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34B1 - 구성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성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34B1
KR101915634B1 KR1020160101601A KR20160101601A KR101915634B1 KR 101915634 B1 KR101915634 B1 KR 101915634B1 KR 1020160101601 A KR1020160101601 A KR 1020160101601A KR 20160101601 A KR20160101601 A KR 20160101601A KR 101915634 B1 KR101915634 B1 KR 10191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event
user
management server
memb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571A (ko
Inventor
정지영
김광수
Original Assignee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구성원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가속도계 센서와 상기 가속도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성원 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MEMBERS}
본 발명은 구성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를 휴대 또는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량을 탐지하고 이를 근거로 구성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집은 미취학 아동을 돌보고 기르는 시설로서, 어린이의 보호자가 어린이를 돌볼 수 없을 때, 보호자의 위탁을 받아 보육하는 시설이다.
어린이를 보육해야하는 어린이집에서 근래에는, 보육교사에 의해 아동 학대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아동 학대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아동 학대는 아동의 생명을 좌우하고 평생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긴박하면서도 중요한 사안이다. 특히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경우,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학대에 취약하여 그 학대 후유증이 심각하며 심할 경우 아동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학대받은 아동의 억울함을 대변하고 도움을 청할 주체가 부재하기 때문에 아동학대는 늘 아이들의 안타까운 희생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다.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보육교사 학대 확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보육시설 내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있으나, 보육시설 내에 사각지대 없이 CCTV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CCTV에 의존하지 않고 구성원들의 이상 징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선행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61250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6726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휴대(또는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활동량을 근거로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구성원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가속도계 센서와 상기 가속도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도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판단한 경우의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판단한 경우의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감지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증분값들을 평균하고, 그 평균치를 정규화한 값을 근거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는, 수집 기간 동안의 단위 시간별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누적 저장된 활동량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통상 활동 그래프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활동 그래프를 근거로 상기 활동량 데이터의 이상 여부를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상 징후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통상 활동 그래프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내적 또는 외적 상태나 성향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또는 구성원)에 별도의 상담 절차에 의존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발생한 물리적인 충격 또는 정신적인 충격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해 누적된 활동량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내적 또는 외적 상태나 성향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속도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감지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나열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정지 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뛰는 도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른 이벤트 발생 횟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성원 관리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및 구성원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단말기로서, 네트워크(N)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목걸이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 형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 형태,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발찌 형태 또는 옷에 부착할 수 있는 명찰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가속도계 센서가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진동 등을 측정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가능한 것이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그룹 내 구성원들 각각에 휴대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도계 센서(120) 및/또는 생체 정보 획득부(170)를 이용하여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이벤트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 따위로서 일상 생활 중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은 일을 가리키며, 걷거나 뛰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도중에 넘어지는 행위, 구성원이 타격을 입는 행위, 구성원이 직접 책상 등과 같은 사물을 타격하는 행위 등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예로, 보육 시설 내 어린이가 외력에 의해 넘어지는 행위를 감지할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각종 출력 수단(일 예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발광 수단 등)을 통해 알람을 출력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및/또는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를 네트워크(N)를 통해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수신한 경우, 이벤트 발생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장소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한 경우, 보육 시설 내 기 지정된 위험 영역에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해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이상 징후 판단시 이벤트 발생 장소를 반영하여 신뢰성 높은 이상 징후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간을 수신한 경우, 관리자 등이 해당 이벤트의 발생 영상을 확보할 때 이벤트 발생 시간을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이동 단말기별로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 이벤트 발생 시간, 이벤트 발생 빈도 및 이벤트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력 또는 통계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구성원의 행동 발달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유무선 인터넷, 이동통신, 근거리 통신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N)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학부모나 보육 교사 등과 같이 특정 구성원에 대해 소정의 권한을 가진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권한을 가진 관리자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상기 권한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수집된 각종 감지 데이터, 상기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탐지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 이벤트 발생 횟수, 이벤트 발생 시간, 이벤트 발생 위치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를 노드로 포함하는 네트워크(또는 통신망)는, 각각을 노드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맹점 단말기(100),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기(300) 각각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가맹점 단말기(100)와 구성원 관리 서버(200)를 노드로 포함하는 성형(star), 환형(ring), 버스(bus)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N)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동종 또는 이종의 둘 이상의 네트워크(또는 통신망)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도계 센서(120), 저장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 디스플레이부(150), 타이머(160), 생체 정보 획득부(170) 및 위치 정보 모듈(1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가속도계 센서(12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일 예로 가속도계 센서(120)는 x, y, z 3축의 가속도 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속도계 센서(120)는 이동 단말기(100) 몸체의 진동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일정 기간 동안 가속도계 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30)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나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N)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N)를 통해 구성원 관리 서버(200) 등 네트워크(N)에 연결된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 또는 외장 가능한 것으로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클라이언트,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치정보모듈(18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및/또는 상기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부(140)를 활용하면, 통신부(140)와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또는 비콘(beacon)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80)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통신부(14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8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모듈(180)에 따라 측위된 위치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구성원의 동선을 저장부(13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네트워크(N)를 통해 각종 단말기 또는 서버(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 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일 수 있다)로 전송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나 각종 단말기는 상기 구성원의 동선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연산을 수행하거나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가속도계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구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이벤트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10)가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제1 감지 데이터 중 일정 범위에서 크게 벗어난, 작거나 큰 적어도 하나의 값을 이상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이상치가 발견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우선,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가속도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제1 감지 데이터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렬된 감지 데이터들 중 인접한 두 제1 감지 데이터들 간의 증분(increment)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증분 값들을 소정 개수(바람직하게는 5개)의 데이터를 일 단위로 하여 슬라이딩 윈도우함으로써 평균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출된 평균치를 절대치로 취득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함으로써, 정규화된 값들 중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값(즉, 기 설정된 범위보다 크거나 작은 값)을 이상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가 이상치가 있음을 판단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또는 구성원)에게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를 도 4 및 5에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정지 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뛰는 도중 이상치를 판단한 이상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계 센서(120)의 출력 중 수직방향 성분의 가속도 변동 주기와 수평방향 성분의 가속도 변동 주기를 비교하여, 이를 근거로 사용자의 행위 또는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제1 감지 데이터가 도 4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정지 상태임을 판별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도 5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뛰는 상태임을 판별할 수 있다. 자세한 판별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은 사용자의 이상치가 발생한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어떠한 행위를 하고 있더라도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가 이상치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한 범위(본 명세서에서는 "정상 범위"로 약칭할 수 있다)는 고정일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마다, 사용자의 연령대마다 및/또는 시간대에 따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30)에 적어도 하나의 시간대를 저장하되, 상기 시간대에 구성원의 활동 시간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함께 저장하여, 활동 시간을 포함한 시간대에는 기 설정된 정상 범위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고, 구성원의 활동 시간을 포함하지 않은 시간대에는 기 설정된 정상 범위의 폭을 상대적으로 좁힐 수 있다.
또한, 구성원마다 또는 구성원의 연령에 따라 상기 정상 범위의 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에 의해 이상치가 없었다고 확인된 기간 중 제1 감지 데이터의 최고 값과 최저 값을 근거로 정상 범위의 폭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 정보 획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부(170)는 인체의 생리학적 전위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정보 획득부(170)는 PPG(Pulse Plethyamo Graphy), ECG(Electro-CardioGram), GSR(Galvanic Skin Reflex), EEG(Electro-EncephaloGram), EMG(Electro-MyoGram) 및 EOG(Electro-OculoGraphy)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 획득부(170)는, 심박수, 펄스 혈류량, 심전도, 전기성 피부 반사, 뇌파, 근전도 및 안구 운동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생체 정보 획득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생체 정보 획득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상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감지 데이터가 심박수와 관련된 것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구성원이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공포감을 느낀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정상 행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가 이상치를 판단할 때, 제1 감지 데이터 및 제2 감지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감지 데이터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정상 범위보다 작은 범위에 포함되어, 제1 감지 데이터의 변동폭이 거의 없음에도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가 있음이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는 이벤트 발생하였음을 가리키는 정보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단위 시간 동안 발생한 이벤트의 횟수를 가리키는 정보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벤트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이상 징후 판단의 근거로 하고 있는 이벤트 발생 횟수는,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하는 근거인 감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판단한 이벤트 발생 횟수보다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판단한 이벤트 발생 횟수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이벤트 발생 횟수는 1회이지만,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공포감을 느낀 경우에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가 1회보다 높은 10회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통계를 내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타이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60)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시간을 산출하는 수단으로서, 타이머(16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을 산출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NPT(Network Time Protocol)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30)는 제1 및/또는 제2 감지 데이터와 함께 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타이머(160)를 이용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거나 구성원 관리 서버(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에 상기 이벤트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등이 연속 저장된 영상 정보 중 이벤트 발생시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자 할 때,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상기 관리자 등에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등이 구성원에 대한 영상 중 이벤트 발생시 영상을 찾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을 판단한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또는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와 별개로, 디스플레이부(150)는 소정의 그래픽 오브젝트(일 예로, 울상을 짓고 있는 캐릭터 얼굴 등) 또는 소정의 텍스트(일 예로, "오늘 충격이 있었습니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구성원 관리 서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210), 저장부(220), 통신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또는 단위 시간 동안 이벤트가 발생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2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 기간 동안의 단위 시간별 이벤트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용어 중 활동량 데이터는 수집 기간 동안 시간에 따른 이벤트 발생 횟수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여기서 수집 기간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전체 대상 시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일 예로 구성원들이 보육 시설에 머무르는 시간일 수 있다. 또 활동량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이산적인 이벤트 발생 횟수일 수 있고, 따라서 단위 시간은 이벤트 발생 횟수를 취합하기 위한 기 설정된 임의의 시간 단위로서, 일 예로 1시간 또는 30분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활동량 데이터는 오전 시간 동안 한 시간마다 이벤트 발생 횟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저장부(220)는 여러 날 동안의 이러한 활동량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구성원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연산을 수행하거나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저장부(220)에 누적 저장된 활동량 데이터를 근거로 각 사용자별 통상 활동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여러 날 동안의 활동량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용자마다의 통상 활동 그래프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10)는 누적된 활동량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수집 기간을 복수의 시간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시간 영역의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진폭, 주기, 위상 등을 군집화하거나 분류하여, 사용자마다 상기 수집 기간 동안 시간에 따른 이벤트 발생량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학습에 의해 다수의 활동량 데이터로부터 통상 활동 그래프를 정의하나, 학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210)는 상기 통상 활동 그래프를 생성한 이후, 생성된 통상 활동 그래프를 근거로 상기 활동량 데이터에 대해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통상 활동 그래프와 수집 기간 동안의 활동량 그래프(일 예로 오전 시간 동안의 이벤트 발생 횟수)를 비교하여, 적어도 일부의 시간 동안 상기 통상 활동 그래프와 활동량 그래프의 편차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이상 징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징후는 사용자(또는 구성원)의 내적 상태 또는 외적 상태의 급격한 변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내적 상태의 변화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감지된 제2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기분 또는 심리가 우울해지거나 다운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등을 가리키며, 외적 상태의 변화는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감지된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자주 넘어져 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거나 사용자가 쓰러져 움직임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등을 가리킨다. 그러나 제1 감지 데이터와 제2 감지 데이터는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제1 감지 데이터 및 제2 감지 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외적 상태와 내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이상 징후는 실제로 구성원의 왕따, 폭력, 학대 등으로 발견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상기와 같이 구성원의 이상 징후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이외에, 구성원들의 성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성향은 외향성 또는 내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부(210)는 구성원이 외향성인지 내향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통상 활동 그래프의 평균값(평균 이벤트 발생 횟수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외향적인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내향적인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통상 활동 그래프를 두 종류로 나누어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유래된 이벤트 발생 횟수를 근거로 사용자의 제1 통상 활동 그래프를 생성하고,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유래된 이벤트 발생 횟수를 근거로 사용자의 제2 통상 활동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고, 그 중 상기 제1 통상 활동 그래프를 근거로 사용자의 성향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원의 이상 징후 여부 또는 성향을 판단하는 것 이외에, 제1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한 활동량 그래프(또는 통상 활동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나 열량 등을 계산할 수 있고, 제2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한 활동량 그래프(또는 통상 활동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이나 심박수에 대한 평균 또는 변화폭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며, 그 계산 결과를 각종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통상 활동 그래프상에 일정 기간 동안의 감지데이터 값들이 지속적으로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면 외적 상태 또는 내적 상태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판단 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누적된 간단한 데이터들(활동량 그래프)을 내적, 외적상태의 판단 근거로 사용 할 수 있다.
한편,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한 구성원의 이상 징후 발생 여부 또는 구성원의 성향을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한 각종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200)는 웹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한 각종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상기 판단한 결과를 웹(web)을 통해 각종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제어부
120: 가속도계 센서 130: 저장부
140: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타이머 170: 생체 정보 획득부
180: 위치 정보 모듈 200: 구성원 관리 서버
210: 제어부 220: 저장부
230: 통신부 300: 관리자 단말기
N: 네트워크

Claims (6)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구성원 관리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가속도계 센서와; 상기 가속도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구분된 이상치를 근거로 이벤트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도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데이터 중 이상치를 판단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판단한 경우의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제1 감지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판단한 경우의 이벤트 발생 횟수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원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감지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증분값들을 평균하고, 그 평균치를 정규화한 값을 근거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원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는,
    수집 기간 동안의 단위 시간별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누적 저장된 활동량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통상 활동 그래프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상 활동 그래프를 근거로 상기 활동량 데이터의 이상 여부를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상 징후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원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통상 활동 그래프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내적 또는 외적 상태나 성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원 관리 시스템.
KR1020160101601A 2016-08-10 2016-08-10 구성원 관리 시스템 KR10191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01A KR101915634B1 (ko) 2016-08-10 2016-08-10 구성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01A KR101915634B1 (ko) 2016-08-10 2016-08-10 구성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71A KR20180017571A (ko) 2018-02-21
KR101915634B1 true KR101915634B1 (ko) 2018-11-06

Family

ID=6152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01A KR101915634B1 (ko) 2016-08-10 2016-08-10 구성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89B1 (ko) * 2020-07-01 2020-12-08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97B1 (ko) * 2012-04-23 2014-05-2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유헬멧을 이용한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97B1 (ko) * 2012-04-23 2014-05-2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유헬멧을 이용한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71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452B2 (en)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Abbate et al. A smartphone-based fall detection system
US86554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s and delivering therapeutic stimuli
CN105530865B (zh) 跌倒检测系统和方法
US9339188B2 (en) Methods from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with feedback
CN105869344B (zh) 可穿戴设备及人身安全监测方法
US9392939B2 (en) Methods using a monitoring device to monitor individual activities, behaviors or habit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a database with corresponding individual base information for comparison
Prado et al. Distributed intelligent architecture for falling detection and physical activity analysis in the elderly
KR101584090B1 (ko) 미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US20140247147A1 (en)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with feedback
CN106465459A (zh) 一种用于可穿戴设备脱落检测的方法及可穿戴设备
KR102268429B1 (ko) 스마트 밴드형 체온계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측정 및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이 가능한 체온 정보 시스템
US20140247149A1 (en) System with a monitoring device that monitors individual activities, behaviors or habit information and communicates with a database with corresponding individual base information for comparison
US10448831B2 (en) Wearable sensor
Cola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all detection systems through walk recognition
US20140247150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dividuals with a monitoring device, telemetry system, activity manager and a feedback system
EP3556289A1 (en) Wearable device
Arshad et al. A study on health monitoring system: recent advancements
Gjoreski et al. Using smartwatch as telecare and fall detection device
D'Angelo et al. SIMPLE-use—Sensor set for wearable movement and interaction research
KR101853093B1 (ko) 구성원 관리 시스템
Bianchi et al. Multi sensor assistant: a multisensor wearable device for ambient assisted living
KR101915634B1 (ko) 구성원 관리 시스템
KR101766438B1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그룹 내 구성원들의 관리 지원 시스템
KR101752387B1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