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360A -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360A
KR20190011360A KR1020170093516A KR20170093516A KR20190011360A KR 20190011360 A KR20190011360 A KR 20190011360A KR 1020170093516 A KR1020170093516 A KR 1020170093516A KR 20170093516 A KR20170093516 A KR 20170093516A KR 20190011360 A KR20190011360 A KR 2019001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ssembly
support
pres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8954B1 (en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954B1/en
Publication of KR2019001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3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9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material, comprising: a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pped holes in order to support a plate holding a plurality of materials; a pressurizing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to allow escalation thereof, and assembled with the plate so as to pressurize an adhesion plate, which keeps the plurality of materials pressed, against the plate; and a driving unit which operates the pressurizing plate. Therefore, this invention provide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productivity of an experiment by reducing required processes and time, and of cutting costs.

Description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0001]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0002]

본 발명은 하나의 판재에 많은 소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and rapidly assembling and separating many materials on one sheet material.

크기가 다른 2개의 전착도장된 소재들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실험에 규정된 압력으로 서로 밀착시켜 고정한 후 부식 실험 장치를 사용해서 틈새 부식에 관한 실험을 진행한다. 이때, 소재들 간 밀착부분에 일정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해 일측 소재의 표면에는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진 테이프를 임의의 간격으로 부착하여, 실험에 필요한 공간(틈새)을 확보하게 된다. Two electrodeposited materials of different sizes ar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the bolts and nuts at the pressure specified in the test, and the corrosion test is carried out using the corrosion test apparatus. At this time, a t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terial at an arbitrary interval in order to form a certain space i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aterials, thereby securing a space (gap) necessary for the experiment.

이러한 틈새 부식 실험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에 이르게 되는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The materials used in these crevice corrosion tests range from as few as several tens to as many as several hundreds, resulting in the following problems.

소재들에 각각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고 테이프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볼트홀의 천공과 소재들의 조립 및 분리에 따른 반복되는 공정과 소요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고, 더구나 일일이 손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조립체들 사이에 압력 편차가 발생하여 이에 따른 실험의 신뢰성과 재생성이 떨어지며 작업 부하의 원인인 된다. Since the bolts and nuts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materials and the tapes are attached thereto, the repeated processes, the time and cost due to the perforation of the bolt holes and the assembly and separation of the materials are increased. Moreover,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experiment are deteriorated, which causes the workload.

또한, 틈새 부식 실험의 종료 후 분리 과정에서 사용된 볼트와 소재의 부식으로 해체가 곤란하고, 해체시 부식물의 낙하와 비산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end of the crevice corrosion test,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bolts and materials used in the separation proces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contaminated by the falling and scattering of the corrosive materials at the time of disassembly.

(특허문헌 1) KR 1203613 B1 (Patent Document 1) KR 1203613 B1

본 발명은 하나의 판재에 많은 소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which can assemble and separate many materials accurately and quickly on one sheet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는, 복수의 단차진 관통홀을 구비하여 복수의 소재를 유지한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재에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소재를 압착되게 유지하는 밀착판을 상기 판재에 대해 가압시키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tepped through holes to support a plurality of workpieces; A pressing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which is pressed onto the plate by a pressing plate, which is assembled with the plate and holds the plurality of workpieces to be squeezed;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ressure pl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의 작동을 통해 밀착판이 복수의 소재의 표면을 판재에 대해 동시에 밀착시켜 조립될 수 있게 하므로, 소재를 준비하는 데에 소요되는 공정과 시간을 절감하여 실험의 생산성을 높이고, 볼트 및 너트와 볼트홀의 생략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surface of a plurality of workpieces by closely contacting the surfaces of the workpieces to the plate materia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thereby reducing the process and time required for preparing the workpieces, And the cost can be reduced by omitting the bolt, the nut and the bolt ho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의 제어를 통해 실험에 규정된 압력으로 편차 없이 밀착판과 소재를 밀착시켜 실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실험의 종료 후 소재의 부식에도 불구하고 소재를 분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공정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오염 방지로 환경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 by closely adhering the adhered plate and the material without deviation with the pressure specified in the experiment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and to separate the material despite the corrosion of the material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process and time required can be shortened remarkably, and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by preventing pollution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가 밀착판을 가압하여 소재 조립체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에 의해 조립된 소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가 밀착판을 소재 조립체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ork assembly and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a fastening plate to assemble a work assembly.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 assembly assembled by a work assembly and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fastening plate from the work assembly.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는, 복수의 단차진 관통홀(2)을 구비하여 복수의 소재(20; 도 3 내지 도 5 참조)를 유지한 판재(1)를 지지하는 지지판(10); 이 지지판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판재에 조립되어 복수의 소재를 압착되게 유지하는 밀착판(5)을 판재에 대해 가압시키는 가압판(12); 및 가압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5)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a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through holes 2 to hold a plurality of materials 20 (see FIGS. 3 to 5) A support plate (10) for supporting a plate (1); A pressure plate (12)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which is attached to the plate and presses the close plate (5) And a driving unit 15 for driving the pressure plate.

판재(1)는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PVC 등과 같은 연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plate member 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VC.

판재(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홀(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홀은 소재(20)의 형상과 상응하게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의 측면은 단차져 있으며, 판재의 상하로 개방되어 있다. 이들 관통홀이 후술하는 소재(20)를 보유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 are formed in the plate member (1) at regular intervals. Thes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ork 20, for example. The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stepped, and is open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late material. These through holes serve to hold the material 20 to be described later.

판재(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관통홀(2)에서, 판재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양측면에는 그 선단에 인접하여 한 쌍의 조립홀(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조립홀은 후술하는 밀착판(5)의 일측면에 형성된 조립핀(7a)의 삽입과 분리 과정 중에 팽창과 수축이 반복될 수 있다.In a through hole (2)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1), a pair of assembly holes (4)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rough holes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material. These assembly holes can be repeatedly expanded and contracted during the insertion and detachment of the assembly pin 7a formed on one side of the close-contact plate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판재(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에 인접하여 지지홀(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홀은 판재의 상하로 개방되어 있다. Supporting holes 3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member 1 adjacent to the respective end portions. These support holes are open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late material.

밀착판(5)은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외부는 전착도장 처리될 수 있다. 이 밀착판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조립핀(7a)이 밀착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조립핀 쌍들 사이마다 한 쌍의 스페이서(6)가 서로 이격되고서 밀착판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The adhered plate 5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and the outside may be electrodeposited. A plurality of assembly pins (7a) are arranged in pairs on the one side surface of the close plat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ose plate, and a pair of spacers (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fixed to the plate.

조립핀(7a)은 예컨대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assembly pin 7a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bar shape,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or the like.

조립핀 쌍들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스페이서(6)는 예컨대 대략 사각단면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PVC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져 밀착판에 고정될 수 있다. The pair of spacers 6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assembly pins may be formed into a rod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VC or the like and fixed to the close plate.

밀착판(5)의 조립핀(7a)과 판재(1)의 조립홀(4)은 위치와 간격이 서로 상응하게 배치되어 있어, 조립핀들이 조립홀들에 삽입됨으로써 밀착판과 판재가 결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재 조립체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The assembly pins 7a of the fastening plate 5 and the assembly holes 4 of the plate member 1 are arranged in positions and interv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assembly pins are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s, Thereby forming the material assembly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는 고정판(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은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등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8. [ The fixing plate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preferably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steel.

또, 고정판(8)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에 인접하여 고정홀(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홀에는 나사,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9)가 삽입되어, 이 고정구를 매개로 테이블이나 기타 구조물에 고정판이 고정될 수 있다.Fixing holes (3)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8)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espective end portions. A fixing hole 9 such as a screw, a bolt,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plate can be fixed to the table or other structure via the fixing hole.

고정판(8)의 상부면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기둥부가 직립하여 장착되며, 이들 기둥부의 상부에 지지판(10)이 고정되게 놓인다. A plurality of pillars are mounte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8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nd the supporting plate 10 is fixedly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s.

지지판(10)은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지지판의 중앙에는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의 분리홀(17)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판은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홀의 면적은 적어도 밀착판(5)의 면적보다 크게 되어야 한다. The support plate 1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steel or the like.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for example, a substantially quadrangular-shaped separation hole 17 is formed, and the support plate can be annular. The area of the separation hole should be at least larger than the area of the adhering plate 5.

지지판(10)의 상부면에서, 지지판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에 인접하여 지지핀(1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핀(11)은 예컨대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지지판 위에 판재(1)가 안착될 때, 판재의 지지홀(3)에 지지판의 지지핀이 삽입됨으로써, 지지판이 판재를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support pins 11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adjacent to the respective end portions. The support pin 11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bar shape, and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steel. When the plate member 1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the support plate of the support plat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3 of the plate member so that the support plate supports and fixes the plate member.

또한, 지지판(8)의 상부면에서, 지지판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에 접하여 스토퍼(13)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스토퍼는 예컨대 대략 사각단면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는 지지판(10)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부는 후술하는 지지부(14)에 고정된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8, stoppers 13 may b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end portions. The stopper can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pip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14 described later.

소재의 조립과 분리 과정에서 지지판(10)에 지지되는 판재(1)는 서로 반대 표면을 위쪽으로 하여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재의 조립 과정에는 판재의 관통홀(2)에서 단차진 측면이 위쪽으로 노출되게 된다. 소재의 분리 과정에는 판재가 조립 과정과는 반대로 뒤집어져 판재의 관통홀에서 단차진 측면이 아래쪽을 향하여 지지판에 놓이게 된다. The plate members 1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10 during the assembly and separation of the material can be seated with their opposite surfaces facing upward. Specifically,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material, the stepped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 of the plate material is exposed upwar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aterial, the plate is turned upside down as opposed to 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stepped side of the through hole of the plate is directed downward on the support plate.

실험의 종료 후 소재의 분리 과정에서 분리되는 밀착판(5)은 지지판(10)의 분리홀(17)을 통해 고정판(8) 쪽으로 낙하하게 된다.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adhered plate 5 separat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aterial falls to the fixed plate 8 through the separation hole 17 of the support plate 10.

가압판(12)은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등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압판은 하부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후술하는 구동부(15)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가압판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sure plate 12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steel. The pressure plate may include a lower plat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5,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plat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가압판(12)이 밑면에는 복수의 가압핀(7b)이 가압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가압핀과 판재(1)의 조립홀(4)은 위치와 간격이 서로 상응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가압핀은 조립홀의 구경 또는 폭보다 약간 작은 직경 또는 폭을 갖는 것이 좋다. 혹은, 가압핀들과 밀착판(5)의 조립핀(7a)들은 각각 위치와 간격이 서로 상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가압핀들은 조립핀(7a)들에 비하여 약간 작은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A plurality of pressing pins 7b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12 in pair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ure plate. These pressing pins and the assembly holes 4 of the plate member 1 are arranged in positions and interv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pressing pins may have a diameter or width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assembly hole. Alternatively, the pressing pins and the assembly pins 7a of the fastening plate 5 are arranged in positions and interv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pressing pins may have a slightly smaller diameter or width than the assembly pins 7a.

이에 따라, 소재의 조립 과정 중 가압판(12)은 밀착판(5)과 판재(1)의 결합시 구동부(15)를 통해 제어된 압력을 각 가압핀(7b)에 의해 균일하게 가할 수 있게 된다. 소재의 분리 과정에서는 소재 조립체를, 즉 판재(1)를 뒤집어 지지판(10)에 안착시키게 되고, 이때 가압판의 각 가압핀은 밀착판의 반대쪽에서 판재에 있는 각각의 해당 조립홀(4)에 삽입되어 판재의 조립홀을 통해 결합한 밀착판의 조립핀(7a)을 판재의 조립홀로부터 밀어내게 됨으로써, 결국 밀착판과 판재가 서로 분리되고 밀착판은 지지판(10)의 분리홀(17)을 통해 낙하한다. The pressure plate 12 can uniformly apply the pressure controlled by the driving unit 15 through the pressing pins 7b when the plate 5 and the plate 1 are coupled with each other . In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assembly, that is, the plate material 1 is turned upside down on the support plate 10, and each press pin of the pressure plate is inserted into each corresponding assembly hole 4 in the plate material, The assembly plate and the plate materi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adhesive plate is separated from the assembly hole of the plate through the separation hole 17 of the support plate 10 Falls.

지지부(14)는 스토퍼(13)의 상부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지지부는 예컨대 대략 사각형상의 판부재로서, 스틸 등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지지부의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이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구동부(15)가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4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13. [ Such supports may be, for example,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members,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steel or the like.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driving portion 15 can be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구동부(15)는 예컨대 유체압 실린더나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공압 실린더가 예시되어 있다. The driving unit 15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fluid pressure cylinder or an electric actuator. The drawings illustrate pneumatic cylinders.

추가로 구동부(15)에는 압력계(16)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압력계는 예컨대 스토퍼(13) 중 하나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판재(1)에 밀착판(5)이 결합하는 도중의 압력을 표시할 수 있다.
A pressure gauge 16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unit 15. The pressure gauge may be installed on one of the stoppers 13 to adjust the pressure on the way that the plate 5 is engaged with the plate 1 by the drive unit Can be display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가 밀착판을 가압하여 소재 조립체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에 의해 조립된 소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가 밀착판을 소재 조립체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terial assembly and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a fastener plate to assemble a workpiece assembly,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adhesive plate from the work assembly. FIG.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에 의한 소재 조립체의 조립과 분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ssembly and separation of the workpiece assembly by the workpiece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는 고정판(8)과 고정구(9)를 통해 테이블 또는 기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다.The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table or other structure through a fixing plate 8 and a fixture 9.

판재(1)의 지지홀(3)을 지지판(10)의 지지핀(11)에 삽입하여 판재를 지지판에 안착 및 고정시킨다. The support hole 3 of the plate member 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in 11 of the support plate 10 to seat and fix the plate member on the support plate.

이어서, 판재(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관통홀(2)에 전착도장된 소재(2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복수의 소재(20)를 보유지지하고 있는 판재의 위로 밀착판(5)을 위치시킨다. 밀착판의 조립핀(7a)들을 판재(1)에 있는 조립홀(4)들에 소정 깊이로 삽입하여 밀착판과 판재를 서로 인접하게 결합한다.Subsequently, the material 20, which has been electrodeposited and painted on the through holes 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plate material 1, and the close plate 5 is placed on the plate material holding the plurality of materials 20, . The assembly pins 7a of the fastening plate are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s 4 in the plate 1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fastening plate and the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구동부(15)의 작동로드를 신장시켜, 가압판(12)의 밑면에 있는 가압핀(7b)들을 밀착판(5)의 상면에 접촉하게 하고, 구동부의 작동로드를 더욱 신장시켜 가압판을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밀착판의 조립핀(7a)들을 판재(1)의 조립홀(4)들에 더욱 삽입되게 하여 밀착판이 복수의 소재(20)와 접촉하도록 판재 쪽으로 밀착시킨다. The operating rod of the driving unit 15 is stretched so that the pressing pins 7b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1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ightening plate 5 and the operating rod of the driving unit is further stretched to further lower the pressing plate The assembly pins 7a of the adhesive plate are further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s 4 of the plate member 1 so that the adhesive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member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materials 20. [

여기서, 스페이서(6)가 밀착판(5)과 소재(20) 사이에 개재되어 실험에 필요한 공간(틈새)을 확보하게 된다. 스페이서(6)는 원하는 공간(틈새)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 예컨대 두께를 가진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Here, the spacers 6 are interposed between the adhered plate 5 and the workpiece 20 to secure a space (gap) necessary for the experiment. The spacer 6 can be replaced with an appropriate size, e.g., a thicknes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sired space (gap).

그 후에, 구동부(15)의 작동로드를 수축시켜 가압판(12)이 상승되게 한다. 이로써 가압판의 밑면에 있는 가압핀(7b)들과 밀착판(5)의 상면 사이의 접촉을 해제하게 된다. Thereafter, the operating rod of the driving unit 15 is contracted to cause the pressure plate 12 to rise. As a result, the contact between the pressing pins 7b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5 is released.

복수의 소재를 보유지지하고서 밀착판(5)과 판재(1)의 결합을 통해 실험에 규정된 압력으로 조립된 소재 조립체는 밀착판의 조립핀(7a)들과 판재(1)의 조립홀(4)들 사이의 견고한 고정을 통해 제어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The material assembly assembled at the pressure specified in the experim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tightening plate 5 and the plate 1 while hold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is assembled with the assembly pins 7a of the tightening plate and the assembly holes 4) to maintain a controlled pressure.

실험을 위한 소재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되면 판재(1)를 지지판(10)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판재(1)를 지지판에 안착 및 고정시키고 판재의 관통홀(2)에 전착도장된 소재(2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나서, 복수의 소재를 보유지지하고 있는 판재의 위로 새로운 밀착판(5)을 위치시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After the assembly of the material assembly for the experiment is completed, the plate material 1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10, the new plate material 1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and fixed, and the material 20, which is electrodeposited on the through hole 2 of the plate material, And then a new adhering plate 5 is placed on the plate material hold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한편, 실험에 규정된 압력으로 밀착되어 조립된 소재 조립체는 스페이서(6)에 의해 생긴 일정한 공간(틈새)를 갖고 있으며, 예를 들어 부식 실험 장치를 사용해서 소재 조립체에 대해 틈새 부식에 관한 실험이 진행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assembly assemb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specified in the experiment has a certain space (gap) created by the spacer 6, and for example, an experiment on crevice corrosion with respect to the material assembly using a corrosion test apparatus .

실험이 완료되면, 소재 조립체의 판재(1)를 이전과는 거꾸로 하여 지지판(10)에 안착 및 고정시키고, 구동부(15)의 작동을 통해 가압판(12)의 각 가압핀(7b)은 밀착판(5)의 반대쪽에서 판재에 있는 각각의 해당 조립홀(4)에 삽입되어 판재의 조립홀을 통해 결합한 밀착판의 조립핀(7a)을 판재의 조립홀로부터 밀어내게 됨으로써, 결국 밀착판과 판재가 서로 분리되며 밀착판은 지지판의 분리홀(17)을 통해 낙하한다. When the test is completed, the plate material 1 of the material assembly is placed and fixed on the support plate 10 upside down from the previous one, and the pressurizing pins 7b of the pressure plate 12,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15, (7a) of the fastening plate (7a), which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corresponding assembly holes (4)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stening plate (5) through the assembly holes of the plate materi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tact plate falls through the separation hole (17) of the support plate.

이러한 공정은 소재의 준비를 위한 조립 과정 및 분리 과정에서 반복적이며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Such a process may be repeated and continuous in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separation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는, 판재(1)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을 통해 복수의 소재(20)를 순차적으로 안착시키고, 구동부(15)를 통해 제어된 압력으로 소재의 양측으로 밀착판(5)과 판재를 동시에 조립함으로써, 소재 조립체에 균일한 공간(틈새)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aterial assembl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aterials 20 sequentially placed on a plate 1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possible to form a uniform space (gap) in the work assembly by simultaneously assembling the plate 5 and the plate 5 to both sides of the work with the controlled pressure.

밀착판(5)과 판재(1)는 복수의 소재(20)를 조립핀(7a)과 조립홀(4)의 삽입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어된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신뢰성 높은 실험이 진행될 수 있게 한다. The contact plate 5 and the plate material 1 can firmly adhere the plurality of workpieces 20 by the insertion of the assembly pins 7a and the assembly holes 4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d pressure can be uniformly maintained, Allowing high-level experiments to proceed.

실험의 완료 후 판재(1)를 이전과는 거꾸로 하여 지지판(10)에 안착 및 고정시키고, 구동부(15)의 작동을 통해 가압판(12)의 각 가압핀(7b)이 밀착판(5)의 반대쪽에서 판재에 있는 각각의 해당 조립홀(4)에 삽입되어 판재의 조립홀을 통해 결합한 밀착판의 조립핀(7a)을 판재의 조립홀로부터 밀어내게 됨으로써, 밀착판과 판재가 서로 분리되며 밀착판은 지지판의 분리홀(17)을 통해 낙하한다. 이에 따라, 소재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est, the plate member 1 is placed and fixed on the support plate 10 in an inverted manner from that before, and the pressing pins 7b of the pressure plate 12 are fixed to the support plate 10 The assembly pin 7a of the fastening plate inserted through each of the corresponding assembly holes 4 in the plate member and coupled through the assembly holes of the plate member is pushed out of the assembly hole of the plate member, thereby separating the fastening plate and the plate member from each other, The plate falls through the separation hole (17) of the support plate.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terial can be easily separ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의 작동을 통해 밀착판이 복수의 소재의 표면을 판재에 대해 동시에 밀착시켜 조립될 수 있게 하므로, 소재를 준비하는 데에 소요되는 공정과 시간을 절감하여 실험의 생산성을 높이고, 볼트 및 너트와 볼트홀의 생략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surface of a plurality of workpieces by closely contacting the surfaces of the workpieces to the plate materia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thereby reducing the process and time required for preparing the workpieces, And the cost can be saved by omitting the bolts, nuts and bolt hol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의 제어를 통해 실험에 규정된 압력으로 편차 없이 밀착판과 소재를 밀착시켜 실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실험의 종료 후 소재의 부식에도 불구하고 소재를 분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공정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오염 방지로 환경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 by closely adhering the adhered plate and the material without deviation with the pressure specified in the experiment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and to separate the material despite the corrosion of the material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process and time required can be shortened remarkably, and pollution prevention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판재 2: 관통홀
3: 고정홀 4: 조립홀
5: 밀착판 6: 스페이서
7a: 조립핀 7b: 가압핀
8: 고정판 9: 고정구
10: 지지판 11. 지지핀
12: 가압판 13: 스토퍼
14: 지지부 15: 구동부
16: 압력계 17: 분리홀
1: Plate 2: Through hole
3: Fixing hole 4: Assembly hole
5: fastening plate 6: spacer
7a: Assembly pin 7b: Push pin
8: Fixing plate 9: Fixing plate
10: support plate 11. support pin
12: pressure plate 13: stopper
14: Support part 15:
16: pressure gauge 17: separation hole

Claims (11)

복수의 단차진 관통홀을 구비하여 복수의 소재를 유지한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재에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소재를 압착되게 유지하는 밀착판을 상기 판재에 대해 가압시키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A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tepped through holes and supporting a plate material hold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A pressing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which is pressed onto the plate by a pressing plate, which is assembled with the plate and holds the plurality of workpieces to be squeezed; And
A driving unit
And a device for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는 복수의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착판에는 상기 판재의 조립홀들과 각각 상응한 위치에 복수의 조립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판에는 상기 판재의 조립홀들과 각각 상응한 위치에 복수의 가압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립홀에 상기 조립핀 또는 상기 가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are formed in the plate material,
Wherein a plurality of assembly pins are formed on the fastening plat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s of the plate,
Wherein the pressing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ing pi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s of the plate,
Wherein the assembly pin or the pressing pin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은 상기 조립홀의 구경 또는 폭보다 작은 직경 또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pin has a diameter or width smaller than a diameter or width of the assembly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의 판재를 향한 일측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가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spacers ar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plate facing the plate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의 조립핀이 상기 판재의 조립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밀착판과, 복수의 관통홀에 상기 복수의 소재를 유지한 상기 판재가 결합하여 소재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plate of the fasten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of the plate member so that the fastening plate and the plate member holding the plural materials are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constitute the material assembl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에 인접하여 지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에 인접하여 지지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홀에 상기 지지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Support holes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member adjacent to the respective end portions,
Support pins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adjacent to the respective ends,
And the support pi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분리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홀의 면적은 적어도 상기 밀착판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eparation hole i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And the area of the separation hole is larger than at least the area of the adhering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에 접하여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는 지지부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에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a stopper is provided in contact with each end,
A support portion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And the driving par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압력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ressure gaug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소재의 조립시에는 상기 판재의 관통홀에서 단차진 측면이 위쪽으로 노출되게 상기 판재가 상기 지지판 상에 지지되고,
소재의 분리시에는 상기 판재가 조립시와는 반대로 뒤집어져 상기 판재가 상기 지지판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late material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so that a stepped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plate material is exposed upward when the material is assembled,
Wherein when the material is detached, the plate is turned upside down as opposed to the assembly, and the plate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조립시에는 상기 가압판의 가압핀은 상기 밀착판과 접촉하여 상기 밀착판을 상기 판재 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소재의 분리시에는 상기 가압판의 가압핀이 상기 밀착판의 반대쪽에서 상기 판재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상기 밀착판의 조립핀을 상기 판재의 조립홀로부터 밀어내게 됨으로써, 상기 밀착판과 상기 판재가 서로 분리되고 상기 밀착판은 상기 지지판의 분리홀을 통해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essing pin of the pressing plate contacts the pressing plate to press the pressing plate toward the plate material,
The pressing pin of the press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plate materia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ing plate to push the pressing pin of the pressing plate from the fitting hole of the plate, And the contact plate is dropp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 of the support plate.
KR1020170093516A 2017-07-24 2017-07-24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KR1019989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16A KR101998954B1 (en) 2017-07-24 2017-07-24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516A KR101998954B1 (en) 2017-07-24 2017-07-24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360A true KR20190011360A (en) 2019-02-07
KR101998954B1 KR101998954B1 (en) 2019-07-11

Family

ID=6536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16A KR101998954B1 (en) 2017-07-24 2017-07-24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9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0690A (en) * 2021-09-28 2021-12-10 智新科技股份有限公司 Feeding and press-mounting device for composite flexible positioning p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98A (en) * 2003-07-01 2005-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Jig-device for testing adhesive strength
KR101336190B1 (en) * 2011-11-23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est Piece Pressure Apparatus Using Control Member of Adhesive Thickness
KR20140028435A (en) * 2012-08-29 2014-03-10 (주)기성리서치 Piercing and pinnacle shearing mold
KR101761567B1 (en) * 2016-04-26 2017-08-04 (주)세원물산 Modling device for shear test of mo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98A (en) * 2003-07-01 2005-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Jig-device for testing adhesive strength
KR101336190B1 (en) * 2011-11-23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est Piece Pressure Apparatus Using Control Member of Adhesive Thickness
KR20140028435A (en) * 2012-08-29 2014-03-10 (주)기성리서치 Piercing and pinnacle shearing mold
KR101761567B1 (en) * 2016-04-26 2017-08-04 (주)세원물산 Modling device for shear test of mol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0690A (en) * 2021-09-28 2021-12-10 智新科技股份有限公司 Feeding and press-mounting device for composite flexible positioning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954B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5320B (en) Compression shear test device
KR101654164B1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tension compression specimen during electricity pulsing
KR101998954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ample
JP6815737B2 (en) Chain disassembly machine
KR20160109566A (en) Fixing Device For Ultrasonic Probe
KR100827799B1 (en) Scrap cutter for fine blanking press
US9409261B2 (en) Retaining device for the form-fitting and/or force-fitting arrangement of two components to be connected in a bonded man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retaining device
KR200484480Y1 (en) The Jig for widen between pipe flanges
CN203696847U (en) Solid adhesive test piece bonding location clamp
CN109406255B (en) Clamp for bursting test of coating fabric membrane material and bursting device
US20140013856A1 (en) Dynamic test fixture
JP2010517308A (en) Compression clamp for semiconductor products
US6520341B2 (en) Screen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 vibrating screen separator
US20130340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fillet bond
WO2012098679A1 (en) Apparatus for bonding work pieces, and press-curing apparatus
KR101783468B1 (en) Stress and tension devices for removable bridges with the connectin carbon fiber
JP5336940B2 (en) Lower mold device for press brake
JP2006264039A (en) Press bonding device and press bonding method
JP2009114796A (en) Column core assembling apparatus
KR20180134046A (en) Apparatus for adjusting interval of pipe
KR101420658B1 (en) Connection device for structure of plate type
CN104931333B (en) A kind of reducing in-situ locally is pressed into test device
KR101219843B1 (en) Vertical Installed Type Parallel Gate Valve Contact Check Tool
CN107037616B (en)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color development abnormity inspection jig
KR101908794B1 (en) Clamping apparatus and performance test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