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238A - 졸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졸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238A
KR20190013238A KR1020170097573A KR20170097573A KR20190013238A KR 20190013238 A KR20190013238 A KR 20190013238A KR 1020170097573 A KR1020170097573 A KR 1020170097573A KR 20170097573 A KR20170097573 A KR 20170097573A KR 20190013238 A KR20190013238 A KR 2019001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unit
low
frequency outpu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크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크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크앤플레이
Priority to KR102017009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238A/ko
Publication of KR2019001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06K9/008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졸음 방지장치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피부에 탈부착 가능한 저주파 패드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주파 패드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과, 상기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및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여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저주파 패드부가 피부에 부착되고, 거리측정부가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여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의 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졸음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졸음 방지장치{Drowsiness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졸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졸음운전은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고속도로에서 이러한 졸음운전이 발생할 경우 90% 이상이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수험생의 경우, 졸음으로 인하여 졸음을 깨기 위해 다양한 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특히, 졸음이 발생하면 대부분 기지개를 피거나, 목덜미를 주무르는 동작 등을 통해 졸음을 깨고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에게는 매우 위험한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수험생에게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졸음퇴치기기 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졸음퇴지기기는 졸음을 파악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졸음을 파악하더라도 졸음을 깨우기 위해서 자극적인 충격을 가하여 사용자의 놀람으로 인한 운전자에게 위함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수험생 주위의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실용신안 20-025767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주파 패드부가 피부에 부착되고, 거리측정부가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의 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졸음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졸음에 의해 고개가 전방으로 숙여질 때, 거리측정부가 고개의 숙여짐에 의한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제1접착부와 제2접착부에 접착된 목덜미의 좌우 근육을 저주파로 자극하여 졸음을 깨도록 하고, 특히,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고개를 숙이는 동작 등을 할 때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졸음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졸음 방지장치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피부에 탈부착 가능한 저주파 패드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저주파 패드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주파 전류를 상기 저주파 패드부로 출력시키는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과, 상기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및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여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 상부에 내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주파 패드부로 상기 피부에 부착되되, 목덜미의 목관절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내입부에 내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접착되는 목덜미 피부와의 거리를 레이저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주파 패드부는, 섬유사로 편직된 자극부와, 상기 자극부의 일측면에 코팅되어 피부에 탈부탁 가능하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되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구비된 제1접착부 및 제2접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가 각각 삽입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는, 상기 저주파 패드부의 자극부와 착탈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는, 각각 일측면에 내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내입된 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 패드부의 자극부는, 타측면에 상기 내입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입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에 억지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저주파 패드부가 피부에 부착되고, 거리측정부가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의 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졸음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가 졸음에 의해 고개가 전방으로 숙여질 때, 거리측정부가 고개의 숙여짐에 의한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제1접착부와 제2접착부에 접착된 목덜미의 좌우 근육을 저주파로 자극하여 졸음을 깨도록 하고, 특히,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고개를 숙이는 동작 등을 할 때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졸음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의 일측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졸음 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의 일측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는, 케이스(10), 저주파 발생부(미도시), 저주파 패드부(20),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 거리측정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스(1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고, 제어부(50)가 실장되고, 저주파 발생부가 구비된 PCB회로 기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는, 일측면 상부에 내입부(18)가 형성되며, 후술할 거리측정부(40)가 내입부(18)에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할 저주파 패드부(20)가 피부에 부착되되, 목덜미의 목관절 사이에 부착된다. 이때, 케이스(10)가 둥근 목덜미에 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케이스(10)는, 본체(11) 및 덮개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일측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의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된다. 즉, 공간부(13)에 베터리, PCB회로 기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14)는, 본체(11)의 개구부(12)에 끼움결합된다. 이때, 덮개부(14)는 일측면에 본체(11)의 개구부(12) 내주면에 접촉하며 억지끼움결합되는 끼움부(15)가 소정의 두께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부(14)가 본체(11)의 개구부(12)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덮개부(14)와 개구부(12)에 절곡부(16)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4)는, 둥글게 형성된 목덜미와 대응되도록 일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덮개부(14)는, 후술할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가 각각 삽입결합되는 결합공(17)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공(17)은, 본체(11)에 절곡부(16)가 형성되고, 절곡부(16)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 덮개부(14)로 인하여 회전되지 않고 일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공(17)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좌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저주파 발생부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부(13)에 구비되고, 저주파를 발생시킨다. 이때, 저주파 발생부는, 후술할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주파 패드부(20)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피부에 탈부착 가능하다. 즉, 저주파 패드부(20)는, 덮개부(14)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저주파 패드부(20)는, 자극부(21)와, 제1접착부(22) 및 제2접착부(23)를 포함한다.
자극부(21)는, 섬유사로 편직되되, 케이스(10)의 일측면에 대응되도록 편직된다.
그리고 저주파 패드부(20)의 자극부(21)는, 일측면에 후술할 제1접착부(22) 및 제2접착부(23)가 각각 코팅되고, 타측면에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에 억지끼움결합되는 돌출부(24)가 형성된다.
즉, 저주파 패드부(20)의 자극부(21)는,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에서 출력되는 저주파를 전달받아 전체적으로 퍼지도록 하여 부착되는 피부를 저주파로 자극시킬 수 있다.
제1접착부(22) 및 제2접착부(23)는, 자극부(21)의 일측면에 코팅되어 피부에 탈부탁 가능하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되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구비된다. 즉, 제1접착부(22) 및 제2접착부(23)는, 중앙의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분리틈(26)이 형성되게 분리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분리틈(26)은, 척추에 대응되고, 제1접착부(22)와 제2접착부(23)는, 목덜미의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근육에 대응되도록 목덜미에 부착된다.
또한, 제1접착부(22)와 제2접착부(23)는, 척추와 목뼈가 연결되는 관절부에 대응되는 피부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목덜미의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근육에 제1접착부(22)와 제2접착부(23)가 부착됨에 따라, 목덜미의 좌우 근육에 저주파가 가해지게 된다.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주파 패드부(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주파 패드부(20)에 저주파 전류를 출력시킨다.
또한,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는, 저주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주파 발생부가 발생시키는 저주파전류를 저주파 패드부(20)로 출력시킨다.
이때,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는, 덮개부(14)에 형성된 결합공(17)에 각각 결합된다.
거리측정부(40)는, 케이스(10)의 일측면과, 저주파 패드부(20)에 부착된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즉, 거리측정부(40)는, 케이스(10)의 내입부(18)에 내입되어,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접착되는 목덜미 피부와의 거리를 레이저로 측정한다.
이때, 거리측정부(40)는, 제1접착부(22)와 제2접착부(23)가 목덜미의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근육에 부착됨에 따라, 목이 전방으로 숙여질 때와, 곳곳이 세워질 때마다 측정하는 거리값이 달라지게 된다.
제어부(50)는, 거리측정부(40)에서 측정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를 통해 저주파 전류를 출력시킨다.
즉, 사용자가 운전중에, 졸음으로 인하여 고개가 전방측으로 숙여지면, 거리측정부(40)가 측정하는 거리가 기준거리보다 길게 측정할 때, 제어부(50)는,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로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제1접착부(22)와 제2접착부(23)에 접착된 목덜미의 좌우 근육은, 전달되는 저주파에 자극된다. 그리고 자극을 느끼는 운전자와 수험생 및 그 외의 사용자는 목근육의 자극으로 졸음을 깨고, 곳곳이 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안전운행이 가능하고, 수험생은 학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전방주시를 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운행 중 고개를 숙이는 동작등을 할 때 저주파 자극을 통하여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안전운행이 가능하다. 게다가, 그 외 사용자들은 목근육을 이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는, 저주파 패드부(20)의 자극부(21)와 착탈결합된다.
이는, 저주파 패드부(20)는 운전자의 목덜미와 같은 피부에 탈부탁되기 때문에, 땀이나 먼지에 노출되어 있어, 세척이 용이하도록 분리가능하게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에 착탈되는 것이다.
즉,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는, 각각 일측면에 내입홈(33)이 형성되고, 내입홈(33)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내입된 돌기홈(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주파 패드부(20)의 자극부(21)는, 타측면에 내입홈(33)으로 삽입되는 돌출부(24)가 형성되고, 돌출부(24)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입홈(33)에 억지끼움되어 돌기홈(34)에 삽입되는 돌기부(2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저주파 패드부(20)는, 제1저주파 출력부(31)와 제2저주파 출력부(32)에 억지끼움결합되며 착탈가능하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졸음 방지장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되어 제어부(50)와 통신가능한 어플리케이션(6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50)는,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와 통신이 된다.
스마트기기에는, 어플리케이션(60)이 설치되고, 운전자가 어플리케이션(60)을 이용하여 저주파 발생부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60)은, 감지부(61), 판단부(62) 및 신호전송부(63)를 포함한다.
감지부(61)는,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되, 눈꺼풀과 눈동자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부(61)는, 감지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61)가 감지하는 눈동자나 얼굴은 외곽선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가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판단부(62)는, 감지부(61)로 감지되는 눈꺼풀의 움직임 변화와 눈동자의 면적을 판단하여, 졸음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62)는, 눈꺼풀의 움직임 변화와, 깜빡이는 속도로 분석한다. 졸음이 올 때는, 눈꺼풀이 내려와 실눈의 형태를 띄도록 감기고, 눈꺼풀의 움직이는 속도도 평상시와 다르게 현저히 느려질 뿐만 아니라, 졸음을 참기 위해 눈꺼풀에 힘을 줌에 따라 미세한 떨림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판단부(62)는 눈꺼풀의 움직임이 일반적으로 깜빡이는 기 설정된 시간보다 느리게 깜빡이는 것으로 분석할 때, 또는 미세한 떨림이 반복될 때 졸음상태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62)는, 눈꺼풀이 감기게 됨에 따라, 눈동자의 면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눈꺼풀이 기 설정된 시간에 깜빡임에 따라, 눈동자의 면적 변화가 기 설정된 시간에 변화한다. 그러나, 졸음이 올 때는, 눈꺼풀이 내려와 실눈의 형태를 띄도록 감기게 됨에 따라, 평상시의 눈동자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될 때 또는 눈동자가 감지되지 않을 때 졸음상태로 판단한다.
더불어, 판단부(62)는,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를 통해 눈동자의 시선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눈동자의 시선이 전방이 아니라, 하부를 바라볼 때 졸음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게다가, 판단부(62)는, 감지부(61)가 김자하는 얼굴의 기울기를 통해 졸음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전송부(63)는, 판단부(62)에 의해 졸음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로 졸음판단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졸음판단신호를 송신하면, 저주파 발생부를 제어하여 저주파 자극이 사용자의 피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케이스 11 : 본체
12 : 개구부 13 : 공간부
14 : 덮개부 15 : 끼움부
16 : 절곡부 17 : 결합공
18 : 내입부 20 : 저주파 패드부
21 : 자극부 22 : 제1접착부
23 : 제2접착부 24 : 돌출부
25 : 돌기부 26 : 분리틈
31 : 제1저주파 출력부 32 : 제2저주파 출력부
33 : 내입홈 34 : 돌기홈
40 : 거리측정부 50 : 제어부
60 : 어플리케이션 61 : 감지부
62 : 판단부 63 : 신호전송부

Claims (7)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피부에 탈부착 가능한 저주파 패드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저주파 패드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주파 전류를 상기 저주파 패드부로 출력시키는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과, 상기 저주파 패드부에 부착된 피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및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면,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를 제어하여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졸음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 상부에 내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주파 패드부로 상기 피부에 부착되되, 목덜미의 목관절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거리측정부는, 상기 내입부에 내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접착되는 목덜미 피부와의 거리를 레이저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패드부는,
    섬유사로 편직된 자극부와,
    상기 자극부의 일측면에 코팅되어 피부에 탈부탁 가능하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되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구비된 제1접착부 및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졸음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가 각각 삽입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는, 상기 저주파 패드부의 자극부와 착탈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는, 각각 일측면에 내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내입된 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 패드부의 자극부는, 타측면에 상기 내입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입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저주파 출력부와 제2저주파 출력부에 억지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되, 눈꺼풀과 눈동자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 감지되는 눈꺼풀의 움직임 변화와 상기 눈동자의 면적을 판단하여, 졸음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 의해 졸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로 졸음판단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졸음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하는 얼굴의 기울기를 통해 졸음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방지장치.
KR1020170097573A 2017-08-01 2017-08-01 졸음 방지장치 KR20190013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73A KR20190013238A (ko) 2017-08-01 2017-08-01 졸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73A KR20190013238A (ko) 2017-08-01 2017-08-01 졸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38A true KR20190013238A (ko) 2019-02-11

Family

ID=6537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573A KR20190013238A (ko) 2017-08-01 2017-08-01 졸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3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635A (ko) * 2021-09-03 2023-03-10 김민성 구명조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635A (ko) * 2021-09-03 2023-03-10 김민성 구명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2614B2 (ja) 神経刺激装置及び方法
CN210811043U (zh) 穿戴式生理活动感测装置及感测系统
CN105457158B (zh) 可佩戴的经皮神经刺激器
CN108697364B (zh) 用于进行神经刺激和感测身体参数的弹性头部安装装置
CN110799092A (zh) 用生物传感器调节对脑部的刺激的方法和系统
JP3129187U (ja) 脳波強制誘導装置。
KR101323260B1 (ko) 시력보호장치
TWM553988U (zh) 穿戴式生理活動感測器、感測裝置、感測系統、電極結構及電刺激裝置
TWI604837B (zh) Intelligent physiological response feedback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6974645A (zh) 眼镜式脑部活动传感器以及眼镜式电生理活动感测装置
TW201626951A (zh) 穿戴式生理監測裝置及系統
JPH10108913A (ja) ツボ刺激装置
WO2017125081A1 (zh) 眼镜式生理感测装置及具生理讯号撷取功能的眼镜结构与眼镜组合
WO2018218934A1 (zh) 按摩手套及车载按摩装置
CN213876205U (zh) 一种智能按摩眼镜
KR20190013238A (ko) 졸음 방지장치
CN208388850U (zh) 眼罩
CN211383468U (zh) 激活系统
KR102093349B1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CN112535806A (zh) 激活系统
TWI610656B (zh) 穿戴式生理監測裝置
KR20190066757A (ko) 눈 피로 회복을 위한 눈 마사지 겸용 온열기
JP2018143448A (ja) 視覚再生補助システム,および,視覚系神経刺激装置
JP3129720U (ja) リラクゼーション器具
KR101407910B1 (ko) 가속도감지 및 전기자극을 이용한 귀걸이형 졸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