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736A -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736A
KR20190014736A KR1020170098576A KR20170098576A KR20190014736A KR 20190014736 A KR20190014736 A KR 20190014736A KR 1020170098576 A KR1020170098576 A KR 1020170098576A KR 20170098576 A KR20170098576 A KR 20170098576A KR 20190014736 A KR20190014736 A KR 20190014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control device
vehicle
handle
typ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381B1 (ko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102017009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3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60K2350/1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2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20)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제 2 단계; 스마트폰(20)이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지정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폰(20)이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o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차량에 다양한 IT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9-0060399호 "차량내 전자장치 제어유닛(ELECTRONIC DEVICE CONTROL UNIT IN CA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은, 스마트폰(2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20)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제 2 단계; 스마트폰(20)이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지정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폰(20)이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4 단계 이후, 스마트폰(20)이 지정 설정된 제어 옵션을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관리하는 차량 제어 장치(30)의 저장부(32) 상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제어 옵션이 설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상에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6 단계; 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부착되는 차량 핸들(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차량 핸들(1)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부착되는 차량 핸들(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차량 핸들(1)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핸들(1)에는 좌측 부착단(1a), 우측 부착단(1b), 중앙 부착단(1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부착단(1a), 우측 부착단(1b), 중앙 부착단(1c)은 차량 핸들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주로 차량 핸들 프레임의 외측을 이용하여 조향을 수행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내측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으로 미끄러지는 듯한 터치 입력에 따라 차량 옵션에 해당하는 스피커 볼륨 조절, 차량 라이트의 밝기 조절, 차량 라이트의 상향 또는 하향 위치 조절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 핸들(1)의 내측에 해당하는 좌측 부착단(1a), 우측 부착단(1b), 중앙 부착단(1c)으로 하부에 형성된 접착층을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별도의 부착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중앙 부착단(1c)의 경우 약 120도 가량의 휨이 발생한 영역을 이용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자체의 홈을 이용해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는 압력센서 어레이(11) 및 블루투스 통신 및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 및 제어부(12)는 블루투스 모듈(12a), 제어 모듈(12b), 충전식 배터리 모듈(12c)로 구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2a)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와 스마트폰(20), 그리고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와 차량 제어 장치(30)를 중심으로 연결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각각에 대한 블루투스 방식으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충전식 배터리 모듈(12c)은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한 뒤, 블루투스 모듈(12a) 및 제어 모듈(12b)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b)은 스마트폰(20)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2a)을 제어한다.
이후, 제어 모듈(12b)은 자신의 식별번호를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2a)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20) 상에서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단말(30)과 연결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에 대한 지정 설정이 완료되고,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 모듈(12b)은 지정된 제어 옵션 제어를 위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단말(30)은 블루투스 단자(31) 및 저장부(32)를 포함하는 차량 내의 통합적인 전자 장비를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는 오디오 장치, 차량 라이트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한다(S11).
단계(S11) 이후, 스마트폰(20)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한다(S12).
단계(S12) 이후, 스마트폰(20)은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을 지정 설정한다(S13).
단계(S13) 이후, 스마트폰(20)은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 만큼 분할 설정한다(S14).
한편, 단계(S14) 이후, 스마트폰(20)으로 지정 설정된 제어 옵션을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관리하는 차량 제어 장치(30)의 저장부(32) 상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 옵션이 설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상에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11 : 압력센서 어레이
12 : 블루투스 통신 및 제어부
12a : 블루투스 모듈
12b : 제어 모듈
12c : 충전식 배터리 모듈

Claims (2)

  1. 스마트폰(2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20)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제 2 단계;
    스마트폰(20)이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지정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폰(20)이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스마트폰(20)이 지정 설정된 제어 옵션을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관리하는 차량 제어 장치(30)의 저장부(32) 상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제어 옵션이 설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상에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KR1020170098576A 2017-08-03 2017-08-03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KR10195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76A KR101951381B1 (ko) 2017-08-03 2017-08-03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76A KR101951381B1 (ko) 2017-08-03 2017-08-03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36A true KR20190014736A (ko) 2019-02-13
KR101951381B1 KR101951381B1 (ko) 2019-02-22

Family

ID=6536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576A KR101951381B1 (ko) 2017-08-03 2017-08-03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3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136A (ja) * 1997-05-01 1998-11-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機能割付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4312175A (ja) * 2003-04-03 2004-11-04 Denso Corp 携帯送信機
JP2010105610A (ja) * 2008-10-31 2010-05-13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16222168A (ja) * 2015-06-02 2016-12-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136A (ja) * 1997-05-01 1998-11-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機能割付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4312175A (ja) * 2003-04-03 2004-11-04 Denso Corp 携帯送信機
JP2010105610A (ja) * 2008-10-31 2010-05-13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16222168A (ja) * 2015-06-02 2016-12-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9-0060399호 "차량내 전자장치 제어유닛(ELECTRONIC DEVICE CONTROL UNIT IN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381B1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395B1 (ko) 외부 이동 수단의 움직임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가 변경된 외부 이동 수단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713937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10620913B2 (en) Portable voice assistant device with linear lighting elements
EP3132433B1 (en) Trainable transceiver system
US10553212B2 (en) Vehicle-bas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9245759A1 (en) Voice activated device with integrated heatsink and speaker
US10062229B2 (en) Integrated garage door opener for connected vehicle
CN104898699A (zh) 飞行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544475B1 (ko)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시스템
US20140194056A1 (en) Automatic device initialization and pairing
US20160057564A1 (en) Bluetooth pairing method using a wired connection
US20160169685A1 (en) Av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628475B1 (ko) 복수의 차량을 이용한 서라운드 음향 구현 방법
EP3441275A1 (en) Metho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for vehicle control
KR102538889B1 (ko) 통신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1381B1 (ko)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US10053014B2 (en) Virtual tag display system
US9351095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a head unit of a vehicle
KR101348198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제어 장치
KR101723748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턴-시그널 음원 변경장치 및 그 방법
US107159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appliances to a motor vehicle
CN112572661B (zh) 信息终端以及存储介质
KR102396621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TWM471644U (zh) 電子收費系統
KR20200064183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