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315A - 오일 히터 - Google Patents

오일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315A
KR20190011315A KR1020197001206A KR20197001206A KR20190011315A KR 20190011315 A KR20190011315 A KR 20190011315A KR 1020197001206 A KR1020197001206 A KR 1020197001206A KR 20197001206 A KR20197001206 A KR 20197001206A KR 20190011315 A KR20190011315 A KR 2019001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il
oil heater
air chamb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오 웨
원펑 왕
샤오탄 천
웨이핑 저우
원보 두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193373.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19172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974401.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369661A/zh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04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a closed circuit for a heat transfer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1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e.g. formed by extrusion
    • F28F1/1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e.g. formed by extrusion the element being built-up from finned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overheating, e.g. heat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오일 히터(100)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된 2개의 유관(1), 양단이 각각 2개의 유관(1)에 설치된 복수의 방열판(2)을 포함하며, 각 방열판(2)의 내부에는 2개의 유관(1)과 관통된 오일 통로가 설치되고 각 방열판(2)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오일 통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에어 챔버(21)가 설치되며, 각 에어 챔버(21)에는 위쪽 공기배출구(210)가 설치되고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 상기 유관(1)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공기흡입구(211)가 설치되며, 각 공기흡입구(211)에는 에어 챔버(21)에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오일 히터
본 발명은 생활 전기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히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종래의 오일 히터는 히트스틱을 이용하여 금속 캐비티 내의 열전달 오일을 가열하면 고온의 열전달 오일이 금속 캐비티 및 캐비티의 방열판을 통하여 주변의 공기환경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난방 목적을 실현하는 것을 작업원리로 한다. 통상적으로, 금속 캐비티 및 방열판의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 환경에 대한 방열에 유리하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오일 히터의 방열판 가장자리에는 통상적으로 얇은 에어 챔버가 설치되며 에어 챔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에어 벤트가 설계되며 공기는 에어벤트에서 에어 챔버로 가이드되고 공기의 열전도율이 금속(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을 뜻함)의 열전도율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관련 기술의 오일 히터는 방열판의 제일 가장자리에서 부분적 단열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하지만 오일 히터는 단순하게 에어 챔버 내의 에어 단열설계에 의거해서는 방열판의 가장자리를 충분하게 냉각시킬 수 없고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관련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를 해결하려는데 취지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오일 히터를 제공하며 방열판 가장자리의 방열면적을 확대하고 방열판의 내면 및 외면 공기의 유동강도를 증가시키며 방열판 가장자리의 온도를 저감시키고 방열판의 방열능력을 강화함으로써 오일 히터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된 2개의 유관, 양단이 상기 각 2개의 유관에 설치된 복수의 방열판을 포함하며, 각 상기 방열판의 내부에는 상기 2개의 유관과 연통된 오일 통로가 설치되고 각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오일 통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에어 챔버가 설치되며, 각 상기 에어 챔버에는 위쪽 공기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챔버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 상기 유관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공기흡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각 공기흡입구에는 상기 에어 챔버에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는 방열판의 가장자리에 공기흡입구와 위쪽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에어 챔버가 설치되고 공기흡입구에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방열판 가장자리의 전열면적을 확대하고 방열판 내면과 외면의 공기 유동강도를 증가시키며 방열판 가장자리의 온도를 저감시키고 방열판의 방열능력을 강화하여 오일 히터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 히터는 또 열전달 오일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금속 온도제어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오일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전원을 절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챔버는 상대적 측벽의 각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된 복수의 상기 공기흡입구가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은 상기 에어 챔버의 내부에 인입한다.
선택적으로,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은 상기 에어 챔버의 외측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각 상기 에어 챔버의 일 측벽의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은 상기 에어 챔버에 인입하고 각 상기 에어 챔버의 다른 일 측벽의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은 상기 에어 챔버의 외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에서 에어 챔버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의 연장길이는 인접한 2개 상기 에어 챔버 사이 거리의 1/2을 초과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동일 측벽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평행되도록 설치된다.
더 나아가,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직 평면 사이 협각의 값 범위는 5° 내지 15°로 한다.
선택적으로, 각 상기 에어 챔버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복수의 공기흡입구는 상기 유관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일대일로 대향하여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각 상기 에어 챔버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각 상기 방열판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모두 상기 에어 챔버가 설치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 구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 구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오일 히터의 에어 챔버 실시예의 A-A단면 개략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오일 히터의 에어 챔버의 다른 일부 실시예의 A-A단면 개략도이다.
도6은 도2의 A부분의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7은 도3의 B부분의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8은 도4의 C부분의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9는 도5의 D부분의 국부적 확대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 및 관련 기술의 방열판의 가장자리 온도의 분포 곡선 비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해둬야 할 것은, 용어 "길이", "상", "하", "연직", "수평", "위쪽", "내", "외" 등이 설명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나 위치관계를 바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설명 및 간략 설명의 편리함만을 위한 것이며, 해석하고자 하는 장치 또는 구성 요소의 특정적인 방위, 특정적인 방위 구조 및 작동을 명시하거나 시사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이외에, 용어 "제1", "제2"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쓰이며,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해석하고자 하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명시하거나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당해 특징을 포함함을 명시하거나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복수"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이나 한정을 하지 않는 한, 용어 "설치",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별도로 명확한 규정이나 한정을 하지 않는 한,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호 통신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개물을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구성 요소 내부의 연통 또는 두 구성 요소의 상호 역할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100)를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의 화살표는 상하 방향에서 냉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다.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100)는 2개의 유관(1)과 복수의 방열판(2)을 포함한다.
2개의 유관(1)은 상하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분포된다. 각 방열판(2)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유관(1)에 설치되고 각 방열판(2) 내에는 2개의 유관(1)과 관통된 오일 통로(미도시)가 설치되며, 다시 말해, 2개의 유관(1)은 복수의 방열판(2)의 오일 통로(20)가 관통되어 오일 순환통로를 형성한다. 각 방열판(2)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오일 통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에어 챔버(21)가 설치되며, 각 에어 챔버(21)에는 위쪽 공기배출구(210)가 설치되고 유관(1)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 공기흡입구(211)가 설치되며, 각 공기흡입구(211)에는 에어 챔버(21)에 공기를 가이드시키기 위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가 설치된다.
오일 히터(100)는 또 하측에 위치한 유관(1)에 설치된 히트 스틱을 포함하여 유관(1) 내의 열전달 오일을 가열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일 히터(100)에 바이메탈 온도제어 소자가 설치되어 열전달 오일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도달 시 온도제어 소자가 자동으로 전원을 절단함으로써 오일 히터(100)의 안전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오일 히터(100)에 전원을 접속하면, 하측에 위치한 유관(1) 내의 열전달 오일이 히트 스틱에 의해 가열되고 고온의 열전달 오일이 복수의 방열판(2) 내의 오일 통로를 통하여 상측의 유관(1)으로 상승하면서 오일 통로의 순환이 형성되며, 오일 히터(100)는 2개의 유관(1)과 방열판(2) 벽측 표면을 통하여 열전달 오일의 열량을 방사함으로써 주변의 공기환경을 가열시키고, 공기에 의해 냉각된 열전달 오일은 하측에 위치한 유관(1)으로 내려가 다시 히트 스틱을 통하여 가열되고 새로운 순환을 시작한다.
오일 히터(100) 외부의 냉공기는 에어 챔버(21) 공기흡입구(211)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를 통하여 에어 챔버(21)의 내부로 가이드되고 위쪽 공기배출구(210)를 통하여 배출되는바, 다시 말해, 방열판(2) 가장자리의 에어 챔버(21)에서 공기 유동통로가 형성되고 공기 유동과정에서 방열판(2)의 가장자리에 대해 산열함으로써 방열판(2) 가장자리의 온도를 저감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는 모두 공기흡입구(211)가 설치되므로, 서로 인접한 2개 방열판(2)에서 동일 측에 위치한 에어 챔버(21)는 접촉하지 않고, 서로 인접한 2개 방열판(2) 사이에서 공기 유동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오일 히터(100) 외부의 수평방향의 냉공기가 공기 유동통로를 통하여 오일 히터(100)의 서로 인접한 방열판(2) 사이의 오일 통로 부분의 고온영역으로 가이드되고, 서로 인접한 방열판(2) 사이에서 순환 유동하면서 열교환한다. 따라서 수평방향의 냉공기와 방열판(2) 가장자리의 근접을 증가시키고 방열판(2)의 외면 공기의 유동강도와 방열판(2) 가장자리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방열판(2) 가장자리의 온도를 내려줌으로써 오일 히터(100)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고온영역"은 단지 방열판(2)에서 오일 통로를 설치하는 영역의 온도가 방열판(2)에서 에어 챔버(21)를 설치하는 영역의 온도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지, 구체적인 온도값을 특별 지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100)는 관련 기술의 오일 히터에 비하여 방열판(2)의 가장자리에 에어 챔버(21)를 설치하여 방열판(2) 가장자리의 공기 간격을 확대함으로써 방열판(2) 가장자리의 전열면적을 확대하고 방열판(2) 가장자리의 방열 및 방열판(2) 가장자리의 온도 저감에 유리하게 한다
발명자가 대량의 실험을 통하여 발견한 바에 따르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 히터 (100)에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공기흡입구(211)를 증가 설치할 경우, 방열판(2) 가장자리의 온도 저감에 유리하다. 관련 기술의 오일 히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오일 히터(100)는 방열판(2) 가장자리의 온도를 기존의 기준 초과한 온도에서 안전요구 범위로 저감시킴으로써 온도를 20% 저감시키고 방열판(2) 전체의 전열파워를 1% 소량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100)는 방열판(2)의 가장자리에 공기흡입구(211)와 위쪽 공기배출구(210)를 구비한 에어 챔버(21)가 설치되고, 공기흡입구(211)에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가 설치됨으로써 방열판(2) 가장자리의 전열면적을 확대하고 방열판(2) 내면과 외면 공기의 유동강도를 증가시키며, 방열판(2) 가장자리의 온도를 저감시키고 방열판(2)의 방열능력을 강화하여, 오일 히터(100)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된 복수의 공기흡입구(211)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공기흡입구(211)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분포는 복수 공기흡입구(211)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되게 함으로써, 에어 챔버(21)의 동일 측벽에 블라인드 구조의 공기흡입구(211)를 형성한다. 상하 방향에서 오일 히터(100) 외부의 공기는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유도작용에 의해 복수의 공기흡입구(211)를 통하여 에어 챔버(21) 내부로 가이드됨으로써 에어 챔버(21) 내 외부 냉공기 유동량을 증가시키고, 방열판(2) 내면 공기의 유동강도를 증가시키며 방열판(2) 가장자리의 강온속도를 향상시킨다. 다른 측면에서, 복수의 공기흡입구(211)는 블라인드 구조를 형성하여 간섭역할을 함으로써, 공기가 공기흡입구(211)에서 난류를 형성하고 공기흡입구(211)의 기류 경계층을 파괴하며, 나아가 공기흡입구(211) 주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방열판(2)의 방열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열판(2) 가장자리의 냉각에 유리하다.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는 상하 방향에서 일정한 경사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냉공기에 대해 일정한 유도역할을 한다는 점은 당연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수평방향은 도2 내지 도5에서 지면(紙面)과 수직된 방향을 나타낸다.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자유단을 에어 챔버(21) 내에 인입한다. 따라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는 에어 챔버(21) 외부의 냉공기에 대한 유도역할을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날카로운 모서리에 부딪히지 않게 하며 사용자의 긁힘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오일 히터(100)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3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자유단은 에어 챔버(21)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부 냉공기에 대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유도효과를 한층 향상시켜, 에어 챔버(21) 내 냉공기의 유통면적을 확보하며, 나아가 에어 챔버(21) 내에서 냉공기 유동과정에 유통면적 감소로 인해 큰 저애력을 받지 않도록 방지하며 에어 챔버(21) 내 표면 공기의 유동강도를 향상시키고 방열판(2) 가장자리의 강온속도를 향상시킨다.
발명자가 실험을 통해 발견한 바에 따르면,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에서 에어 챔버(21) 외측에 위치한 부분의 연장길이가 서로 인접한 2개 에어 챔버(21) 사이 거리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공기흡입구(211)의 냉공기에 대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간섭효과가 가장 뚜렷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예시에 따르면,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에서 에어 챔버(21) 외측에 위치한 부분의 연장길이는 서로 인접한 2개 에어 챔버(21) 사이 거리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다.
도5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에어 챔버(21)의 일 측벽의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자유단을 에어 챔버(21) 내에 인입하고 각 에어 챔버(21)의 다른 일 측벽의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자유단을 에어 챔버(21)의 외측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외부 공기에 대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유도효과를 한층 향상시켜, 공기흡입구(211) 공기에 대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간섭역할을 증가시키고 공기흡입구(211) 주변 공기의 대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며 방열판(2)의 방열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열판(2) 가장자리의 냉각에 유리하다.
더 나아가, 동일 측벽에 위치한 복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는 평행되도록 설치된다. 이로부터 아시다시피, 동일 측벽에 위치한 복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와 연직 평면 사이의 협각은 서로 같게 설계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편리한 오일 히터(100)를 구현한다. 이와 동시에 동일 측벽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가 서로 다른 공기흡입구(212) 공기에 대한 동일한 간섭효과와 서로 다른 공기흡입구(211)를 통하여 에어 챔버(21)에 가이드된 냉공기의 동일한 유동량을 확보함으로써 냉공기가 에어 챔버(21) 내에서 유동과정에 큰 저애력을 받지 않도록 방지하며 나아가 에어 챔버(21) 내면 공기의 유동강도를 확보하여 방열판(2) 가장자리의 냉각에 유리하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수직방향은 오일 히터(100)의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발명자가 실험을 통하여 발견한 바에 따르면,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와 연직평면의 협각이 5° 내지 15°일 경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가 냉공기에 대한 유도효과가 가장 현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서,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와 연직평면 사이 협각의 값 범위는 5°-15°로 한다.
선택적으로,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복수 공기흡입구(211)는 유관(1)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일대일로 대향하여 설치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편리한 오일 히터(100)를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공기흡입구(211)는 상하 방향에서 엇갈리게 설치된다. 이로부터 아시다시피, 각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블라인드 구조의 공기흡입구(211)는 상하 방향에서 비대칭으로 분포되며, 나아가 블라인드 구조의 공기흡입구(211)는 에어 챔버(21) 내 유동하는 냉공기가 공기 유통면적 감소로 인해 비교적 큰 저애력을 받는 것을 방지하며, 방열판(2)의 내면 공기의 유동강도를 확보하며, 방열판(2) 가장자리의 냉각에 유리하다. 각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 자유단의 연장방향은 실제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각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 자유단은 동시에 에어 챔버(21) 내에 인입할 수 있고 동시에 에어 챔버(21)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각 에어 챔버(21)의 일 측벽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 자유단이 에어 챔버(21) 내에 인입되고 다른 일 측벽의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 자유단이 에어 챔버(21)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각 방열판(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모두 에어 챔버(21)가 설치됨으로써 방열판(2)의 전열면적을 한층 증가시키고 방열판(2)의 방열능력을 강화시킨다.
이하 도1, 도5 및 도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히터(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하기의 설명은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하기 기술적 해결방안을 읽고 나서 그 중의 기술적 해결방안 또는 부분적 기술적 특징에 대해 조합 또는 대체, 수정을 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보호를 요구하는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1, 도5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오일 히터(100)는 2개의 유관(1)과 복수의 방열판(2)을 포함한다.
2개의 유관(1)은 상하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분포된다. 각 방열판(2)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유관(1)에 설치되고 각 방열판(2)에는 2개의 유관(1)과 관통된 오일 통로가 설치되며, 각 방열판(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모두 오일 통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에어 챔버(21)가 설치된다.
각 에어 챔버(21)에는 위쪽 공기배출구(21)가 설치되고 유관(1)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에어 챔버(21)에서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된 7개의 공기흡입구(211)가 설치되며, 대향되는 측벽 중의 공기흡입구(211)는 상하 방향에서 엇갈리게 설치된다.
각 공기흡입구(211)에는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가 설치되고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와 연직 평면 사이 협각은 10°를 나타낸다. 각 에어 챔버(21)의 일 측벽의 각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자유단은 에어 챔버(21) 내에 인입되고 각 에어 챔버(21)의 다른 일 측벽의 각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의 자유단은 에어 챔버(21)의 외측에 위치하며, 에어 챔버(21) 외측에 위치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212) 부분의 연장길이는 서로 인접한 2개 에어 챔버(21) 사이 거리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참고용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징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 상호 모순되지 않는 상황에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으며,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변화, 수정, 대체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오일 히터: 100
유관: 1
방열판: 2
에어 챔버: 21
위쪽 공기배출구: 210
공기흡입구: 211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 212

Claims (12)

  1. 오일 히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된 2개의 유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2개의 유관에 설치된 복수의 방열판을 포함하며,
    각 상기 방열판의 내부에는 상기 유관과 연통된 오일 통로가 설치되고, 각 상기 방열판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오일 통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에어 챔버가 설치되며,
    각 상기 에어 챔버에는 위쪽 공기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챔버의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는 상기 유관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공기흡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각 공기흡입구에는 상기 에어 챔버에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열전달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메탈 온도제어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오일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챔버의 대향되는 측벽 중의 각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포된 복수의 상기 공기흡입구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이 상기 에어 챔버 내에 인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5.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이 상기 에어 챔버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6.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에어 챔버의 일 측벽의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이 상기 에어 챔버 내에 인입되고,
    각 상기 에어 챔버의 다른 일 측벽의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자유단이 상기 에어 챔버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기 에어 챔버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의 연장길이는 인접한 2개의 상기 에어 챔버 사이 거리의 1/2을 초과하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8. 제3항에 있어서,
    동일 측벽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평행되도록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9.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공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직 평면 사이의 협각의 값 범위는 5° 내지 15°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에어 챔버의 대향되는 측벽 중의 복수의 공기흡입구는 상기 유관의 길이 방향과 평행으로 일대일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11.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에어 챔버의 대향되는 측벽 중의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방열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모두 상기 에어 챔버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히터.
KR1020197001206A 2016-10-28 2016-12-30 오일 히터 KR201900113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1193373.6U CN206191725U (zh) 2016-10-28 2016-10-28 油汀取暖器
CN201610974401.6A CN106369661A (zh) 2016-10-28 2016-10-28 油汀取暖器
CN201610974401.6 2016-10-28
CN201621193373.6 2016-10-28
PCT/CN2016/113777 WO2018076543A1 (zh) 2016-10-28 2016-12-30 油汀取暖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315A true KR20190011315A (ko) 2019-02-01

Family

ID=6202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206A KR20190011315A (ko) 2016-10-28 2016-12-30 오일 히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60343A4 (ko)
JP (1) JP2019531451A (ko)
KR (1) KR20190011315A (ko)
WO (1) WO2018076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7596A (zh) * 2018-09-04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取暖器
CN109268916A (zh) * 2018-11-27 2019-01-25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散热组件及电热油汀
CN109268918A (zh) * 2018-11-27 2019-01-25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散热单片及电热油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26255Z2 (it) * 1992-02-18 1997-06-02 Miralfin Srl Struttura di radiatore particolarmente per il riscaldamento di locali
IT241445Y1 (it) * 1996-03-22 2001-05-09 Laminox Srl Radiatore ad olio capace di mantenere i propri bordi esterni aridotta temperatura
GB9703040D0 (en) * 1996-07-12 1997-04-02 Basic Patents Space heaters
CN201368530Y (zh) * 2009-01-20 2009-12-23 康巨银 一种高效电暖气
CN203671745U (zh) * 2013-11-29 2014-06-25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
CN103822291B (zh) * 2014-03-07 2017-01-11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带有散热通道的电热油汀
CN204786732U (zh) * 2015-06-30 2015-11-18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油汀散热片以及具有它的油汀电暖器
CN105276660B (zh) * 2015-11-30 2019-07-2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散热片及具有其的取暖器
CN205261721U (zh) * 2015-12-08 2016-05-25 宁波展知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封闭式管型散热通道的电热油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1451A (ja) 2019-10-31
EP3460343A1 (en) 2019-03-27
EP3460343A4 (en) 2019-05-22
WO2018076543A1 (zh)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6544A1 (zh) 油汀取暖器
JP4252971B2 (ja) 1缶式複合熱源機
CN106524786B (zh) 油汀换热器
JP2008205421A (ja) 熱交換器
KR20190011315A (ko) 오일 히터
JP4891617B2 (ja) 水冷式ヒートシンク
JP2009099740A (ja) 筐体の冷却装置
US20200208875A1 (en) Heat Transfer Fin and Fin-Tube Type Heat Exchanger Unit Using the Same
CN102279639A (zh) 散热装置及其离心式风扇
WO2018176830A1 (zh) 散热组件及电热油汀
CN205825570U (zh) 一种半导体冰箱的散热装置
KR101749060B1 (ko) 연소실 냉각 및 연소열 회수 구조를 구비한 연소장치
CN107749693A (zh) 电机机座散热结构
CN106338095B (zh) 油汀取暖器
EP3240376B1 (en) Cabinet
CN206191727U (zh) 油汀取暖器
TWI615090B (zh) 散熱裝置
CN106369661A (zh) 油汀取暖器
WO2018176832A1 (zh) 散热单片及电热油汀
CN101677503B (zh) 散热装置
TW201124691A (en) Heat dissipation device
KR101253240B1 (ko) 방열용 핫 플레이트
WO2022161322A1 (zh) 洗碗机的热风装置和洗碗机
CN214111507U (zh) 3d打印机及其喷头散热结构
WO2018176775A1 (zh) 散热组件及电热油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