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173A -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173A
KR20190014173A KR1020170095347A KR20170095347A KR20190014173A KR 20190014173 A KR20190014173 A KR 20190014173A KR 1020170095347 A KR1020170095347 A KR 1020170095347A KR 20170095347 A KR20170095347 A KR 20170095347A KR 20190014173 A KR20190014173 A KR 20190014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record
unit
patien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370B1 (ko
Inventor
전진옥
소재영
현영호
조중권
김영신
윤영로
황성오
이재훈
조은일
권순일
허정현
한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to KR102017009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3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입력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문진 기록을 분석하는 문진 기록 분석부;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록부; 및 상기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 상기 문진 기록 분석 결과 및 상기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를 판단하는 환자 중증도 분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Portable medical box diagnostic equip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 시설 및 통신 시설이 미비한 오지, 격지 재난, 분쟁 지역 등에서 활용 가능한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의료시설을 접할 수 없는 원격지역, 대형 자연 재난 또는 군사적 분쟁으로 인해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 등의 경우, 인접지역 병원의 진단 및 의료치료에 한계가 있어 많은 환자들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오지, 격지, 재난 인접지역에 대형의 병원들이 있는 경우에도, 전기 물 연료가스 공급원을 포함하는 공공설비 서비스가 파괴된 경우에는 의료치료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오지, 격지 재난 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 근처에 의료 텐트가 세워지고, 응급조치를 기본으로 가장 부상이 심한 환자를 치료의 선 순위로하여 부사상자에 의학적 치료를 주도록 의사와 간호사들이 투입된다. 그러나 의료진은 제한된 스탭으로 많은 환자를 돌보아야하므로 수많은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다. 또한 장기간의 의료 보살핌을 받아야하는 환자들은 이들을 수용할만한 근처의 의료설비가 없을 경우는 해당지역에서 원거리의 병원으로 이동해야만 한다.
이러한 오지, 격지, 재난 지역에 있어서 환자들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의학적 치료를 위한 응급 의료설비로 보내지도록 적십자에 의해 의료원조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설비에 의해 제공되는 의료치료는 대부분 응급조치를 기본으로 행해지며, 충분하고 만족할만한 형태의 의료설비를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따라서 응급 환자들은 적절한 시기와 방식에 따라 의학적 치료를 받게 되면 만족할만 치유 결과를 얻을 수 있음에도 만성 질병에 시달리게 될 것이며, 그 질병이 완전하게 치유되지 않으면 질병 후유증을 겪게된다. 따라서, 오지나 격지, 그리고 재난 지역에서 발생되는 환자들의 의료 상황을 커버할 수 있는 의료설비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료설비가 미비한 지역에서 의료 활동 수행을 위해 필요한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입력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문진 기록을 분석하는 문진 기록 분석부;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록부; 및 상기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 상기 문진 기록 분석 결과 및 상기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를 판단하는 환자 중증도 분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문진 기록 분석부는 입력된 문진 기록에서 단어들을 추출, 분석 및 조합하여 발병 가능한 질병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은 해당 지역의 유행 질환 및 질병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환자를 인식하는 환자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자인식부는 홍채 인식기, 안면 인식기, 지정맥 인식기 및 지문 인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에 따라 환자별 진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진료 우선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주변 의료시설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한 정보에 따라 주변 의료시설로 상기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의료 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의료선에 있어서, 상기 의료선에 배치되며 하우징; 입력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문진 기록을 분석하는 문진 기록 분석부;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록부; 및 상기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 상기 문진 기록 분석 결과 및 상기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를 판단하는 환자 중증도 분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료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휴대용 의료진단 기기는 의료설비가 미비한 지역에서 의료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기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다양한 측정 결과와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에 위치한 병원 설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료선의 개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 기기 박스의 개념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 기기 박스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료선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 기기 박스의 개념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 기기 박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스마트 의료선(1)은 내부에는 내과 진료실, 처치실, 방사선실, 치과 진료실, 약제실, 대기실 등의 의료시설이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 의료선(1)에 탑승한 의료진은 통신 음영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의료 활동을 수행하여 의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의료진은 스마트 의료선(1) 내부에 배치된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10)를 휴대하여 의료 활동을 수행하고 의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휴대용 의료 진단 기기 박스(10)는 스마트 의료선(1)에 재배치되면 그 동안 수집한 의료 데이터를 외부의 병원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10)는 스마트 의료선(1)의 이동에 따라 통신 가능 지역을 지나는 동안 수집한 의료 데이터를 병원 서버(2)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체는 의료선을 의미하지만, 이와는 달리 자동차, 비행체 등 다양한 이동체에 적용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는 하우징(19), 입력부(11), 의료기기(20), 문진 기록 분석부(12), 진료기록부(13), 환자 중증도 분류부(14), 환자 인식부(15), 우선순위 설정부(16), 위치정보 제공부(17), 데이터 통신부(18), 디스플레이부(21), 전압 조절부(22), 충전 시스템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10)는 탈착되어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10)는 예를 들면, 사각형 박스형상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19)과 휴대를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달린 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10)는 예를 들면, 방수 및 방진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우징(19)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무 밴드, 내부의 의료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충전재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10)는 백팩 형태로 휴대 가능하도록 휴대용 백팩 휴대 스트랩(미도시)이 하우징에 마련될 수 있다. 휴대용 백팩 휴대 스트랩은 어깨에 접촉되는 어깨끈 및 허리에 접촉되는 리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9)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20)가 배치될 수 있다. 의료기기(20)는 예를 들면, 환자의 몸과 기관들을 촬영하는 영상 의료기기, 심전도 측정기기 및 혈압측정기기 등과 같이 환자의 다양한 기관들의 동작상태 등을 측정하는 의료기기 및 환자의 몸으로부터 채취되거나 자연으로부터 얻어진 시료들의 다양한 요소들의 수치를 측정 및 분석하는 임상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는 키보드, 터치패널, 마우스 및 디지털 펜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전문 의료인은 입력부(11)를 통하여 문진 기록을 입력하거나 환자의 상태 또는 주변 환경, 유행 질병 정보 등 의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문진 기록 분석부(12)는 입력부(11)를 통하여 입력된 문진 기록을 분석할 수 있다. 문진 기록은 전문 의료인이 환자에게 직접 질의한 내용과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질병 또는 질환의 발생 유형, 외상 원인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문진 기록 분석부(12)는 입력된 문진 기록에서 단어들을 추출, 분석 및 조합하여 발병 가능한 질병을 판단할 수 있다. 문진 기록 분석부(12)는 문진 기록에서 특정 질환 또는 질병과 관련된 단어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단어들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단어들을 조합함으로써 문진 기록으로부터 발병 가능한 질병을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진료 기록부(13)는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 진료기록부(13)는 과거 진료기록을 진료지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새로운 지역에서 수집된 진료 기록의 경우 새로운 지역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진료기록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진료 기록부는 과거 진료기록이 있는 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의 진료기록을 갱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진료 지역별 진료기록은 해당 지역의 유행 질환 및 질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지역의 유행 질환 및 질병 정보는 과거 유행했던 유행 질환 및 질병 정보 이외에도 최근 유행하는 질환 및 질병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진료 지역별 진료기록은 해당 지역의 인구 구성, 기후, 주거 형태, 가축 정보 등 다양한 주변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 문진 기록 분석 결과 및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1차적으로 문진 기록을 통하여 발병 가능한 질병을 판단하고, 2차적으로 의료기기를 통하여 측정된 정보를 통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문진 기록에 기록된 환자 상태와 의료기기를 통하여 측정된 생체 정보의 수치를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질병 발생 여부와 그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통하여 발생한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환자의 중증도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최종적인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해당 지역의 유행 질환 및 질병 정보를 통하여 발생한 질병 또는 질환의 전염성을 판단할 수 있다.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추가적으로 해당 지역의 인구 구성, 기후, 주거 형태, 가축 정보 등의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한 질병의 확대 가능성을 판단하고 최종적인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문진 기록과 의료기기로부터 측정한 정보로부터 질병 또는 질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부터 판단된 중증도는 환자 개인에 대한 진료 기록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병원 시설 또는 치료 시설이 미비한 격오지의 경우 치료나 환자의 격리가 어렵기 때문에 질병이 손쉽게 주변으로 전염되는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환자 중증도 분류부(14)는 해당 지역의 유행 질환, 질병 정보, 인구 구성, 기후, 주거 형태, 가축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조합하여 질병 또는 질환의 전염 가능성, 확대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최종적인 중증도를 판단한게 된다.
환자 인식부(15)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환자를 인식할 수 있다. 환자 인식부(15)는 예를 들면, 홍채 인식 기능, 지문 인식 기능, 안면 인식 기능, 지정맥 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순위 설정부(16)는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에 따라 환자별 진료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 설정부(16)는 중증도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중증도가 높은 환자부터 진료 우선순위를 순차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위치정보 제공부(17)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주변 의료시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지정보 제공부(17)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주변 지역의 병원 시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8)는 위치정보 제공부(17)에서 제공한 정보에 따라 주변 의료시설로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통신부(18)는 환자별 진료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8)는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8)는 통신 가능 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때 외부서버, 즉 병원서버(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 조절부(22)는 하우징(19) 내부에 마련된 의료기기(20)와 각종 연산 처리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압 조절부(22)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내부에 마련된 의료기기별로 적합한 전력으로 조절하여 각 의료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충전 시스템부(23)는 하우징(19)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시스템부(23)는 예를 들면, PCB회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하는 충전 배터리팩,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수집한 의료 데이터, 스마트 의료선의 이동 방향 및 속력, 주변의 통신 가능 지역 및 통신 음영 지역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또한, 디스플레이부(21)는 충전 전력 및 잔여 전력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는 데이터 통신부와 연계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주변 병원 서버에 상주하고 있는 전문 의료인과 화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병원 서버(2)와 실시간 영상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를 참고하면,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는 의료인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문진 기록과 의료기기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한다. 문진 기록은 질병 발생의 외상원인에 대한 질의와 이에 대한 환자의 답변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가슴 통증 여부, 호흡 곤란 여부, 식욕부진 여부, 통증 지속 기간 등에 대한 질의 내용과 답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문진 기록은 전문 의료인의 질의 내용과 환자의 답변 내용에 따라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료선
2: 병원 서버
10: 휴대용 의료 진단 기기 박스

Claims (9)

  1. 하우징;
    입력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문진 기록을 분석하는 문진 기록 분석부;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록부; 및
    상기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 상기 문진 기록 분석 결과 및 상기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를 판단하는 환자 중증도 분류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기록 분석부는 입력된 문진 기록에서 단어들을 추출, 분석 및 조합하여 발병 가능한 질병을 판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은 해당 지역의 유행 질환 및 질병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환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환자를 인식하는 환자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인식부는 홍채 인식기, 안면 인식기, 지정맥 인식기 및 지문 인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에 따라 환자별 진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진료 우선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주변 의료시설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한 정보에 따라 주변 의료시설로 상기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9. 내부에 의료 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의료선에 있어서,
    상기 의료선에 배치되며 하우징; 입력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문진 기록을 분석하는 문진 기록 분석부;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이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록부; 및 상기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 상기 문진 기록 분석 결과 및 상기 진료지역별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질병 발생 여부 및 중증도를 판단하는 환자 중증도 분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료선.
KR1020170095347A 2017-07-27 2017-07-27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KR10200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47A KR102004370B1 (ko) 2017-07-27 2017-07-27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47A KR102004370B1 (ko) 2017-07-27 2017-07-27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173A true KR20190014173A (ko) 2019-02-12
KR102004370B1 KR102004370B1 (ko) 2019-07-30

Family

ID=6536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347A KR102004370B1 (ko) 2017-07-27 2017-07-27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50A1 (ko) * 2021-06-28 2023-01-05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023B1 (ko) 2020-11-10 2024-02-28 메타메디슨 주식회사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1234A (ja) * 2005-05-03 2008-11-20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イ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患者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患者トリアージュの管理
KR20100099833A (ko) * 2009-03-04 2010-09-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위성을 이용한 원격 선박 진료 시스템
JP2012221447A (ja) * 2011-04-14 2012-11-12 Sharp Corp 遠隔診断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装置、データ解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1234A (ja) * 2005-05-03 2008-11-20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イ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患者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患者トリアージュの管理
KR20100099833A (ko) * 2009-03-04 2010-09-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위성을 이용한 원격 선박 진료 시스템
JP2012221447A (ja) * 2011-04-14 2012-11-12 Sharp Corp 遠隔診断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装置、データ解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50A1 (ko) * 2021-06-28 2023-01-05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370B1 (ko)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as et al. The effects of health beliefs on screening mammography utilization among a diverse sample of older women
CN107610779A (zh) 疾病评价及患病风险评估方法及装置
TW201606690A (zh) 護理決策輔助系統
KR102004370B1 (ko)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Lund et al. Mass-gathering medicine: creation of an online event and patient registry
KR20220095104A (ko)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Martín-Rodríguez et al. Association of prehospital oxygen saturation to inspired oxygen ratio with 1-, 2-, and 7-day mortality
Aboye et al. mHealth in sub-Saharan Africa and Europe: A systematic review comparing the use and availability of mHealth approaches in sub-Saharan Africa and Europe
Stefanova-Pavlova et al. Modeling telehealth services with generalized nets
KR102414191B1 (ko) 모빌리티 클리닉 차량을 구비하는 감염병 진료 시스템
Imouokhome et al. Mobile-device-based telemedicine for improved health-wealth
Conduce et al. Impact of wireless technologies on public health: a literature review
US20230238150A1 (en) Wearable sensor system configured for facilitating telemedicine management
KR101894997B1 (ko) 의료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료선
KR102124008B1 (ko) 의료 기관에 따른 선택형 통신 프로토콜과 의료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선
Warwick et al. Cancer among Canadian Indians
RU19951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врачебного осмотра и медицинской теле-реабилитации
Sinha et al. Practice changing innovations in emergency care during COVID-19 pandemic in resource limited setting
Nexøe et al. Audit report from Greenland on nurses’ tasks and perceived competency
US20230070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monitoring and/or diagnosis
RU135898U1 (ru) Персональ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ациента
Slade-Šilović Remote Diagnostic for Older Patients on Croatian Islands
KR102570064B1 (ko) 통합형 의료 검진 장치
WO2022134913A1 (en) Multi-sensor platform for health monitoring
Mangione-Smith et al. Measuring the quality of care for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in 5 US health p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