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70A -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70A
KR20190012070A KR1020170094975A KR20170094975A KR20190012070A KR 20190012070 A KR20190012070 A KR 20190012070A KR 1020170094975 A KR1020170094975 A KR 1020170094975A KR 20170094975 A KR20170094975 A KR 20170094975A KR 20190012070 A KR20190012070 A KR 2019001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touch
integrated circuit
routing unit
sensing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855B1 (ko
Inventor
박재철
김진명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855B1/ko
Priority to US16/046,160 priority patent/US10788922B2/en
Publication of KR2019001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터치/지문 센서는 터치 패드, 로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터치 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을 포함하고, 터치 영역을 상기 터치 패드 상에 형성하는 터치 센싱 부(touch sensing element), 로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문 센싱 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을 포함하고, 지문 인식 영역을 상기 터치 패드 상에 형성하는 지문 센싱 부(fingerprint sensing element), 상기 터치 센싱부 및 상기 지문 센싱 부에서 센싱된 신호를 라우팅하는 라우팅 유닛; 및 상기 라우팅 유닛에서 전달한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또는 지문을 센싱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Fingerprint/touch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 상에서 지문 센싱 영역과 터치 센싱 영역이 공유되어 지문 인식과 터치 센싱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문, 음성, 얼굴, 손 또는 홍채와 같은 개인의 고유한 특징을 이용한 개인 인증의 필요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개인 인증 기능은 금융 기기, 출입 통제기, 모바일 장치, 노트북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 폰 내에 저장된 많은 보안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지문 인식 장치를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광학방식, 열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의 다양한 인식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는 사람의 손가락 표면이 도전성 감지 패턴에 접촉될 때 지문의 골과 융선 형상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지문 패턴을 인식한다.
종래의 지문 인식 장치는 터치 센싱 장치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현되어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여 개발 및 제작에 각각 별도의 비용 및 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 상에서 지문 센싱 영역과 터치 센싱 영역이 공유되어 지문 인식과 터치 센싱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 로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터치 센싱 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을 포함하고, 터치 영역을 상기 터치 패드 상에 형성하는 터치 센싱 부(touch sensing element); 로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문 센싱 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을 포함하고, 지문 인식 영역을 상기 터치 패드 상에 형성하는 지문 센싱 부(fingerprint sensing element); 상기 터치 센싱부 및 상기 지문 센싱 부에서 센싱된 신호를 라우팅하는 라우팅 유닛; 및 상기 라우팅 유닛에서 전달한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또는 지문을 센싱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식 영역은 상기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지문 센싱 부는 터치 영역의 임의의 한 영역에 마련되는 지문 인식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는 터치 센싱과 지문 센싱을 통합 처리하는 통합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상기 라우팅 유닛은 상기 터치 패드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제1 라우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집적 회로로 라우팅 할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라우팅 유닛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Chip of Film)일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싱 부는 상기 지문 인식 영역을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 유닛은 상기 터치 패드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제1 라우팅 유닛 및 타 측면에 마련되는 제2 라우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집적 회로로 라우팅하고, 상기 제2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집적 회로로 라우팅 할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는 제1 집적 회로와 제2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제1 집적 회로로 라우팅하고,
상기 제2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제2 집적 회로로 라우팅 할 수 있다.
상기 제1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라우팅 유닛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 이고, 상기 제2 집적 회로는 상기 제2 라우팅 유닛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 일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제1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제1 PCB와 상기 제2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제2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집적 회로는 터치 센싱과 지문 센싱을 통합 처리하는 통합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우팅 유닛과 상기 제1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라우팅 유닛과 제1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라우팅 유닛과 상기 제2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제2 라우팅 유닛과 제2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술한 터치/지문 센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지문 센싱 영역과 터치 센싱 영역이 중첩되어, 하나의 터치 패드로 지문 인식과 터치 센싱이 모두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과 지문 인식이 통합된 통합 집적 회로를 포함함으로써 집적 회로의 개수를 줄이고, 집적 회로에 연결되는 라우팅 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라우팅 배선과 집적 회로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적은 개수의 집적 회로로도 지문/터치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의 스위칭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에서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터치 센서(100)는 터치패드(110),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 라우팅 유닛(120), 집적 회로(130)을 포함한다.
터치패드(110)는 터치 영역(101)과 비 터치 영역(102)을 포함한다. 터치 영역(101)은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 부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과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싱 부는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을 포함할 수 있다. 비 터치 영역(102)은 터치 영역(101) 이외의 터치패드(110)의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 터치 영역(101)에는 라우팅 유닛(120) 및 집적회로(130)이 마련될 수 있다. 라우팅 유닛(120)은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에서 센싱된 신호를 라우팅하여, 집적회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집적회로(130)는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에서 센싱된 신호를 처리하거나,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지문 센서(100)는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지문센서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은 및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는 Tx 전극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Tx_b) 및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는 Rx 전극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 및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Tx_b)의 교차 지점에는 정전용량의 측정을 위한 커패시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및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의 교차 지점에는 정전용량의 측정을 위한 커패시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Tx 전극 및 Rx 전극의 구동부(미도시)는 터치 영역과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x 전극 및 Rx 전극의 구동부(미도시)는 집적회로(130)에 일체형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센싱 부는 지문 센싱처럼 높은 해상력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 및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이 적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110)의 전 터치영역이 터치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은 21 라인,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이 17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이 이격된 거리에 비해 더 길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이 이격된 거리에 비해 더 길수 있다.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및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은 터치 센싱 라인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라인을 요구한다. 이는, 지문의 융선과 골 사이에 지문 센싱 라인이 복수 개 위치하여야 지문 센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110)에 하나의 지문 센싱 영역(fpr)을 형성 하기 위해,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은 64 라인,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은 128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영역 전체에 지문 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지문 센싱 영역(fpr)이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싱 영역(fpr)이 9 X 11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은 574 라인,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는 1408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라우팅 유닛(120)은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를 집적회로(130)로 라우팅 하는 유닛이다. 라우팅 유닛(120)은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및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과 연결되는 라우팅 배선 및 이를 집적회로로 연결하도록 모아주는 라우팅 단자를 포함한다. 라우팅 단자는 집적 회로가 직접 단자 상에 마련되는 COF(Chip of Film) 형태와 집적회로는 별도의 PCB상에 마련되고 라우팅 단자가 FPCB형태로 PCB와 연결되는 두 가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회로(130)는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또는 지문을 센싱할 수 있다. 집적회로(130)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측정에 필요한 일체의 구동부 및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집적회로(130)는 라우팅 유닛(120)으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및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 각각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미도시)와 상호 용량을 측정하는 상호 용량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회로(13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 및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b)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및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를 모두 통합 처리하는 통합 집적 회로 일 수 있다.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의 처리가 통합 집적 회로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지문/터치 센서(100)가 요구하는 집적회로(13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 센싱 부는 터치 영역의 임의의 한 영역에 마련되는 지문 인식 영역(fpr)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영역(fpr)은 터치 영역(10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영역(fpr)과 터치 센싱 영역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중첩됨으로써 외관이 준수한 지문/터치 센서(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 유닛(120)은 집적회로(130)가 단자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 형태일 수 있다. 집적회로(130)가 라우팅 유닛(120)상에 직접 마련됨으로써 면적 대비 소자의 집적률을 높일 수 있다. 라우팅 유닛(120)은 터치패드(110)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비 터치 영역(102)에 마련되는 라우팅 배선은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과 연결되어 라우팅 단자로 배선을 집속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문/터치 센서(200)는 터치패드(210),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 라우팅 유닛(220), 집적 회로(230), 및 PCB 기판(PCB)을 포함한다. 터치 영역(201)에 마련되는 터치 센싱 부와 지문 센싱 부는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200)는 집적회로(230)가 라우팅 유닛(220)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PCB 회로(PC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라우팅 유닛(220)은 비 터치 영역(202)에 마련되고, 집적회로(230)는 PCB 회로(PC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PCB 회로(PCB)는 터치패드(210)와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라우팅 유닛(22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문/터치 센서(300)는 터치패드(310),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 복수의 제1 라우팅 유닛(330), 복수의 제2 라우팅 유닛(320), 복수의 제1 집적 회로(350), 복수의 제2 집적 회로(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300)는 지문 인식 영역(fpr)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와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은 제2 라우팅 유닛(320)에 의해 집속되어 제2 집적회로(340)으로 라우팅된다.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은 제1 라우팅 유닛(330)에 의해 집속되어 제1 집적회로(350)으로 라우팅된다. 제1 라우팅 유닛(330)은 터치 패드(310)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제2 라우팅 유닛(320)은 터치패드(310)의 타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우팅 유닛(330)은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이 연장되는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마주치는 제 1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라우팅 유닛(320)은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와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이 연장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마주치는 제2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라우팅 유닛(330)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우팅 유닛(330)은 제2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지문 센싱 영역(fpr)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라우팅 유닛(320)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라우팅 유닛(320)은 제1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지문 센싱 영역(fpr)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싱 영역(fpr)은 제1 방향으로 m개, 제2 방향으로 n개 마련되어 m X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라우팅 유닛(320)은 m개 만큼 마련되고, 제1 라우팅 유닛(330)은 n개 만큼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집적회로(350)는 제1 라우팅 유닛(330)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집적회로(340)는 제2 라우팅 유닛(320)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집적회로(350) 및 제2 집적회로(340)가 복수개 요구되는 대신, PCB 회로(미도시)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문/터치 센서(400)는 터치패드(410),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 복수의 제1 라우팅 유닛(430), 복수의 제2 라우팅 유닛(420), Tx 집적 회로(450), Rx 집적 회로(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400)는 지문 인식 영역(fpr)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과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은 제2 라우팅 유닛(420)에 의해 집속되어 단일의 Rx 집적회로(440)으로 라우팅된다.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과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은 제1 라우팅 유닛(430)에 의해 집속되어 단일의 Tx 집적회로(450)으로 라우팅된다. 제1 라우팅 유닛(430)은 터치 패드(410)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제2 라우팅 유닛(420)은 터치패드(410)의 타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우팅 유닛(430) 및 제 2 라우팅 유닛(420)은 FPC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우팅 유닛(430)은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이 연장되는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마주치는 제 1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라우팅 유닛(420)은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와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이 연장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마주치는 제2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라우팅 유닛(430)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우팅 유닛(430)은 제2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지문 센싱 영역(fpr)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라우팅 유닛(420)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라우팅 유닛(420)은 제1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지문 센싱 영역(fpr)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싱 영역(fpr)은 제1 방향으로 m개, 제2 방향으로 n개 마련되는 m X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라우팅 유닛(420)은 m개 만큼 마련되고, 제1 라우팅 유닛(430)은 n개 만큼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Tx 집적회로(450) 및 Rx 집적회로(440)는 별도의 PCB 회로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x 집적회로(450)는 제2 PCB 회로(PCB_2)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x 집적회로(440)는 제1 PCB 회로(PCB_1)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400)는 단 두개의 집적회로(440, 450)만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지문 센싱 영역(fpr)을 포함하여 지문 및 터치 센싱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지문/터치 센서(400)는 다수의 집적 회로로 구성된 센서에 비하여 더 절감된 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PCB 회로(PCB_1)와 제2 PCB 회로(PCB_2)는 별도의 회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회로가 일체형 PCB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500)의 제2 스위칭 소자(5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지문/터치 센서(500)는 터치패드(510),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Tx_a)와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 복수의 제1 라우팅 유닛(530), 복수의 제2 라우팅 유닛(520), 제1 스위칭 소자(550), 제2 스위칭 소자(540), Tx 집적 회로(570), Rx 집적 회로(5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500)는 도 4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400)와 비교할 때, 제1 스위칭 소자(550) 및 제2 스위칭 소자(540)의 구성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스위칭 소자(550)은 복수의 제1 라우팅 유닛(530)을 통해 전달되는 Tx 센싱 라인들(Tx_a, Tx_b)의 신호를 분리하여 센싱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550) 각각은 대응하는 Tx 센싱 라인(Tx_a, Tx_b)과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제1 서브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스위치(미도시)는 각각 대응되는 Tx 센싱 라인의 신호 수신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Tx 집적 회로(570)는 복수의 제1 서브 스위치와 각각 대응되는 서브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스위치는 아날로그 전단(Analog Front end;AFE)과 자동 위상 제어(Automatic phase Control;ADC) 소자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서브 스위치와 관련된 구체적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칭 소자(540)은 복수의 제2 라우팅 유닛(520)을 통해 전달되는 Rx 센싱 라인들(Rx_a, Rx_b)의 신호를 분리하여 센싱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540) 각각은 대응하는 Rx 센싱 라인(Rx_a, Rx_b)과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서브 스위치(541s, 542s)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스위치(541s, 542s)는 각각 대응되는 Rx 센싱 라인(Rx_a, Rx_b)의 신호 수신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Rx 집적 회로(560)는 복수의 제2 서브 스위치와 각각 대응되는 서브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스위치는 아날로그 전단(Analog Front end;AFE)과 자동 위상 제어(Automatic phase Control;ADC) 소자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 및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Tx_b)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Rx_a) 및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Rx_b)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문 센싱 영역은 제1 방향으로 m개, 제2 방향으로 n개 마련되어 m X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라우팅 유닛(520)은 m개 만큼 마련되고, 제1 라우팅 유닛(530)은 n개 만큼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매트릭스의 동일 렬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 및 터치 센싱 영역은 복수의 제2 라우팅 유닛(520) 중 대응되는 어느 한 유닛을 통해 센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매트릭스의 제1 렬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 및 터치 센싱 영역은 제2 라우팅 유닛(521)에서 센싱되고, 매트릭스의 제2 렬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 및 터치 센싱 영역은 제2 라우팅 유닛(522)에서 센싱된다.
광의 센싱이 매트릭스의 제1 렬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과 제2 렬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2 라우팅 유닛(521) 및 제2 라우팅 유닛(522)은 각각이 센싱한 지문 센싱 신호를 동시에 Rx 집적 회로(56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Rx 집적회로(560)는 센싱한 신호가 제2 라우팅 유닛(521) 및 제2 라우팅 유닛(522)중 어느 유닛에서 전달되었는지를 명확히 분리하지 못하여 센싱의 해상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500)는 복수의 제2 라우팅 유닛(520)과 각각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5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라우팅 유닛(521)과 제2 스위칭 소자(541)이 대응하고, 제2 라우팅 유닛(522)와 제2 스위칭 소자(542)가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렬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과 제2 렬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이 서로 동시에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2 스위칭 소자(541)이 on 상태인 경우 제2 스위칭 소자(542)은 off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540)의 도입을 통해, 하나의 Rx 집적회로(560)만으로도 복수의 렬에 대응하는 지문 센싱 영역 및 터치 센싱 영역의 신호를 해상도를 유지하며 센싱할 수 있다. 요컨대, 각 렬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라우팅 유닛(520)이 동시에 신호를 센싱하지 않도록, 어느 하나의 제2 라우팅 유닛(520)이 on 상태인 경우 나머지 제2 라우팅 유닛(520)은 off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on-off 전환은 제2 스위칭 소자(540)에 의해 구현된다.
마찬가지로, 동일 행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 및 터치 센싱 영역은 복수의 제1 라우팅 유닛(530) 중 대응되는 어느 한 유닛을 통해 센싱된다. 예를 들면, 매트릭스의 제1 행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 및 터치 센싱 영역은 제1 라우팅 유닛(531)에서 센싱되고 매트릭스의 제2 행에 위치한 지문 센싱 영역 및 터치 센싱 영역은 제1 라우팅 유닛(532)에서 센싱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신호의 명확한 분리를 위해, 제1 라우팅 유닛(531)은 제1 스위칭 소자(551)과 대응되고, 제2 라우팅 유닛(532)는 제1 스위칭 소자(552)과 대응될 수 있다. 각 행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라우팅 유닛(530)이 동시에 신호를 센싱하지 않도록, 어느 하나의 제1 라우팅 유닛(530)이 on 상태인 경우 나머지 제1 라우팅 유닛(530)은 off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Tx 집적회로(570) 및 Rx 집적회로(560)는 별도의 PCB 회로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x 집적회로(570)는 제2 PCB 회로(PCB_2)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x 집적회로(560)는 제1 PCB 회로(PCB_1)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500)는 단 두 개의 집적회로만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지문 센싱 영역(fpr)을 포함하여 지문 및 터치 센싱을 구현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PCB 회로(PCB_1)와 제2 PCB 회로(PCB_2)는 별도의 회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자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지문/터치 센서는 지문 센싱 영역과 터치 센싱 영역의 하나의 터치 패드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준수하다. 또한, 적은 개수의 집적회로로도 구동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의 예시로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컴퓨터,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PDP, PMP, 카메라,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 예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00, 200, 300, 400, 500 : 지문/터치 센서
110, 210, 310, 410, 510 : 터치 영역
fpr : 지문 센싱 영역
Tx_a : 제1 터치 센싱 라인
Rx_a : 제2 터치 센싱 라인
Tx_b : 제1 지문 센싱 라인
Rx_b : 제2 지문 센싱 라인
120 : 라우팅 유닛
130 : 집적 회로
PCB : PCB 회로
540, 550 : 스위칭 소자
541s, 542s : 서브 스위치

Claims (17)

  1. 터치 패드;
    로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터치 센싱 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을 포함하고, 터치 영역을 상기 터치 패드 상에 형성하는 터치 센싱 부(touch sensing element);
    로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문 센싱 라인과 교차되는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을 포함하고, 지문 인식 영역을 상기 터치 패드 상에 형성하는 지문 센싱 부(fingerprint sensing element);
    상기 터치 센싱부 및 상기 지문 센싱 부에서 센싱된 신호를 라우팅하는 라우팅 유닛; 및
    상기 라우팅 유닛에서 전달한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또는 지문을 센싱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식 영역은 상기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도록 마련되는 터치/지문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싱 부는 터치 영역의 임의의 한 영역에 마련되는 지문 인식 영역을 형성하는 터치/지문 센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는 터치 센싱과 지문 센싱을 통합 처리하는 통합 집적 회로인 터치/지문 센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유닛은 상기 터치 패드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제1 라우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집적 회로로 라우팅하는 터치/지문 센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라우팅 유닛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Chip of Film)인 터치/지문 센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더 포함하는 터치/지문 센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싱 부는 상기 지문 인식 영역을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하는 터치/지문 센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유닛은 상기 터치 패드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제1 라우팅 유닛 및 타 측면에 마련되는 제2 라우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집적 회로로 라우팅하고, 상기 제2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집적 회로로 라우팅하는 터치/지문 센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는 제1 집적 회로와 제2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1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제1 집적 회로로 라우팅하고,
    상기 제2 라우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싱 라인, 상기 복수의 제2 지문 센싱 라인을 상기 제2 집적 회로로 라우팅하는 터치/지문 센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라우팅 유닛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 이고, 상기 제2 집적 회로는 상기 제2 라우팅 유닛 상에 직접 마련되는 COF인 터치/지문 센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PCB;를 더 포함하는 터치/지문 센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상기 제1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제1 PCB와 상기 제2 집적 회로가 마련되는 제2 PCB를 포함하는 터치/지문 센서.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적 회로 및 상기 제2 집적 회로는 터치 센싱과 지문 센싱을 통합 처리하는 통합 집적 회로인 터치/지문 센서.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터치/지문 센서.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라우팅 유닛과 상기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터치/지문 센서.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우팅 유닛과 상기 제1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라우팅 유닛과 제1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라우팅 유닛과 상기 제2 집적 회로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제2 라우팅 유닛과 제2 집적 회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터치/지문 센서.
  17. 제1 항에 따른 터치/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094975A 2017-07-26 2017-07-26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6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75A KR102364855B1 (ko) 2017-07-26 2017-07-26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046,160 US10788922B2 (en) 2017-07-26 2018-07-26 Fingerprint/touch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75A KR102364855B1 (ko) 2017-07-26 2017-07-26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70A true KR20190012070A (ko) 2019-02-08
KR102364855B1 KR102364855B1 (ko) 2022-02-18

Family

ID=6503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75A KR102364855B1 (ko) 2017-07-26 2017-07-26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88922B2 (ko)
KR (1) KR102364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022A (ko) * 2020-05-19 2021-11-26 (주)이엔에이치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20210143023A (ko) * 2020-05-19 2021-11-26 (주)이엔에이치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3151A1 (zh) * 2018-02-07 2019-08-15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纹采集装置和指纹采集方法
US11625939B2 (en) * 2019-08-01 2023-04-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Electronic circuit having display driving function, touch sensing function and fingerprint sensing function
CN112306287A (zh) * 2019-08-01 2021-02-02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驱动、触摸感测及指纹感测功能的电子电路
CN112580387A (zh) * 2019-09-27 2021-03-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录入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1814756A (zh) * 2020-01-13 2020-10-23 神盾股份有限公司 检测电路及其控制方法
US11380128B2 (en) * 2020-03-02 2022-07-05 Himax Technologies Limited Apparatus integrated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ouch dete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625124A (zh) * 2020-05-09 2020-09-04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和显示装置
CN114120379A (zh) * 2020-08-27 2022-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触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88B1 (ko) * 2014-04-02 2014-08-2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KR20150115607A (ko) * 2014-04-03 2015-10-14 에지스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Tft 지문 센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13509A (ko) * 2014-07-24 2016-02-04 크루셜텍 (주) 지문 인식 가능한 터치 검출 장치
KR20160033328A (ko) * 2014-09-17 2016-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지문 센싱 장치
KR20170016556A (ko) * 2015-08-03 2017-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40825A (ko) * 2015-10-05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을 갖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381B1 (ko) 2000-02-11 2002-03-06 안준영 지문입력기를 이용한 터치패드 구현방법 및지문입력기능을 하는 터치패드 장치
JP4292916B2 (ja) 2003-08-11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10164666A (ja) * 2009-01-14 2010-07-29 Hitachi Displays Ltd ドライバ回路、液晶表示装置、及び出力信号制御方法
WO2013094975A1 (en) * 2011-12-23 201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60006285A (ko) * 2014-07-08 2016-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39546B1 (ko) * 2015-02-06 2021-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스크린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0824279B2 (en) * 2015-02-06 2020-11-03 Apple Inc. Remote feedback tapping for a touch sensor panel driving circuit
KR102374544B1 (ko) * 2015-09-18 2022-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10402617B2 (en) 2015-09-30 2019-09-03 Apple Inc. Input devices incorporating biometric sensors
TWI582678B (zh) * 2015-12-30 2017-05-1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電容感測裝置、指紋感測裝置與電容感測裝置製造方法
JP6562862B2 (ja) * 2016-03-29 2019-08-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装置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102558004B1 (ko) 2016-05-17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겸용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상기 터치 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26290B1 (ko) * 2016-05-30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578253B1 (ko) * 2016-10-21 2023-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정보 획득 방법
US20180203540A1 (en) * 2017-01-19 2018-07-19 Sharp Kabushiki Kaisha Discriminative controller and driving method for touch panel with array electrodes
KR101999196B1 (ko) * 2017-04-17 2019-07-11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장치 및 검출 방법
KR102356812B1 (ko) * 2017-05-19 2022-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 감지가 가능한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88B1 (ko) * 2014-04-02 2014-08-2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KR20150115607A (ko) * 2014-04-03 2015-10-14 에지스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Tft 지문 센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13509A (ko) * 2014-07-24 2016-02-04 크루셜텍 (주) 지문 인식 가능한 터치 검출 장치
KR20160033328A (ko) * 2014-09-17 2016-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지문 센싱 장치
KR20170016556A (ko) * 2015-08-03 2017-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40825A (ko) * 2015-10-05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을 갖는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022A (ko) * 2020-05-19 2021-11-26 (주)이엔에이치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20210143023A (ko) * 2020-05-19 2021-11-26 (주)이엔에이치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4024A1 (en) 2019-01-31
KR102364855B1 (ko) 2022-02-18
US10788922B2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2070A (ko) 지문/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605193B (zh) 用于手势检测及跟踪的电极布置
US8508492B2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press operation position thereon
KR101561351B1 (ko) 터치 검출 장치, 터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9128574B2 (en) Touch screen panel
US20140111707A1 (en) Touch Screen Panel
CN108319394B (zh) 触控面板及其驱动方法、触控装置
US9423918B2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KR102384229B1 (ko) 지문인식가능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2089735A (zh) 触摸面板、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20150042625A (ko) 터치 컨트롤러,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US20150324033A1 (en) Touch sensing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US9798431B2 (en) Touch electrode structure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KR102381121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05367A (ko) 용량 방식의 접촉 감지 장치
TWI630537B (zh) 具有壓力感測的觸控顯示系統
KR20160088533A (ko) 터치 센서
US9859616B2 (en) Antenna-equipped film and touch panel
CN107967085B (zh) 显示装置
JP2018169680A (ja) 表示装置
US10983628B2 (en) Touch module,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a touch display device
US10656744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touch display panel using same
KR20170026982A (ko) 지문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678217B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KR20150089711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