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387B1 -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387B1
KR101752387B1 KR1020150128745A KR20150128745A KR101752387B1 KR 101752387 B1 KR101752387 B1 KR 101752387B1 KR 1020150128745 A KR1020150128745 A KR 1020150128745A KR 20150128745 A KR20150128745 A KR 20150128745A KR 101752387 B1 KR101752387 B1 KR 10175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bnormal
management server
image
memb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356A (ko
Inventor
김광수
정지영
Original Assignee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387B1/ko
Priority to PCT/KR2015/012919 priority patent/WO2016182156A1/ko
Publication of KR2017003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가속도계 센서, 상기 가속도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구분하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 MOBILE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 ACTIVITY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가속도계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이상 활동을 탐지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집은 미취학 아동을 돌보고 기르는 시설로서, 어린이의 보호자가 어린이를 돌볼 수 없을 때, 보호자의 위탁을 받아 보육하는 시설이다.
어린이를 보육해야하는 어린이집에서 근래에는, 보육교사에 의해 아동 학대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아동 학대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아동 학대는 아동의 생명을 좌우하고 평생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긴박하면서도 중요한 사안이다. 특히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경우,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학대에 취약하여 그 학대 후유증이 심각하며 심할 경우 아동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학대받은 아동의 억울함을 대변하고 도움을 청할 주체가 부재하기 때문에 아동학대는 늘 아이들의 안타까운 희생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다.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보육교사 학대 확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보육시설 내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있으나, 보육시설 내에 사각지대 없이 CCTV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설사, 보육시설 내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아동들을 촬영하였다고 하더라도, 아동 학대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시간대에 촬영된 영상을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의 저장 용량 한계로 인해 일정 기간이 지난 영상을 보관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훼손 또는 분실 우려가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이상 활동을 탐지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가속도계 센서, 상기 가속도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구분하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도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정렬된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제1 또는 제2 감지 데이터의 증분값들을 평균하고, 그 평균치을 정규화한 값을 근거로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탐지된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을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성원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이상치 예측 모델을 근거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이상치 예측 모델을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탐지한 경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콘으로부터 비콘ID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구성원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상기 비콘ID를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피사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을 제공받고,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경우 일정 시간 이전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는, 비콘으로부터 비콘ID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콘ID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 상기 비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직전에 상기이동 단말기에 의해 인식된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걷거나 뛰고 있는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리적인 충격 등에 의하지 않은 정신적인 충격 등에 의한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을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보육 시설 내에 설치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저장된 영상 중 해당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관리자는 용이하게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영상으로 확인해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가속도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가 발생할 시점을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아동 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감지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나열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정지 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뛰는 도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및 구성원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단말기로서, 네트워크(N)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목걸이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 형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 형태,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발찌 형태 또는 옷에 부착할 수 있는 명찰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가속도계 센서가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진동 등을 측정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가능한 것이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그룹 내 구성원들 각각에 휴대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도계 센서(120) 및/또는 생체 정보 획득부(170)를 이용하여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300)는 유무선 인터넷, 이동통신, 근거리 통신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N)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학부모나 보육 교사 등과 같이 특정 구성원에 대해 소정의 권한을 가진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권한을 가진 관리자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상기 권한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수집된 감지 데이터, 상기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탐지된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사실, 상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비정상 행위에 대한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하고,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경우 각종 출력 수단(일 예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발광 수단 등)을 통해 알람을 출력하거나,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사실,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 및/또는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위치를 네트워크(N)를 통해 구성원 관리 서버(200), 영상 관리서버(2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사실 및/또는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을 수신한 경우, 해당 시간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의해 측위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영상 관리 서버(2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의 피사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즉,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영상 관리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피사 영역을 갖는 촬영 장치(10)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른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확보하거나, 영상 관리 서버(20)가 촬영 장치(10)를 통해 상시 저장하는 영상과 별도로 확보할 수 있다.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이동 단말기별로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사실,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 및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력 또는 통계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구성원의 행동 발달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 및 구성원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를 노드로 포함하는 네트워크(또는 통신망)는, 각각을 노드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맹점 단말기(100)와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가맹점 단말기(100)와 구성원 관리 서버(200)를 노드로 포함하는 성형(star), 환형(ring), 버스(bu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N)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도 있고, 동종 또는 이종의 둘 이상의 네트워크(또는 통신망)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은 촬영 장치(10)및 영상 관리 서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육시설 내에 설치되어 보육시설 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영상 관리 서버(20)는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관리 서버(20)에 직접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영상 관리 서버(20)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0)가 소위, IP카메라 따위인 경우 네트워크(N)를 통해 영상 관리 서버(20), 구성원 관리 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관리 서버(20)는 소정 권한을 가진 각종 단말기 또는 서버(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일 수 있다)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판단된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 정보 및/또는 해당 시간의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관리 서버(20)로부터 해당 시간의 영상 또는 해당 시간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직접 수신하거나, 구성원 관리 서버(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영상 관리 서버(20)로부터 해당 시간의 영상 또는 해당 시간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의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영상 관리 서버(20)로부터 영상 획득시 영상 관리 서버(20)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영상 관리 서버(20)는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원 관리 서버(20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관리 서버(20)와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하나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이동단말기 위치인식모듈(220), 저장부(230), 제어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모듈(180)이 인식한 위치 정보(일 예로, 인식되는 비콘ID 등)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이동단말기 위치인식모듈(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원 관리 서버(200)의 이동단말기 위치인식모듈(22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모듈(180)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부(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이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 및/또는 피사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수신한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모듈(180)은 비콘(beacon)으로부터 비콘ID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비콘(beacon)으로부터 비콘ID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비콘ID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ID를 수신한 구성원 관리 서버(200) 는 상기 수신한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의 영상을 요청 등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는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모듈(180)은 복수의 비콘(beacon)으로부터 비콘ID와 신호세기(RSSI)를 수신하고 이를 근거로 한 측위 알고리즘을 통해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나, 하나의 비콘(beacon)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0)가 신호를 받고 이동 단말기(100)가 해당 비콘(beacon)의 신호 범위 내에 위치한다면 대략적인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정확한 위치 측위 없이 특정 비콘(beacon)의 신호 범위 내에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다면,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한 하나의 비콘ID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고, 비콘ID를 수신한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상기 수신한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의 영상을 요청 등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비콘(beaco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의 피사 영역 내 또는 상기 피사 영역과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 구성원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시간에 따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로그(log)). 만약, 이동 단말기(100) 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현재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직전에 인식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비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직전에 이동 단말기(100)에 인식된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촬영 장치(10)에 의한 피사 영역이 비콘의 인식 가능 영역보다 넓기 때문에, 비콘들 사이의 설치 간격을 촘촘히 하지 않더라도, 모든 촬영 장치(10)의 피사 영역 전체 중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영상만을 추출하여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확보할 때, 전체 영상이 아닌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영상만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10)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을 수신한 경우, 해당 시간의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상기 해당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였고, 이를 근거로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경우 현재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N초)의 해당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추출하여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N초는 15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식별된 이동 단말기(100)가 "1" 지점에서 "8" 지점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자.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1" 지점에서 비정상 행위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1" 지점에서 인식되는 "a" 비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 "ㄱ" 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2" 지점에서 비정상 행위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2" 지점에서 인식되는 "a" 비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 "ㄱ" 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3" 지점에서 비정상 행위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3" 지점에서 인식되는 "b" 비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 "ㄴ"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4" 지점이나 "5" 지점에서 비정상 행위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4" 지점이나 "5" 지점에서 인식되는 비콘이 없으므로, 직전 지점에서 인식되는 위치 정보("3"지점의 "b" 비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 "ㄴ"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6" 지점에서 비정상 행위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6" 지점에서 인식되는 "c" 비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 "ㄷ"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7" 지점이나 "8" 지점에서 비정상 행위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7" 지점이나 "8" 지점에서 인식되는 비콘이 없으므로, 직전 지점에서 인식되는 위치 정보("6" 지점의 "c" 비콘)에 대응하는 촬영 장치 "ㄷ"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비정상행위가 포함된 영상이나, 실시간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한 각종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웹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한 각종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영상, 비정상행위가 포함된 영상, 실시간 영상 등을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연산을 수행하거나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포함한 각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별도의 서버로 운영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도계 센서(120), 저장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 디스플레이부(150), 타이머(160), 생체 정보 획득부(170) 및 위치 정보 모듈(1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가속도계 센서(12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가속도계 센서(120)는 이동 단말기(100) 몸체의 진동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일정 기간 동안 가속도계 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N)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N)를 통해 구성원 관리 서버(200) 등 네트워크(N)에 연결된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 또는 외장 가능한 것으로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클라이언트,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치정보모듈(18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및/또는 상기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부(140)를 활용하면, 통신부(140)와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또는 비콘(beacon)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80)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통신부(14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8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모듈(180)에 따라 측위된 위치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구성원의 동선을 저장부(13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네트워크(N)를 통해 각종 단말기 또는 서버(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일 수 있다)로 전송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나 각종 단말기는 상기 구성원의 동선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모듈(180)은 비콘(beacon)으로부터 비콘ID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비콘(beacon)으로부터 비콘ID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비콘ID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영상 관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ID를 수신한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영상 관리 서버(20)는 상기 수신한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의 영상을 요청 등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연산을 수행하거나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가속도계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구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탐지할 수 있다.
비정상 행위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 중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은 행위로서, 걷고 있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또는 뛰고 있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또는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등을 가리키는 행위이다. 일 예로, 보육 시설 내 어린이가 외력에 의해 넘어지는 행위를 비정상 행위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10)가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비정상 행위를 탐지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제1 감지 데이터 중 일정 범위에서 크게 벗어난, 작거나 큰 적어도 하나의 값을 이상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이상치가 발견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우선,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가속도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제1 감지 데이터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렬된 감지 데이터들 중 인접한 두 제1 감지 데이터들 간의 증분(increment)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증분 값들을 소정 개수(바람직하게는 5개)의 데이터를 일 단위로 하여 슬라이딩 윈도우함으로써, 평균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출된 평균치를 절대치로 취득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함으로써, 정규화된 값들 중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값(즉, 기 설정된 범위보다 크거나 작은 값)을 이상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가 이상치가 있음을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또는 구성원)에게 비정상 행위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를 도 6 및 7에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정지 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뛰는 도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계 센서(120)의 출력 중 수직방향 성분의 가속도 변동 주기와 수평방향 성분의 가속도 변동 주기를 비교하여, 이를 근거로 사용자의 행위 또는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제1 감지 데이터가 도 4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정지 상태임을 판별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도 7과 같은 경우 사용자가 뛰는 상태임을 판별할 수 있다. 자세한 판별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은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어떠한 행위를 하고 있더라도, 비정상 행위를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가 이상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한 범위(본 명세서에서는 "정상 범위"로 약칭할 수 있다)는 고정일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마다, 사용자의 연령대마다 및/또는 시간대에 따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30)에 적어도 하나의 시간대를 저장하되, 상기 시간대에 구성원의 활동 시간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함께 저장하여, 활동 시간을 포함한 시간대에는 기 설정된 정상 범위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고, 구성원의 활동 시간을 포함하지 않은 시간대에는 기 설정된 정상 범위의 폭을 상대적으로 좁힐 수 있다.
또한, 구성원마다 또는 구성원의 연령에 따라 상기 정상 범위의 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에 의해 이상치가 없었다고 확인된 기간 중 제1 감지 데이터의 최고 값과 최저 값을 근거로 정상 범위의 폭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 정보 획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부(170)는 인체의 생리학적 전위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정보 획득부(170)는 PPG(Pulse Plethyamo Graphy), ECG(Electro-CardioGram), GSR(Galvanic Skin Reflex), EEG(Electro-EncephaloGram), EMG(Electro-MyoGram) 및 EOG(Electro-OculoGraphy)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 획득부(170)는, 심박수, 펄스 혈류량, 심전도, 전기성 피부 반사, 뇌파, 근전도 및 안구 운동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생체 정보 획득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생체 정보 획득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상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감지 데이터가 심박수와 관련된 것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구성원이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공포감을 느낀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통해 비정상 행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가 비정상 행위를 판단할 때, 제1 감지 데이터 및 제2 감지 데이터를 조합할 수도 있다. 즉, 제1 감지 데이터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정상 범위보다 작은 범위에 포함되어, 제1 감지 데이터의 변동폭이 거의 없음에도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가 있음이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비정상 행위가 있다고 판단하여, 구성원이 심리적으로 공포감을 느끼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이상치 예측 모델을 근거로 상기 이상치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라,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은 준-분류기법(semi-classification method)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에 대하여 전 처리된 데이터를 비 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방법인 군집화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분류레이블을 취득하고, 레이블된 데이터(labeled data)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방법인 분류 알고리즘(classification)을 통해 예측모델(분류기)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의 또 다른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상치 예측 모델을 평가하여, 생성된 이상치 예측 모델을 수정할 수 있다.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 평가,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이상치 예측 모델을 근거로 이상치를 예측하거나 이상치 발생 시간 등을 예측하여,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 평가,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동일하게 이동 단말기(100)가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 평가,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타이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60)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시간을 산출하는 수단으로서, 타이머(16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을 산출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NPT(Network Time Protocol)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30)는 제1 감지 데이터와 함께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비정상 행위를 탐지한 경우, 타이머(160)를 이용하여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점을 산출할 수 있고, 구성원 관리 서버(200), 영상 관리 서버(2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에 상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는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 정보를 근거로 해당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영상 관리 서버(20)로부터 확보함으로써, 관리자 등이 모든 시간대에 촬영된 영상 중 구성원에 대한 비정상 행위가 발생된 영상을 찾는 수고로움을 덜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는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영상만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영상 관리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피사 영역을 갖는 촬영 장치(10)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른 촬영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만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학부모나 보육 교사 등이 어린이가 넘어진 영상을 획득하고 싶을 때, 영상 관리 서버(20)에 저장된 영상을 전부 찾을 필요 없이, 획득하고자 하는 영상만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탐지한 경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비정상 행위 발생 정보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와 별개로, 디스플레이부(150)는 소정의 그래픽 오브젝트(일 예로, 울상을 짓고 있는 캐릭터 얼굴 등) 또는 소정의 텍스트(일 예로, "오늘 충격이 있었습니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정상 행위를 판단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비정상 행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 단말기 형태의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보육 시설 내에 설치되되, 아이들이 출입하는 출입문 주변에 설치되어 아이들이 등하교시마다 이동 단말기(100)와 구성원 관리 서버(200) 간에 통신(바람직하게는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촬영 장치 20: 영상 관리 서버
100: 이동 단말기 110: 제어부
120: 가속도계 센서 130: 저장부
140: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타이머 170: 생체 정보 획득부
180: 위치 정보 모듈 200: 구성원 관리 서버
210: 통신부 220: 이동단말기 위치인식모듈
230: 저장부 300: 관리자 단말기
N: 네트워크

Claims (17)

  1. 가속도계 센서; 상기 가속도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구분하고,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는, 비콘으로부터 비콘ID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콘ID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 상기 비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직전에 상기이동 단말기에 의해 인식된 비콘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도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정렬된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제1 또는 제2 감지 데이터의 증분값들을 평균하고, 그 평균치을 정규화한 값을 근거로 이상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현재 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탐지된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을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성원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이상치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이상치 예측 모델을 근거로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이상치 예측 모델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비정상 행위를 탐지한 경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하였음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비콘으로부터 상기 비콘ID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상기 비콘ID를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사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을 제공받고,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정상 행위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비정상 행위가 발생한 경우 일정 시간 이전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활동 탐지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128745A 2015-05-14 2015-09-11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75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745A KR101752387B1 (ko) 2015-09-11 2015-09-11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CT/KR2015/012919 WO2016182156A1 (ko) 2015-05-14 2015-11-30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745A KR101752387B1 (ko) 2015-09-11 2015-09-11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56A KR20170031356A (ko) 2017-03-21
KR101752387B1 true KR101752387B1 (ko) 2017-07-11

Family

ID=5850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745A KR101752387B1 (ko) 2015-05-14 2015-09-11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70B1 (ko) * 2017-07-07 2019-04-11 (주)키즈소프트 이상 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56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452B2 (en)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Tan et al. Exploiting WiFi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residential healthcare informatics
US109093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face recognition
US20170147772A1 (en) Wireless patient verification
EP30053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isk of a patient leaving a safe area
CN109561855B (zh) 用于跌倒检测的设备、系统和方法
EP3172675B1 (en) Improved positional awareness and locating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individuals and their caregivers
US20180302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Cola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all detection systems through walk recognition
KR2015007598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웨어 시스템
KR20190047648A (ko)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Vuong et al. A mobile-health application to detect wandering patterns of elderly people in home environment
KR101766438B1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그룹 내 구성원들의 관리 지원 시스템
KR101752387B1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80017572A (ko) 구성원 관리 시스템
CN105050032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915634B1 (ko) 구성원 관리 시스템
US99079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collecting, and analyzing user data for gyms
Singh et al. Implementation of safety alert system for elderly people using multi-sensors
CN115444383A (zh) 智能健康监测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33436A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90010984A (ko) 이상 활동 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U2021102699A4 (en) A system and method for smart walking assistant for elderly care
US20230109079A1 (en) Data collection system,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collection device
US20230108162A1 (en) Data collection system, data collection device, data acquisition device, and data coll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