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984A -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984A
KR20190010984A KR1020170093324A KR20170093324A KR20190010984A KR 20190010984 A KR20190010984 A KR 20190010984A KR 1020170093324 A KR1020170093324 A KR 1020170093324A KR 20170093324 A KR20170093324 A KR 20170093324A KR 20190010984 A KR20190010984 A KR 20190010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vent
image
abnormal
abnormal behav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정지영
Original Assignee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정지영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정지영, 김광수 filed Critical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984A/ko
Publication of KR2019001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이상 활동 탐지에 있어 종래 사용자의 휴대가 필요한 이동 단말기의 채용 없이 간편하면서도 정확성이 향상된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주파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이벤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및 상기 영상판독부에서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A MODULE FOR DETECTING ABNORMAL ACTIVITY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자의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 대한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집은 미취학 아동을 돌보고 기르는 시설로서, 어린이의 보호자가 어린이를 돌볼 수 없을 때, 보호자의 위탁을 받아 보육하는 시설이다.
어린이를 보육해야하는 어린이집에서 근래에는, 보육교사에 의해 아동 학대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아동 학대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아동 학대는 아동의 생명을 좌우하고 평생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긴박하면서도 중요한 사안이다. 특히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경우,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학대에 취약하여 그 학대 후유증이 심각하며 심할 경우 아동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학대받은 아동의 억울함을 대변하고 도움을 청할 주체가 부재하기 때문에 아동학대는 늘 아이들의 안타까운 희생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다.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보육교사 학대 확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보육시설 내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있으나, 보육시설 내에 사각지대 없이 CCTV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설사, 보육시설 내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아동들을 촬영하였다고 하더라도, 아동 학대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시간대에 촬영된 영상을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의 저장 용량 한계로 인해 일정 기간이 지난 영상을 보관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훼손 또는 분실 우려가 큰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헬스케어 기술이 IT 기술과 접목되면서 만성질환자, 고령자 또는 특이질환자들이 굳이 병원에 입원하지 않아도 가정, 양로원 또는 실버타운 등에서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 판단하여 이상징후가 발생했을 때 그에 맞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나타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999-0041503호 및 제2000-0059580호는 사람의 신체에서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센서로부터 맥박을 검출하고 맥박수가 정상적인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외부의 의료센터나 응급구조대응이 가능한 관련 기관 등에 알리는 기술을 언급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생체 신호만을 근거로 응급 상황을 판단하는 기술들은 일상생활을 하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신호(또는 생체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노이즈로 인해 오판할 우려가 있어,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응급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구급하는 일명 낙상폰이라고 하는 낙상 감지 휴대 전화가 있다. 이러한 낙상폰을 이용한 개인 응급상황 경보시스템(PEAS; Personal Emergency Alarming System)은 사용자가 특수 센서를 휴대하고 넘어졌을 때 센서에 의해 측정된 급변하는 데이터를 낙상으로 인식하고 경고음을 울리며, 병원 구급 시스템과 가족 휴대전화에 응급 상황을 알린다. 이때, 구조에 나선 사람은 사용자의 휴대 전화에 내장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통해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낙상이 아닐 경우에는 사용자가 경고음을 끄면 된다.
그런데, 낙상폰이 인식한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의 정도가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길을 걷다가 단순 타박상에 불과할 정도로 넘어지는 경우에는 병원 구급 시스템이 운영되어 긴급 출동이 필요할 정도로 그 위급 정도가 심한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낙상을 인식한 낙상폰에 의해 병원 구급 시스템이 운영된다면, 정말 위급한 사용자가 긴급한 병원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고, 낙상이 인식될 때마다 병원 구급 시스템이 운영된다면 병원이나 관계 기관에 업무 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응급 상황을 감지하여 응급 상황을 자동으로 전파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한국 공개 특허 제2003-0058402호, 미국 공개 특허 제2008-0183106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95-148122호가 있고, 이에 대응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409984호는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응급 레벨을 판정하고, 응급 레벨에 따라 다른 상황 조치를 하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응급 레벨을 판정하지만,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제한된 배터리에 의해 복수의 센서를 항시 구동하는 것은 활용도가 낮을 수밖에 없고, 또 응급 레벨을 판정할 때 어느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우선 순위를 두는 지에 대한 언급이 없어 낙상에 대한 판정된 응급 레벨이 부정확할 수밖에 없고, 이 역시 신뢰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15-0128745호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이동 단말기로서, 가속도계 센서, 가속도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구분하고,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 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이상 활동의 탐지는 그 정확성에 한계가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 대해서는 원천적으로 기술적 해결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상 활동 탐지에 있어 종래 사용자의 휴대가 필요한 이동 단말기의 채용 없이 간편하면서도 정확성이 향상된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양태로서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주파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이벤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및 상기 영상판독부에서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설정된 주파수의 전파를 발산하는 주파수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감지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벤트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상판독부는 촬영부; 상기 이벤트에 대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영상만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영상을 촬영한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영상처리부 및 시간 설정부가 획득한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상기 가공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상기 영상판독부로부터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사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영상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와이파이를 이용한 이벤트 감지부에서 1차 감지 후 해당 이벤트를 영상판독부에서 2차 판독하여 이벤트 감지부로 피드백함으로써 원하는 비정상 행위에 대한 영상만이 제공되도록 하는 정확성이 향상된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 행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사용자의 휴대가 요구되는 이동 단말기의 채용 없이도 높은 정확도로 사용자의 이상 활동을 탐지할 수 있는 모듈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판독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모듈을 이용한 이상 활동 탐지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100)은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로서 이벤트 감지부(110), 영상판독부(120) 및 데이터베이스부(130)와, 구성원 관리 서버(140) 및 관리자 단말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본 발명에서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최초 사용자의 이상 활동을 감지하며 네트워크(N)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주파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감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벤트 감지부(110)는 설정된 주파수의 전파를 발산하는 주파수 송수신부(111),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감지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12) 및 상기 이벤트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송수신부(111)는 와이파이 통신 기반으로 소정 주파수대의 전파를 발산 및 수신하게 되고, 제어부(112)에서는 발산 및 수신된 전파의 패턴에 기초하여 이벤트 감지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발산 및 수신된 전파의 패턴이 일반적인 경우, 즉 일상 생활 중에서의 사용자로부터 반사되어 형성된 패턴일 경우에는 이벤트 감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의 낙상, 넘어짐, 충격 등 이상 활동으로부터 반사되어 형성된 패턴일 경우에는 이벤트 감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12)는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저장된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감지부(110)로 전송하게 되는데, 제어부(112)는 상기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에 비정상 행위로 인식하였던 이벤트의 경우 동일 내지 유사한 패턴에 대해서는 비정상 행위로 인식하지 않아 이벤트 감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영상판독부(120)는 본 발명에서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영상 정보의 취득 및 전송과 함께 상기 이벤트 감지부(110)의 기능을 보완하며 역시 네트워크(N)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영상판독부(120)는 이벤트 감지부(110)로부터 이벤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판독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판독부(120)는 촬영부(121), 이벤트에 대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하는 판독부(122), 상기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영상만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123), 상기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영상을 촬영한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 설정부(124), 상기 영상처리부(123) 및 시간 설정부(124)가 획득한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125), 상기 가공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126), 상기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127) 및 영상관리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실내외에 설치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영상관리부(128)는 촬영부(1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촬영부(121)는 영상관리부(128)에 직접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영상관리부(128)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고, 촬영부(121)가 소위, IP 카메라 등인 경우 네트워크(N)를 통해 영상관리부(128), 후술하는 구성원 관리 서버(140), 관리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에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판독부(122)는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함으로써 이벤트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해당 이벤트가 실제 비정상 행위인지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종래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벤트 여부를 판별할 경우, 비 휴대 시 탐지 불가 문제 뿐 아니라 그 정확성에 문제가 있어 와이파이 통신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여 이벤트 여부를 판별하더라도, 여전히 무의미한 정상 행위 자료가 전송되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도록 한다.
여기서, 피사체의 비정상 행위 여부의 판독은 예컨대,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와 기 설정된 템플릿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공지의 머신러닝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비교기는 촬영된 영상에서 특징적 패턴 또는 형상을 비교하여 유사한 정도를 수치적으로 산출하는 수단이다.
영상처리부(123)는 촬영된 영상 중 상기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영상만을 획득하도록 한다.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시각 전후의 영상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의 영상은 무의미한 자료를 형성하므로, 영상처리부(123)에서는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시각 전후의 대략 3~20초, 바람직하게는 5~15초 간의 영상만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간 설정부(124)는 촬영부(121)가 영상을 촬영한 시간을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시간 설정부(124)는 예컨대, 후술하는 구성원 관리 서버(140)와 통신하여 시간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데이터 가공부(125)는 상기 영상처리부(123) 및 시간 설정부(124)가 획득한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 구축하고 암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23) 및 시간 설정부(124)에서 얻은 정보는 특정 상황에 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한 행의 구조화된 데이터는 촬영 영상 하나 당 하나의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26)는 상기 데이터 가공부(125)에서 가공된 영상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후술하는 구성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제2 통신부(127)는 상기 판독부(122)에서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통신부는 네트워크(N)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N)를 통해 구성원 관리 서버 등 네트워크(N)에 연결된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에 내장 또는 외장 가능한 것으로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클라이언트,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영상판독부(120)에서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110)로 전송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제2 통신부(127)로부터 전송받은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이를 이벤트 감지부(110)로 전송함으로써 이벤트 감지부(110)에서 상기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에 비정상 행위로 인식하였던 이벤트의 경우 동일 내지 유사한 패턴에 대해서는 비정상 행위로 인식하지 않아 이벤트 감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감지부(110), 영상판독부(120) 및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을 이용한 이상 활동 탐지 흐름을 도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모듈을 이용한 이상 활동 탐지는 이벤트 발생 단계(S110); 비정상 행위 추정 단계(S120); 비정상 행위 판독 단계(S130); 및 비정상 행위 알림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단계(S110)는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로 추단되는 이벤트의 발생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비정상 행위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 중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은 행위로서, 걷고 있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또는 뛰고 있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또는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등을 가리키는 행위이다. 일 예로, 보육 시설 내 어린이가 외력에 의해 넘어지는 행위를 비정상 행위로 볼 수 있다.
비정상 행위 추정 단계(S120)는 이벤트 감지부(110)의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주파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감지하는 단계로서, 이벤트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이벤트는 비정상 행위를 추정할 뿐 확정된 비정상 행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는 아니다.
비정상 행위 판독 단계(S130)는 영상판독부(120)에서 이벤트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에 기반하여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이다. 비정상 행위로 판독 시 대응 영상 정보는 구성원 관리 서버(140)로 전송되어 최종 관리자 단말기(150)에서 알림받아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정상 행위 판독 단계(S130)에서 수신된 이벤트가 정상 행위로 판독될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30)로 전송 및 저장된 후 이벤트 감지부(110)로 피드백되어, 이후 이벤트 감지부(110)는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에 비정상 행위로 인식하였던 이벤트의 경우 동일 내지 유사한 패턴에 대해서는 비정상 행위로 인식하지 않아 이벤트 감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100)에서 구성원 관리 서버(140)는 영상판독부(120)로부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사실 및/또는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을 수신한 경우, 해당 시간에 비정상 행위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비정상 행위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원 관리 서버(140) 및/또는 영상 관리 서버(16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121)의 피사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 관리 서버(160)는 소정 권한을 가진 각종 단말기 또는 서버(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150) 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140)일 수 있다)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촬영부(121)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관리 서버(1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원 관리 서버(14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관리 서버(160)와 구성원 관리 서버(140)는 하나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성원 관리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 단말기 형태의 구성원 관리 서버는 예컨대, 보육 시설 내에 설치되되, 아이들이 출입하는 출입문 주변에 설치되어 아이들이 등하교시마다 영상판독부와 구성원 관리 서버 간에 통신(바람직하게는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원 관리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사실 및/또는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에 대한 이력 또는 통계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100)에서 관리자 단말기(150)는 유무선 인터넷, 이동통신, 근거리 통신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N)를 통해 구성원 관리 서버(14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학부모, 거동이 불편한 노인 등의 관리자 등과 같이 특정 구성원에 대해 소정의 권한을 가진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50)를 통해 구성원 관리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권한을 가진 관리자 단말기(150)는 구성원 관리 서버(140)에 대한 요청을 통해 상기 권한에 대응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에 의해 수집된 감지 데이터, 상기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탐지된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사실, 상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비정상 행위에 대한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150)는 영상판독부(120)에 의해 판단된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및/또는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관리 서버(160)로부터 해당 시간의 영상을 직접 수신하거나, 구성원 관리 서버(140)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140)는 영상 관리 서버(160)로부터 해당 시간의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구성원 관리 서버(140)가 영상 관리 서버(160)로부터 영상 획득시 영상 관리 서버(160)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단말기(150)는 영상판독부(120)에 의해 판단된 비정상 행위를 전송받은 경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소정의 그래픽 오브젝트(일 예로, 울상을 짓고 있는 캐릭터 얼굴 등) 또는 소정의 텍스트(일 예로, "오늘 충격이 있었습니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 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140)를 노드로 포함하는 네트워크(또는 통신망)는 각각을 노드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과 구성원 관리 서버(140)는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과 구성원 관리 서버(140)를 노드로 포함하는 성형(star), 환형(ring), 버스(bu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N)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도 있고, 동종 또는 이종의 둘 이상의 네트워크(또는 통신망)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100) 이상 활동 탐지 모듈(101)
이벤트 감지부(110) 주파수 송수신부(111)
제어부(112) 통신부(113)
영상판독부(120) 촬영부(121)
판독부(122) 영상처리부(123)
시간 설정부(124) 데이터 가공부(125)
제1 통신부(126) 제2 통신부(127)
영상관리부(128) 데이터베이스부(130)
구성원 관리 서버(140) 관리자 단말기(150)
영상 관리 서버(160) N: 네트워크
이벤트 발생 단계(S110) 비정상 행위 추정 단계(S120)
비정상 행위 판독 단계(S130) 비정상 행위 알림 단계(S140)

Claims (6)

  1.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주파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이벤트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및
    상기 영상판독부에서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설정된 주파수의 전파를 발산하는 주파수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감지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벤트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판독부는 촬영부; 상기 이벤트에 대한 촬영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비정상 행위 여부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영상만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비정상 행위가 포함된 영상을 촬영한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영상처리부 및 시간 설정부가 획득한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상기 가공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정상 행위로 판독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상기 영상판독부로부터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사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KR1020170093324A 2017-07-24 2017-07-24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90010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24A KR20190010984A (ko) 2017-07-24 2017-07-24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24A KR20190010984A (ko) 2017-07-24 2017-07-24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84A true KR20190010984A (ko) 2019-02-01

Family

ID=6536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324A KR20190010984A (ko) 2017-07-24 2017-07-24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0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918A (ko) *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제이토드 아동의 활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안전사고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918A (ko) * 2020-04-23 2021-11-02 주식회사 제이토드 아동의 활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안전사고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0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through portable devices
US10485452B2 (en)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9641664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sensor data
US9171445B2 (en) Activity level monitoring participant station network
CN106921700B (zh) 一种根据特征信息进行安全预判的方法、装置以及系统
US10743782B1 (en) Monitoring baby physical characterstics
US11688261B2 (en) Body-worn alert system
US10262521B2 (en)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EP3092630B1 (en) Dual mode baby monitoring priority application
US20170142246A1 (en) Improved positional awareness and locating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individuals and their caregivers
KR20160046690A (ko) 타겟이 휴대하는 휴대용 추적 장치 및 휴대용 추적 장치 동작 방법
US118329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airment baseline learning
US117436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ystem equipment diagnosis
US20170228508A1 (en) Proximity-based medical data retrieval
KR20190010984A (ko)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KR20170031358A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그룹 내 구성원들의 관리 지원 시스템
US20240054879A1 (en) Fall-classification device and arrangement
KR20170043267A (ko) 실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117010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tamper detection
KR101752387B1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19096276A (ja) 見守りシステム
KR20180033436A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Pérez-Rubio et al. Wearable-Based System For The Ubiquitous Tracking Of Vulnerable People In Remote Areas
WO2023079312A1 (en) Method of factoring the context of an encounter into determination of disease infection r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