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870A -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870A
KR20190013870A KR1020187037147A KR20187037147A KR20190013870A KR 20190013870 A KR20190013870 A KR 20190013870A KR 1020187037147 A KR1020187037147 A KR 1020187037147A KR 20187037147 A KR20187037147 A KR 20187037147A KR 20190013870 A KR20190013870 A KR 2019001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eneration
sub
pix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767B1 (ko
Inventor
웨이친 루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11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 G06F9/5016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the resource being th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04N19/4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using memory downsiz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2Us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의 구현예들은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생성 방법에서,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가 결정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이 소팅되고, 하위 이미지들이 순서대로 생성된다. 하위 이미지들을 순서대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하위 이미지가 생성될 때마다, 하위 이미지는 전처리된 후에 이미지 파일에 추가된다. 모든 하위 이미지가 이미지 파일에 저장될 때, 모든 하위 이미지는 생성 대기 이미지를 형성한다. 본 출원에서 하위 이미지들은 순서대로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하나의 하위 이미지에 관한 정보만 메모리 내에 저장되면 되고, 이에 의해, 생성 대기 이미지의 완전한 정보가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이 낭비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가 완화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본 출원은 이미지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타겟 이미지(target image)가 생성될 때, 베이스 이미지(base image)가 먼저 메모리 내에 로드 또는 생성되며, 그 후, 완전한 이미지 정보가 메모리 내에 형성될 때까지, 베이스 이미지에 관하여 더 많은 이미지 정보가 도출되고, 메모리 내의 완전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타겟 이미지가 생성된다. 그러나 타겟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클 때, 메모리에 저장되는 완전한 이미지 정보는 대용량의 메모리 공간을 차지한다. 예컨대, 타겟 이미지가 1024×1024의 트루 컬러 이미지일 때, 타겟 이미지는 4메가바이트를 초과하는 메모리 공간을 차지한다. 이는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을 소비한다.
본 출원의 구현예들은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 따라서, 이미지 생성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sorting)하는 단계,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하위 이미지를 전처리(preprocessing)하고, 전처리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 대기 이미지가 획득될 때까지,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전처리, 및 추가 방법에 기초하여,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다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을 생성, 전처리, 및 추가하는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 따라서,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본 디바이스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으로서,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는, 수신 유닛,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하도록 구성된 소팅 유닛, 소팅 유닛에 의해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그리고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에 추가하도록 구성된 전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취득 유닛은 또한, 생성 대기 이미지가 획득될 때까지,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전처리, 및 추가 방법에 기초하여,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다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을 생성, 전처리, 및 추가하는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 제공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에 따라서,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가 결정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이 소팅되고, 하위 이미지들이 순서대로 생성된다. 하위 이미지들을 순서대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하위 이미지가 생성될 때마다, 하위 이미지는 전처리된 후에 이미지 파일에 추가된다. 모든 하위 이미지가 이미지 파일에 저장될 때, 모든 하위 이미지는 생성 대기 이미지를 형성한다. 본 출원에서 하위 이미지들은 순서대로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하나의 하위 이미지에 관한 정보만 메모리 내에 저장되면 되고, 이에 의해, 생성 대기 이미지의 완전한 정보가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이 낭비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가 완화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이미지 합성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이미지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다음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현예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에 제공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는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차지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적용 가능하며, 특히 서버 디바이스 상에서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차지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적용 가능하다. 서버 디바이스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즉, 서버 디바이스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위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생성 방법에 따라서 생성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은 JPEG, TIFF, RAW, BMP, GIF, PNG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언급할 만하다.
본 출원에서 이미지 생성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합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 합성 디바이스는 ALIPAY 시스템의 서버 디바이스와 같은 서버 디바이스 상에서 작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합성 디바이스는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 블록 생성 모듈(104), 블록 저장 모듈(105),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 그리고 파일 생성 모듈(107)을 포함한다.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은 정적 이미지, 예컨대, 배경 이미지, 전경 이미지, 및 정적 텍스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합성 디바이스가, 상이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위해 상이한 형식들의 이미지들을 생성할 때, 정적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으로서,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할 수 있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로부터 대응 정적 이미지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제1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로서 사용되고 제2 이미지는 전경 이미지로서 사용되는 타겟 이미지를 생성하기 원할 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지 합성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이미지 생성 요청은,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이 제1 이미지의 이름 및 제2 이미지의 이름에 기초하여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로부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취득하도록, 제1 이미지의 이름 및 제2 이미지의 이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면,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은 또한, 블록 파티셔닝 후에 획득되는 생성 대기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블록 파티셔닝 후에 획득되는 생성 대기 이미지는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로 지칭될 수 있다.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는,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픽셀의 수 및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생성 대기 이미지가 1024×1024의 PNG 이미지라고 가정하면,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의 결정 결과는,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고,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1024개의 픽셀을 포함하고, 1024개의 픽셀은 모두 하나의 행에 있다는 것, 예컨대, 모두 제1행 또는 제2행에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생성 대기 이미지가 1024×1024의 JPEG 이미지라면, JPEG 형식의 이미지는 그리드들의 형태로 표시되므로, 생성 대기 이미지는 64×64개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각 그리드는 16×16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가정할 수 있으며, 그러면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의 결정 결과는,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고,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가 16×16개의 픽셀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즉,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하나의 그리드 내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또한,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은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을 저장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은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예에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2D) 코드 이미지가 생성될 필요가 있을 때,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은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2D 코드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을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2D 코드 정보는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에 의해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생성 대기 이미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색상(예: 검은색 또는 흰색) 등이 2D 코드 정보 내에 설명된다.
블록 생성 모듈(104)은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픽셀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블록 생성 모듈(104)은 먼저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에 의해 전달되는 이미지 생성 요청 및 대응 정적 이미지를 수신하고, 그 후,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에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여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을 취득하고, 최종적으로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각 하위 이미지를 순서대로 생성할 수 있다.
블록 저장 모듈(105)은, 블록 생성 모듈(104)이 각 하위 이미지를 생성할 때 블록 생성 모듈(104)에 의해 생성되는 각 픽셀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이 생성될 때, 즉, 블록 저장 모듈(105)이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을 저장할 때, 블록 저장 모듈(105)은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을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에 전송한다. 블록 저장 모듈(105)이 하나의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을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에 전송한 후에, 블록 저장 모듈(105)은 그 다음의 하위 이미지 내의 픽셀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할 만하다. 즉, 본 출원의 블록 저장 모듈(105)은 재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하위 이미지를 인코딩 및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생성 대기 이미지의 형식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인코딩 및 압축하는 것은 종래의 상용(常用) 기술이다.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위 이미지를 인코딩 및 압축한 후에,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은 인코딩 및 압축된 하위 이미지를 파일 생성 모듈(107)에 전송한다.
파일 생성 모듈(107)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을 처음에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파일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의 설명 정보만 포함하며 어떠한 픽셀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에 의해 전송된 인코딩 및 압축된 하위 이미지를 파일 생성 모듈(107)이 수신할 때마다, 파일 생성 모듈(107)은 인코딩 및 압축된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에 추가한다. 모든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에 추가할 때, 파일 생성 모듈(107)은 필요한 정보(예: 보안 체크 정보 또는 무결성 체크 정보)를 이미지 파일에 추가한다. 그 후, 생성 대기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합성 디바이스에 의한 이미지 생성 방법을 위해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에서,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0): 이미지 생성 요청으로서,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이미지 생성 요청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220): 수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한다.
여기서 대응 정적 이미지는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 내에 저장된 이미지이며, 대부분의 생성 대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적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대응 정적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 전경 이미지, 또는 로고 이미지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이미지를 생성하기 원할 때, 사용자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며, 이미지 형식은 JPEG, TIFF, RAW, BMP, GIF, PNG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결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지정된 형식으로 되어 있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2D 코드 이미지(예컨대, PNG 형식의 2D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기 원할 때, 사용자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요청은 사용자 정보(예: 사용자 계정 및 사용자 아바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한 후에,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2D 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이미지 생성 요청은 배경 이미지의 이름 및/또는 전경 이미지의 이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요청이 배경 이미지의 이름 및/또는 전경 이미지의 이름을 포함한다면,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은 배경 이미지의 이름 및/또는 전경 이미지의 이름에 기초하여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로부터 대응 배경 이미지 및/또는 전경 이미지를 취득한다. 그렇지 않다면,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은 기본(default) 배경 이미지 및/또는 전경 이미지를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로부터 직접 취득한다.
단계(230):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생성 대기 이미지를 구획함으로써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이 획득된다. 하나의 예에서, 생성 대기 이미지가, PNG 형식으로 되어 있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2D 코드 이미지일 때, 결정된 복수의 생성 대기 이미지는 도 3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도 3에서, 5개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가 결정되며,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생성 대기 이미지 내의 하나의 행의 픽셀들이다.
단계(240):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한다.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는,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픽셀의 수 및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미지 소재 저장 모듈(101)로부터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한 후에, 도 1의 이미지 생성 서비스 모듈(102)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 대응 정적 이미지, 및 2D 코드 정보를 블록 생성 모듈(104)에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블록 생성 모듈(104)은 액세스 요청을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에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면,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은 복수의 생성 대기 이미지를 결정하고, 각 생성 대기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한다. 예컨대, 생성 대기 이미지가 1024×1024의 PNG 이미지라고 가정하면,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의 결정 결과는,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총 1024개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가 결정될 수 있고,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1024개의 픽셀을 포함하고, 1024개의 픽셀은 모두 하나의 행 내에 있다(예: 모두 제1행 또는 제2행 내에 있음). 그 후, 1024개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가 소팅될 수 있고, 예컨대,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픽셀들이 위치하는 행에 기초하여 1024개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가 소팅될 수 있고, 소팅된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제1행, 제2행, ..., 및 제1024행에 각각 대응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생성 대기 이미지가 1024×1024의 JPEG 이미지라면, JPEG 형식의 이미지는 그리드들의 형태로 표시되므로, 생성 대기 이미지는 64×64개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각 그리드는 16×16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가정할 수 있으며,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의 결정 결과는 생성 대기 이미지가 블록들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생성 대기 이미지는 총 64개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로 구획될 수 있다.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16×16개의 픽셀을 포함한다. 즉,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하나의 그리드 내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그 후, 64개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가 소팅될 수 있고, 예컨대,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픽셀들이 위치하는 그리드의 위치에 기초하여 64개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가 소팅될 수 있고, 소팅된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은, 생성 대기 이미지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열된 제1 그리드, 제2 그리드, ..., 및 제64 그리드에 각각 대응한다.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한 후에,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은 소팅된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의 설명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을 블록 생성 모듈(104)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250):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가장 앞쪽에 배열된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일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할 만하다.
생성 대기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픽셀(예: 1024×1024개의 픽셀)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은 각 픽셀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제1 픽셀의 생성이 예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제1 픽셀은 임의의 픽셀일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이 제1 픽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독되고, 판독된 전경 픽셀이 제1 픽셀로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이 제1 픽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독되고, 판독된 배경 픽셀이 제1 픽셀로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이 제1 픽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독되고,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이 제1 픽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독되고, 전경 픽셀과 배경 픽셀의 조합이 제1 픽셀로서 사용된다. 전경 픽셀은 전경 이미지 내의 픽셀이고 배경 픽셀은 배경 이미지 내의 픽셀이라는 것을 언급할 만하다.
단계(250)에서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1 픽셀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을 판독하고;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 및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픽셀을 결정하고, 이후,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이 결정될 때까지 이와 같이 순서대로 수행하여(and so on)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실제 응용 시, 제1 픽셀은 대응 설명 파일(예: 2D 코드 정보)을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 파일은 생성 대기 이미지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위치, 색상 등을 설명한다.
PNG 형식이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1024×1024의 2D 코드 이미지의 생성이 예로서 사용된다.
합성 모드 결정 모듈(103)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제1행 내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는 1024개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2D 코드 정보 내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픽셀들의 설명은, 제1행 내의 제1 픽셀은 검은색, 제1행 내의 제2 픽셀은 흰색, ..., 제1행 내의 제1024 픽셀은 흰색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1행 내의 제1 픽셀이 생성될 때, 즉,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1 픽셀이 생성될 때, 전경 이미지 내의 제1행 내의 제1 전경 픽셀이 판독되고, 제1행 내의 제1 전경 픽셀이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1 픽셀로서 사용된다. 제1행 내의 제2 픽셀이 생성될 때, 즉,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2 픽셀이 생성될 때, 배경 이미지 내의 제1행 내의 제2 배경 픽셀이 판독되고, 제1행 내의 제2 배경 픽셀이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2 픽셀로서 사용되는 것 등이,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1024 픽셀이 결정될 때까지 수행된다. 제1024 픽셀이 생성된 후에, 즉,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마지막 픽셀이 생성된 후에, 제1 하위 이미지가 생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블록 생성 모듈(104)이 하위 이미지 내의 픽셀을 생성할 때마다, 블록 생성 모듈(104)은, 블록 저장 모듈(105)이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을 저장할 때까지, 즉, 전술한 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록 저장 모듈(105)이 1024개의 픽셀을 저장할 때까지, 블록 저장 모듈(105)에 픽셀을 저장한다는 것을 언급할 만하다. 그 후, 블록 생성 모듈(104)은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 및 생성 대기 이미지의 형식을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에 전송한다. 블록 생성 모듈(104)이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을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에 전송한 후에, 블록 저장 모듈(105)은 그 다음의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블록 저장 모듈(105)은 재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메모리 자원 이용률이 개선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블록 저장 모듈(105)은, 전체 이미지의 완전한 정보를 저장하는 대신, 하나의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을 저장하도록만 구성되므로, 이에 의해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이 절약된다.
단계(260): 제1 하위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에 추가한다.
여기서 전처리는 인코딩, 압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의 저장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컴퓨터의 외부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인코딩 및 압축된 이미지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이미지 형식들로 된 이미지들은 상이한 인코딩 및 압축 방법들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하위 이미지 내의 모든 픽셀 및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수신한 후에,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인코딩 및 압축할 수 있다. 상이한 이미지 형식들로 된 이미지들의 인코딩 및 압축 과정들은 종래의 상용 기술이다.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하위 이미지를 인코딩 및 압축한 후에,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은, 인코딩 및 압축된 제1 하위 이미지 그리고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파일 생성 모듈(107)에 전송한다. 파일 생성 모듈(107)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을 처음에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의 설명 정보만 포함하며 어떠한 픽셀도 포함하지 않는다. 블록 인코딩 및 압축 모듈(106)에 의해 전송된 인코딩 및 압축된 하위 이미지를 파일 생성 모듈(107)이 수신할 때마다, 파일 생성 모듈(107)은 인코딩 및 압축된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에 추가한다.
인코딩 및 압축된 하위 이미지는 외부 저장 공간(예: 디스크)에 저장되며 해당 하위 이미지는 더 이상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이 절약된다.
단계(270): 생성 대기 이미지가 획득될 때까지,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전처리, 및 추가 방법에 기초하여,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다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을 생성, 전처리, 및 추가하는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한다.
전술한 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하위 이미지(제2행 내의 1024개의 픽셀을 포함)는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방법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다. 그 후, 제2 하위 이미지가 전처리되고, 전처리된 제2 하위 이미지가 이미지 파일에 추가되고, 이후, 제1024 하위 이미지가 생성되고, 전처리된 제1024 하위 이미지가 이미지 파일에 추가될 때까지 이와 같이 순서대로 수행된다. 모든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에 추가할 때, 파일 생성 모듈(107)은 필요한 정보(예: 보안 체크 정보 또는 무결성 체크 정보)를 이미지 파일에 추가한다. 그 후, 생성 대기 이미지가 생성된다.
본 출원에 제공된 이미지 생성 방법에 따라서,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가 결정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이 소팅되고, 하위 이미지들이 순서대로 생성된다. 하위 이미지들을 순서대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하위 이미지가 생성될 때마다, 하위 이미지는 전처리된 후에 이미지 파일에 추가된다. 모든 하위 이미지가 이미지 파일에 저장될 때, 모든 하위 이미지는 생성 대기 이미지를 형성한다. 본 출원에서 하위 이미지들은 순서대로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하나의 하위 이미지에 관한 정보만 메모리 내에 저장되면 되고, 이에 의해, 생성 대기 이미지의 완전한 정보가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이 낭비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가 완화된다.
이미지 생성 방법에 대응하여, 본 출원의 구현예는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401), 취득 유닛(402), 결정 유닛(403), 소팅 유닛(404), 생성 유닛(405), 및 전처리 유닛(406)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401)은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한다.
취득 유닛(402)은, 수신 유닛(401)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유닛(403)은,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소팅 유닛(404)은, 결정 유닛(403)에 의해 결정된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하도록 구성된다.
설명 정보는,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픽셀의 수 및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405)은, 소팅 유닛(404)에 의해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생성 유닛(405)은,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1 픽셀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을 판독하고;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 및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픽셀을 결정하고, 이후,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이 결정될 때까지 이와 같이 순서대로 수행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처리 유닛(406)은, 생성 유닛(405)에 의해 생성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취득 유닛(402)은 또한, 생성 대기 이미지가 획득될 때까지,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전처리, 및 추가 방법에 기초하여,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다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을 생성, 전처리, 및 추가하는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대응 정적 이미지는 전경 이미지 및/또는 배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을 판독하고,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 및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픽셀을 결정하는 것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을 판독하고, 전경 픽셀을 제1 픽셀로서 사용하는 것,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을 판독하고, 배경 픽셀을 제1 픽셀로서 사용하는 것,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을 판독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을 판독하고, 전경 픽셀과 배경 픽셀의 조합을 제1 픽셀로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미지 생성 요청은 사용자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405)은 또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2D 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대응 정적 이미지, 및 2D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본 구현예에서 본 디바이스의 기능 모듈들의 기능들은 전술한 방법 구현예 내의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된 본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본 출원의 구현예들에 제공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에 따라서, 수신 유닛(401)은, 이미지 생성 요청으로서,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취득 유닛(402)은 수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하고, 결정 유닛(403)은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생성 대기 이미지의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결정하고, 소팅 유닛(404)은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하고,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하고, 생성 유닛(405)은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고, 전처리 유닛(406)은 제1 하위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에 추가하고, 취득 유닛(402)은, 생성 대기 이미지가 획득될 때까지,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전처리, 및 추가 방법에 기초하여,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다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을 생성, 전처리, 및 추가하는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한다. 따라서, 컴퓨터의 메모리 자원이 절약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예들에 설명된 예들과 조합하여, 객체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식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 또한 당업자는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상호교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각 예의 구성들 및 단계들은 기능들에 기초하여 상술되었다. 기능들이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지의 여부는 기술적 솔루션들의 특정한 응용들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들을 각 특정 응용을 위해 구현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해당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예들에 설명된 알고리즘들 또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메모리, 리드 온리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탈착 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설명된 구체적 구현예들에는,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들, 및 이점들이 상세하게 더 설명되었다. 해당 설명은 본 출원의 단지 구체적인 구현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사상 및 원리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등가적 대체, 또는 개선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10)

  1. 이미지 생성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 대기 이미지의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sorting)하는 단계,
    상기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하위 이미지를 전처리(preprocessing)하고, 상기 전처리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 대기 이미지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전처리, 및 추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다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을 생성, 전처리, 및 추가하는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상기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픽셀의 수 및 상기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1 픽셀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을 결정하고, 이후,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이 결정될 때까지 이와 같이 순서대로 수행하여(and so on) 상기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 이미지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는 전경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전경 픽셀을 제1 픽셀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배경 픽셀을 제1 픽셀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전경 픽셀과 상기 배경 픽셀의 조합을 상기 제1 픽셀로서 사용하는 것인, 이미지 생성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요청은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2D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상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 및 상기 2D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인, 이미지 생성 방법.
  6.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 생성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으로서, 상기 이미지 생성 요청은 생성 대기 이미지의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대응 정적 이미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상기 이미지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 대기 이미지의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각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를 소팅하도록 구성된 소팅 유닛,
    상기 소팅 유닛에 의해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및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하위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된 제1 하위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형식을 만족하는 이미지 파일에 추가하도록 구성된 전처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취득 유닛은 또한, 상기 생성 대기 이미지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제1 하위 이미지의 생성, 전처리, 및 추가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소팅된 복수의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중의 다른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들을 생성, 전처리, 및 추가하는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상기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픽셀의 수 및 상기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제1 픽셀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을 결정하고, 이후,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이 결정될 때까지 이와 같이 순서대로 수행하여 상기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는 전경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대응 위치에 있는 픽셀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전경 픽셀을 제1 픽셀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배경 픽셀을 제1 픽셀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전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 내의 대응 위치에 있는 배경 픽셀을 판독하고, 상기 전경 픽셀과 상기 배경 픽셀의 조합을 상기 제1 픽셀로서 사용하는 것인,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요청은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성 유닛은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2D 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생성 대기 하위 이미지의 설명 정보, 상기 미리 결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상기 대응 정적 이미지, 및 상기 2D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위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생성 디바이스.
KR1020187037147A 2016-05-31 2017-04-18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42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374626.8 2016-05-31
CN201610374626.8A CN107452041B (zh) 2016-05-31 2016-05-31 图片的生成方法及装置
PCT/CN2017/080863 WO2017206606A1 (zh) 2016-05-31 2017-04-18 图片的生成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870A true KR20190013870A (ko) 2019-02-11
KR102242767B1 KR102242767B1 (ko) 2021-04-23

Family

ID=6047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147A KR102242767B1 (ko) 2016-05-31 2017-04-18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70818B2 (ko)
EP (1) EP3468185A4 (ko)
JP (1) JP6903079B2 (ko)
KR (1) KR102242767B1 (ko)
CN (1) CN107452041B (ko)
MY (1) MY194950A (ko)
PH (1) PH12018502498A1 (ko)
SG (1) SG11201810297XA (ko)
TW (1) TWI706371B (ko)
WO (1) WO2017206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2041B (zh) * 2016-05-31 2020-07-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图片的生成方法及装置
CN112771578B (zh) * 2018-09-27 2024-05-24 渊慧科技有限公司 使用细分缩放和深度上缩放的图像生成
US20220343544A1 (en) * 2021-04-26 2022-10-27 The Boeing Company Dividing an astc texture to a set of sub-images
CN113284201B (zh) * 2021-05-27 2022-08-26 杭州睿影科技有限公司 安检图像的生成方法、安检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5562A (ko) * 2006-08-16 2008-02-20 엠텍비젼 주식회사 통합 비디오 코덱을 위한 트랜스폼 모듈 및 방법
KR20120003909A (ko) * 2009-04-08 2012-01-11 와치투, 인코포레이티드 이미지 압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7330A (ko) * 2010-10-11 2012-04-19 (주) 나무인터넷 이미지객체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778631A (zh) * 2014-01-16 2014-05-07 西安理工大学 基于jpeg文件流的图片分割方法
US20140369421A1 (en) * 2013-06-12 2014-12-18 Microsoft Corporation Screen Map and Standards-Based Progressive Codec for Screen Content Coding
KR101509877B1 (ko) * 2013-01-21 2015-04-07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이미지로부터 생성한 워터마크를 이미지에 삽입하는 기법에 의한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CN105245881A (zh) * 2015-09-28 2016-01-13 杭州九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图像滤镜处理的方法和装置
CN105516618A (zh) * 2014-09-27 2016-04-20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制作视频的方法、装置及通信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897A (en) * 1994-03-15 1997-09-16 Stolfo; Salvatore J.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image processing and data compression merge/purge techniques for document image databases
DE69636599T2 (de) * 1995-08-04 2007-08-23 Microsoft Corp., Redmond Verfahren und system zur wiedergabe von grafischen objekten durch teilung in bildstücke und zusammensetzen von bildlagen zu einem wiedergabebild
US6141012A (en) * 1997-03-31 2000-10-31 Xerox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code generation based on structured image (SI) techniques
US6611241B1 (en) * 1997-12-02 2003-08-26 Sarnoff Corporation Modular display system
TWI384413B (zh) * 2006-04-24 2013-02-01 Sony Corp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a program storage medium
DE102006039389A1 (de) * 2006-08-22 2008-02-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von Übergangsartefakten in einem Gesamtbild, das sich aus Teilbildern zusammensetzt
US8144997B1 (en) * 2006-12-21 2012-03-27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for enhanced image decoding
JP4945236B2 (ja) * 2006-12-27 2012-06-06 株式会社東芝 映像コンテンツ表示装置、映像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831349B2 (ja) * 2007-01-23 2011-1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08149363A2 (en) * 2007-06-05 2008-12-11 Dblur Technologies Ltd. Non-linear transformations for enhancement of images
US8004582B2 (en) * 2007-12-14 2011-08-23 Casio Computer Co., Ltd. Image fil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il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369652B1 (en) * 2008-06-16 2013-02-05 Hrl Laboratories, Llc Visual attention system for salient regions in imagery
TW201023094A (en) * 2008-12-05 2010-06-16 Univ Lunghwa Sci & Technology Method for editing and transmitting network picture in dot matrix manner
TW201044314A (en) * 2009-06-12 2010-12-16 Int Games System Co Ltd Joint dynamic image edi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751677B2 (en) * 2009-10-08 2014-06-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different ingest and delivery schemes for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8965140B1 (en) * 2011-01-31 2015-02-24 Teradic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mixed content image sequences
CN102622628B (zh) 2012-02-24 2014-09-03 南京大学 一种通过渲染方式生成qr码的方法
CN102651138B (zh) * 2012-04-10 2014-11-26 西安理工大学 基于jpeg图片拼接的超大图片合成方法
WO2013173721A1 (en) * 2012-05-18 2013-11-21 Home Box Office, Inc. Audio-visual content delivery
TWI457623B (zh) * 2012-08-24 2014-10-21 Extend Optronics Corp 隔熱光導膜結構及其裝置
US10068363B2 (en) * 2013-03-27 2018-09-04 Nokia Technologies Oy Image point of interest analyser with animation generator
AU2013273768A1 (en) * 2013-12-20 2015-07-09 Canon Kabushiki Kaisha Parallel rendering of region-based graphics representations
CN104143109B (zh) * 2014-01-28 2017-04-05 深圳市雁联计算系统有限公司 一种二维码的编码和解码方法及其印刷物
US9176473B1 (en) * 2015-02-09 2015-11-03 Nanografi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variable digital optical images using generic optical matrices
CN104881470B (zh) * 2015-05-28 2018-05-08 暨南大学 一种面向海量图片数据的重复数据删除方法
CN105488132A (zh) * 2015-11-25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头像图片获取方法及装置
CN107452041B (zh) * 2016-05-31 2020-07-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图片的生成方法及装置
US10318573B2 (en) * 2016-06-22 2019-06-11 Oath Inc. Generic card feature extraction based on card rendering as an imag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5562A (ko) * 2006-08-16 2008-02-20 엠텍비젼 주식회사 통합 비디오 코덱을 위한 트랜스폼 모듈 및 방법
KR20120003909A (ko) * 2009-04-08 2012-01-11 와치투, 인코포레이티드 이미지 압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7330A (ko) * 2010-10-11 2012-04-19 (주) 나무인터넷 이미지객체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09877B1 (ko) * 2013-01-21 2015-04-07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이미지로부터 생성한 워터마크를 이미지에 삽입하는 기법에 의한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US20140369421A1 (en) * 2013-06-12 2014-12-18 Microsoft Corporation Screen Map and Standards-Based Progressive Codec for Screen Content Coding
CN103778631A (zh) * 2014-01-16 2014-05-07 西安理工大学 基于jpeg文件流的图片分割方法
CN105516618A (zh) * 2014-09-27 2016-04-20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制作视频的方法、装置及通信终端
CN105245881A (zh) * 2015-09-28 2016-01-13 杭州九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图像滤镜处理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3079B2 (ja) 2021-07-14
JP2019517696A (ja) 2019-06-24
CN107452041B (zh) 2020-07-31
US20190108616A1 (en) 2019-04-11
TWI706371B (zh) 2020-10-01
KR102242767B1 (ko) 2021-04-23
EP3468185A1 (en) 2019-04-10
WO2017206606A1 (zh) 2017-12-07
EP3468185A4 (en) 2019-04-10
SG11201810297XA (en) 2018-12-28
PH12018502498A1 (en) 2019-04-08
CN107452041A (zh) 2017-12-08
MY194950A (en) 2022-12-28
US10970818B2 (en) 2021-04-06
TW201743283A (zh) 201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3870A (ko)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JP5757592B2 (ja) 超解像画像を生成する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100250588A1 (en) Image searching system and image searching method
JP200707403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EP33434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lists of pixels
WO20131602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analysis
US2009027978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19517696A5 (ko)
WO2022216521A1 (en) Dual-flattening transformer through decomposed row and column queries for semantic segmentation
JP2017211936A (ja) 文書保存処理システム
US2023016435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ding and decoding a multi-view video sequence
CN112634431A (zh) 一种三维纹理贴图转化成三维点云的方法及装置
CN105204727B (zh) 一种图片呈现方法及装置
CN102768755A (zh) 获取图片的缩略图的方法和装置
US11120317B2 (en) Graphic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665434B (zh) 图像合成方法及装置
Shao et al. Inter-picture prediction based on 3D point cloud model
CN106331720B (zh) 一种视频解码相关信息存储方法和装置
US20110052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noise in a digital image
WO2020100199A1 (ja) 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42980B1 (ko) Erp 기반 다시점 360도 영상의 초해상화 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CN102262784A (zh) 基于图像压缩的字库编码方法和解码方法
WO2024083753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improving transmission and/or storage of point cloud data
CN118015181A (zh) 一种算法平台3d数据资产生成方法及系统
CN116309769A (zh) 一种图像深度估算方法、装置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