myristoylation)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 말단은 미리스토일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폴리펩티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C-말단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말단 변형은 아미드화(아민화), 이소펜탄디올화, 및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기타 C-말단 변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말단 변형은 아미드화(아민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 말단은 미리스토일화될 수 있고/있거나, C 말단은 아미드화(아민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Cmyr-4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 말단은 미리스토일화될 수 있고/있거나, C 말단은 아미드화(아민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4 내지 서열번호 2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N-말단 및/또는 C-말단에서 변형되어 있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변이체는 동일한 방식으로 변형되지 않은 상응하는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며, 이때 상기 생물학적 활성으로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변이체(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결실, 치환 또는 삽입을 갖는 변이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생물학적 활성으로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들 수 있음)가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째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글리신(즉, 서열번호 23의 N-말단 글리신)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20번째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아스파라긴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의 프리-S1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HBV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서열 대비 1개 내지 30개, 예를 들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결실, 치환 또는 삽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치 범위는 이들 범위 사이의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대비 1개 내지 30개, 예를 들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결실, 치환 또는 삽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치 범위는 이들 범위 사이의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 대비 1개 내지 30개, 예를 들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결실, 치환 또는 삽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치 범위는 이들 범위 사이의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로부터의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결실, 치환 또는 삽입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C 말단에서 1개 내지 30개, 예를 들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결실 또는 삽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치 범위는 이들 범위 사이의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1,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 24 내지 서열번호 28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표 1에 나열된 폴리펩티드들 중 임의의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표 1에 나열된 번역 후 변형된 폴리펩티드들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폴리펩티드에 대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의 동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1 내지 서열번호 40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에 대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에 대해 특정 서열 동일성을 갖는 변이체는 상응하는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며, 이때 상기 생물학적 활성으로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예를 들어 N 및/또는 C 말단에 부가되는 L 단백질의 프리-S1 영역과 같은 HBV L 단백질에서 유래하는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은 상응하는 HBV 유전자형 또는 임의의 기타 HBV 유전자형의 프리-S1 영역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N 또는 C 말단에 연접하는 고유 서열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 및 HBV 유전자형 A 내지 H 중 임의의 하나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N 및/또는 C 말단에서의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은 유전자은행 기탁 번호: KC875260(유전자형 A; 서열번호 41), AY220704(유전자형 B; 서열번호 42), AF461363(유전자형 C; 서열번호 43), AY796030(유전자형 D; 서열번호 44), AB205129(유전자형 E; 서열번호 45), DQ823095(유전자형 F; 서열번호 46), HE981176(유전자형 G; 서열번호 47) 또는 AB179747(유전자형 H; 서열번호 48)을 갖는 HBV 균주의 공통 서열에서 유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 및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N 및/또는 C 말단에서의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 및 HBV 유전자형 A, B, D, E, F, G 및 H 중 임의의 하나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N 및/또는 C 말단에서의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N 및/또는 C 말단은 1개 내지 10개, 예를 들어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독립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치 범위는 이들 범위 사이의 모든 정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 및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N 말단에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2번 내지 59번째 아미노산(서열번호 29)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 및 HBV 유전자형 E 또는 G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N 말단에 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 내지 59번째 아미노산, 및 HBV 유전자형 E 또는 G의 프리-S1 영역의 2번 내지 11번째 아미노산(서열번호 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폴리펩티드는 N 및/또는 C 말단으로부터 확장되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고, 얻어진 폴리펩티드는 본래의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며, 이때 상기 생물학적 활성으로는 적어도 NTCP에 결합하고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들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간세포가 특정 농도 또는 그 이하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은 이 같은 폴리펩티드와 접촉하지 않는 간세포에 비해 향상될 수 있다. 간세포가 특정 농도 초과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은 이 같은 폴리펩티드와 접촉하지 않는 간세포에 비해 억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간세포가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은 이 같은 폴리펩티드와 접촉하지 않는 간세포에 비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간세포가 93 nmol/ℓ 초과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은 이 같은 폴리펩티드와 접촉하지 않는 간세포에 비해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세포가 500 ng/㎖ 또는 그 이하에서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은 이 같은 폴리펩티드와 접촉하지 않는 간세포에 비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간세포가 500 ng/㎖ 초과에서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은 이 같은 폴리펩티드와 접촉하지 않는 간세포에 비해 억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수준 또는 활성을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감소 또는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는, 예를 들어 담즙산 대사, 글루코오스 대사, 지질 대사 또는 아미노산 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는 글루코오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담즙산, 아미노산, 호르몬,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 및 무기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I),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와 같은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값을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감소 또는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담즙산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혈청 지질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총 콜레스테롤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LDL-콜레스테롤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글루코오스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HbA1c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인슐린의 혈청 수준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인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을 수 있거나, 이 같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조절하는" 또는 "변경하는"은 모두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정량화 가능한 매개변수를 소정의 양 및/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 정도로 "감소하는", "줄이는", "저하시키는", "하향 조절하는" 또는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조절하는"이란 용어는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정량화 가능한 매개변수를 소정의 양 및/또는 통계학적의 유의한 양 정도로 "향상시키는", "증가시키는", "올리는" "상향 조절하는" 또는 "조장하는" 것을 포함하다.
"감소하는", "줄이는", "저하시키는", "하향 조절하는" 및 "억제하는"이란 용어는 모두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담즙산, 아미노산 또는 호르몬(예를 들어, 인슐린을 포함함),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 및 무기물과 같은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수준 또는 활성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부재 하에 관찰되거나 대조군 폴리펩티드보다 낮은 수준 또는 활성 미만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감소하는"은, 예를 들어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I),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와 같은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값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부재 하에 관찰되거나 대조군 폴리펩티드보다 낮은 수준 또는 활성 미만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에 의한 감소량은 불활성 분자 또는 약화된 분자의 존재 하에 관찰되는 수준 또는 활성 미만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혈청 및/또는, 예를 들어 간, 심장, 근육, 내장 지방, 피하 지방, 창자 및 뇌와 같은 다른 조직 또는 장기에서 글루코오스, 인슐린, 콜레스테롤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개체의 체질량 지수(BMI)의 값은 하기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BMI = (개체의 질량(단위: ㎏)/[(개체의 신장(단위: m)2]. 염증 수준은 당업계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임상 시험을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중의 C-반응성 단백질(CRP)의 수준은 개체에서의 염증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측정될 수 있다. 적혈구 침강 속도(ESR) 시험은 개체에서의 염증 수준을 측정하는 시험의 다른 예이다. ESR 시험에서는 설정된 기간 내에 적혈구의 침강 속도가 측정된다. 개체에서의 총 콜레스테롤(TC) 및 HDL-C 수준(예를 들어, 단위는 mmol/ℓ임)을 얻는 경우에 동맥경화 지수(AI)의 값은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AI = (TC - HDL-C)/HDL-C.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는 HOMA-IR(인슐린 내성 수준을 정량화함) 지수 및/또는 HOMA-β 지수(β-세포 기능의 수준을 정량화함)를 지칭할 수 있다. HOMA-IR의 값은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HOMA-IR = [(혈당(단위: mmol/ℓ) x (혈청 인슐린(단위: mU/ℓ))]/22.5. HOMA-β*의 값은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HOMA-β = [(20 x 혈청 인슐린(단위: mU/ℓ))/(혈당(단위: mmol/ℓ) - 3.5)]%. 심박동 지수의 값은 심장의 무게와 총 체중 사이의 비율을 지칭하고,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심박동 지수(g/㎏) = 심장의 무게(단위: g)/체중(단위: ㎏). 신장 지수의 값은 신장의 무게와 총 체중 사이의 비율을 지칭하고,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신장 지수(g/㎏) = 신장의 무게(단위: g)/체중(단위: ㎏). 총 지방 지수의 값은 지방(예를 들어, 복부 및/또는 견갑골 지방)의 무게와 총 체중 사이의 비율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지방 지수는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총 지방 지수(g/㎏) = 복부 지방 및 견갑골 지방의 총 무게(단위: g)/체중(단위: ㎏).
유사하게, "향상시키는", "증가시키는", "올리는" "상향 조절하는" 및 "조장하는"이란 용어는 모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담즙산, 아미노산, 호르몬(예를 들어, 인슐린을 포함함),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 및 무기물과 같은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수준 또는 활성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부재 하에 관찰되거나 대조군 폴리펩티드보다 높은 수준 또는 활성을 초과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향상시키는"은, 예를 들어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I),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와 같은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값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부재 하에 관찰되거나 대조군 폴리펩티드보다 높은 수준 또는 활성을 초과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증가량은 불활성 분자 또는 약화된 분자의 존재 하에 관찰되는 수준 또는 활성을 초과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혈청 및/또는, 예를 들어 간, 심장, 근육, 내장 지방, 피하 지방, 창자 및 뇌와 같은 다른 조직 또는 장기에서 담즙산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안정화시키는", "유지하는", "지속하는" 및 "보존하는"이란 용어는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와 함께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며,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담즙산, 아미노산, 호르몬(예를 들어, 인슐린을 포함함),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 및 무기물과 같은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수준 또는 활성이 건강한 개체 또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개체에서 관찰되는 수준 또는 활성, 또는 양성 대조군 폴리펩티드의 존재 하에 관찰되는 수준 또는 활성과의 최소의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정화시키는"은, 예를 들어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I),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와 같은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값이 건강한 개체 또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개체에서 관찰되는 수준 또는 값, 또는 양성 대조군 폴리펩티드의 존재 하에 관찰되는 수준 또는 값과의 최소의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혈청 중의 인슐린 수준 및/또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생산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화학적 합성에 의해 또는 재조합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재조합 절차가 선택되는 경우, 합성 유전자는 새로이 구성될 수 있거나, 천연 유전자는, 예를 들어 카세트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돌연변이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재조합 DNA 기법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들 기법은 단순화된 형태에서 천연이든 합성이든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채취하고; 이를 적절한 벡터에 삽입하고; 벡터를 적절한 숙주 세포에 삽입하고; 숙주 세포를 배양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야기하고; 이렇게 생성된 펩티드를 회수 또는 단리하는 것을 고려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회수된 펩티드는 이어서 적절한 정도까지 정제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은 클로닝되고 조작되어 이를 편리한 숙주에서 발현시킬 수 있다. 모(parent)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DNA는 HBV 게놈 라이브러리, 또는 폴리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로부터의 mRNA에서 유래하는 cDNA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합성에 의해 DNA 서열을 구축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이어서 모 DNA는 숙주 세포를 형질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절한 플라스미드 또는 벡터 내로 삽입된다. 일반적으로, 숙주 세포와 양립 가능한 종에서 유래하는 복제 및 조절 서열을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벡터는 이들 숙주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벡터는 보통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표현형 선택(phenotypic selection)을 제공할 수 있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서열뿐만 아니라 복제 부위를 갖고 있다. 벡터는 당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일 수 있거나, 당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벡터의 기능성 절편을 조합함으로써 표준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숙주 세포는 원핵 또는 진핵 세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핵 숙주 세포는 대장균(E. coli),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기타 장내세균(예를 들어,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또는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ans) 및 다양한 슈도모나스 종)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핵생물 이외에도, 효모 배양물과 같은 진핵 생물, 또는 곤충 또는 포유동물 세포 배양물과 같은 다세포 생물에서 유래하는 세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같은 진핵 숙주 세포주의 예로는 VERO 및 HeLa 세포,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주, W138, 293, BHK, COS-7, 및 MDCK 세포주를 들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고체상 합성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동등한 화학적 합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체상 합성은 보호된 α-아미노산을 적절한 수지에 결합시킴으로써 펩티드의 C-말단으로부터 개시된다. 이 같은 출발 물질은 α-아미노-보호된 아미노산을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클로로메틸화 수지 또는 하이드록시메틸 수지에 부착하거나, 아미드 결합에 의해 BHA 수지 또는 MBHA 수지에 부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펩티드 결합의 형성을 위해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법을 이용하여 아미노산을 펩티드 사슬에 결합한다. 하나의 방법은 카르복실기를 펩티드 절편의 유리 N-말단 아미노기와의 반응에 보다 잘 반응하게 만드는 유도체로 아미노산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은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 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 sec-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염화피바로일 또는 유사한 산 염화물과 보호된 아미노산의 반응에 의해 혼합 무수물로 전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미노산은 2,4,5-트리클로로페닐 에스테르, 펜타클로로페닐 에스테르,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또는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로부터 형성되는 에스테르와 같은 활성에스테르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결합 방법은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또는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와 같은 적절한 결합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펩티드 합성에 사용되는 각각의 아미노산의 α-아미노기는 이들의 활성 α-아미노 기능을 수반하는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반응 중에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성 곁사슬 작용기(예를 들어, 설프하이드릴, 아미노, 카르복실 및 하이드록실)를 함유하는 특정 아미노산은 초기 및 후속적인 결합 단계 둘 모두에서 이러한 부위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적절한 곁사슬 보호기의 선택은 당업계의 범주 내에 있다. 보호기는 펩티드 사슬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을 반응 조건 하에서 목적하는 아미노산 펩티드를 완성할 때 용이하게 제거 가능할 것이다.
α-아미노 보호기의 제거 후, 남아있는 α-아미노- 및 곁사슬-보호된 아미노산은 목적하는 순서로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합성에서 각각의 아미노산을 별도로 첨가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일부는 고체상 합성기에 첨가하기 전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적절한 결합 시약의 선택은 당업계의 범주 내에 있다.
각각의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서열은 과량으로 고체상 반응기에 도입되고, 결합은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CH2Cl2의 매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적절히 수행된다. 결합이 불완전하게 일어나는 경우, 다음 아미노산의 결합 이전에 N-아미노 보호기를 제거하기 전에 결합 절차를 반복한다. 합성의 각 단계에서 결합 반응의 성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결합 반응은 널리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BIOSEARCH 9500TM 펩티드 합성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목적하는 펩티드 서열이 완성되었을 때 보호된 펩티드는 수지 지지체로부터 개열(cleavage)되어야 하고, 모든 보호기는 제거되어야 한다. 개열 반응 및 보호기의 제거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적절히 달성된다. 수지 지지체가 클로로메틸화 폴리스티렌 수지인 경우, 펩티드를 수지에 고정하는 결합은 C-말단 잔기의 유리 카르복실기와 수지 매트릭스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클로로메틸기들 중 하나 사이에 형성되는 에스테르 결합이다. 고정 결합(anchoring bond)이 에스테르 결합을 파괴하고 수지 매트릭스를 침투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시약에 의해 개열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또한 폴리펩티드가 지지체로부터 개열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폴리펩티드는 변형(예를 들어,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콜레스테롤, 아라키돈산을 포함하는 소수성 기에 의해 N-말단에서 변형되고; 아미드화(아민화), 이소펜탄디올화 또는 기타 안정화 C-말단 변형에 의해 C-말단에서 변형됨)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정제는 제조용 HPLC(역상 HPLC를 포함함) 또는 겔 투과, 이온 교환,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단클론성 항체 칼럼을 포함함) 또는 역류 분배(countercurrent distribution)와 같은 기타 공지의 크로마토그래피 기술과 같은 통상적인 절차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II. 약학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약학 조성물을 포함함)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는 혈청 농도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개체에 투여하기 위해 "약학 조성물"을 함께 포함하는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봉지재, 제형 보조제, 부형제 또는 담체와 같은 불활성 성분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사용된 용량 및 농도에서 수용체에 대해 독성이 없고, 제형의 기타 성분과 양립 가능하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사용된 제형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치료제가 경구 투여되어야 하는 경우, 담체는 젤 캡슐일 수 있다. 치료제가 피하 투여되어야 하는 경우, 담체는 이상적으로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으며, 주사 부위 반응을 야기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순도를 갖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예를 들어 완충제(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기타 유기산); 산화방지제(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및 메티오닌); 보존제(예를 들어, 염화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염화헥사메토늄,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페놀, 부틸 또는 벤질 알코올, 알킬 파라벤(예를 들어,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조르시놀, 사이클로헥산올, 3-펜탄올 및 m-크레졸); 저분자량(예를 들어, 약 10개 미만의 잔기) 폴리펩티드; 단백질(예를 들어,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예를 들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또는 리신); 단당류, 이당류, 및 기타 탄수화물(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또는 덱스트린을 포함함); 킬레이트제(예를 들어, EDTA); 당(예를 들어, 수크로오스, 만니톨, 트레할로오스 또는 소르비톨); 염 성형 반대 이온(예를 들어, 나트륨); 금속 착물(예를 들어, Zn- 단백질 착물);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약학적 담체는 결합제(예를 들어, 예비 겔화된 옥수수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등); 충전제(예를 들어, 락토오스 및 기타 당, 미정질 셀룰로오스, 펙틴, 젤라틴, 황산칼슘,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인산수소칼슘 등); 윤활제(예를 들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활석, 실리카,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스테아르산, 금속성 스테아레이트, 수소화 식물성 오일, 옥수수 전분, 폴리에틸렌글리콜, 벤조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등); 붕해제(예를 들어, 전분,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등); 및 습윤제(예를 들어, 라우릴 황산나트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가용성 중성-활성 히알루로니다아제 당단백질(sHASEGP), 예를 들면, 인간 가용성 PH-20 히알루로니다아제 당단백질(예를 들어, rHuPH20(HYLENEX®,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Baxter International, Inc.)))과 같은 틈새 약물 분산제(interstitial drug dispersion ag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sHASEGP는, 예를 들어 콘드로이티나아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글리코사미노글리카나아제를 가지는 약학 조성물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치료될 특정 징후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보적인 활성을 갖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활성 성분은 의도된 목적에 맞게 유효량으로 조합하여 적절히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콜로이드성 약물 전달 시스템(예를 들어, 리포솜, 알부민 마이크로스피어(microsphere),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 또는 매크로에멀젼(macroemulsion)에서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기법 또는 계면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마이크로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마이크로캡슐 내에 각각 내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서방형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방형 제제의 적절한 예로는,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고체 소수성 중합체의 반투과성 매트릭스를 들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매트릭스는, 예를 들어 필름 또는 마이크로캡슐과 같은 성형 제품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생체 내 투여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멸균될 수 있다. 멸균은, 예를 들어 멸균 여과막을 통한 여과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가능한 다수의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정제, 캡슐, 젤 캡슐,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에멀젼 또는 혼합 매질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냉동 건조된 제형 또는 수용액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용액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비완충 용액, 예를 들어 염수 또는 물 중에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티드는 또한 적절한 완충제 용액 중에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제 용액은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프롤라민, 카보네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또는 임의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완충제 용액은 인산 완충 식염수(PBS)일 수 있다.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완충제 용액의 pH 및 삼투질 농도(osmolality)는 개체에 투여하기에 적절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수성, 비수성 또는 혼합 매질 중의 현탁액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예를 들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및/또는 덱스트란을 포함하는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현탁액은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에멀젼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에멀젼으로는 하나의 액체가 보통 직경이 0.1 ㎛를 초과하는 액적의 형태로 다른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이종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에멀젼은 분산 상 이외에도 부가적인 성분 및 활성 약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활성 약제는 용액 중에 수상, 유상으로 존재하거나 그 자체가 별도의 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에멀젼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또한 리포좀 제형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III.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치료적 용도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약물로서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가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지혈증은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총 트리글리세리드, 총 콜레스테롤 및 LDL-C 중 임의의 하나의 혈청 수준 증가와 연관된 병태를 치료하는데 있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제2형 당뇨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비만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루코오스 또는 HbA1c의 혈청 수준 증가와 연관된 병태를 치료하는데 있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가 또한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개체에서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의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을 수 있거나, 이 같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인간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 및 용도는 개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지혈증은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기타 양태에서, 혈청 지질의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청 지질의 수준, 예를 들어 총 콜레스테롤, 총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의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하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을 앓고 있거나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고지혈증을 앓고 있거나 고지혈증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을 앓고 있거나 이 같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제2형 당뇨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비만이다.
일부 양태에서, 혈당 또는 HbA1c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당 또는 HbA1c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의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인슐린의 혈청 수준의 안정화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인슐린의 혈청 수준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방법은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의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하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당뇨병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제2형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비만을 앓고 있거나 비만에 걸릴 위험성이 있다.
이론과 결부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 폴리펩티드를 투여한 이후에 개체에서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양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개체에서의 대사 연관 분자의 혈청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같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특정 농도 또는 그 이하인 경우,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향상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특정 농도를 초과하면,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억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같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인 경우,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향상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93 nmol/ℓ를 초과하면,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억제된다. 예를 들어, 이 같은 폴리펩티드가 투여된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500 ng/㎖ 또는 그 이하인 경우,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향상된다. 개체의 혈류 내의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농도가 500 ng/㎖를 초과하면, 개체에서의 담즙산 흡수가 억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적어도 투여 약 10분, 20분, 40분, 60분, 90분, 120분, 180분, 240분 또는 360분 후에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투여 후 특정 시점에 93 nmol/ℓ를 초과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투여 후 이 같은 시간 이후에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투여 후 특정 시점에 500 ng/㎖를 초과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투여 후 이 같은 시간 이후에 500 ng/㎖ 또는 그 이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티드의 이 같은 역치 혈청 농도는 투여 약 20분 후에 나타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대사성 질환" 또는 "대사성 질병"은 대사 경로, 예를 들어 담즙산 대사, 글루코오스 대사, 지질 대사 및 아미노산 대사에 관련된 경로의 조절장애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임의의 질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하는 질병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어 담즙산,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지방산을 포함한 지질 대사산물을 생성, 제거 및/또는 이용할 때의 조절장애를 포함하는 질병을 지칭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대사성 질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어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고지혈증을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하는 질병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산물,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피루베이트 및 글루코오스-6-포스페이트를 생성, 제거 및/또는 이용할 때의 조절장애를 포함하는 질병을 지칭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및 비만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대사성 질환은 고혈당증; 저혈당증; 고인슐린혈증; 비만, 고지혈증;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심장 질환; 대사성 증후군; 동맥경화성 질환;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성 동맥 질환; 말초 동맥 질환; 협심증; 뇌혈관 질환;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심근경색; 뇌졸중; 심장혈관계 질환; 알츠하이머병; 이상지질혈증; 가족성 복합 고지혈증; 가족성 고중성지질혈증;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이종 고콜레스테롤혈증; 동종 고콜레스테롤혈증; 가족성 아포지질 단백질 B-100 결핍증; 다유전자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방단백혈증-III형; 간 리파아제 결핍; 식이 문제(dietary indiscretion),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약제(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틴 요법제, 베타-차단제 및 티아지드 이뇨제를 포함함)에 의해 야기되는 이상지질혈증; 신장 증후군; 만성 신부전; 쿠싱 증후군; 원발성 담즙 간경변증; 글리코겐 축적병; 간세포암; 담즙울체; 말단 비대증; 인슐린종; 고립성 성장 호르몬 결핍; 신장 손상; 비만; 및 알코올 유도 고중성지질혈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사성 질환"이란 용어는, 예를 들어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고혈당증, 저혈당증, 고인슐린혈증, 비만, 고지혈증,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심장 질환, 대사성 증후군,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뇌졸중, 심장혈관계 질환, 알츠하이머병, 및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총 혈청 콜레스테롤, LDL, 트리글리세리드, VLDL 및/또는 HDL의 증가에 의해 발현될 수 있는 이상지질혈증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기타 약제와 함께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원발성 및 이차성 이상지질혈증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대사성 증후군, 당뇨병, 고지혈증, 가족성 복합 고지혈증, 가족성 고중성지질혈증,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종 고콜레스테롤혈증, 동종 고콜레스테롤혈증을 포함함), 가족성 아포지질 단백질 B-100 결핍증; 다유전자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방단백혈증-III형, 간 리파아제 결핍; 식이 문제,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약제(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틴 요법제, 베타-차단제 및 티아지드 이뇨제를 포함함) 중 임의의 것에 대해 부차적으로 나타나는 이상지질혈증; 신장 증후군, 만성 신부전, 쿠싱 증후군, 원발성 담즙 간경변증, 글리코겐 축적병, 간세포암, 담즙울체, 말단 비대증, 인슐린종, 고립성 성장 호르몬 결핍 및 알코올 유도 고중성지질혈증을 들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대사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또한 대사성 질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합병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는 심장혈관계 질환(동맥경화성 질환, 예를 들어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성 동맥 질환, 말초 동맥 질환을 포함함), 뇌졸중(허혈성 및 출혈성), 협심증, 또는 뇌혈관 질환 및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심근경색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또한 대사성 질병과 연관된 심장 질환, 신장 손상 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당뇨병"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글루코오스의 생산 및/또는 이용 시에 대사 결함이 발생하여 신체 내에서 적절한 혈당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또는 병태를 지칭한다. 이들 결함의 결과에는 "고혈당증"으로 지칭되는 혈당 증가가 포함된다. 당뇨병의 2개의 주요 형태는 제1형 당뇨병 및 제2형 당뇨병이다. 제1형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인슐린의 절대 결핍(예를 들어, 췌장 β 세포에서의 생산이 매우 낮거나 완전히 제거됨)으로부터 기인하며, 따라서 글루코오스의 이용을 조절하기 못한다. 제2형 당뇨병은 정상 수준 또는 심지어 증가된 수준의 인슐린에도 불구하고 종종 발생하며, 조직이 인슐린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저항성이며, 인슐린 분비가 인슐린에 반응하기 위해 말초 조직의 저항성을 보상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인슐린의 상대적 결핍을 나타낸다.
"고지혈증"이란 용어는 혈청 지질의 비정상적인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병태를 지칭한다. 순환 혈액 중의 지질 분획은, 예를 들어 총 콜레스테롤, 특정 지질 단백질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한다. 혈청 지질 단백질은 순환 중인 지질용 담체로서 작용하며, 이들의 밀도에 의해 분류되며, 여기서 상기 지질 단백질로는 킬로마이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질 단백질("LDL"), 중간 밀도 지질 단백질("IDL"), 저밀도 지질 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질 단백질("HDL")을 들 수 있다. "고지혈증"이란 용어는 원발성 및 이차성 고지혈증을 포함한다. 원발성 고지혈증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결함에 의해 야기되는 반면, 이차성 고지혈증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질병 상태, 약제, 및 식이 인자와 같은 기타 인자에 의해 야기된다. 예를 들어, 이차성 고지혈증은 당뇨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지혈증은 원발성 및 이차성 원인의 조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고지혈증은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고중성지질혈증"이란 용어는 혈청 총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이 목적하는 수준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병태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고콜레스테롤혈증"이란 용어는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이 목적하는 수준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병태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HDL-C") 또는 LDL 콜레스테롤("LDL-C") 수준은 고콜레스테롤혈증에서 목적하는 수준을 초과하여 증가한다. 또한 고지혈증은 심혈관 및 동맥경화 질병에 걸릴 위험성을 부과하며, 심혈관 및 동맥경화 질병의 발생을 포함할 수 있다. "심장혈관계 질환"이란 용어는 혈관 내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농도의 지질에 의해 야기되는 순환계의 혈관 질병을 포함한다. "동맥경화증"이란 용어는 지방 플라크(fatty plaque)가 내벽에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혈류를 차단하는 동맥 질병을 지칭한다.
"환자" 및 "개체"는 포유동물 또는 인간과 같은 동물을 지칭하기 위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동물은 질병, 질환 또는 병태에 대해 치료 또는 평가되거나, 질병, 질환 또는 병태에 걸릴 위험성이 있거나, 질병, 질환 또는 병태를 갖거나 이 같은 질병을 앓고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같은 질병, 질환 또는 병태는 대사성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예를 들어,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질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당뇨병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학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이란 용어는 폴리펩티드 또는 조성물이 치료에 효과가 있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양을 지칭한다. 용어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개체에서 담즙산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는, 예를 들어 당뇨병 및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개체에서 혈당 또는 HbA1c 수준을 저하시키거나 인슐린의 혈청 수준을 안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어는, 예를 들어 고지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질혈증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개체에서 혈청 지질의 수준, 예를 들어 총 콜레스테롤, 총 트리글리세리드,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인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어는, 예를 들어 당뇨병 및 고지혈증(예를 들어,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질혈증 또는 둘 모두)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예를 들어 기존의 질병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약화, 개선 또는 유지하거나, 질병의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질병 치료를 구현하기에 충분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양을 포함한다. "치료학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은 폴리펩티드, 투여 경로, 질병 및 이의 중증도, 및 치료될 개체의 건강, 나이, 체중, 가족력, 유전적 구성, 병리 과정의 단계, 존재하는 경우 이전의 치료 또는 수반되는 치료의 유형, 및 기타 개개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의 혈류 내의 농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농도에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이러한 양으로 투여된 개체의 혈류에서 적어도 약 93 nmol/ℓ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이러한 양으로 투여된 개체의 혈류에서 적어도 약 500 ng/㎖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양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개체에서의 폴리펩티드의 초기 혈청 농도는 폴리펩티드가 NTCP 매개 담즙산의 흡수를 억제하는 특정 농도를 초과할 수 있다. 개체에서의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폴리펩티드가 NTCP 매개 담즙산의 흡수를 향상시키기 시작하는 값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이러한 값 또는 그 미만까지 떨어질 수 있다.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적어도 투여 약 10분, 20분, 40분, 60분, 90분, 120분, 180분, 240분 또는 360분 후에 평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폴리펩티드가 투여 후 특정 시점에 93 nmol/ℓ 초과의 혈청 농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폴리펩티드가 투여 후 이러한 특정 시점 이후에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의 혈청 농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폴리펩티드가 투여 후 특정 시점에 500 ng/㎖ 초과의 혈청 농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Cmyr-47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폴리펩티드가 투여 후 이러한 특정 시점 이후에 500 ng/㎖ 또는 그 이하의 혈청 농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투여 후 약 20분 정도에 폴리펩티드의 이 같은 역치 혈청 농도를 초래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치료"란 용어는 개체(예를 들어,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 또는 세포의 현재의 과정을 변경하기 위해 개체 또는 세포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는,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예방학적으로 수행되거나 병리 사건(pathologic event)의 개시 또는 병인체(etiologic agent)와의 접촉 다음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치료될 질병 또는 병태의 진행 속도를 줄이거나, 이러한 질병 또는 병태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이의 발병의 중증도를 줄이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는 "예방적" 치료가 포함된다. "치료" 또는 "예방"은 필연적으로 질병 또는 병태 또는 연관된 증상의 완전 제거, 치료 또는 예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치료"란 용어는, 예를 들어 당뇨병 및 고지혈증(예를 들어,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질혈증 또는 둘 모두)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는 개체에서 병리 과정 또는 증상을 완화, 감속 또는 반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란 용어는 대사성 질환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 또는 측정 가능한 매개변수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사성 질환의 병리 과정에 접근하기 위해 생물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 같은 병리 과정 또는 증상은, 예를 들어 건강한 개체에 비해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담즙산, 아미노산, 호르몬(예를 들어, 인슐린을 포함함),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 및 무기물; 또는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 예를 들어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I),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의 과도한 수준 또는 증가된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기" 또는 "투여하는"이란 용어는 국부 또는 전신 투여에 의해 개체에 대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전달을 포함한다. 투여는 국소(눈, 및 질 및 직장 전달을 포함한 점막을 통한 투여를 포함함), 폐(예를 들어, 연무기에 의한 분말 또는 에어로졸의 흡입 또는 주입에 의한 투여, 기관 내, 비강 내 투여), 상피,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로는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근육 내 주사 또는 주입; 또는 두개 내, 예를 들어 척추강 내 또는 심실 내 투여를 들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담즙산, 아미노산, 호르몬,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 및 무기물의 수준 또는 활성을 조절하는데, 예를 들어 감소 또는 안정화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 예를 들어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I),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의 수준 또는 값을 조절하는데, 예를 들어 감소 또는 안정화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의 혈청 지질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의 총 콜레스테롤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의 LDL-콜레스테롤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의 글루코오스의 혈청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의 인슐린의 혈청 수준을 안정화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인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대사성 질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합병증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이다. 고지혈증은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이다. 당뇨병은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비만이다. 대사성 질환과 연관된 증상 또는 합병증은, 예를 들어 이 같은 대사성 질환(예를 들어, 당뇨병, 고지혈증(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을 갖는 개체에서 동맥경화 질병, 심장 질환, 신장 손상 또는 비만과 같은 심장혈관계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체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상술한 용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같은 방법은 개체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또는 이 같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인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체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을 수 있거나, 이 같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물의 제작 및 제조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물은 대사성 질환의 치료용일 수 있다.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물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의 치료용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일 수 있다. 고지혈증은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약물은 개체에서 혈청 지질의 수준, 예를 들어 총 콜레스테롤, 총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LDL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방법은 개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약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물은 당뇨병, 예를 들어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병의 치료용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물은 비만의 치료용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약물은 개체에서 혈당 또는 HbA1c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방법은 개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약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치료될 질환은 NTCP 활성을 양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향상, 개선, 억제 또는 예방될 수 있는 임의의 질병 또는 병태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간세포에 의한 담즙산 흡수의 조절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질환 또는 질병은 또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 및 방법 및 용도에 의해 치료 가능한 개체는 LDL 분리반출법(LDL apheresis)에 적합한 개체, 당뇨병에 걸린 개체, 기타 치료제에 과민성이거나 제어되지 않는, 원발성 고지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질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에 걸린 개체, 및 예방 가능하게 치료될 수 있는, 고지혈증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증후로는 제2형 진성 당뇨병, 담즙 울체성 간질환(원발성 담즙 간경변증), 신장 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만과 같은 이차성 원인과 연관된 이상지질혈증, 및 심장혈관계 질환(예를 들어, 동맥경화성 질환), 심장 질환 및 신장 손상의 예방 및 치료를 들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 및 용도는 개체에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본원에 기술된 대사성 질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병, 예를 들어 당뇨병 또는 고지혈증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질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심장혈관계 질환(예를 들어, 동맥경화성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재발성 심혈관 사건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심장 질환, 신장 손상 또는 비만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하나의 요법에서 단독으로 또는 기타 약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폴리펩티드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치료제의 투여 이전, 동시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예를 들어 고지혈증 치료제, 고혈당증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비만 치료제 및 담즙산 유사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혈당증 치료제는, 예를 들어 비두아니드(biduanide; 예를 들어 메트포르민, 펜포르민(phenformin) 및 부포르민(buformin)), 인슐린(예를 들어, 속효성 인간 인슐린, NPH 인슐린, 인슐린 아스파트(insulin aspart), 인슐린 리스프로(insulin lispro), 인슐린 글라진(insulin glargine), 인슐린 디테미르(insulin detemir) 및 인슐린 레베미르(insulin levemir)),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1 수용체 작용제(GLP-1RA; 예를 들어 알비글루티드(albiglutide), 둘라글루티드(dulaglutide), 엑세나티드(exenatide),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릭시세나티드(lixisenatide) 및 지속 방출형 글루카곤), 나트륨-글루코오스 공수송체 2 억제제(SGLR2I; 예를 들어 카나글리플로진(canagliflozin),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 엠파글리플로진 및 이프라글리플로진(ipragliflozin)),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4 억제제(DPP4I; 예를 들어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vildagliptin), 삭사글립틴(saxagliptin), 리나글립틴(linagliptin), 아나글립틴(anagliptin), 테넬리글립틴(teneligliptin), 알로글립틴(alogliptin), 트렐라글립틴(trelagliptin), 게미글립틴(gemigliptin), 두토글립틴(dutogliptin), 오마리글립틴(omarigliptin), 베르베린(berberine) 및 루페올(lupeol)),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AGI; 예를 들어, 미글리톨(miglitol), 아카보스(acarbose) 및 보글리보스(voglibose)), 티아졸리딘디온(TZD; 예를 들어,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 로베글리타존(lobeglitazone),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시글리타존(ciglitazone), 다르글리타존(darglitazone), 엔글리타존(englitazone), 네토글리타존(netoglitazone), 리보글리타존(rivoglitazone) 및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 메글리티니드(meglitinide; 예를 들어 레파글리니드(repaglinide), 나테글리니드(nateglinide) 및 미티글리니드(mitiglinide)), 설포닐우레아(SU; 예를 들어 카르부타미드(carbutamide), 아세토헥사미드, 클로르프로파미드, 톨부타미드(tolbutamide), 톨라자미드(tolazamide), 글리피지드(glipizide; 글루코트롤(glucotrol)),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글리부리드(glyburide; 예를 들어 미크로나아제(Micronase)), 글리보르누리드(glibornuride), 글리퀴돈(gliquidone), 글리속세피드(glisoxepide), 글리클로피라미드(glyclopyramide),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아마릴(amaryl) 및 글리미프림(glimiprime)), 아밀린(amylin) 유사체(예를 들어, 프람리니티드(pramlinitide)), 전단백질 전환효소 서틸리신(subtilisin)/켁신(kexin) 9형 억제제(PCSK9I; 예를 들어 에볼로쿠맙(evolocumab), 보코시주맙(bococizumab), 알리로쿠맙(alirocumab), 1D05-IgG2, RG-7652, LY3015014, RNAi 치료용 ALN-PCS02, AMG-145 및 REGN727/SAR236553),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제(GKA; 예를 들어 MK-0941, RO-28-1675 및 AZD1656), PPAR 작용제/조절제, 글루카곤 수용체 길항제, C-C 케모카인 수용체 2형(CCR2) 길항제, 인터류킨-1 조절제, G-단백질 결합형 수용체 작용제, GLP-1을 제외한 위장관 펩티드 작용제, SGLT1 및 이중 SGLT1/SGLT2 억제제(SGLT2-단독 억제제를 제외함), 11beta-HSD1 억제제,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아제(DGAT)-1 억제제,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 간장 카르니틴 팔미토일랜스퍼라아제 1(CPT1) 억제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21 작용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 열충격 단백질(HSP) 유도제, 멜라노코르틴-4 수용체(MC4R) 작용제, 테트라하이드로트리아진 함유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글리민(glimin),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아제 1B(PTP1B) 억제제, 시르투인1(sirtuin1; SIRT1) 활성제 및 미생물군집(microbiome) 조절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고지혈증 치료제이고, 예를 들어 스타틴(statin; 예를 들어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예를 들어 심바스타틴(sim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세리바스타틴(cerivastatin), 메바스타틴(mevastatin), 판테틴(pantethine), 엘라스타아제(elastase) 및 프로부콜(probucol)), 피브린산(예를 들어, 베자피브레이트(bezafibrate; 예를 들어 베자립(Bezalip)), 시프로피브레이트(ciprofibrate; 예를 들어 모달림(Modalim)), 클로피브레이트(clofibrate), 겜피브로질(gemfibrozil; 예를 들어 로피드(Lopid)), 페노피브레이트(예를 들어, 트리코어(TriCor)), 클리노피브레이트(clinofibrate; 예를 들어 리포클린(Lipoclin)), 리피브레이트(lifibrate), 알루피브레이트(alufibrate), 심피브레이트(simfibrate), 에토필린 클로피브레이트(etofylline clofibrate) 및 겜피브로질), 니코틴산(예를 들어, 니아신, 이노시톨 헥사니코티네이트, 니코틴아미드 및 아시피목스(acipimox)), 담즙산 분리제(예를 들어, 콜레스티라민(cholestyramine; 예를 들어 퀘스트란®(Questran®)), 콜레세브이람(예를 들어, 웰콜®(Welchol®)), 콜레스티폴(colestipol; 예를 들어 콜레스티드®(Colestid®)), 폴리덱시드(polidexide), 콜레스티라민 및 디비스티라민(divistyramine)), 에제티미브(예를 들어, 제티아(Zetia)), 전단백질 전환효소 서틸리신/켁신 9형 억제제(PCSK9I; 예를 들어 에볼로쿠맙, 보코시주맙, 알리로쿠맙, 1D05-IgG2, RG-7652, LY3015014, RNAi 치료용 ALN-PCS02, AMG-145 및 REGN727/SAR236553), 마이크로솜성 트리글리세리드 전달 단백질 억제제(MTTPI; 예를 들어, 로미타피드(lomitapide) 및 JTT-130), 아포지질 단백질 B 억제제(apoBI; 예를 들어 미포멜르센(mipomersen; 예를 들어, 키나므로(Kynamro))),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아제 1(DGAT1) 억제제(예를 들어, 프라디가스타트(pradigastat)), 안지오포이에틴(angiopoietin) 유사 단백질 3 억제제(예를 들어, REGN1500),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전달 단백질(CETP) 억제제(예를 들어, 아나세트라핍(anacetrapib) 및 에바세트라핍(evacetrapib)), 퍼옥시좀 증식제-활성화 수용체(PPAR) α/γ 작용제, 아실-CoA 억제제, 인크레틴(incretin) 모방체 억제제, 안지오포이에틴 유사 단백질 3(ANGPTL3) 억제제, 안지오포이에틴 유사 단백질 4(ANGPTL4) 억제제, apoC-III-표적화 억제제 및 선택적 퍼옥시좀 증식제-활성화 수용체 조절제(SPPARM)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비만 치료제이고, 예를 들어 올리스타트(예를 들어, 제니칼(Xenical)), 로르카세린(예를 들어, 벨비크(Belviq)), 펜터민, 토피라메이트, 디에틸프로피온,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벤즈페타민(benzphetamine), 및 펜디메트라진과 벤즈페타민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담즙산 유사체이고, 예를 들어 오베티콜산, 우르소데옥시콜산 및 코릴사르코신(cholylsarcosine)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또한, 예를 들어 파르네소이드(farnesoid) X 수용체(FXR) 작용제, FXR 억제제, 막경유 G 단백질 결합형 수용체 5(TGR5) 작용제 및 TGR5 억제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부가적인 치료제는 인슐린, 메트포르민, 시타글립틴, 콜레세브이람, 글리피지드, 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에제티미브, 페노피브레이트, 니코틴산, 올리스타트, 로르카세린, 펜터민, 토피라메이트, 오베티콜산 및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이 같은 복합 요법은 병용 투여(여기서 동일하거나 별개의 제형에는 2개 이상의 치료제가 포함됨) 및 별도의 투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투여는 부가적인 치료제의 투여 이전, 동시 및/또는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및 임의의 부가적인 치료제)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단으로는 비경구, 폐 내, 및 비강 내 투여, 및 국부 치료용으로 요구되는 경우 병소 내 투여를 들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또는 피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피하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정맥 내 투여될 수 있다. 투약은 부분적으로는 상기 투여가 단기 또는 장기 투여인지의 여부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경로,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예를 들어, 정맥 내 또는 피하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시점에 걸친 1회 또는 복수 투여, 볼루스(bolus) 투여 및 펄스 주입을 포함한 다양한 투약 스케줄이 또한 고려된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통상의 의료 행위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제형화, 투약 및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고려되는 인자는, 예를 들어 치료될 특정 질환, 치료될 특정 포유동물, 개별 환자의 임상적 상태, 질환의 원인, 약제의 전달 부위, 투여 방법, 투여 스케줄, 및 임상의에게 공지된 기타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당해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와 함께 제형화될 필요가 없지만 선택적으로는 제형화될 수 있다. 이 같은 기타 약제의 유효량은 제형에 존재하는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양, 질환의 유형 또는 치료, 및 상술한 기타 인자에 의존한다.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의 적절한 투약(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하나 이상의 기타 부가적인 치료제와 함께 사용됨)은 치료될 질병의 유형, 질병의 중증도 및 과정, 폴리펩티드가 예방용 또는 치료용으로 투여되는지의 여부, 이전의 요법, 환자의 임상적 이력, 및 폴리펩티드에 대한 반응 및 담당의의 재량에 의존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동시에 또는 일련의 치료 동안에 환자에 적절히 투여될 수 있다. 질병의 유형 및 중증도에 따라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1회 이상의 별도의 투여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해 환자에 투여될 수 있다. 수일 이상에 걸쳐 반복 투여를 위해, 병태에 따라 치료는 목적하는 질병 증상의 억제가 나타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환자가 1회 이상, 예를 들어 약 2회 내지 약 20회, 또는 예를 들어 약 6회 분량의 폴리펩티드를 투여 받을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예를 들어 매일, 이틀마다, 3일마다, 매주 또는 2주 또는 3주마다 투여될 수 있다. 초기에는 보다 높은 부하 투여량, 그 이후에는 1회 이상의 보다 적은 투여량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폴리펩티드를 개체에 투여하기 위해 고정 투약 용법(flat-fixed dosing regimen)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인자에 따라 기타 투여 용법이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법의 진행은 치료될 질병 또는 병태에 대한 통상적인 기법 및 검정에 의해 용이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좁히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1. 폴리펩티드의 합성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폴리펩티드를 폴리펩티드 합성을 위한 표준 Fmoc 프로토콜에 따라 합성하였다. 일반적으로, 개개의 아미노산 잔기는 MBHA 수지로부터 시작하여 카르복실 말단에서 아미노 말단으로 연장된다. 이어서 N 말단은 미리스토일화에 의해 변형되었다. 펩티드 합성이 완료된 후, 폴리펩티드는 개열 용액에 의해 수지로부터 개열되었으며, 폴리펩티드의 C 말단은 아민화에 의해 추가로 변형되었다. G6 모래-코어 깔때기에 의한 여과에 의해 수지를 제거하고,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여액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폴리펩티드 생성물을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C18 칼럼이 구비된
Figure pct00004
익스플로러 100 유형 중간 압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에서 정제하였다. 주요 피크는 순차적으로 회복되었다. C18 칼럼이 구비된 애질런트(Agilent) 1100 유형 역상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표적 피크로부터 수집된 샘플의 순도를 분석하였으며, 질량 분석법에 의해 이들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중간 압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 수집된 용액을 저장을 위해 냉동 건조하였다. 건조된 샘플을 PBS에 용해한 후, 0.20 μM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하였다. PBS에 용해된 폴리펩티드 저장액을 사용 이전에는 -80℃에서 저장하였다. 도 1a는 HPLC에 의해 측정할 때 합성된 폴리펩티드인 Cmyr-47의 순도를 나타낸 예시적인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1b는 질량 분석법에 의해 측정할 때 Cmyr-47의 정확한 분자량(5398.8 Da)을 확인한 예시적인 그래프를 보여준다.
실시예 1.2. Cmyr-47 및 NTCP의 결합 검정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가 NTCP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NTCP를 발현하는 다양한 세포주를 Cmyr-47로 처리하였다. Cmyr-47을 시각화하기 위해, 폴리펩티드를 FITC로 표지하였다. NTCP가 간에서 고도로 발현하기 때문에 연구를 위해 나무타기쥐 유래 1차 간세포 및 인간 간세포 세포주 HepG2 세포를 준비하였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C-표지 Cmyr-47은 2개의 다른 종에서 유래하는 간세포에 결합한다(도 2a는 나무타기쥐 1차 간세포에 대한 Cmyr-47의 결합을 보여주고; 도 2b는 HepG2 세포에 대한 Cmyr-47의 결합을 보여줌). Cmyr-47이 NTCP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NTCP 발현용 벡터를 형질 감염시킴으로써 NTCP 발현용 L02 세포(NTCP-L02)를 확립하였다. NTCP를 발현하지 않는 벡터로 형질 감염된 L02 세포(BLANK-L02)를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C로 표지된 Cmyr-47은 NTCP-L02 세포에 결합하지만, BLANK-L02 세포에는 결합하지 못한다. Cmyr-47의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해, 간에서 유래하지 않은 세포주인 HEK293 세포는 연구용으로 준비하였다. 세포를 NTCP 발현용 벡터로 형질 감염시킴으로써 NTCP 발현용 HEK293 세포(NTCP-293)를 확립하였다. NTCP를 발현하지 않는 대조군 벡터로 형질 감염된 HEK293 세포(BLANK-293)를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TC로 표지된 Cmyr-47은 NTCP-293 세포에 결합하지만, BLANK-293 세포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조류 HBV가 포유동물을 감염시키지 않는다는 이전의 발견(문헌[Gripon et al., J. Virol. 79(3): 1613~22 (2005)])에 기초하여 예상되는 바와 같이, 왜가리 HBV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47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대조군 폴리펩티드(미리스토일화-GLNQSTFNPLGFFPSHQLDPLFKANAGSADWDKNPNKDPWPQAHDTA-아미드화: 서열번호 49)는 NTCP-293 세포에 결합하지 못하였다. 이들 결과에 따르면 Cmyr-47이 NTCP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이 증명된다.
실시예 1.3. Cmyr-47에 대한 시험관 내 담즙산 검정
담즙산의 수송에 미치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의 영향을 추가로 연구하기 위해, NTCP-293 세포를 3H로 표지된 답즙산(3H-TA; 타우로콜레이트)과 함께 배양하였다. 3H-TA를 사용함으로써 세포에 의해 흡수되는 담즙산의 양은 세포의 방사능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정량화될 수 있다. HEK293 세포가 NTCP 발현 없이는 담즙산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NTCP-293 세포에 의해 흡수된 임의의 담즙산은 NTCP에 기여할 수 있다. 10 umol/ℓ의 TA(3H-TA로서 0.5 uCi/㎖로 방사선 표지됨) 및 증가하는 양의 Cmyr-47을 배양된 세포에 10분 동안 동시에 첨가하였다. 담즙산의 수송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이클로스포린 A(CsA)를 양성 대조군로서 50 μM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ANK-293 세포와 비교하여 NTCP-293 세포는 상당한 양의 담즙산을 흡수할 수 있었다. NTCP-293 세포를 Cmyr-47로 처리하는 경우, 담즙산의 흡수는 Cmyr-47의 다양한 농도에서 양방향으로 조절되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yr-47은 500 ng/㎖ 또는 그 이하의 농도에서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수송을 향상시키는 반면, Cmyr-47은 500 ng/㎖ 초과의 농도에서는 TA의 흡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특히, 62.5 ng/㎖의 Cmyr-47은 TA의 흡수를 50% 초과 정도 증가시키는 반면, 2 ㎍/㎖의 Cmyr-47은 양성 대조군인 CsA와 비교하여 담즙산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도 5b에 도시된 상승 투여량 연구에 의하면, Cmyr-47은 담즙산의 수송을 차단할 때 0.15 μM의 IC50 값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myr-47에 의한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에 대한 양방향 조절과는 대조적으로, TA 흡수의 일방향 억제는 CsA에 의해 유도되었다(도 5c 및 도 5d). CsA는 10 ng/㎖의 저농도 또는 100 ㎍/㎖의 고농도에서 TA의 NTCP 매개 수송을 향상시키지 않았다. 도 5d에 도시된 상승 투여량 연구에 의하면, 담즙산의 수송을 억제하기 위한 CsA의 IC50 값은 3.05 μM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실시예 1.4. 부가적인 HBV 유래 폴리펩티드에 대한 시험관 내 담즙산 검정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에 미치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의 양방향 효과를 추가로 분석하기 위해, 시험관 내 담즙산 검정에서는 2개의 다른 농도(대표적인 저농도로서 62.5 ng/㎖ 및 대표적인 고농도로서 1 ㎍/㎖)의 Cmyr-47 및 기타 HBV 유래 폴리펩티드를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시험하였다. 또한 2개의 대조군 처리물인 CsA 및 퀴니딘을 비교용으로 시험하였다. 퀴니딘은 제1형 부정맥 치료제이고, 이전에 NTCP 매개 TA 흡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Kim et al, J. Pharmacol. Exp. Ther. 291(3): 1204~09 (1999)] 참조). CsA 및 퀴니딘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로부터 구입하였다(시그마-30024 및 시그마-Q3625 각각).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 ng/㎖의 CsA는 TA 흡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퀴니딘은 0.1 μmol/ℓl에서 TA 흡수를 향상시켰다. 표 1에 나열된 HBV 유래 폴리펩티드(Cmyr-60, Cmyr-55, Cmyr-47,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는 Cmyr-47의 62.5 ng/㎖(11.58 nmol/ℓ)에 대한 몰 당량인 저농도에서 TA 흡수를 향상시켰으며, 이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가 저농도에서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에 반해, Cmyr-47의 1 ㎍/㎖(185.23 nmol/ℓ)에 대한 몰 당량인 보다 높은 농도에서 HBV 유래 폴리펩티드(Cmyr-60, Cmyr-55, Cmyr-47,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를 시험하는 경우, 모든 폴리펩티드는 효과적으로 TA 흡수를 억제하였으며(도 5f), 이는 HBV 유래 폴리펩티드가 특정 고농도에서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는 확인한 것이다. 비교를 위해, 50 ㎍/㎖의 CsA는 TA 흡수를 억제하는 반면, 20 μmol/ℓl의 퀴니딘은 TA 흡수를 향상시켰다. 이들 결과에 따르면 HBV 유래 폴리펩티드가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담즙산의 NTCP 매개 흡수를 양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1. 독성, 및 Cmyr-47로 처리된 래트의 담즙산,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혈당증에 대한 분석
Cmyr-47의 독성을 확인하고 Cmyr-47이 생체 내에서 담즙산의 흡수를 조절할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190마리의 스프라그 다울리 래트(암컷과 수컷의 수가 동일함)에는 6개월간의 만성 독성 시험이 적용되었다. 각각의 래트에는 대조군으로서의 PBS 또는 Cmyr-47을 180일 동안 매일 1, 3 또는 9 ㎎/㎏의 양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실험 계획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Figure pct00005
실험이 끝날 무렵에 각각의 래트로부터의 혈액 샘플을 꼬리 출혈에 의해 수집하였다. 혈액 샘플로부터의 혈청을 3,000 rpm에서 10분 동안의 원심분리에 의해 추가로 분리해냈다. 이어서 총 담즙산(TBA)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총 담즙산 검정 키트(난징 지안청 바이오엔지니어링 인스티투트(Nanjing Jiancheng Bioengineering Institute))를 이용하여 혈청 샘플을 분석하였다. 표 3 및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Cmyr-47로 처리된 암컷 및 수컷 래트 둘 모두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내의 총 담즙산 수준의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Cmyr-47이 생체 내에서 담즙산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총 담즙산의 증가는 투여량 의존적이다.
[표 3]
Figure pct00006
[표 4]
Figure pct00007
실시예 2.2. Cmyr-47로 처리된 래트의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혈당증
실시예 2.1에서 시험된 각 동물의 총 콜레스테롤(TC), 트리글리세리드(TG) 및 혈당증(GLU) 수준은 표 5 및 표 6에 요약되어 있다. 표 5 및 표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투여량, 중간 투여량 또는 고투여량의 Cmyr-47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TC, TG 또는 GLU에 대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모든 P 값 > 0.05). 따라서 Cmyr-47은 생리학적 조건에서 정상 수준의 혈청 TC, TG 또는 GLU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표 5]
Figure pct00008
[표 6]
Figure pct00009
실시예 2.3. Cmyr-47로 처리된 개의 담즙산,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혈당증 및 독성에 대한 분석
Cmyr-47의 독성을 추가로 확인하고 Cmyr-47이 생체 내에서 담즙산의 흡수를 조절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56마리의 비글견(Beagle dog; 암컷과 수컷의 수가 동일함)에는 9월간의 만성 독성 시험이 적용되었다. 각각의 개에는 대조군으로서의 PBS 또는 Cmyr-47을 270일 동안 매일 0.25, 0.75 또는 2 ㎎/㎏의 양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실험 계획은 표 7에 나타나 있다.
[표 7]
Figure pct00010
실험이 끝날 무렵에 각각의 개로부터의 혈액 샘플을 정맥 천자에 의해 수집하고, 수집된 혈액 샘플로부터의 혈청을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하였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총 담즙산 수준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샘플을 분석하였다. 표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Cmyr-47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개에서의 총 담즙산의 혈청 수준을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증가시켰다. 각 동물에 대한 총 콜레스테롤(TC), 트리글리세리드(TG) 및 혈당증(GLU) 수준은 표 9에 요약되어 있다. 표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투여량, 중간 투여량 또는 고투여량의 Cmyr-47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TC, TG 또는 GLU에 대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모든 P 값 > 0.05). 따라서 Cmyr-47은 생리학적 조건에서 정상 수준의 혈청 TC, TG 또는 GLU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표 8]
Figure pct00011
[표 9]
Figure pct00012
실시예 2.4. Cmyr-47로 처리된 개에 대한 약동학 분석
56마리의 비글견(암컷과 수컷의 수가 동일함)에는 1개월간의 만성 독성 시험이 적용되었다. 각각의 개에는 대조군으로서의 PBS 또는 Cmyr-47을 30일 동안 매일 주사 당 0.4, 1.2 또는 3.6 ㎎/㎏의 양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실험 계획은 표 10에 나타나 있다.
[표 10]
Figure pct00013
실험 도중에 첫 번째 투여 및 마지막 투여 후 0분, 10분, 20분, 40분, 60분, 90분, 120분, 180분, 240분, 360분, 1440분에 정맥 천자에 의해 각 개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혈액 샘플로부터의 혈청을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하였다. 이어서 항-프리S1 항체 125E11을 이용하여 방사성 면역검정(RIA)에 의해 Cmyr-47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 샘플을 분석하였다(문헌[Wei et al., Clinica. Chimica. Acta. 317: 159~69 (2002)]). 표 11 내지 표 13에는 각각 0.4, 1.2 또는 3.6 ㎎/㎏로 투여된 각 동물의 혈청 농도가 나타나 있다. 표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6 ㎎/㎏의 Cmyr-47이 투여된 개는 상기 용량에 잘 견뎠으며, 심각한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류 내 Cmyr-47의 최고 농도(즉, Cmax)는 투여 후 20분(즉, Tmax)에 도달하였다. Cmax는 투여 후 약제에 의해 달성되는 최고 혈청 농도를 지칭한다. Tmax는 Cmax가 관찰되는 시간을 지칭한다. 표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Cmyr-47의 최대 투여량은 20분에 500 ng/㎖ 초과의 Cmax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러한 시험 조건에서 Cymr-47의 Tmax는 약 20분임을 나타낸다. 표 11 내지 표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최대 투여량인 3.6 ㎎/㎏만이 500 ng/㎖를 초과해서 최고 농도에 도달할 수 있었다.
[표 11]
Figure pct00014
[표 12]
Figure pct00015
[표 13]
Figure pct00016
실시예 3
실시예 3.1. Cmyr-47에 의한 고지혈증 명주쥐 모델의 처리에서의 방법 및 재료
지질 대사에 미치는 Cmyr-47의 생체 내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0일 동안 적응용 급식 이후) 2주 동안 햄스터에 고지방 식이를 공급함으로써 고지혈증 명주쥐 모델을 확립하였다. 동물 품질 인증 번호가 11400700093338인 수컷 명주쥐(N = 70, 90~110 g)를 베이징 바이탈 리버(Beijing Vital River; SCXK (Jing) 2012-0001)로부터 구입하였다. 중국어 번체 의학의 저장 대학(Zhejia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niversity)의 동물 실험 연구센터(SYXK (Zhe) 2013-0184)에 있는 소음 제어실(< 50 dB)에서 12시간의 명:암주기(150~200 Lx)에서 동물을 50~70% 습도로 23 ± 1℃에서 사육하였다. 고지방 식이 조성물은 1.25% 콜레스테롤 및 20.06% 지방(2.79% 대두 오일, 17.27% 코코아 버터)을 함유하고, 식이는 리서치 다이어트 인코포레이티드(Research Diets Inc.; 뉴저지주 뉴브런즈윅 소재)로부터 구입하였으며, 4℃에 보관하였다. 정상적인 비고지혈증 대조군("정상 대조군")으로서 일군의 명주쥐에는 규칙적인 식사 식이를 공급하였다. 완전한 영양 래트 펠릿(nutritional rat pellet)을 Co60 조사에 의한 멸균 이후 정상적인 식사 식이로서 사용하였다. 동물에는 임의의 여과되고 멸균된 수돗물을 제공하였다. 모든 먹이는 임의로 구입 가능하며, 동물은 케이지 당 4 내지 5마리씩 사육하였다. 고지방 식이가 제공되는 각각의 햄스터의 체중 및 먹이 소비량은 매주 모니터링되었다. 모든 동물은 인도적으로 처리되었으며, 3R 원칙(대체(replacement), 감소(reduction) 및 개량(refinement))에 따라 정신적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리되었다.
고지방 식이 처리 2주 후, 햄스터가 10 mmol/ℓ보다 높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TC) 수준을 가졌을 때 동물의 고지혈증 표현형을 확인하였다. 총 40마리의 고지혈증 햄스터를 무작위로 5개의 그룹(그룹 당 N = 8마리), 즉 모델 대조군(10 ㎖/㎏의 PBS, 피하 투여(sc)), 양성 처리 대조군(페노피브레이트, 50 ㎎/㎏/일, 경구적 위내 투여(po)), 저투여량 처리군(Cmyr-47, 10 ㎎/㎏/일, sc), 고투여량 처리군(30 ㎎/㎏/일 Cmyr-47, sc) 및 CsA 처리군(CsA, 5 ㎎/㎏/일, po)으로 분류하였다. 정상적인 식사 식이가 공급된 10마리의 햄스터를 정상 대조군(10 ㎖/㎏ PBS, sc)으로서 사용하였다.
상술한 프로토콜을 따라서 Cmyr-47을 에이치이피 파마슈티컬(HEP Pharmaceutical; 중국 상하이; 제품 번호: 14011801)에 의해 백색 분말로서 합성하였다. 각각의 처리를 위해, Cmyr-47을 PBS 중에서 새롭게 제조하고, 제조 직후에 사용하였다. 20x PB 용액(물 중의 Na2HPO412H2O(64.4652 g) 및 NaH2PO42H2O(3.1202 g)를 500 ㎖이 되는 양)을 제형화함으로써 PBS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1용량의 20x PB, 4용량의 순수 및 15용량의 0.9% 생리식염수를 함께 혼합하여 시험 약제를 용해하기 위한 PBS를 수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되는 포네립(Fenolip) 정제의 페노피브레이트(FENO)는 래보러토리스 푸루니에 에스.에이(Laboratoires FOURNIER S.A)로부터 구입하였다. CsA(샌디뮨®(Sandimmune®))는 노바티스(Novartis)로부터 구입하였다.
PBS, Cmyr-47, FENO 및 CsA는 각각 4주 연속 기간 동안 투여하였다. 실험 동안에 모델 대조군, 저투여량 및 고투여량 처리군 및 양성 대조군 내 모든 동물에는 고지방 식이가 공급되는 반면, 정상 대조군에는 정상적인 식사 식이가 공급되었다. Cmyr-47 또는 PBS를 햄스터에 1일 2회 피하 주사하였다(오전 9:00~10:00 및 오후 16:00~17:00). 양성 처리 대조군에는 경구식 위내 투여를 통해 FENO가 제공되었다. CsA 처리군에는 경구식 위내 투여를 통해 CsA가 제공되었다. 매일 아침에 먹이 및 물 소비량, 배설물 및 동물의 몸단장(animal grooming)을 모니터링하였다. 모든 동물은 매주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처리 2주 후, 모든 동물의 혈청 TC 및 트리글리세리드(TG) 수준을 측정하였다. 처리 4주 후, 모든 동물의 혈청 TC, TG, LDL-C 및 HDL-C 수준을 측정하였다. 측정 이전에 모든 동물을 물을 공급하면서 12시간 동안 단식시킨 후, 혈액을 수집하였다. 각 동물로부터 혈액(0.3 ㎖) 샘플을 안와정맥총(retro-orbital plexus)을 통해 수득하고, 3,000 rpm에서 10분 동안의 원심분리에 의해 샘플로부터 혈청을 추가로 단리하였다. 지질을 측정하기 위한 키트를 센닝 데세이 다이오그노스틱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Shenneng DESAY Diagnostic Technology Co. Ltd.; 중국 상하이)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모든 측정은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행되었다. 측정을 위해 7020 자동 생화학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각 동물의 동맥경화 지수(AI)는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AI = (TC - HDL-C)/HDL-C. AI는 동맥경화증에 걸릴 위험성이 증가했다는 가장 신뢰 가능한 지표들 중 하나로서 간주된다.
한때는 산요 컴파니(일본)사의 MLS-3750 고압 멸균 챔버였던 사토리우스 사이언티픽 인스트루먼츠 컴퍼니 리미티드(Sartorius Scientific Instruments Co., Ltd.; 중국 베이징)사의 SQP 전자저울을 사용하였다. RO-MB-50 초순수 시스템은 용지에타 퓨리피케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Yongjieda Purification Technology Co. Ltd.; 중국 저장성 항저우)로부터 구입하였다. KQ-300DE 초음파기는 쿤산 울트라소닉 인스트루먼트 컴퍼니 리미티드(Kunshan Ultrasonic Instrument Co., Ltd.; 중국 장수성 쿤산)로부터 구입하였으며, 히타치(Hitachi) 7020 자동 생화학 분석기는 히타치 리미티드(일본)로부터 구입하였다. 다기능 ELISA 기기는 테르모 피셔 사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Thermo Fisher Scientific Inc.; 미국)로부터 구입하였다.
SPSS19.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평균 ± 표준편차 또는 평균 ± SEM으로 표시하였다. ANOVA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시험 결과로부터 데이터를 평가하였다. 쌍별 비교를 위해 LSD 시험을 이용하였다. 통계 분석 값은 소수 2자리수로 반올림하였다.
실시예 3.2. 혈청 총 콜레스테롤(TC)에 미치는 Cmyr-47 및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의 영향
표 14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C 수준은 실험 동안에 정상 대조군의 혈청 TC 수준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고지방 식이가 공급된 동물이 고지혈증 동물임을 확인한 것이다(모든 P 값 < 0.01). FENO의 투여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TC 수준을 유의하게 저하시켰다(모든 P 값은 0.01 미만임). Cmyr-47로 처리된 고지혈증 동물은 또한 모델 대조군보다 낮은 혈청 TC 수준을 나타냈으며, Cmyr-47의 영향은 투여량 의존적이었다. 이에 반해, CsA로 처리된 고지혈증 동물은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증가된 혈청 TC 수준을 나타냈다.
[표 14]
Figure pct00017
표 1에서 나열된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는 생체 내에서 혈청 TC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또한 시험되었다. 상술한 동일한 실험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폴리펩티드는 Cmyr-47의 30 ㎎/㎏/일에 대한 몰 당량인 투여량으로 투여되었다.도 7a 및 도 7b에서는 고지방 식이가 공급된 동물은 고지혈증 동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정상 대조군 및 모델 대조군의 혈청 TC 수준을 비교함).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FENO는 동물에서 혈청 TC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4주째 날에, 기타 HBV 유래 펩티드(Cmyr-60, Cmyr-55,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로 처리된 동물은 또한 모델 대조군보다 낮은 혈청 TC 수준을 나타냈다.
실시예 3.3. 혈청 트리글리세리드(TG)에 미치는 Cmyr-47 및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의 영향
표 15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G 수준은 실험 전반에서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모든 P 값 < 0.01). 2주 및 4주째 날의 측정치에 따르면 FENO가 동물에서 혈청 TG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모든 P 값은 0.01 미만임). 또한 Cmyr-47의 고투여량은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동물에서 혈청 TG 수준을 유의하게 저하시켰다. 혈청 TC에 대한 영향과 유사하게, 혈청 TG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은 또한 투여량 의존적이었다. 흥미롭게도, CsA 처리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동물에서 혈청 TG 수준을 증가시켰다.
[표 15]
Figure pct00018
HBV에서 유래하는 부가적인 폴리펩티드(Cmyr-60, Cmyr-55,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로 처리된 동물의 혈청 TG 수준을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또한 측정하였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HBV 유래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동물의 혈청 TG 수준은 모델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며, 이는 모든 시험된 HBV 유래 폴리펩티드가 생체 내에서 혈청 TG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4. 혈청 LDL-C에 미치는 Cmyr-47 및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의 영향
표 16 및 도 10에는 PBS, FENO 또는 Cmyr-47로 처리된 동물로부터의 혈청 LDL-C 수준에 대한 측정치가 요약되어 있다. 예상된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LDL-C 수준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고지혈증 표현형이 확인된 것이다(P < 0.01). FENO로 처리된 양성 대조군은 모델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혈청 LDL-C 수준을 나타냈다. 혈청 TC 및 TG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과도 일치하게, Cmyr-47(특히 30 ㎎/㎏의 고투여량)로 처리된 동물은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감소된 혈청 LDL-C 수준을 나타냈다.
[표 16]
Figure pct00019
HBV에서 유래하는 부가적인 폴리펩티드(Cmyr-60, Cmyr-55,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로 처리된 동물의 혈청 LDL-C 수준은 또한 상술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동물의 혈청 LDL-C 수준은 모델 대조군보다 낮았다.
실시예 3.5. 혈청 HDL-C 및 AI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
표 17 및 도 12에는 혈청 HDL-C 수준의 측정치가 제공된다. 본 연구에서 수득된 값에 기초하여 각 동물의 AI 값을 상술한 식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각 그룹의 평균 AI 값은 표 17 및 도 13에 제공된다. Cmyr-47이 생체 내에서 혈청 HDL-C를 저하시키지 못하였을지라도 Cmyr-47로 처리된 동물의 평균 AI 값은 모델 대조군의 평균값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이는 Cmyr-47이 동맥경화증 및 기타 혈관 질환(지방의 축적에 의해 야기되는 심장혈관계 질환을 포함함)에 대해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17]
Figure pct00020
실시예 3.6. 혈청 총 담즙산(TBA)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
표 18 및 도 14에는 혈청 TBA 수준의 측정치가 제공된다. 예상된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BA 수준은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다.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Cmyr-47로 처리된 동물의 혈청 TBA 수준은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추가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Cmyr-47이 생체 내에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4주째 날의 측정치에 따르면 고투여량의 Cmyr-47은 혈청 TBA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 값은 0.05 미만임). 또한 CsA 및 저투여량의 Cmyr-47은 유의한 결과에는 도달하지 못하였을지라도 처리 4주 후에 혈청 TBA 수준을 약간 증가시켰다.
[표 18]
Figure pct00021
실시예 3.7. 혈청 글루코오스(GLU)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
표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지혈증 동물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할 때 임의의 유의한 고혈당증 표현형을 나타내지 않았다(모든 P 값 > 0.05). 고투여량 및 저투여량의 Cmyr-47은 정상 대조군 및 모델 대조군에서 나타나는 정상 혈당증 미만으로 혈청 GLU 수준을 감소시키지 못하였다(모든 P 값 > 0.05).
[표 19]
Figure pct00022
상술한 바와 같이, Cmyr-47은 고지방 식이가 공급된 명주쥐에서 고지혈증 표현형을 반전시킬 수 있었다. 특히 고투여량의 Cmyr-47은 본 연구에서 측정된 모든 생물학적 지표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담즙산 흡수 억제제인 CsA는 유사한 효과를 생성하지 못하였다. 더욱이, 시험관 내에서 CsA에 의해 증명된 담즙산 흡수의 효과적인 억제에도 불구하고, 생체 내에서의 CsA 처리는 혈청 TG 및 TC 수준의 증가를 야기하였으며, 이로 인해 CsA의 고지혈증 효과가 확인되었다.혈청 TC 및 TG 수준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과도 일치하게, Cmyr-47 처리된 동물의 AI 값은 미처리 고지혈증 동물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이는 심장혈관계 질환에서 예방약으로서의 Cmyr-47의 효능을 추가로 증명한 것이다. 게다가, HBV에서 유래하는 기타 폴리펩티드는 혈청 TG, TC 및 LDL-C를 저하시키는데 유사한 효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이들 폴리펩티드가 또한 생체 내에서 고지혈증 표현형을 반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8. 혈청 TC 및 TG에 미치는 다양한 투여량의 Cmyr-47의 영향
실시예 3.1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지혈증 명주쥐 모델을 확립하였다. 고지방 식이 처리 2주 후, 햄스터가 10 mmol/ℓ보다 높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TC) 수준을 가졌을 때 동물의 고지혈증 표현형을 확인하였다. 총 32마리의 고지혈증 햄스터를 무작위로 4개의 그룹(그룹 당 N = 8마리), 즉 모델 대조군(10 ㎖/㎏의 PBS, 피하 투여(sc)), 저투여량 처리군(Cmyr-47, 1 ㎎/㎏/일, sc), 중간 투여량 처리군(Cmyr-47, 3 ㎎/㎏/일, sc) 및 고투여량 처리군(10 ㎎/㎏/일 Cmyr-47, sc)으로 분류하였다. 정상적인 식사 식이가 공급된 8마리의 햄스터를 정상 대조군(10 ㎖/㎏ PBS, sc)으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1에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Cmyr-47을 4주 연속 기간 동안 투여하였다. 실험 동안에 모델 대조군, 저투여량, 중간 투여량 및 고투여량 처리군의 모든 동물에는 고지방 식이가 공급되는 반면, 정상 대조군에는 정상적인 식사 식이가 공급되었다. Cmyr-47 또는 PBS를 햄스터에 1일 2회 피하 주사하였다(오전 9:00~10:00 및 오후 16:00~17:00). 매일 아침에 먹이 및 물 소비량, 배설물 및 동물의 몸단장을 모니터링하였다. 모든 동물의 혈청 TC 및 TG 수준은 실시예 3.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처리 2주 및 4주째 날에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20 및 표 21에 요약되어 있다. 데이터는 실시예 3.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석하였다.
표 20 및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C 수준은 실험 동안에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모든 P 값 < 0.01). 1 ㎎/㎏ 또는 3 ㎎/㎏의 투여량으로 Cmyr-47로 처리하면 혈청 TC에 대한 어떠한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4주 동안 10 ㎎/㎏의 Cmyr-47로 처리된 고지혈증 동물은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약간 감소한 혈청 TC 수준을 나타냈다(P < 0.05).
[표 20]
Figure pct00023
표 21 및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G 수준은 실험 전반에 걸쳐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모든 P 값 < 0.01). 1 ㎎/㎏ 또는 3 ㎎/㎏의 투여량으로 Cmyr-47로 처리하면 혈청 TG에 대한 어떠한 영향이 없었다. 4주 동안 10 ㎎/㎏의 Cmyr-47로 처리된 고지혈증 동물은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약간 감소한 혈청 TC 수준을 나타냈다(P < 0.05). 이들 데이터에 따르면 NTCP 매개 담즙산의 흡수를 양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Cmyr-47의 혈청 농도에 도달하기 위해 치료학적 유효량의 Cmyr-47을 투여하는 것이 고지혈증 환자에서 혈청 TC 및 TG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유익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다.
[표 21]
Figure pct00024
실시예 4
실시예 4.1. Cmyr-47에 의한 주커 당뇨병 비만 래트의 처리에 사용된 방법 및 재료
당뇨병 치료제, 고지혈증 치료제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로서 Cmyr-47의 효능은 자생성 제2형 당뇨병 동물 모델인 주커 당뇨병 비만(ZDF) 래트에서 시험되었다. 동물 품질 인증 번호가 11400700109970 및 11400700109972인 60일령 수컷 ZDF 래트(n = 40) 및 주커 결핍(ZL) 래트(n = 6)를 바이탈 리버 래버로토리 애니멀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Vital River Laboratory Animal Technology Co., Ltd.; SCXK(베이징) 2012-0001))로부터 구입하였다. 중국어 번체 의학의 저장 대학의 동물 실험 연구센터[SYXK(Zhe)2013-0184]에 있는 소음 제어실(< 50 dB)에서 모든 동물은 특정 병원체 부재(SPF) 환경 및 12시간의 명:암주기(150~200 Lx) 하에 50~70% 습도 및 23 ± 1℃에서 사육하였다. 동물은 멸균 처리된 물병 내의 여과되고 멸균된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였다. ZDF 래트에는 스페셜티 피즈 코포레이티드(Specialty Feeds, Inc.; 테네시주 멤피스; 퓨리나 5008; 카탈로그 번호: SF06-019)로부터 구입한 퓨리나(Purina) #5008 식이가 공급되었다. ZL 래트에는 Co60 감마 조사에 의해 멸균된 정상적인 식사 식이(기본 먹이)가 공급되었다. 2마리의 ZDF 래트 또는 ZL 래트를 각각의 우리에서 사육하고, 우리 침구는 이틀에 한번 갈아주었다. 실험용 래트 침구 및 기타 모든 운영은 윤리적 관리에 의한 3R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다.
퓨리나 #5008 식이 또는 정상적인 식사 식이 2주 후, 모든 동물을 물을 공급하면서 10시간 동안 단식시켰다. 이어서 각각의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꼬리에서 출혈하도록 하여 0.3 ㎖의 혈액을 수집하였다. 혈액 샘플을 당화 헤모글로빈(HbA1c)에 대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부가적인 0.5 ㎖의 혈액을 수집하고, 혈청을 분리하기 위해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동물에서의 HbA1c, 혈청 글루코오스(GLU) 및 인슐린 수준을 하기에 제공되는 키트에 의해 측정되었다. 모든 측정에는 히타치 7020 자동 생화학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평균 수준에 근접한 단식 혈청 GLU 수준을 갖는 30마리의 동물을 선별하고, 5개의 그룹, 즉 모델 대조군(10 ㎖kg-1의 PBS), 저투여량 처리군(10 ㎎㎏-1의 Cmyr-47), 고투여량 처리군(30 ㎎㎏-1의 Cmyr-47), 양성 대조군(300 ㎎㎏-1의 메트포르민) 및 CsA 처리군(20 ㎎㎏-1의 CSA)으로 무작위로 분리하였으며, 각 그룹 당 동물은 6마리였다. 6마리의 ZL 래트를 정상 대조군(10 ㎖㎏-1의 PBS)으로서 사용하였다. PBS 또는 Cmyr-47을 동물에 매일 2회(09:00 및 17:00) 피하 주사하였다. 메트포르민(MET) 및 CsA 용액은 오전 및 오후에 1일 2회 경구 섭식을 통해 제공되었다. 투약은 4주 동안 수행되었다. 실험 동안에 ZDF 래트에는 퓨리나 #5008 식이가 공급되는 반면, ZL 래트에는 정상적인 식사 식이가 공급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myr-47을 합성하고, 상하이 에이치이피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중국 상하이; 제품 번호 14011801)에 의해 백색 분말로서 정제하고, -20℃에 보관하였다. Cmyr-47의 중량을 측정하고, 사용 직전에 PBS에 용해하였다. 승인 번호가 H20023370이고 제품 번호가 AAD7878인 MET는 브리스톨-마이어 스퀴브컴퍼니 리미티드(Bristol-Myers Squibb Co., Ltd.; 중국 상하이)에 의해 제조되었다. CsA(샌디뮨®)는 노바티스로부터 구입하였다.
투약 2주째 날에 동물을 물은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10시간 동안 단식시키고, 혈청 GLU, 총 콜레스테롤(TC), 트리글리세리드(TG) 및 혈액 요소 질소(BUN)를 측정하기 위해 꼬리 정맥 출혈을 통해 각 동물로부터 0.3 ㎖의 혈액을 수집하였다. 투약 4주째 날에 동물을 10시간 동안 단식시킨 후, 혈청 GLU, TC, TG 및 BUN, HbA1c 및 인슐린을 측정하기 위해 혈액을 수집하였다. 약제의 마지막 투여 이후, 동물을 12시간 동안 단식시킨 후, 3% 펜토바르비탈나트륨의 복강 내 주사를 통해 마취시키고, 경부 전위(cervical dislocation)를 수행하였다. 시각적 관찰을 위해 각 동물의 심장, 신장, 견갑골 지방 및 복부 지방을 해부하고, 중량을 측정하여 심박동 지수, 신장 지수 및 총 지방 지수를 계산하였다.
펜토바르비탈나트륨(함량: = 95.0%; 제품 번호: 20130112)은 메르크(Merck)로부터 구입하였다. TC, TG, GLU 및 BUN 키트는 다이아시스 다이어그노스틱 시스템즈(DiaSys Diagnostic Systems; 중국 상하이)로부터 구입하였다. HbA1c 검출 시약은 트리니티 바이오테크 인코포레이티드(Trinity Biotech Inc.; 아일랜드)로부터 구입하였다. 인슐린 ELISA 검출 키트(제품 번호: 0469636-1)는 베르탱 파마(Bertin Pharma; 프랑스)로부터 구입하였다. 구입된 키트를 이용한 모든 측정은 키트 내에 제공되는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행되었다.
SQP 전자저울은 사토리우스 사이언티픽 인스트루먼츠 (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중국 베이징)로부터 구입하였다. MLS-3750 오토클래이브(autoclave)는 일본의 산요로부터 구입하였다. RO-MB-50 초순수 시스템은 항저우 용지에타 클리닝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중국 저장성 항저우)에 의해 제조되었다. KQ-300DE 초음파기는 쿤산 울트라소닉 인스트루먼트 컴퍼니 리미티드(중국 장수성)로부터 구입하였다. 히타치 7020 자동 생화학 분석기는 히타치(일본)로부터 구입하였다. Hb9210 당화 헤모글로빈 분석기는 트리니티 바이오테크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구입하였다. 다기능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는 테르모 피셔 사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미국 매사추세츠주)로부터 구입하였다.
SPSS 19.0 소프트웨어(SPSS; 일리노이주 시카고)는 통계 분석용으로 사용되었다. 모든 데이터는 평균 ± 표준 오차 평균(
Figure pct00025
± SEM)으로 나타냈다. ANOVA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시험 결과로부터 데이터를 평가하였다. 쌍별 비교를 위해 LSD 시험을 이용하였다. 통계 분석 값은 소수 2자리수로 반올림하였다.
실시예 4.2. 혈청 글루코오스(GLU)에 미치는 Cmyr-47 및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의 영향
고혈당증(즉, 증가된 혈당)은 제2형 당뇨병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들 중 하나이다. 표 22 및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ZDF 래트의 고혈당증 표현형은 모델 대조군의 혈청 GLU 수준을 정상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확인되었다(모든 P 값 < 0.01). MET는 널리 공지된 당뇨병 치료제로서,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증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킨다. 예상된 바와 같이, MET로 처리된 ZDF 래트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감소된 단식 혈청 GLU을 나타냈다. 또한 Cmyr-47은 ZDF 래트에서 혈당증을 저하시킬 수 있었다. 특히 처리 4주 정도에는 저투여량 및 고투여량의 Cmyr-47은 둘 모두 동물에서 혈청 GLU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혈당증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은 투여량 의존적이었다. 이에 반해, CsA 처리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동물에서 혈청 GLU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표 22]
Figure pct00026
상술한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생체 내에서 혈당증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표 1에 나열된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를 또한 시험하였다. 모든 폴리펩티드는 Cmyr-47의 30 ㎎/㎏/일에 대한 몰 당량인 투여량으로 투여되었다.도 18a 및 1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ZDF 래트의 고혈당증 표현형을 확인하였다. 상기 연구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MET에 의한 처리는 생체 내에서 단식 혈청 GLU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HBV 유래 펩티드(Cmyr-60, Cmyr-55,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에 의한 처리 4주 후, ZDF 래트의 단식 혈청 GLU 수준은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감소하였으며, 이는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폴리펩티드의 효능을 보여준다.
실시예 4.3. HbA1c에 미치는 Cmyr-47 및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의 영향
HbA1c는 당화 헤모글로빈을 지칭하고, 이의 수준은 개체가 만성 고혈당증을 앓고 있는 경우에 유의하게 증가한다. 표 23 및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ZDF 래트의 고혈당증 표현형과 일치하게도 모델 대조군에서의 HbA1c 수준은 연구 전반에 걸쳐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모든 P 값 < 0.01). 또한 혈당증에 미치는 MET의 영향과 일치하게도, MET에 의한 처리는 ZDF 래트에서 HbA1c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1). Cmyr-47로 처리된 ZDF 래트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HbA1c 수준을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생체 내에서 혈당증을 조절하는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Cmyr-47의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혈청 GLU 수준에 미치는 CsA의 영향과 일치하게도, CsA 처리는 처리 4주 후에 혈청 HbA1c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표 23]
Figure pct00027
표 1에 나열된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는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동물 모델에서 시험하는 경우에 HbA1c에 대해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다. 도 20a 및 2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의 HbA1c 수준은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ZDF 래트보다 높았다. 이들 결과에 따르면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가 혈당증 및 HbA1c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되며, CsA의 고혈당증 효과가 확인된다.
실시예 4.4. 혈청 인슐린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췌장 손상으로 인해 인슐린 내성, 인슐린의 과잉 생산 및 궁극적으로는 인슐린 고갈을 경험한다. Cmyr-47이 췌장 손상을 예방함으로써 인슐린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Cmyr-47로 처리된 동물의 인슐린 수준을 PBS 또는 MET로 처리된 동물과 비교하였다. 표 24 및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ZDF 래트의 초기 혈청 인슐린 수준은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ZDF 래트의 인슐린 수준이 4주째 날에 정상 대조군보다 높게 유지되는 반면, 절대 수준은 초기 수준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따르면 ZDF 래트에서의 인슐린 내성은 연구 동안에 발전하였으며, 그 결과 췌장 부전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MET에 의한 처리는 모델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 사이에서 단식 인슐린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지라도(P > 0.05) 혈청 인슐린의 손실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Cmyr-47 처리는 둘 모두에서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인슐린 분비를 완전히 안정화시켰으며, 이는 모델 대조군과 Cmyr-47 처리 동물 사이의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모든 P 값 < 0.05). 이들 결과에 따르면 Cmyr-47은 췌장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당뇨병 환자를 도와 적절한 인슐린 분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된다.
[표 24]
Figure pct00028
실시예 4.5. 혈청 총 콜레스테롤(TC)에 미치는 Cmyr-47 및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의 영향
상술한 바와 같이, 당뇨병 표현형은 혈류에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증가를 포함하는 지질 조절장애를 포함한다. 표 25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C 수준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할 때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모든 P 값 < 0.05). 그러나 혈당증에 미치는 MET의 영향과는 대조적으로, MET는 ZDF 래트에서 혈청 TC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sA는 ZDF 래트에서 혈청 TC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비효율적이며, 처리 4주 정도에 CsA는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TC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특히 고투여량의 Cmyr-47은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ZDF 래트에서 혈청 TC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Cmyr-47이 당뇨병 환자에서 심각하게 증가하는 매우 다양한 생체 마커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표 25]
Figure pct00029
HBV에서 유래하는 부가적인 폴리펩티드로 처리된 동물은 또한 이들 폴리펩티드가 생체 내에서 혈청 TC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3a 및 2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HBV 유래 펩티드(Cmyr-60, Cmyr-55,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에 의한 처리 4주 후에 ZDF 래트의 혈청 TC 수준은 모델 대조군보다 낮았다. 이들 결과에 따르면 MET가 하나의 특정 증상만을 표적화할 수 있는 반면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는 복수의 경로를 표적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당뇨병 관련 증상을 동시에 관리하는데 유익한 것으로 증명된다.
실시예 4.6. 혈청 트리글리세리드(TG)에 미치는 Cmyr-47 및 HBV 유래 부가적인 폴리펩티드의 영향
혈청 TC 이외에도, 혈청 TG는 또한 당뇨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고지혈증에 대한 생체 마커이다. 예상된 바와 같이, 표 26 및 도 24에는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G 수준이 연구 전반에 걸쳐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모든 P 값 < 0.01). 흥미롭게도, MET는 2주째 날에 ZDF 래트에서 혈청 TG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 < 0.01). 상기 차이가 유의하지 않을지라도 MET로 처리된 ZDF 래트에서의 혈청 TC 수준은 4주째 날에 모델 대조군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혈청 TC 수준에 대한 영향과 일치하게도, CsA는 ZDF 래트에서 혈청 TG 수준을 추가로 증가시켰다. 이에 반해, 2개의 투여량의 Cmyr-47은 모두에서 ZDF 래트의 혈청 TG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었으며, Cmyr-47의 영향은 투여량 의존적이었다.
[표 26]
Figure pct00030
HBV에서 유래하는 부가적인 폴리펩티드는 또한 상술한 동일한 동물 모델에서 시험하는 경우에 생체 내에서 혈청 TG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25a 및 2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의 혈청 TG 수준은 HBV 유래 펩티드(Cmyr-60, Cmyr-55, Cmyr-40, Cmyr-35, Cmyr-30, Cmyr-25, Cmyr-20, Cmyr-47+(-10), Cmyr-47+(-9), Cplam-47, Cstea-47, Cchol-47, Amyr-47, Bmyr-47, Dmyr-47, Emyr-47, Fmyr-47, Gmyr-47 또는 Hmyr-47)로 처리된 ZDF 래트보다 높게 유지하였으며, 이는 HBV에서 유래하는 폴리펩티드가 글루코오스 대사 및 지질 대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4.7. 혈청 혈액 요소 질소(BUN)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
혈청 BUN의 증가는 신장 기능의 손상을 반영하며, 이는 종종 인간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한다. ZDF 모델에서, 당뇨병 표현형은 신기능 장애를 초래하며, 혈청 BUN의 연관된 증가를 초래한다. 예상된 바와 같이, 표 27 및 도 26에는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BUN 수준이 연구 전반에 걸쳐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MET의 처리는 모델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BUN 차이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신기능 장애를 반전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고투여량의 Cmyr-47은 4주째 날에 ZDF 래트에서 혈청 BUN 수준을 유의하게 저하시켰으며(P < 0.01), 이는 Cmyr-47이 신장 손상 및 신기능 장애에 대해 당뇨병 개체를 보호할 수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27]
Figure pct00031
실시예 4.8. 장기 지수(organ index)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
당뇨병 환자는 심장혈관계 질환, 신기능 장애 및 비만에 걸릴 위험성이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심박동 지수(HI), 신장 지수(KI) 및 총 지방 지수(TFI)와 같은 다양한 지수는 상기 위험성의 정량적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 28 및 도 2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의 HI 값은 정상 대조군보다 높다. MET에 의한 처리는 HI 값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놀랍게도, 2개의 투여량의 Cmyr-47은 둘 모두에서 ZDF 래트의 HI 값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Cmyr-47이 부정적인 심혈관 사건을 예방하는데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28 및 도 2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의 KI 값은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으며(P < 0.01), 이는 ZDF 래트가 연구 도중에 신기능 장애에 걸렸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혈청 BUN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과도 일치하게도, Cmyr-47 처리는 또한 상기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충족하지는 않을지라도 ZDF 래트에서 KI 값을 저하시켰다.
표 28 및 도 27c에는 모델 대조군의 TFI 값이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P < 0.01), 이는 ZDF 래트가 병적 비만에 이르렀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의성을 갖지는 않을지라도 Cmyr-47로 처리된 ZDF 래트는 모델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의 TFI 값을 나타냈다. 흥미롭게도,MET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오히려 ZDF 래트에서 TFI 값을 증가시키는 것처럼 보였다.
[표 28]
Figure pct00032
실시예 4.9. 혈청 총 담즙산(TBA)에 미치는 Cmyr-47의 영향
Cmyr-47이 혈청 TBA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각 동물의 혈청 TBA 수준을 측정하였다. 표 29 및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델 대조군에서의 혈청 TBA 수준은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다. 모델 대조군과 비교할 때 Cmyr-47로 처리된 ZDF 래트의 혈청 TBA 수준은 투여량 의존 방식으로 추가로 증가하였다. 4주째 날의 측정치에 따르면 고투여량의 Cmyr-47은 혈청 TBA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 값은 0.05 미만임). 또한 CsA는 처리 4주 후에 혈청 TBA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 값은 0.01 미만임).
[표 29]
Figure pct00033
MET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당뇨병 치료제 약제로서, 생체 내에서 혈당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혈당증 조성에서의 MET의 효능은 또한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MET는 지질 조절장애 및 연관된 질병에 대한 이점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MET가 ZDF 래트에서 혈청 TC, TG 및 BUN 수준 및 HI 값을 저하시킬 수 없다는 결과에 의해 자명하게 되었다. 고지혈증 동물 모델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CsA 처리는 혈청 TG 및 TC 수준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혈청 GLU 수준을 추가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시험관 내에서의 담즙산 흡수의 효과적인 억제가 항상 생체 내에서 지질 및 글루코오스 대사에 대한 치료 효과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제시한다. 이에 반해, Cmyr-47은 전체 시험에서 양호한 성능을 나타냈다. 상기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Cmyr-47은 췌장 손상, 신기능 장애 및 심장혈관계 질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면서 혈당증 및 지질 대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Cmyr-47은 고혈당증 치료제,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 고지혈증치료제 및 비만 치료제로서 MET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다수의 당뇨병 표현형에 대해 포괄적인 효과를 동시에 나타냈다.
SEQUENCE LISTING <110> SHANGHAI HEP PHARMACEUTICAL CO., LTD. <120>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130> 163858 PCWO <140> <141> <150> CN201610370442.4 <151> 2016-05-30 <160> 4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6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Ala 35 40 45 Gly Ala Phe Gly Pro Gly Phe Thr Pro Pro His Gly 50 55 60 <210> 2 <211> 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2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Ala 35 40 45 Gly Ala Phe Gly Pro Gly Phe 50 55 <210> 3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3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4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4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35 40 <210> 5 <211> 3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5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35 <210> 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6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20 25 30 <210> 7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7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20 25 <210> 8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8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20 <210> 9 <211> 5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9 Gly Gly Trp Ser Ser Lys Pro Arg Gln Gly Met Gly Thr Asn Leu Ser 1 5 10 15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Gln Leu Asp Pro Ala 20 25 30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Phe Asn Pro Asn Lys 35 40 45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50 55 <210> 10 <211> 5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0 Gly Leu Ser Trp Thr Val Pro Leu Glu Trp Gly Thr Asn Leu Ser Val 1 5 10 15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Gln Leu Asp Pro Ala Phe 20 25 30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Phe Asn Pro Asn Lys Asp 35 40 45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50 55 <210> 11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Plam <220> <223> C-term NH2 <400> 11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12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Stearoyl <220> <223> C-term NH2 <400> 12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13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Chol <220> <223> C-term NH2 <400> 13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14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4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Val Lys Asp Asp Trp Pro Ala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15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5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Lys Ala Asn Ser Glu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Leu Asn Pro Asn Lys Asp Asn Trp Pro Asp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16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6 Gly Gln Asn Leu Ser Thr Ser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Arg Ala Asn Thr Ala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Thr Trp Pro Asp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17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7 Gly Lys Asn Ile Ser Thr Thr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Arg Ala Asn Thr Arg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His Asn Pro Asn Lys Asp His Trp Thr Glu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18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8 Gly Gln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Leu Phe Arg Ala Asn Ser Ser Ser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Thr Asn Lys Asp Ser Trp Pro Met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19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19 Gly Lys Asn Leu Ser Ala Ser Asn Pro Leu Gly Phe Leu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Arg Ala Asn Th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Lys Lys Asp Pro Trp Pro Glu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20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20 Gly Gln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Leu Phe Arg Ala Asn Ser Ser Ser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Thr Asn Lys Asp Asn Trp Pro Met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21 <211> 60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1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Ala 35 40 45 Gly Ala Phe Gly Pro Gly Phe Thr Pro Pro His Gly 50 55 60 <210> 22 <211> 55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2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Ala 35 40 45 Gly Ala Phe Gly Pro Gly Phe 50 55 <210> 23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3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24 <211> 40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4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35 40 <210> 25 <211> 35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5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35 <210> 26 <211> 30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6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20 25 30 <210> 27 <211> 25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7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20 25 <210> 28 <211> 20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8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20 <210> 29 <211> 58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29 Gly Gly Trp Ser Ser Lys Pro Arg Gln Gly Met Gly Thr Asn Leu Ser 1 5 10 15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Gln Leu Asp Pro Ala 20 25 30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Phe Asn Pro Asn Lys 35 40 45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50 55 <210> 30 <211> 5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0 Gly Leu Ser Trp Thr Val Pro Leu Glu Trp Gly Thr Asn Leu Ser Val 1 5 10 15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Gln Leu Asp Pro Ala Phe 20 25 30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Phe Asn Pro Asn Lys Asp 35 40 45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50 55 <210> 31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1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32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2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33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3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His Trp Pro Glu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34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4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Gly Ala Asn Se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Val Lys Asp Asp Trp Pro Ala Ala Asn Gln Val Gly 35 40 45 <210> 35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5 Gly Thr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Lys Ala Asn Ser Glu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Leu Asn Pro Asn Lys Asp Asn Trp Pro Asp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36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6 Gly Gln Asn Leu Ser Thr Ser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Arg Ala Asn Thr Ala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Asn Lys Asp Thr Trp Pro Asp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37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7 Gly Lys Asn Ile Ser Thr Thr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Arg Ala Asn Thr Arg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His Asn Pro Asn Lys Asp His Trp Thr Glu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38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8 Gly Gln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Leu Phe Arg Ala Asn Ser Ser Ser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Thr Asn Lys Asp Ser Trp Pro Met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39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39 Gly Lys Asn Leu Ser Ala Ser Asn Pro Leu Gly Phe Leu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Ala Phe Arg Ala Asn Thr Asn Asn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Pro Lys Lys Asp Pro Trp Pro Glu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40 <211> 47 <212> PRT <213> Hepatitis B virus <400> 40 Gly Gln Asn Leu Ser Val Pro Asn Pro Leu Gly Phe Phe Pro Asp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Leu Phe Arg Ala Asn Ser Ser Ser Pro Asp Trp Asp 20 25 30 Phe Asn Thr Asn Lys Asp Asn Trp Pro Met Ala Asn Lys Val Gly 35 40 45 <210> 41 <211> 3221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1 ttccactgcc ttccaccaag ctctgcagga tcccaaagtc aggggtctgt attttcctgc 60 tggtggctcc agttcaggaa cagtcaaccc tgctccaaat attgcctctc acatctcgtc 120 aatctccgcg aggactgggg accctgtgcc gaacatggag aacatcacat caggattcct 180 aggacccctg ctcgtgttac aggcggggtt tttcttgttg acaagaatcc tcacaatacc 240 gcagagtcta gactcgtggt ggacttctct caattttcta gggggatcac ccgtgtgtct 300 tggccaaaat tcgcagtccc caacctccaa tcactcacca acctcctgtc ctccaatttg 360 tcctggttat cgctggatgt gtctgcggcg ttttatcata ttcctcttca tcctgctgct 420 atgcctcatc ttcttattgg ttcttctgga ttatcaaggt atgttgcccg tttgtcctct 480 aattccagga tcaacaacaa ccagtacggg accatgcaaa acctgcacga ctcctgctca 540 aggcaactct atgtttccct catgttgctg tacaaaacct atggatggaa attgcacctg 600 tattcccatc ccatcgtcct gggctttcgc aaaataccta tgggagtggg cctcagtccg 660 tttctcttgg ctcagtttac tagtgccatt tgttcagtgg ttcgtagggc tttcccccac 720 tgtttggctt tcagctatat ggatgatgtg gtattggggg ccaagtctgt acagcatcgt 780 gagtcccttt ataccgctgt taccaatttt cttttgtctc tgggtataca tttaaaccct 840 aacaaaacaa aaagatgggg ttattcccta aacttcatgg tctacataat tggaagttgg 900 ggaacgttgc cacaggatca tattgtacaa aagatcaaac actgttttag aaaacttcct 960 gttaacagac ctattgattg gaaagtatgt caaagaattg tgggtctttt gggctttgct 1020 gctccattta ctcaatgtgg atatcctgcc ttaatgcctt tgtatgcatg tatacaagct 1080 aaacaggctt ttactttctc gccaacttac aaggcctttc taagtaaaca gtatatgaac 1140 ctttaccccg ttgctcggca acggcctggt ctgtgccaag tgtttgctga cgcaaccccc 1200 actggctggg gcttggccat aggccatcag cgcatgcgtg gaacctttgt ggctcctctg 1260 ccgatccata ctgcggaact cctagccgct tgttttgctc gcagccggtc tggagcaaag 1320 ctcatcggaa ctgataattc tgtcgtcctc tcgcggaaat atacatcgtt tccatggctg 1380 ctaggctgta ctgccaactg gatccttcgc gggacgtcct ttgtttacgt cccgtcggcg 1440 ctgaatcccg cggacgaccc ctcgcggggc cgcttgggag tctctcgtcc ccttctccgt 1500 ctgccgttcc agccgaccac ggggcgcacc tctctttacg cggtctcccc gtctgtgcct 1560 tctcatctgc cggtccgtgt gcacttcgct tcacctctgc acgttgcatg gagaccaccg 1620 tgaacgccca tcagatcctg cccaaggtct tacataagag gactcttgga ctctcagcaa 1680 tgtcaatgac cgaccttgag gcctacttca aagactgtgt gtttaaggac tgggaggagc 1740 ttggggagga gattaggtta aaggtgtttg tattaggagg ctgtaggcat aaattggtct 1800 gcgcaccagc accatgcaac tttttcacct ctgcctaatc atctcttgta catgtcccac 1860 ttttcaagcc tccaagctgt gccttgggtg gctttggggc atggacattg acccttataa 1920 agaatttgga gctactgtgg agttactctc gtttttgcct tctgacttct ttccttccgt 1980 cagagatctc ctagacaccg cctcagctct gtatcgagaa gccttagagt ctcctgagca 2040 ttgctctcct caccatactg cactcaggca agccattctc tgctgggtgg aattgatgac 2100 tctagccacc tgggtgggta ataatttgga agatccagca tccagggatc tagtagtcaa 2160 ttatgttaat actaacatgg gtttaaagat caggcaacta ttgtggtttc atatatcttg 2220 tcttactttt ggaagacaga ctgtgctaga atatttggtc tctttcggag tgtggattcg 2280 cactcctcca gcttatagac caccaaatgc ccctatctta tcaacacttc cggagactac 2340 tgttgttaga cgacgggacc gaggcaggtc ccctagaaga agaactccct cgcctcgcag 2400 acgcagatct caatcgccgc gtcgcagaag atctcaatct cgggaatctc aatgttagta 2460 ttccttggac tcataaggtg ggaaatttta ctgggcttta ttcctctaca gtacctatct 2520 ttaatcctga atggcaaact ccttcctttc ctaagattca tttacaagag gacattatta 2580 ataggtgtca acaatttgtg ggccctctca ctgtaaatga aaagagaaga ctgaaattaa 2640 ttatgcctgc cagattctat cctacccaca ctaaatattt gcccttagac aaaggaatta 2700 aaccttatta tccagatcag gtagttaatc attacttcca aaccagacat tatttacata 2760 ctctttggaa ggctgggatt ctatataaga gggaaaccac acgtagcgca tcattttgcg 2820 ggtcaccata ttcttgggaa caagagctac atcatgggag gttggtcatc aaaacctcgc 2880 aaaggcatgg ggacgaacct ttctgttccc aaccctctgg gattctttcc cgatcatcag 2940 ttggaccctg cattcggagc caattcaaac aatccagatt gggacttcaa ccccatcaag 3000 gaccactggc cagcaggcaa ccaggtagga gtgggagcat tcgggccaag gctcacccct 3060 ccacacggcg gtattttggg gtggagccct caggctcagg gcatattggc cacagtgtca 3120 acaattcctc ctcctgcctc caccaatcgg cagtcaggaa ggcagcctac tcccatctct 3180 ccacctctaa gagacagtca tcctgaggcc atgcagtgga a 3221 <210> 42 <211> 3215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2 aactccacca ctttccacca aactcttcaa gatcccagag tcagggccct gtaccttcct 60 gctggtggct ccagttcaga aatagtgagc cctgctcaga atactgtctc tgccatatcg 120 tcaatcttat cgaagactgg ggaccctgta ccgaacatgg agaacatcgc atcaggactc 180 ctaggacccc tgctcgtgtt acaggcgggg tttttcttgt tgacaaaaat cctcacaata 240 ccacagagtc tagactcgtg gtggacttct ctcaattttc tagggggaac acccgtgtgt 300 cttggccaaa attcgcagtc ccaaatctcc agtcactcac caacctgttg tcctccaatt 360 tgtcctgggt atcgctggat gtgtctgcgg cgttttatca tattcctctg catcctgctg 420 ctatgcctca tcttcttgtt ggttcttctg gactatcaag gtatgttgcc cgtttgtcct 480 ctaattccag gatcatcaac aaccagcacc ggaccatgca aaacctgcac aactcctgct 540 caaggaacct ctatgtttcc ctcatgttgc tgtacaaaac ctacggacgg aaactgcacc 600 tgtattccca tcccatcatc ttgggctttc gcaaaattcc tatgggagtg ggcctcagtc 660 cgtttctctt ggctcagttt actagtgcca tttgttcagt ggttcgtagg gctttccccc 720 actgtctggc tttcagttat atcgatgatg tggttttggg ggccaagtct gtacaacatc 780 ttgagtccct ttataccgct gttaccaatt ttcttttgtc tttgggtata catttaaacc 840 ctcacaaaac aaaaagatgg ggatattccc ttaacttcat gggatatgta attgggagtt 900 ggggcacatt gccacaggaa catattgtac aaaaaatcaa aatgtgtttt aagaaacttc 960 ctgtaaacag gcctattgat tggaaagtat gtcaacgaat tgtgggtctt ttggggtttg 1020 ccgccccttt tacgcaatgt ggatatcctg ctttaatgcc tttatatgca tgtatacaag 1080 caaaacaggc ttttactttc tcgccaactt acaaggcctt tctaagtaaa cagtatatga 1140 acctttaccc cgttgctcgg caacggcctg gtctgtgcca agtgtttgct gacgcaaccc 1200 ccactggttg gggcttggcc attggccatc agcgcatgcg tgggaccttt gtgtctcctc 1260 tgccgatcca tactgcggaa ctcctagccg cttgttttgc tcgcagcagg tctggggcaa 1320 aactcatcgg gactgacaat tctgtcgtgc tctcccgcaa gtatacatca tttccatggc 1380 tgctaggctg tgctgccaac tggatcctgc gcgggacgtc ctttgtttac gtcccgtcgg 1440 cgctgaatcc cgcggacgac ccctcccggg gccgcttggg gctctaccgc ccgcttctcc 1500 gcctgttgta ccgaccgacc acggggcgca cctctcttta cgcggactcc ccgtctgtgc 1560 cttctcatct gccggaccgt gtgcacttcg cttcacctct gcacgtcgca tggagaccac 1620 cgtgaacgcc cacaggaacc tgcccaaggt cttgcataag aggactcttg gactttcagc 1680 aatgtcaacg accgaccttg aggcatactt caaagactgt gtgtttactg agtgggagga 1740 gttgggggag gagattaggt taaaggtctt tgtactagga ggctgtaggc ataaattggt 1800 gtgttcacca gcaccatgca actttttcac ctctgcctaa tcatctcatg ttcatgtcct 1860 actgttcaag cctccaagct gtgccttggg tggctttggg gcatggacat tgacccgtat 1920 aaagaatttg gagcttctgc ggagttactc tcttttttac cttctgactt ctttccttct 1980 attcgagatc ttctcgacac cgcctctgct ctgtatcggg aggccttaga gtctccggaa 2040 cattgttcac ctcaccatac ggcactcagg caagctattc tgtgttgggg tgagttgatg 2100 aatctagcca cctgggtggg aagtaatttg gaagatccag catccaggga attagtagtc 2160 ggctatgtca acgttaatat gggcctaaaa cttagacaac tattgtggtt tcacatttcc 2220 tgtcttactt ttgggagaga aactgttctt gaatatttgg tgtcttttgg agtgtggatt 2280 cgcactcctt ctgcatatag accaccaaat gcccctatcc tatcaacact tccggaaact 2340 actgttgtta gacgaagagg caggtcccct agaagaagaa ctccctcgcc tcgcagacga 2400 aggtctcaat cgccgcgtcg cagaagatct caatctcggg aatctcaatg ttagtattcc 2460 ttggacacat aaggtgggaa actttacggg gctttattct tctacggtac cttgttttaa 2520 tcctaaatgg caaactcctt cttttcctga cattcatttg caggaggaca ttgttgatag 2580 atgtaagcaa tttgtggggc cccttacagt aaatgaaaac aggagactaa aattaattat 2640 gcctgctagg ttttatccca atgttactaa atatttgccc ttagataaag ggatcaaacc 2700 gtattatcca gagtatgtag ttaatcatta cttccagacg cgacattatt tacacactct 2760 ttggaaagcg gggatcttat ataaaagaga gtccactcgt agcgcctcat tttgcgggtc 2820 accatattct tgggaacaag atctacagca tgggaggttg gtcttccaaa cctcgaaaag 2880 gcatggggac aaatctttct gtccccaatc ccctgggatt cttccccgat catcagttgg 2940 accctgcatt caaagccaac tcagaaaatc cagattggga cctcaacccg cacaaggaca 3000 actggccgga cgccaacaag gtgggagtgg gagcattcgg gccagggttc acccctcccc 3060 atggggggct gttggggtgg agccctcagg ctcagggcct actcacaact gtgccagcag 3120 ctcctcctcc tgcctccacc aatcggcagt caggaaggca gcctactccc ttatctccac 3180 ctctaaggga cactcatcct caggccatga agtgg 3215 <210> 43 <211> 3215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3 aattccacaa cattccacca agctctgcta gaccccagag tgaggggcct atactttcct 60 gctggtggct ccagttccgg aacagtaaac cctgttccga ctactgcctc acccatatcg 120 tcaatcttct cgaggactgg ggaccctgca ccgaacatgg agagcacaac atcaggattc 180 ctaggacccc tgctcgtgtt acaggcgggg tttttcttgt tgacaagaat cctcacaata 240 ccacagagtc tagactcgtg gtggacttct ctcaattttc tagggggagc acccacgtgt 300 cctggccaaa attcgcagtc cccaacctcc aatcactcac caacctcttg tcctccaatt 360 tgtcctggct atcgctggat gtgtctgcgg cgttttatca tattcctctt catcctgctg 420 ctatgcctca tcttcttgtt ggttcttctg gactaccaag gtatgttgcc cgtttgtcct 480 ctacttccag gaacatcaac taccagcacg ggaccatgca agacctgcac gagtcctgct 540 caaggaacct ctatgtttcc ctcttgttgc tgtacaaaac cttcggacgg aaactgcact 600 tgtattccca tcccatcatc ctgggctttc gcaagattcc tatgggagtg ggcctcagtc 660 cgtttctcct ggctcagttt actagtgcca tttgttcagt ggttcgtagg gctttccccc 720 actgtttggc tttcagttat atggatgatg tggtattggg ggccatgtct gtacaacatc 780 ttgagtccct ttttacctct attaccaatt ttcttttgtc tttgggtata catttgaacc 840 ctaataaaac caaacgttgg ggctactccc ttaacttcat gggatatgta attggaagtt 900 ggggtacttt accgcaagaa catattgtac aaaaacttaa gcaatgtttt cgaaaactgc 960 ctgtaaatag acctattgat tggaaagtat gtcagagaat tgtgggtctt ttgggctttg 1020 ctgccccttt tacacaatgt ggctatcctg ctttaatgcc tttatatgca tgtatacaat 1080 ctaagcaggc tttcactttc tcgccaactt acaaggcctt tctgtgtaaa caatatctga 1140 acctttaccc cgttgcccgg caacggtcag gtctctgcca agtgtttgct gacgcaaccc 1200 ccactggatg gggcttggct attggccatc gccgcatgcg tggaaccttt gtggctcctc 1260 tgccgatcca tactgcggaa ctcctagcag cttgttttgc tcgcagccgg tctggagcaa 1320 aacttatcgg caccgacaac tctgttgtcc tctctcggaa gtacacctcc tttccatggc 1380 tgctagggtg tgctgccaac tggatcctgc gcgggacgtc ctttgtttac gtcccgtcgg 1440 cgctgaatcc cgcggacgac ccgtctcggg gccgtttggg actctaccgt ccccttcttc 1500 atctgccgtt ccggccgacc acggggcgca cctctcttta cgcggtctcc ccgtctgtgc 1560 cttctcatct gccggaccgt gtgcacttcg cttcacctct gcacgtcgca tggagaccac 1620 cgtgaacgcc caccaggtct tgcccaaggt cttacataag aggactcttg gactctcagc 1680 aatgtcaacg accgaccttg aggcatactt caaagactgt ttgtttaagg actgggagga 1740 gttgggggag gagattaggt taaaggtctt tgtactagga ggctgtaggc ataaattggt 1800 ctgttcacca gcaccatgca actttttcac ctctgcctaa tcatctcatg ttcatgtcct 1860 actgttcaag cctccaagct gtgccttggg tggctttggg gcatggacat tgacccgtat 1920 aaagaatttg gagcttctgt ggagttactc tcttttttgc cttctgactt ctttccttct 1980 attcgagatc tcctcgacac cgcctctgct ctgtatcggg aggccttaga gtctccggaa 2040 cattgttcgc ctcaccatac agcactcagg caagctattc tttgttgggg tgagttgatg 2100 aatctggcca cctgggtggg aagtaatttg gaagacccag catccaggga attagtagcc 2160 agctatgtca atgttaatat gggcctaaaa atcagacaac tactgtggtt tcacatttcc 2220 tgtcttactt ttggaagaga aactgttctt gagtatttgg tatcttttgg agtgtggatt 2280 cgcactcctc ctgcttacag accaccaaat gcccctatct tatcaacact tccggaaact 2340 actgttgtta gacgacgagg caggtcccct agaagacgaa ctccctcgcc tcgcagacga 2400 aggtctcaat cgccgcgtcg cagaagatct caatctcggg aatctcaatg ttagtatccc 2460 ttggactcat aaggtgggaa actttactgg gctttattct tctactgtac ctgtctttaa 2520 tccagagtgg caaactccct cctttcctca cattcattta caggaggaca ttattaatag 2580 atgtcaacaa tatgtgggcc ctcttacagt taatgaaaaa agaagattaa aattaattat 2640 gcctgctagg ttctatccta accttaccaa atatttgccc ttggacaaag gcattaaacc 2700 atattatcct gaacatgcag ttaatcatta cttcaaaact aggcattatt tacatactct 2760 gtggaaggct ggcattctat ataagagaga aactacacgc agcgcctcat tttgtgggtc 2820 accatattct tgggaacaag agctacagca tgggaggttg gtcttccaaa cctcgacaag 2880 gcatggggac aaatctttct gttcccaatc ctctgggatt ctttcccgat caccagttgg 2940 accctgcgtt cggagccaac tcaaacaatc cagattggga cttcaacccc aacaaggatc 3000 actggccaga ggcaaatcag gtaggagcgg gagcattcgg gccagggttc accccaccac 3060 acggcggtct tttggggtgg agccctcagg ctcagggcat actgacaaca gtgccagtag 3120 cacctcctcc tgcctccacc aatcggcagt caggaagaca gcctactccc atctctccac 3180 ctctaagaga cagtcatcct caggccatgc agtgg 3215 <210> 44 <211> 3182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4 aactccacaa ccttccacca aactctgcaa gatcccagag tgagaggcct gtatttccct 60 gctggtggct ccagttcagg aacagtaaac cctgttccga ctactgtctc tcccatatcg 120 tcaatcttct cgaggattgg ggaccctgcg ctgaacatgg agaacatcac atcaggattc 180 ctaggacccc tgctcgtgtt acaggcgggg tttttcttgt tgacaagaat cctcacaata 240 ccgcagagtc tagactcgtg gtggacttct ctcaattttc tagggggaac taccgtgtgt 300 cttggccaaa attcgcagtc cccaacctcc aatcactcac caacctcctg tcctccaact 360 tgtcctggtt atcgctggat gtgtctgcgg cgttttatca tcttcctctt catcctgctg 420 ctatgcctca tcttcttgtt ggttcttctg gactatcaag gtatgttgcc cgtttgtcct 480 ctaattccag gatcttcaac taccagcacg ggaccatgca gaacctgcac gactcctgct 540 caaggaacct ctatgtatcc ctcctgttgc tgtaccaaac cttcggacgg aaattgcacc 600 tgtattccca tcccatcatc ctgggctttc ggaaaattcc tatgggagtg ggcctcagcc 660 cgtttctcct ggctcagttt actagtgcca tttgttcagt ggttcgtcgg gctttccccc 720 actgtttggc tttcagttat atggatgatg tggtattggg ggccaagtct gtacagcatc 780 ttgagtccct ttttaccgct gttaccaatt ttcttttgtc tttgggtata catttaaacc 840 ctgacaaaac aaaaagatgg ggttactctt tacatttcat gggctatgtc attggaagtt 900 atgggtcatt gccacaagat cacatcatac aaaaaatcaa agaatgtttt cgaaaacttc 960 ctgttaacag acctattgat tggaaagtct gtcaacgtat tgtgggtctt ttgggttttg 1020 ctgccccttt tacacaatgt ggttatcctg ctttaaagcc tttgtatgca tgtattcaat 1080 ctaagcaggc tttcactttc tcgccaactt acaaggcctt tctgtgtaaa caatacctga 1140 acctttaccc cgttgcccgg caacggccag gtctgtgcca agtgtttgct gacgcaaccc 1200 ccactggctg gggcttggtc atgggccatc agcgcatgcg tggaaccttt ctggctcctc 1260 tgccgatcca tactgcggaa ctcctagccg cttgttttgc tcgcagcagg tctggagcaa 1320 acattctcgg gacggataac tctgttgttc tctcccgcaa atatacatcg tttccatggc 1380 tgctaggctg tgctgccaac tggatcctgc gcgggacgtc ctttgtttac gtcccgtcgg 1440 cgctgaatcc cgcggacgac ccttctcggg gtcgcttggg actctctcgt ccccttctcc 1500 gtctgccgtt tcgaccgacc acggggcgca cctctcttta cgcggactcc ccgtctgtgc 1560 cttctcatct gccggaccgt gtgcacttcg cttcacctct gcccgtcgca tggagaccac 1620 cgtgaacgcc caccgagtct tgcccaaggt cttacataag aggactcttg gactctctgt 1680 aatgtcaacg accgaccttg aggcatactt caaagactgt ttgttcaaag actgggagga 1740 gttgggggag gagattagat taaaggtctt tgtactagga ggctgtaggc ataaattggt 1800 ctgcgcacca gcaccatgca actttttcac ctctgcctaa tcatctcttg ttcatgtcct 1860 actgttcaag cctccaagct gtgccttggg tggctttagg gcatggacat cgatccttat 1920 aaagaatttg gagctactgt ggagttactc tcgtttttgc cttctgactt ctttccttca 1980 gtacgagatc ttctagatac cgcctcagct ctgtatcggg aagccttaga gtctcctgag 2040 cattgttcac ctcaccatac tgcactcagg caagcagttc tgtgctgggg ggaactaatg 2100 actctagcta cctgggtggg tggtaatttg gaagatccaa catccaggga cctagtagtc 2160 agttatgtca acactaatat gggcctaaag ttccggcaac tattgtggtt tcacatttct 2220 tgtctcactt ttggaagaga aacagtttta gagtatttgg tgtctttcgg agtgtggatt 2280 cgcactcctc cagcttatag accaccaaat gcccctatct tatcaacact tccggagact 2340 actgttgtta gacgacgagg caggtcccct agaagaagaa ctccctcgcc tcgcagacga 2400 aggtctcaat cgccgcgtcg cagaagatct caatctcggg aatctcaatg ttagtattcc 2460 ttggactcat aaggtgggaa actttacggg gctttattct tctactgtac ctgtctttaa 2520 ccctcattgg aaaacaccct cttttcctaa tatacattta caccaagaca ttatcaaaaa 2580 atgtgaacaa tttgtaggcc cactcacagt caatgaaaaa agaagactgc aattgattat 2640 gcctgctagg ttttatccaa atgttaccaa atatttgcca ttggataagg gtatcaaacc 2700 ttattaccca gaacatctag ttaatcatta cttccaaacc agacattatt tacacactct 2760 atggaaggcg ggtatattat ataagagaga aacaacacat agcgcctcat tttgtgggtc 2820 accatattct tgggaacaaa agctacagca tggggcagaa tctttccacc agcaatcctc 2880 tgggattctt tcccgaccac cagttggatc cagccttcag agcaaacacc gcaaatccag 2940 attgggactt caatcccaac aaggacacct ggccagacgc caacaaggta ggagctggag 3000 cattcgggct gggattcacc ccaccgcacg gaggcctttt ggggtggagc cctcaggctc 3060 agggcatact acaaaccttg ccagcaaatc cgcctcctgc ctctacccat cgccagtcag 3120 gaaggcagcc taccccgctg tctccacctt tgagaaacac tcatcctcag gccatgcagt 3180 gg 3182 <210> 45 <211> 3212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5 ttccacagca ttccaccaag ctctgcagga tcccaaagta agaggcctgt attttcctgc 60 tggtggctcc agttccggaa cagtgagccc tgttccgact actgcctcac tcatctcgtc 120 aatcttctcg aggattgggg accctgcacc gaacatggaa ggcatcacat caggattcct 180 gggacccctg ctcgtgttac aggcggggtt tttcttgttg acaaaaatcc tcacaatacc 240 gcagagtcta gactcgtggt ggacttctct caattttcta gggggagctc ccgtgtgtct 300 tggccaaaat tcgcagtccc caacctccaa tcactcacca acctcttgtc ctccgatttg 360 tcctggctat cgctggatgt gtctgcggcg ttttatcatc ttcctcttca tcctgctgct 420 atgcctcatc ttcttgttgg ttcttctgga ctatcaaggt atgttgcccg tttgtcctct 480 aattccagga tcatcaacca ccagtacggg accctgccga acctgcacga ctcttgctca 540 aggaacctct atgtttccct catgttgctg ttcaaaacct tcggacggaa attgcacttg 600 tattcccatc ccatcatcat gggctttcgg aaaattccta tgggagtggg cctcagcccg 660 tttctcctgg ctcagtttac tagtgccatt tgttcagtgg ttcgccgggc tttcccccac 720 tgtctggctt tcagttatat ggatgatgtg gtattggggg ccaagtctgt acaacatctt 780 gagtcccttt atacctctgt taccaatttt cttttgtctt tgggtataca tttaaatccc 840 aacaaaacaa aacgatgggg atattctctt aatttcatgg gatatgtaat tgggagttgg 900 gggtcattac cacaggaaca catccgaatg aaaatcaaag actgttttag aaaactccct 960 gttaaccggc ctattgattg gaaagtatgt caaagaattg tgggtctttt gggctttgct 1020 gcccctttta cacaatgtgg atatcctgct ttaatgcctc tgtatgcgtg tgttcaatcg 1080 aagcaggctt tcactttctc gccaacttac aaggcctttc tgtgtaaaca atacctgaac 1140 ctttaccccg ttgcccggca acggccaggt ctgtgccaag tgtttgctga tgcaaccccc 1200 actggctggg gcttggccat aggccatcag cgcatgcgtg gaacctttgt ggctcctctg 1260 ccgatccata ctgcggaact cctagccgct tgttttgctc gcagcaggtc tggagcgaaa 1320 cttatcggga cggataattc tgtcgttctc tcccggaaat atacatcatt tccatggctg 1380 ctaggctgtg ctgccaactg gatcctgcga gggacgtcct ttgtctacgt cccgtcagcg 1440 ctgaatcctg cggacgaccc gtctcggggt cgcttgggga tctatcgtcc ccttctccgt 1500 ctgccgttcc ggccgaccac ggggcgcacc tctctttacg cggtctcccc gtctgtgcct 1560 tctcatctgc cggaccgtgt gcacttcgct tcacctctgc acgtcgcatg gagaccaccg 1620 tgaacgccca tcaaatcttg cccaaggtct tacataagcg gactcttgga ctttctgcaa 1680 tgtcaacgac cgaccttgag gcatacttca aagactgttt gtttaaagac tgggaggagt 1740 tgggggagga gattagatta aaggtctttg tactaggagg ctgtaggcat aaattggtct 1800 gcgcaccagc accatgcaac tttttcacct ctgcctaatc atctcttgtt catgtcctac 1860 tgttcaagcc tccaagctgt gccttgggtg gctttggggc atggacattg acccttataa 1920 agaatttgga gctactgtgg agttactctc gtttttgccg tctgacttct ttccgtcagt 1980 tagagatctt ctagataccg cctcagctct gtatcgggat gccttagaat ctcctgagca 2040 ttgttcacct caccatactg cactcaggca agccattctt tgctgggggg aactaatgac 2100 tctagctacc tgggtgggtg taaatttgga agatccagca tccagggacc tagtagtcag 2160 ttatgtcaat actaatatgg gcctaaagtt caggcaatta ttgtggtttc acatttcttg 2220 tctcactttt ggaagagaaa ccgtcataga gtatttggtg tcttttggag tgtggattcg 2280 cactcctcca gcttatagac caccaaatgc ccctatctta tcaacacttc cggagaatac 2340 tgttgttaga cgaagaggca ggtcccctag aagaagaact ccctcgcctc gcagacgaag 2400 atctcaatcg ccgcgtcgca gaagatctca atctccagct tcccaatgtt agtattcctt 2460 ggactcacaa ggtgggaaat tttacgggcc tttactcttc tactatacct gtctttaatc 2520 ctaactggaa aactccatct tttcctgata ttcatttgca ccaagacatt attaacaaat 2580 gtgaacaatt tgtaggtcct ctaacagtaa atgaaaaacg aagattaaac ttagtcatgc 2640 ctgctagatt ttttcccatc tctacgaaat atttgcccct agagaagggt ataaaacctt 2700 attatccaga taatgtagtt aatcattact tccaaaccag acactattta cataccctat 2760 ggaaggcggg catcttatat aaacgggaaa ctacacgtag cgcctcattt tgtgggtcac 2820 cttattcttg ggaacaagag ctacatcatg gggctttctt ggacggtccc tctcgaatgg 2880 gggaagaatc attccaccac caatcctctg ggattttttc ccgaccacca gttggatcca 2940 gcattcagag caaacaccag aaatccagat tgggaccaca atcccgacaa agaccactgg 3000 acagaagcca acaaggtagg agtgggagca ttcgggccgg ggttcactcc cccacacgga 3060 ggccttttgg ggtggagccc tcaggctcaa ggcatgctaa aaacattgcc agcagatccg 3120 cctcctgcct ccaccaatcg gcagtcagga aggcagccta ccccaatcac tccacctttg 3180 agagacactc atcctcaggc catgcagtgg aa 3212 <210> 46 <211> 3215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6 ctccactcag ttccaccagg ctctgttaga tccgagagta agggctctgt attttcctgc 60 tggtggctcc agttcagaga cacagaaccc tgctccgact attgcctctc tcacatcatc 120 aatcttcttg aagactgggg gccctgctac gaacatggac aacatcacat caggactcct 180 aggacccctg ctcgtgttac aggcggtgtg tttcttgttg acaaaaatcc tcacaatacc 240 acagagtcta gactcgtggt ggacttctct caattttcta gggggaacac ccgggtgtcc 300 tggccaaaat tcgcagtccc caacctccaa tcacttacca acctcctgtc ctccaacttg 360 tcctggctat cgctggatgt gtctgcggcg ttttatcatc ttcctcttca tcctgctgct 420 atgcctcatc ttcttgttgg ttcttctgga ctatcaaggt atgttgcccg tttgtcctct 480 acttccagga tccacgacca ccagcacggg accatgcaaa acctgcacaa ctcttgctca 540 aggaacctct atgtttccct cttgctgctg ttccaaaccc tcggacggaa actgcacttg 600 tattcccatc ccatcatcct gggctttagg aaaataccta tgggagtggg cctcagcccg 660 tttctcctgg ctcagtttac tagtgcaatt tgttcagtgg tgcgtagggc tttcccccac 720 tgtctggctt ttagttatat ggatgatctg gtattggggg ccaaatctgt gcagcatctt 780 gagtcccttt ataccgctgt taccaatttt ctgttatctg tgggtatcca tttaaatacc 840 tcgaaaacaa aaagatgggg ttatacccta aatttcatgg gttatgttat tggcagttgg 900 ggatcattac cacaagatca cattgtacaa aaaatcaaag attgttttcg taaacttcct 960 gtaaatcgcc ctattgattg gaaagtttgt caacgcattg tgggtctttt gggctttgcc 1020 gcccccttta ctcaatgtgg ttatcctgct ctcatgcctc tgtatgcctg tataactgct 1080 aaacaggctt ttgtcttttc gccaacttac aaggcctttc tatgtcaaca atacatgaac 1140 ctttaccccg ttgctcggca acggccaggc ctgtgccaag tgtttgctga cgcaaccccc 1200 actggttggg gcttggccat tggccatcag cgcatgcgtg gaacctttgt ggctcctctg 1260 ccgatccata ctgcggaact ccttgcagct tgtttcgctc gcagccggtc tggagcgaaa 1320 ctcatcggca cagacaactc tgttgtcctc tctaggaagt acacctcctt cccatggctg 1380 ctcggttgtg ctgccaactg gatcctacgc gggacgtcct ttgtttacgt cccgtcggcg 1440 ctgaatccag cggacgatcc ctctcggggt cgcttggggc tgtatcgccc ccttctccgt 1500 ctgccgttcc agccgacgac gggtcgcacc tctctttacg cggcctcccc gtctgttcct 1560 tctcgtctgc cggaccgtgt gcacttcgct tcacctctgc acgtcgcatg gagaccaccg 1620 tgaacgcccc tcgaagcttg ccaacagtct tacataagcg gactcttgga ctttcaggaa 1680 ggtcaatcac ctggatcgaa gaatacatca aagactgtgt atttaaggac tgggaggagc 1740 tgggggagga gattaggtta aaggtctttg tattaggagg ctgtaggcat aaattggtct 1800 gttcaccagc accatgcaac tttttcacct ctgcctaatc atcttttgtt catgtcctac 1860 tgttcaagcc tccaagctgt gccttgggtg gctttggggc atggacattg acccttataa 1920 agaatttgga gcttctgtgg aattactctc ttttttgcct tctgacttct tcccgtcagt 1980 tcgggaccta ctcgacaccg cttcagccct ctaccgggat gctttagaat caccagaaca 2040 ttgcacacct aaccataccg ctctcaggca agctatattg tgctggggtg agttaatgac 2100 tttggcttcc tgggtgggca ataacttgga agatcctgct gctagggacc tagtggttaa 2160 ctatgtcaat actaacatgg gcctaaaaat tagacaattg ctgtggtttc acatttcctg 2220 ccttactttt ggaagagaaa cagttcttga gtatttggtg tcttttggag tgtggattcg 2280 cactcctcct gcttatagac caccaaatgc ccctatctta tccacacttc cggaaactac 2340 tgttgttaga cgacgaggca ggtcccctcg aagaagaact ccctcgcctc gcagacgaag 2400 gtctcaatcg ccgcgtcgca gaagatctca atctccagct tcccaatgtt agtattcctt 2460 ggactcataa ggtgggaaat tttacgggac tctattcctc tactgttcct acttttaatc 2520 ctgactggtt aactccttct tttcctgaca ttcatttaca tcaagatttg atacacaaat 2580 gtgaacaatt tgtaggccct ctcacaaaaa atgaattgag aagattaaaa ttagttatgc 2640 catccagatt ttttcctaag gttaccaaat attttcctat ggaaaaggga attaaaccct 2700 attatcctga taacgtggtt aatcattatt ttaagaccag acactatttg catactttat 2760 ggaargcrgg cattctatat aagagagaat ccacacgtag cgcctcattt tgtgggtcac 2820 catattcttg ggaacaagag ctacagcatg ggagcacctc tatcaacgac tcgaaggggc 2880 atgggacaga atctctctgt acccaatcct ctgggattct ttccagacca tcagctggat 2940 cctctattca gggcaaattc cagcagtccc gactgggact tcaacaaaaa caaggacaat 3000 tggccaatgg caaacaaggt aggagtggga ggatacggtc ctgggttcac acccccacac 3060 ggtggcctgt tggggtggag tccacaggca cagggtgtgc ttacaacatt gccagcagat 3120 ccgcctcctg cttccaccaa tcggcggtcc gggagaaaac caaccccagt ctctccacct 3180 ctaagagaca ctcatccaca ggccatgcag tggaa 3215 <210> 47 <211> 3248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7 ctctacagca ttccaccaag ctctacaaaa tcccaaagtc aggggcctgt attttcctgc 60 tggtggctcc agttcaggga tagtgaaccc tgttccgact attgcctctc acatctcgtc 120 aatcttctcc aggattgggg accctgcacc gaacatggag aacatcacat caggattcct 180 aggacccctg ctcgtgttac aggcggggtt tttcttgttg acaagaatcc tcacaatacc 240 gcagagtcta gactcgtggt ggacttctct caattttcta gggggagtgc ccgtgtgtcc 300 tggcctaaat tcgcagtccc caacctccaa tcactcacca atctcctgtc ctccaacttg 360 tcctggctat cgctggatgt gtctgcggcg ttttatcata ttcctcttca tcctgctgct 420 atgcctcatc ttcttgttgg ttcttctgga ctatcaaggt atgttgcccg tttgtcctct 480 gattccagga tcctcgacca ccagcacggg accctgcaaa acctgcacga ctcctgctca 540 aggcaactct atgtatccct catgttgctg tacaaaacct tcggacggaa attgcacctg 600 tattcccatc ccatcatctt gggctttcgc aaaataccta tgggagtggg cctcagtccg 660 tttctcttgg ctcagtttac tagtgccatt tgttcagtgg ttcgtagggc tttcccccac 720 tgtctggctt tcagctatat ggatgatgtg gtattggggg ccaaatctgt acaacatctt 780 gagtcccttt ataccgctgt taccaatttt cttttgtctt tgggtataca tctaaaccct 840 aacaaaacaa aaagatgggg ttattcctta aattttatgg gatatgtaat tggaagttgg 900 ggtactttgc cacaagaaca catcacacag aaaattaagc aatgttttcg gaaactccct 960 gttaacaggc caattgattg gaaagtctgt caacgaataa ctggtctgtt gggtttcgct 1020 gctcctttta cccaatgtgg ttaccctgcc ttaatgcctt tatatgcatg tatacaagct 1080 aagcaggctt ttactttctc gccaacttat aaggcctttc tctgtaaaca atacatgaac 1140 ctttaccccg ttgctaggca acggcccggt ctgtgccaag tgtttgctga cgcaaccccc 1200 actggttggg gcttggccat cggccatcag cgcatgcgtg gaacctttgt ggctcctctg 1260 ccgatccata ctgcggaact cctagctgct tgttttgctc gcagccggtc tggagcaaaa 1320 ctcattggga ctgacaattc tgtcgtcctt tctcggaaat atacatcctt tccatggctg 1380 ctaggctgtg ctgccaactg gatccttcgc gggacgtcct ttgtttacgt cccgtcagcg 1440 ctgaatccag cggacgaccc ctcccggggc cgtttggggc tctgtcgccc ccttctccgt 1500 ctgccgttcc tgccgaccac ggggcgcacc tctctttacg cggtctcccc gtctgttcct 1560 tctcatctgc cggaccgtgt gcacttcgct tcacctctgc acgttacatg gaaaccgcca 1620 tgaacacctc tcatcatcta ccaaggcagt tatataagag gactcttgga ctgtttgtta 1680 tgtcaacaac cgggatggag aaatacttca aggactgtgt ttttgctgag tgggaagaat 1740 taggcaatga gtccaggtta atgacctttg tattaggagg ctgtaggcat aaattggtct 1800 gcgcaccagc accatgtaac tttttcacct ctgcctaatc atctcttgtt catgtcctac 1860 tgttcaagcc tccaagctgt gccttgggtg gctttagggc atggatagaa caactttgcc 1920 atatggcctt tttggcttag acattgaccc ttataaagaa tttggagcta ctgtggagtt 1980 gctctcgttt ttgccttctg actttttccc gtctgttcgt gatcttctcg acaccgcttc 2040 agctttgtac cgggaatcct tagagtcctc tgatcattgt tcgcctcacc atacagcact 2100 caggcaagca attctgtgct ggggtgagtt gatgactcta gctacctggg tgggtaataa 2160 tttggaagat ccagcatcca gagatttggt ggtcaattat gttaatacta atatgggttt 2220 aaaaatcagg caactattgt ggtttcacat ttcctgtctt acttttggga gagaaaccgt 2280 tcttgagtat ttggtgtctt ttggagtgtg gattcgcact cctcctgctt atagaccacc 2340 aaatgcccct atcctatcaa cacttccgga gactactgtt gttagacgaa gaggcaggtc 2400 ccctcgaaga agaactccct cgcctcgcag acgaagatct caatcgccgc gtcgcagaag 2460 atctgcatct ccagcttccc aatgttagta ttccttggac tcacaaggtg ggaaacttta 2520 cggggctgta ttcttctact atacctgtct ttaatcctga ttggcaaact ccttcttttc 2580 caaatatcca tttgcatcaa gacattataa ctaaatgtga acaatttgtg ggccctctca 2640 cagtaaatga gaaacgaaga ttaaaactag ttatgcctgc cagatttttc ccaaactcta 2700 ctaaatattt accattagac aaaggtatca aaccgtatta tccagaaaat gtagttaatc 2760 attacttcca gaccagacat tatttacata ccctttggaa ggcgggtatt ctatataaga 2820 gagaaacatc ccgtagcgct tcattttgtg ggtcaccata tacttgggaa caagatctac 2880 agcatggggc tttcttggac ggtccctctc gagtggggaa agaacctttc caccagcaat 2940 cctctaggat tccttcccga tcaccagttg gacccagcat tcagagcaaa taccaacaat 3000 ccagattggg acttcaatcc caaaaaggac ccttggccag aggccaacaa ggtaggagtt 3060 ggagcctatg gacccgggtt cacccctcca cacggaggcc ttttggggtg gagccttcag 3120 tctcagggca cactaacaac tttgccagca gatccgcctc ctgcctccac caatcgtcag 3180 tcagggaggc agcctactcc catctctcca ccactaagag acagtcatcc tcaggccatg 3240 cagtggaa 3248 <210> 48 <211> 3215 <212> DNA <213> Hepatitis B virus <400> 48 ctcaacacag ttccaccaag cactgttgga tccgagagta agggggctgt attttcctgc 60 tggtggctcc agttcagaaa cacagaaccc tgctccgact attgcctctc tcacatcatc 120 aatcttctcg aagactgggg accctgctat gaacatggag aacatcacat caggactcct 180 aggacccctt ctcgtgttac aggcggtgtg tttcttgttg acaaaaatcc tcacaatacc 240 aaagagtcta gactcgtggt ggacttctct caattttcta ggggtaccac ccgggtgtcc 300 tggccaaaat tcgcagtccc caatctccaa tcacttacca acctcctgtc ctccaacttg 360 tcctggctat cgttggatgt gtctgcggcg ttttatcatc ttcctcttca tcctgctgct 420 atgcctcatc ttcttgttgg ttcttctgga ctatcaaggt atgttgcccg tgtgtcctct 480 acttccagga tcwacaacca ccagcacggg accctgcaaa acctgcacca ctcttgctca 540 aggaacctct atgtttccct cctgctgctg taccaaacct tcggacggaa attgcacctg 600 tattcccatc ccatcatctt gggctttcgg aaaataccta tgggagtggg cctcagcccg 660 tttctcttgg ctcagtttac tagtgcaatt tgttcagtgg tgcgtagggc tttcccccac 720 tgtctggctt ttagttatat ggatgatctg gtattggggg ccaaatctgt gcagcatctt 780 gagtcccttt ataccgctgt taccaatttt ttgttatctg tgggcatcca tttgaacaca 840 gctaaaacaa aatggtgggg ttattccctt cactttatgg gttatataat tgggagttgg 900 gggaccttgc ctcaggaaca tattgtgcat aaaatcaaag attgctttcg caaacttccc 960 gtgaatagac ccattgattg gaaggtttgt caacgcattg tgggtctttt gggctttgca 1020 gcccctttta ctcaatgtgg ttatcctgct ctcatgccct tgtatgcctg tattrccgct 1080 aagcaggctt ttgttttctc gccaacttac aaggcctttc tctgtaaaca atacatgaac 1140 ctttaccccg ttgctcggca acggccaggc ctttgccaag tgtttgctga cgcaaccccc 1200 actggctggg gcttggcgat tggccatcag cgcatgcgcg gaacctttgt ggctcctctg 1260 cccatccata ctgcggaact cctagccgct tgtttcgctc gcagcaggtc tggagcggac 1320 attatcggca ctgacaactc cgttgtcctt tctcggaagt acacctcctt cccatggctg 1380 ctaggctgtg ctgccaactg gatcctgcgc gggacgtcct ttgtctacgt cccgtcggcg 1440 ctgaatcctg cggacgaccc ctctcgtggt cgcttggggc tctgccgccc tcttctccgc 1500 ctgccgttcc ggccgacgac gggtcgcacc tctctttacg cggactcccc gcctgtgcct 1560 tctcatctgc cggcccgtgt gcacttcgct tcacctctgc acgtcgcatg gagaccaccg 1620 tgaacgcccc ttggaacttg ccaacaacct tacataagag gactcttgga ctttcgcccc 1680 ggtcaacgac ctggattgag gaatacatca aagactgtgt atttaaggac tgggaggagt 1740 cgggggagga gttgaggtta aaggtctttg tattaggagg ctgtaggcat aaattggtct 1800 gttcaccagc accatgcaac tttttcacct ctgcctaatc atcttttgtt catgtcccac 1860 tgttcaagcc tccaagctgt gccttgggtg gctttggggc atggacattg acccttataa 1920 agaatttgga gcttctgtgg agttactctc atttttgcct tctgacttct tcccgtctgt 1980 ccgggaccta ctcgacaccg cttcagccct ctaccgagat gccttagaat caccagaaca 2040 ttgcaccccc aaccacactg ctctcaggca agctattttg tgctggggtg agttgatgac 2100 cttggcttcc tgggtgggca ataatttaga ggatcctgca gcaagagatc tagtagttaa 2160 ttatgtcaat actaacatgg gcctaaaaat tagacaatta ttatggtttc acatttcttg 2220 ccttacattt ggaagagaaa ctgtgcttga gtatttggtg tcttttggag tgtggattcg 2280 cactccacct gcttatagac caccaaatgc ccctatccta tcaacacttc cggagactac 2340 tgttgttaga caacgaggca gggcccctag aagaagaact ccctcgcctc gcagacgaag 2400 atctcaatct ccgcgtcgca gaagatctca atctccagct tcccaatgtt agtattcctt 2460 ggactcataa ggtgggaaac tttaccggtc tttactcctc tactatacct gttttcaatc 2520 ctgactggtt aactccttct tttcctgaca ttcacttgca tcaagatctg atacaaaaat 2580 gtgaacaatt tgtaggccca ctcactacaa atgaaaggag acgattgaaa ctaattatgc 2640 cagctaggtt ttatcccaaa gttactaaat acttcccttt ggataaaggt attaagcctt 2700 actatccaga gaatgtggtt aatcattact ttaaaactag acattattta catactttgt 2760 ggaaggcagg aattctatat aagagagaat ccacacatag cgcctcattt tgtgggtcac 2820 catattcctg ggaacaagag ctacagcatg ggagcacctc tctcaacggc gagaaggggc 2880 atgggacaga atctttctgt gcccaatcct ctgggattct ttccagacca ccagttggat 2940 ccactattca gagcaaattc cagcagtccc gattgggact tcaacacaaa caaggacaat 3000 tggccaatgg caaacaaggt aggagtggga ggcttcggtc cagggttcac acccccacac 3060 ggtggccttc tggggtggag ccctcaggca cagggcattc taacaacctc gccaccagat 3120 ccacctcctg cttccaccaa tcggaggtca ggaagaaagc caaccccagt ctctccacct 3180 ctaagggaca cacatccaca ggccatgcag tggaa 3215 <210> 49 <211> 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olypeptide <220> <223> N-term Myr <220> <223> C-term NH2 <400> 49 Gly Leu Asn Gln Ser Thr Phe Asn Pro Leu Gly Phe Phe Pro Ser His 1 5 10 15 Gln Leu Asp Pro Leu Phe Lys Ala Asn Ala Gly Ser Ala Asp Trp Asp 20 25 30 Lys Asn Pro Asn Lys Asp Pro Trp Pro Gln Ala His Asp Thr Ala 35 40 45

Claims (73)

  1.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펩티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혈청 지질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청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펩티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상기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인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향상시키고/거나,
    (b) 상기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93 nmol/ℓ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하는 것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 지질은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LDL-C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에서의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투여 약 20분 후에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 농도는 93 nmol/ℓ 초과인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지질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하는 것인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인 것인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인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혈증은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하는 것인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고혈당증인 것인 방법.
  14. 제7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인 것인 방법.
  15. 제7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인 것인 방법.
  16. 혈당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당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펩티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는 것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a) 상기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인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향상시키고/거나,
    (b) 상기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93 nmol/ℓ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하는 것인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에서의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는 투여 약 20분 후에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 농도는 93 nmol/ℓ 초과인 것인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글루코오스 대사의 조절장애를 수반하는 것인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고혈당증인 것인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인 것인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인 것인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상기 개체에서의 대사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의 수준 또는 활성을 감소 또는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자는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유리 지방산, 아미노산, 호르몬, LDL-C, HDL-C, HbA1c, 혈액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및 무기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상기 개체에서의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또는 LDL-C의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인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상기 개체에서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HbA1c의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인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상기 개체에서의 인슐린의 수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인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혈당증, 혈압, 체중, 지방량, 체질량 지수(BMI), 염증, 동맥경화 지수(atherosclerosis index), 심박동 지수(heart index), 신장 지수(kidney index), 총 지방 지수 및 항상성 모델 평가(HOMA) 지수로부터 선택되는 대사 변화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매개변수의 수준 또는 값을 저하 또는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인 방법.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심장혈관계 질환(예를 들어, 동맥경화성 질환), 심장 질환 또는 신장 손상을 앓고 있거나 심장혈관계 질환(예를 들어, 동맥경화성 질환), 심장 질환 또는 신장 손상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것인 방법.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고혈당증; 저혈당증; 고인슐린혈증; 비만, 고지혈증; 고중성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심장 질환; 대사성 증후군; 동맥경화성 질환;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성 동맥 질환; 말초 동맥 질환; 협심증; 뇌혈관 질환;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심근경색; 뇌졸중; 심장혈관계 질환; 알츠하이머병; 이상지질혈증; 가족성 복합 고지혈증; 가족성 고중성지질혈증;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이종 고콜레스테롤혈증; 동종 고콜레스테롤혈증; 가족성 아포지질 단백질 B-100 결핍증; 다유전자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방단백혈증-III형(remnant removal disease); 간 리파아제 결핍; 식이 문제(dietary indiscretion),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약제(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틴 요법제, 베타-차단제 및 티아지드 이뇨제를 포함함)에 의해 야기되는 이상지질혈증; 신장 증후군; 만성 신부전; 쿠싱 증후군; 원발성 담즙 간경변증; 글리코겐 축적병; 간세포암; 담즙울체(cholestasis); 말단 비대증; 인슐린종(insulinoma); 고립성 성장 호르몬 결핍; 신장 손상; 비만; 및 알코올 유도 고중성지질혈증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 것인 방법.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의 프리-S1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A, B, C, D, E, F, G 또는 H의 프리-S1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BV는 유전자형 C인 것인 방법.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 내지 59번째 아미노산의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1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적어도 20개, 25개, 30개, 35개 또는 40개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 것인 방법.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는 결실, 치환 또는 삽입되는 것인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의 1개 내지 30개,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잔기는 결실, 치환 또는 삽입되는 것인 방법.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을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포함하는 것인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HBV의 프리-S1 영역에서 유래하는 고유의 연접 아미노산 서열은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5개, 또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 것인 방법.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1 내지 서열번호 40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약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또는 99%의 동일성을 갖는 것인 방법.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13번째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글리신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 유전자형 C의 프리-S1 영역의 20번째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아스파라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소수성 기에 의한 N-말단 변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기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콜레스테롤 및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기는 미리스트산인 것인 방법.
  50. 제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폴리펩티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C-말단 변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C-말단 변형은 아미드화(아민화) 또는 이소펜탄디올화(isopentanediolization)인 것인 방법.
  52.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23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펩티드는 미리스트산에 의한 N-말단 변형 및 아민화에 의한 C-말단 변형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상기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3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3. 제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타우로콜산나트륨 공동 수송 폴리펩티드(NTCP)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인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양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인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a) 상기 간세포가 93 nmol/ℓ 또는 그 이하의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향상시키고/거나,
    (b) 상기 간세포가 93 nmol/ℓ 초과의 폴리펩티드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간세포 내로의 담즙산의 NTCP 매개 수송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
  56. 제54항에 있어서,
    (a) 상기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500 ng/㎖ 또는 그 이하인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향상시키고/거나,
    (b) 상기 개체에서의 투여된 폴리펩티드의 혈청 농도가 500 ng/㎖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폴리펩티드는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를 억제하는 것인 방법.
  57. 제1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약제를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기 이전, 동시 및 이후에 개체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약제는 고지혈증 치료제, 고혈당증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비만 치료제 및 담즙산 유사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약제는 인슐린, 메트포르민(metformin), 시타글립틴(sitagliptin), 콜레세브이람(colesevelam), 글리피지드(glipizide), 심바스타틴(sim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에제티미브(ezetimibe),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니코틴산, 올리스타트(orlistat), 로르카세린(lorcaserin), 펜터민(phentermine),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오베티콜산(obeticholic acid) 및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60. 제1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폐 내, 비강 내, 병소 내,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및 피하 투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개체에 투여되는 것인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피하 투여되는 것인 방법.
  62.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로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양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63. 혈청 지질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청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로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은 상기 개체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양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 지질은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LDL-C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65. 혈당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당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로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용도.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상기 개체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양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67. 제1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
  68.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양의 폴리펩티드를 이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69. 혈청 지질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여 혈청 농도의 투여된 폴리펩티드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도록 하는 양의 폴리펩티드를 이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청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 지질은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LDL-C 및 HDL-C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펩티드.
  71. 혈당 수준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혈당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펩티드는 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2. 제1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3. HBV에서 유래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에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서의 NTCP 매개 담즙산 흡수의 양방향 조절을 허용하는 혈청 농도의 폴리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KR1020187037955A 2016-05-30 2017-05-31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627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370442 2016-05-30
CN201610370442.4 2016-05-30
PCT/CN2017/086558 WO2017206898A1 (en) 2016-05-30 2017-05-31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392A true KR20190015392A (ko) 2019-02-13
KR102627084B1 KR102627084B1 (ko) 2024-01-19

Family

ID=6047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955A KR102627084B1 (ko) 2016-05-30 2017-05-31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633454B2 (ko)
EP (1) EP3463422B1 (ko)
JP (1) JP2019520341A (ko)
KR (1) KR102627084B1 (ko)
CN (1) CN109310737B (ko)
AU (1) AU2017274094B2 (ko)
CA (1) CA3026140A1 (ko)
WO (1) WO2017206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711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유래 세포외 소포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2524A1 (en) * 2012-11-12 2014-05-15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Lipopetides for use in treating liver diseas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O2016055534A2 (en) * 2014-10-07 2016-04-14 Myr Gmbh Combination therapy of hbv and hdv infe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5430B (zh) * 2005-08-12 2014-08-27 上海贺普药业股份有限公司 乙型肝炎病毒表面l蛋白相关肽
CN104130316B (zh) * 2005-08-12 2017-04-19 上海贺普药业股份有限公司 乙型肝炎病毒表面l蛋白相关肽
CN102241744B (zh) * 2010-05-14 2015-03-04 上海贺普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病毒感染阻断剂、其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8888757A (zh) 2012-12-27 2018-11-27 恩格姆生物制药公司 用于调节胆汁酸体内稳态及治疗胆汁酸紊乱和疾病的方法
EP3181146A1 (en) 2015-12-16 2017-06-21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Cyclic ntcp-targeting peptides and their uses as entry inhibitors
EP3189850A1 (en) 2015-12-16 2017-07-12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Liver targeting of cyclic pres-derived peptides of hbv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2524A1 (en) * 2012-11-12 2014-05-15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Lipopetides for use in treating liver diseas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O2016055534A2 (en) * 2014-10-07 2016-04-14 Myr Gmbh Combination therapy of hbv and hdv inf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74094B2 (en) 2020-09-10
AU2017274094A1 (en) 2019-02-14
EP3463422A4 (en) 2020-02-26
EP3463422B1 (en) 2024-05-22
US11633454B2 (en) 2023-04-25
US20200323951A1 (en) 2020-10-15
CA3026140A1 (en) 2017-12-07
WO2017206898A1 (en) 2017-12-07
JP2019520341A (ja) 2019-07-18
CN109310737B (zh) 2023-05-05
US20230414706A1 (en) 2023-12-28
EP3463422A1 (en) 2019-04-10
CN109310737A (zh) 2019-02-05
KR102627084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5466B (zh) 作为选择性胰高血糖素受体激动剂的毒蜥外泌肽-4衍生物
US20210252110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oglycemic disorders
CN103402536A (zh) 用gip和glp-1受体活性的基于胰高血糖素的肽来治疗代谢异常和肥胖的方法
US20200338158A1 (en) Therapeutic Drug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US20210196786A1 (en) Therapy of atherosclerosis, primary biliary cirrhosis and nrlp3 inflammasome-associated disease by htcp inhibitors
US2023041470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JP2021500411A (ja) 全用量条件下でb型肝炎ウイルス関連肝疾患を治療する医薬品および方法
US20150150939A1 (en) Apolipoprotein Mixtures
KR20210010890A (ko) Pcsk9 결합 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WO2018204918A1 (en) Treatment of hepatic disorders
US20100267635A1 (en) Use of protease inhibitors and grf molecules in combination therapy
JP2015508812A (ja) 非自己免疫性糖尿病を抑制および処置するためのhsp60由来ペプチドおよびペプチド類似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