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951A -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951A
KR20190010951A KR1020170093236A KR20170093236A KR20190010951A KR 20190010951 A KR20190010951 A KR 20190010951A KR 1020170093236 A KR1020170093236 A KR 1020170093236A KR 20170093236 A KR20170093236 A KR 20170093236A KR 20190010951 A KR20190010951 A KR 20190010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specimen
composite
pres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214B1 (ko
Inventor
박종만
박하승
김종현
백영민
권동준
신평수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2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orsional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재료 시편에 외력을 가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료 시편을 광원과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는 단계;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합재료의 박리(delamination)정도를 판단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간단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Evaluation method for delamination degree and interfacial strength of composite-material}
본 발명은 광원 및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복합재료의 박리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과 기재가 혼합된 복합재료는 무게가 가볍고 물리적인 특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이용용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복합재료는 통상의 금속 대비 가벼우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설계 및 성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항공우주분야 등과 같은 첨단 기술 분야부터 레저용품에 이르기 까지 넓은 범위로 그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재료의 경우, 외부 충격이나 물리적인 손상 등에 의해 내부의 박리(delamination) 또는 균열과 같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에 의해 종래 가지고 있던 복합재료의 장점을 잃게 되므로, 손상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나, 내부 박리 또는 균열과 같은 손상은 외부에서는 판별이 곤란한 측면이 있다. 즉, 이러한 복합재료의 사용 중 발생하는 손상 등은 외부에서 판별이 어려우며, 나아가 사용 중 고가의 장비 등을 이용하여 복합재료의 손상 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47393호에서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복합재료의 손상정도를 3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 역시 평가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473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를 평가하는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재료의 물성 또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은
상기 복합재료 시편을 광원과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는 단계;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합재료의 박리 정도를 판단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외력은 압축, 인장, 굽힘 및 비틀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복합재료 시편의 두께는 1 내지 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광원은 200 내지 1000 ㎚ 파장의 광을 인가하는 광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복합재료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마이드섬유 및 세라믹섬유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은
복합재료 시편에 외력을 가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료 시편을 광원과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는 단계;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복합재료의 계면강도는 상기 이미지에서 그림자간 간격이 넓을수록 복합재료의 계면강도가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굴곡강도 평가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시편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관계식 1에서
Figure pat00002
는 복합재료 시편의 실제 굴곡강도이며,
Figure pat00003
은 하기 계산식 1로 계산된 복합재료 시편의 굴곡강도 계산 값이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4
상기 계산식 1에서
Figure pat00005
은 기준시편의 그림자간 간격이고,
Figure pat00006
은 복합재료 시편의 그림자간 간격이며,
Figure pat00007
는 기준시편의 굴곡강도이고,
Figure pat00008
은 복합재료 시편의 굴곡강도 계산 값이다.
본 발명은 시편을 통과한 광원을 촬영 장치로 촬영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박리정도 평가방법은 극히 단순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 박리정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평가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방법으로 촬영된 복합재료 시편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시편의 박리정도를 초음파 분석방법으로 분석하고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합재료 시편을 광원과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는 단계;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합재료의 박리정도를 판단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기재와 강화섬유의 박리(delamination)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물건의 사용 중에도, 전문장비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박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은, 촬영된 이미지에 분포하는 그림자를 분석하여, 그림자의 분포에 따라 강화섬유와 기재의 박리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강화섬유와 기재의 박리에 의해 박리된 부분은 광의 투과가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상기 이미지에 그림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그림자의 분포로 복합재료의 박리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박리(delamination)라 함은 외력에 의해 복합재료 내에서 강화섬유와 기재가 분리되어 복합재료의 물성을 향상된 물성을 잃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때 외력은 복합재료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힘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압축, 인장, 굽힘 및 비틀림 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힘의 작용에 의해 복합재료가 손상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강화섬유는 기재와 혼합되어 기재의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섬유상의 물질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마이드섬유 및 세라믹 섬유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재는 복합재료와 혼합되는 수지상 물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에폭시수지 및 폴리올레핀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시편의 두께는 복합재료 시편에 가해지는 지나친 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이미지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는 관점에서 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일 수 있으나, 광원에서 인가되는 광의 세기, 시편과 광원과의 거리 및 시편과 촬영 장치와의 거리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광원에서 인가되는 광은 파장이 200 내지 1000 ㎚, 구체적으로는 파장이 300 내지 800 ㎚인 광일 수 있다. 상기 범위내의 광을 인가함으로써 평가에 용이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광원에서 인가되는 광의 세기는 시편을 통과하여 상술한 그림자를 포함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범위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50 내지 800 mW/㎠,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700 mW/㎠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광원과 복합재료 시편의 거리 및 복합재료 시편과 촬영 장치와의 거리는, 통상적으로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정도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각각 10 내지 80 ㎝,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50 ㎝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촬영 장치는 암실에 배치되어 시편을 통과한 광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실의 일면에는 시편이 위치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이 시편을 통과하여 암실 내의 촬영 장치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촬영장치가 시편을 통과하는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에서 상기 촬영 장치는, 시편을 통과한 광을 이미지화할 수 있는 장치인 경우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파장 범위의 빛을 이미지화 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 장치는 카메라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복합재료 시편에 외력을 가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료 시편을 광원과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는 단계;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은 지극히 단순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으로 얻어진 이미지에서 그림자간 간격을 분석하여 그림자간 간격이 넓을수록 복합재료의 계면강도가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재료의 계면강도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복합재료의 박리 등과 같은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물성 중 하나이나,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자주사현미경 등과 같은 전문 장비를 이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전문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복합재료의 계면강도가 약한 경우, 박리가 넓은 범위에 걸쳐서 일어나고, 반대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가 강한 경우 박리가 좁은 범위에서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박리의 범위는 광을 인가하여 복합재료 시편의 이미지를 얻음으로써 도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때, 박리의 범위는 상기 이미지의 그림자간 간격을 분석하여 도출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그림자간 간격은 강화섬유의 배치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일단에 위치한 그림자 및 다른 일단에 위치한 그림자의 간격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은, 단순히 광을 통과한 시편을 촬영하는 지극히 간단한 방법으로 강화섬유와 기재와의 계면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외력이라 함은 복합재료 내에서 강화섬유와 기재의 박리를 유발할 수 있는 힘인 경우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압축, 인장, 굽힘 및 비틀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외력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력을 가하는 단계는 복합재료 시편의 파손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시험하고자 하는 복합재료 시편의 항복점 이전까지 변형을 가하는 정도의 힘이 인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합재료의 굴곡강도 평가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굴곡강도 평가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얻어진 복합재료 시편의 이미지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합재료의 굴곡강도는 상기 얻어진 이미지에서 그림자간 간격이 넓을수록 굴곡강도가 약하며, 그림자간 간격이 좁을수록 굴곡강도가 강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복합재료의 계면강도가 강할수록 복합재료의 굴곡강도 또한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굴곡강도는 하기 관계식 1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관계식 1]
Figure pat00009
상기 관계식 1에서
Figure pat00010
는 복합재료 시편의 실제 굴곡강도이며,
Figure pat00011
은 하기 계산식 1로 계산된 복합재료 시편의 굴곡강도 계산 값이다.
[계산식 1]
Figure pat00012
상기 계산식 1에서
Figure pat00013
은 기준시편의 그림자간 간격이고,
Figure pat00014
은 복합재료 시편의 그림자간 간격이며,
Figure pat00015
는 기준시편의 굴곡강도이고,
Figure pat00016
은 복합재료 시편의 굴곡강도 계산 값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재료의 굴곡강도 평가방법은, 광원 및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성으로 복합재료 시편의 굴곡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에폭시 수지(YD-128, KUKDO Chemical)와 유리섬유(SE-1500, Owens corning)를 기준시편, 실험시편 모두 85/200g을 이용하였으며, 경화제로 D-400과 D-2000을 첨가하여 제조한 가로 15 ㎜, 세로 100 ㎜, 두께 3 ㎜의 시편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광원은 손전등을 이용하였으며, 카메라는 Nikon coolpix 950을 이용하고, 광원과 시편의 거리는 5 ㎝, 시편과 카메라의 거리는 20 ㎝가 되도록 배치하였으며, 암실을 구비하여 시편은 암실의 일면에 장치하고, 카메라는 암실 내부의 시편을 촬영하도록 하였다.
도 2는 촬영한 기준시편 (a) 및 실험시편 (b)를 도시한 도면이며, 시편의 그림자간 간격을 바탕으로 할 때, 실험시편의 굴곡강도가 낮고 시편에서 박리가 진행될 것을 예상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준시편 및 실험시편은 만능재료시험기(LR-10K, Lloyd Instrument Ltd)를 이용하여 3점 굽힘 실험 방법으로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은 실험 후 A-scan(GE Inspection Technologies)을 이용한 초음파 분석 방법으로 실험시편에서 박리가 진행됐음을 확인한 것이다. 기준시편의 굴곡강도는 426 MPa, 실험시편의 굴곡강도는 74.4 MPa로 나타나 얻어진 이미지에서 시편의 그림자를 통해 박리 및 그림자 간 간격이 넓을수록 굴곡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상기 복합재료 시편을 광원과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는 단계;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합재료의 박리 정도를 판단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은 압축, 인장, 굽힘 및 비틀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시편의 두께는 1 내지 10 ㎜인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380 내지 800 ㎚ 파장의 광을 인가하는 광원인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마이드섬유 및 세라믹섬유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재료인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평가방법.
  6. 복합재료 시편에 외력을 가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료 시편을 광원과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가 복합재료 시편을 통과한 광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는 단계;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의 계면강도는 상기 이미지에서 그림자 간 간격이 넓을수록 복합재료의 계면강도가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평가방법.
  8. 제 7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복합재료 시편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굴곡강도(
    Figure pat00017
    )을 갖는 것인, 복합재료의 굴곡강도 평가방법.
    [관계식 1]
    Figure pat00018

    (상기 관계식 1에서
    Figure pat00019
    는 복합재료 시편의 실제 굴곡강도이며,
    Figure pat00020
    은 하기 계산식 1로 계산된 복합재료 시편의 굴곡강도 계산 값이다.)
    [계산식 1]
    Figure pat00021

    (상기 계산식 1에서
    Figure pat00022
    은 기준시편의 그림자간 간격이고,
    Figure pat00023
    은 복합재료 시편의 그림자간 간격이며,
    Figure pat00024
    는 기준시편의 굴곡강도이고,
    Figure pat00025
    은 복합재료 시편의 굴곡강도 계산 값이다.)
KR1020170093236A 2017-07-24 2017-07-24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KR10202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36A KR102020214B1 (ko) 2017-07-24 2017-07-24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36A KR102020214B1 (ko) 2017-07-24 2017-07-24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51A true KR20190010951A (ko) 2019-02-01
KR102020214B1 KR102020214B1 (ko) 2019-11-04

Family

ID=6536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236A KR102020214B1 (ko) 2017-07-24 2017-07-24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7357A (zh) * 2020-12-16 2021-04-20 中航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蜂窝用芳纶纸性能评价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569A (ja) * 2004-03-04 2005-09-15 Toppan Printing Co Ltd 薄膜付着強度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100101192A (ko) * 2009-02-26 2010-09-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정질 합금의 소성변형 측정 장치
KR20120040981A (ko) * 2010-10-20 2012-04-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응력-변형률 곡선을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328475B1 (ko) * 2012-05-22 2013-11-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이미지 해석을 이용한 층상 복합재료의 계면 접합 특성 평가방법
KR20160147393A (ko) 2015-06-15 2016-12-23 한국과학기술원 광섬유 프리프레그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재료 적층 구조물 및 광섬유 프리프레그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569A (ja) * 2004-03-04 2005-09-15 Toppan Printing Co Ltd 薄膜付着強度評価方法および装置
KR20100101192A (ko) * 2009-02-26 2010-09-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정질 합금의 소성변형 측정 장치
KR20120040981A (ko) * 2010-10-20 2012-04-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응력-변형률 곡선을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328475B1 (ko) * 2012-05-22 2013-11-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이미지 해석을 이용한 층상 복합재료의 계면 접합 특성 평가방법
KR20160147393A (ko) 2015-06-15 2016-12-23 한국과학기술원 광섬유 프리프레그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재료 적층 구조물 및 광섬유 프리프레그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7357A (zh) * 2020-12-16 2021-04-20 中航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蜂窝用芳纶纸性能评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214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07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rack growth
Wildemann et al. Research of the damage and failure processes of composite materials based on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and method of digital image correlation
Krull et al. Automatic optical crack tracking for double cantilever beam specimens
BR102013026020B1 (pt) sistema e método de execução de um ensaio não destrutivo e laminado
JPWO2020065815A1 (ja) 材料試験機
KR20190010951A (ko)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Gonzáles et al. Determining SIFs using DIC considering crack closure and blunting
KR101409814B1 (ko) 균열 측정장치
JP2016125949A (ja) 構造物の表面検査装置および表面検査方法
KR20200045335A (ko) 소성 응력 확대 계수 산출 시스템
ATE459894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signalen konfokaler bilder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des standes der probenahme
Kim et al. Single fiber tensile properties measured by the Kolsky bar using a direct fiber clamping method
Forsyth et al. A brief introduction to nondestructive testing
Gosch et al. Methods for automated crack length detection in fracture mechanical fatigue tests of unreinforced polymers
KR102333436B1 (ko) 반사면 및 클립이 형성된 시편마커 및 이를 이용한 인장시험 시스템
De Domenico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Bond Behavior of FRCM-Concrete Interface via Digital Image Correlation
JPH0533285A (ja) 紙、不織布等の配向方向計測装置
KR102287776B1 (ko)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탄소-케블라 하이브리드 직물의 충격손상 감지 및 충격자 형상 예측 방법 및 장치
Lodeiro Investigation of PMC interface properties using the single-fibre fragmentation technique.
Začal et al. Analysis of surface defects in composites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and acoustic emission
RU2568075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фрактограф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изломов образца в процессе испытаний на ударный изгиб
Mates et al. Dynamic Compressive Tests of Alumina Dumbbells Using a Spherical Joint
KR20240063305A (ko) 표면 및 파괴 거동 분석 장치
US7880885B1 (en) Portable evaluation of window transmission
KR19980044511A (ko) 부품 내구시험용 파단장면 촬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