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965A -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 Google Patents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965A
KR20190010965A KR1020170093278A KR20170093278A KR20190010965A KR 20190010965 A KR20190010965 A KR 20190010965A KR 1020170093278 A KR1020170093278 A KR 1020170093278A KR 20170093278 A KR20170093278 A KR 20170093278A KR 20190010965 A KR20190010965 A KR 20190010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disposed
differential lock
different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663B1 (ko
Inventor
김정완
Original Assignee
김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완 filed Critical 김정완
Priority to KR102017009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6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6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동잠금장치에 의한 부피 및 무게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와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면서, 관통홀을 따라 양측면으로 수용부가 형성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의 양측 수용부에 각각 배치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하되, 상기 출력기어에 외접하는 복수 개의 제2 기어 그룹과 상기 출력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동 패드와 상기 제동 패드의 회전을 억제시키기 위한 차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 그룹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일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일측 단부가 제1 기어의 일측에 배치된 출력기어와 접하는 제2-1 기어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타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타측 단부가 제1 기어의 타측에 배치된 출력기어와 접하는 제2-2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기어 그룹을 구성하는 제2-1 기어와 제2-2 기어는 각 회전축의 중앙부의 기어 산이 상호 외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reducer with built-in differential lock}
본 발명은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동잠금장치에 의한 부피 및 무게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는 직선 도로뿐만 아니라, 곡선 도로와 같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며, 이와 같이 회전 동작을 수행할 때, 일측 바퀴의 주행거리와 타측 바퀴의 주행거리가 상이하여 구동력 전달이 부드럽지 못하거나,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항에 따라 양측 바퀴의 구동력에 차이를 두어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동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양측 바퀴 중 하나가 진흙탕 또는 모래에 빠진 경우에는 대부분의 동력이 빠진 쪽 바퀴에 전달되어 빠진 바퀴가 헛돌면서 이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슬립으로 공회전하고 있는 타이어의 동력은 감소시키고, 큰 저항이 작용되고 있는 반대쪽 타이어는 감소 된 만큼의 동력을 더 전달하는 방법으로 구동력을 제어함으로써 슬립에 의한 타이어의 공회전 없이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동제한장치가 개발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7176호 "전자식 차동 잠금장치"는 이와 같은 차동제한장치의 하나로써, 전자석을 통해 차동기어의 동작을 제한하여 주행력이 전달될 수 있돌고 하게되나, 차동기어 자체의 부피가 크고, 회전체의 중량이 높아 일반 주행에서의 에너지효율이 낮고, 구조도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7176호 "전자식 차동 잠금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동기어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회전체의 중량을 감소키기기 위한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와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면서, 관통홀을 따라 양측면으로 수용부가 형성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의 양측 수용부에 각각 배치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하되, 상기 출력기어에 외접하는 복수 개의 제2 기어 그룹과 상기 출력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동 패드와 상기 제동 패드의 회전을 억제시키기 위한 차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 그룹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일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일측 단부가 제1 기어의 일측에 배치된 출력기어와 접하는 제2-1 기어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타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타측 단부가 제1 기어의 타측에 배치된 출력기어와 접하는 제2-2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기어 그룹을 구성하는 제2-1 기어와 제2-2 기어는 각 회전축의 중앙부의 기어 산이 상호 외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어는 타측 수용부에 배치된 출력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수용부를 덮는 제1 기어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는 제1 기어 커버를 통해 상기 타측의 출력기어에 결합되는 출력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어에는 복수 개의 제2 기어 그룹이 배치되기 위해 "8"자 형태의 복수 개의 제2 기어 배치 홀이 수용부에 인접하여 제1 기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2 기어 배치 홀에 제2-1 기어와 제2-2 기어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동제어부는 감속기의 프레임에 배치되는 지지체의 배면에 고정되어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자성체로 구성된 상기 제동 패드를 상기 지지체의 전면에 밀착시켜 회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에 의하면, 차동기어를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 내에 배치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감소시키고 회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에 의하면, 차동기어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또는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1 기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1 기어와 커버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2 기어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 또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1 기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1 기어와 커버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2 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를 도시한 것이며, 엔진 또는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3)와 상기 감속기어(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 홀(11)이 형성되면서, 관통홀(11)을 따라 양측면으로 수용부가 형성된 제1 기어(1)와 상기 제1 기어(1)의 양측 수용부에 각각 배치되는 출력기어(4)와 상기 제1 기어(1)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하되, 상기 출력기어(4)에 외접하는 복수 개의 제2 기어 그룹(21, 22)과 상기 출력기어(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동 패드(6)와 상기 제동 패드(6)의 회전을 억제시키기 위한 차동제어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2 기어 그룹(21, 22)은 중앙부에서 상호 외접하여 상호 동력을 전달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제2 기어 그룹(21, 22) 중 하나는 일측의 출력기어와 외접하고, 다른 하나는 타측의 출력기어와 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 아래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차동제어부(7)는 감속기의 프레임에 배치되는 지지체(8)의 배면에 고정되어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자성체로 구성된 상기 제동 패드(6)를 상기 지지체(8)의 전면에 밀착시켜 제동 패드(6) 및 제동 패드(6)가 결합된 출력기어(4a)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또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1 기어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2 기어 그룹(21, 22)은 제1 기어(1)의 일측 수용부(10)에 배치되어 일측의 제동 패드(도 1의 6)와 결합되는 출력기어(4a)에 외접하는 제2-1 기어(21)와 제1 기어(1)의 타측 수용부(10)에 배치된 출력기어(4b)에 외접하는 제2-2 기어(2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기어(1)에는 복수 개의 제2 기어 그룹(2)이 배치되기 위해 "8"자 형태의 복수 개의 제2 기어 배치 홀(12)이 출력기어(4)가 배치되는 수용부(10)에 인접하여 제1 기어(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2 기어 배치 홀(12)에 제2-1 기어(21)와 제2-2 기어(21)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2-1 기어(21)와 제2-2 기어(21)는 별도의 회전중심축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기어 배치 홀(12) 내주면에 제2-1 기어(21)와 제2-2 기어(21)가 접하며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 그룹(21, 22)은 최소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으로 편심지지 않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출력기어(4a, 4b)와의 안정적인 외접을 위해서는 3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제1 기어와 커버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1 기어(1)는 타측 수용부(도 4의 10)에 배치된 출력기어(도 4의 4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수용부를 덮는 제1 기어 커버(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어(1)는 제1 기어 커버(5)에 형성된 커버 홀(51)을 통해 상기 타측의 출력기어(도 4의 4b)에 결합되는 출력축(도 1의 41)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기어(1)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의 부분 단면도로써 제2 기어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2 기어 그룹(21, 22)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일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일측 단부가 제1 기어(1)의 일측에 배치된 출력기어(4a)와 접하는 제2-1 기어(21)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타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타측 단부가 제1 기어(1)의 타측에 배치된 출력기어(4b)와 접하는 제2-2 기어(22)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기어 그룹(21, 22)을 구성하는 제2-1 기어(21)와 제2-2 기어(22)는 각 회전축의 중앙부의 기어 산이 상호 외접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동제어부(7)의 동작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해 제동 패드가 지지체에 밀착되며 회전력이 억제되면, 상기 제동 패드에 결합된 일측의 출력기어(4a)의 회전력도 동시에 억제된다.
이때, 회전이 억제된 일측의 출력기어(4a)의 회전수는 제1 기어(1)와의 회전수 차이가 발생되며, 회전부 차이에 대응하여 일측의 출력기어(4a)에 접하는 제2-1 기어(21)가 회전하며 제2-2 기어(22)를 통해 타측의 출력기어(4b)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타측의 출력기어(4b)는 제1 기어(1)의 회전수에 더불어 일측의 출력기어(4a)와 제1 기어의 회전수 차이만큼의 회전력을 더 부여받아 더욱 증가된 회전력을 바탕으로 더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즉, 베벨기어 및 기어박스로 구성된 종래의 차동기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차동기어를 구성하는 베벨기어 및 베벨기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 중량의 기어박스 없이 제1 기어(1) 내에 모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인 부피 및 중량을 크게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도 크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제1 기어
2 : 제2 기어 그룹
3 : 감속기어
4 : 출력기어
5 : 커버
6 : 차동 패드
7 : 차동제어부
8 : 지지체
10 : 수용부
11 : 관통 홀
12 : 제2 기어 배치 홀
21 : 제2-1기어
22 : 제2-2 기어
41 : 출력축
51 : 커버 홀

Claims (4)

  1.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감속 기어와;
    상기 감속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면서, 관통홀을 따라 양측면으로 수용부가 형성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의 양측 수용부에 각각 배치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하되, 상기 출력기어에 외접하는 복수 개의 제2 기어 그룹과;
    상기 출력기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동 패드와;
    상기 제동 패드의 회전을 억제시키기 위한 차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 그룹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일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일측 단부가 제1 기어의 일측에 배치된 출력기어와 접하는 제2-1 기어와;
    회전축의 2/3 지점부터 타측 단부까지 기어 산이 형성되어 기어 산의 타측 단부가 제1 기어의 타측에 배치된 출력기어와 접하는 제2-2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기어 그룹을 구성하는 제2-1 기어와 제2-2 기어는 각 회전축의 중앙부의 기어 산이 상호 외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타측 수용부에 배치된 출력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수용부를 덮는 제1 기어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는 제1 기어 커버를 통해 상기 타측의 출력기어에 결합되는 출력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에는
    복수 개의 제2 기어 그룹이 배치되기 위해 "8"자 형태의 복수 개의 제2 기어 배치 홀이 수용부에 인접하여 제1 기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2 기어 배치 홀에 제2-1 기어와 제2-2 기어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제어부는
    감속기의 프레임에 배치되는 지지체의 배면에 고정되어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자성체로 구성된 상기 제동 패드를 상기 지지체의 전면에 밀착시켜 회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KR1020170093278A 2017-07-24 2017-07-24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Active KR101993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78A KR101993663B1 (ko) 2017-07-24 2017-07-24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78A KR101993663B1 (ko) 2017-07-24 2017-07-24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65A true KR20190010965A (ko) 2019-02-01
KR101993663B1 KR101993663B1 (ko) 2019-06-27

Family

ID=6536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278A Active KR101993663B1 (ko) 2017-07-24 2017-07-24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6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213A (ja) * 1999-05-13 2000-11-30 American Accel & Manufacturing Inc ヘリカルギヤ差動装置
KR100912134B1 (ko) * 2008-04-16 2009-08-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동 잠금기능이 구비된 차동장치
KR20160040073A (ko) * 2015-04-24 2016-04-12 김정완 전자식 차동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213A (ja) * 1999-05-13 2000-11-30 American Accel & Manufacturing Inc ヘリカルギヤ差動装置
KR100912134B1 (ko) * 2008-04-16 2009-08-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동 잠금기능이 구비된 차동장치
KR20160040073A (ko) * 2015-04-24 2016-04-12 김정완 전자식 차동 잠금장치
KR101637176B1 (ko) 2015-04-24 2016-07-07 김정완 전자식 차동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663B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2020816B4 (de) Radnabenmotorsystem
ES2875774T3 (es) Configuración de accionamiento
EP0267953B1 (en) Differential gear
CN107636357A (zh) 双电机车辆驱动装置
KR20140099260A (ko) 순수 전기식 4륜 구동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
DE102016123047B4 (de) Antriebssystem
DE102017123250B3 (de) Elektromechanische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mehrspuriges Kraftfahrzeug
KR101993663B1 (ko) 차동잠금장치 내장형 감속기
CN109854703A (zh) 一种用于越野车辆的分配扭矩式轴间差速器
CN106915252B (zh) 动力驱动系统及具有其的车辆
CN106218383A (zh) 汽车及其传动系统
CN207089544U (zh) 一种边三轮车的后轮驱动装置以及后轮双驱的边三轮
KR101219894B1 (ko) 차량의 리어액슬
KR102080773B1 (ko) 차량의 관통형 헬리컬 기어구조
CN110382341A (zh) 多级变速自行车
CN102943860B (zh) 一种滑动齿轮式差速器
KR20080045747A (ko) 차량용 차동 장치
JP2008281159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08224020A (ja) 三輪車の差動装置
CN204004277U (zh) 行星齿轮式离心摩擦限滑车辆用轴间差速器
CN204755754U (zh) 一种动力传导箱及车辆驱动桥
CN206287831U (zh) 一种可增大转矩的电动车传动系统
CN207364217U (zh) 一种农业机械用差速器
CN104141767B (zh) 行星齿轮式离心摩擦限滑车辆用轴间差速器
DE69811964T2 (de)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einer drehbeweg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