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823A -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823A
KR20190010823A KR1020170093049A KR20170093049A KR20190010823A KR 20190010823 A KR20190010823 A KR 20190010823A KR 1020170093049 A KR1020170093049 A KR 1020170093049A KR 20170093049 A KR20170093049 A KR 20170093049A KR 20190010823 A KR20190010823 A KR 2019001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urved portion
fitting groove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기업
Priority to KR102017009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823A/ko
Publication of KR2019001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2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6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0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 B65D77/20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the cover being maintained by projections or recesses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단이 외향으로 라운딩되도록 성형된 만곡부가 상단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만곡부 외측으로 하향삽입되도록 테두리의 하단에 끼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된 캡부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용기본체와 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만곡부에 캡부가 끼움결합되어도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끼움결합된 만곡부와 끼움홈사이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고압으로 팽창하기 전에 용기본체 내부의 수증기가 자연스럽게 용기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캡부의 일부 개방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이 청결하게 소비자에게 배달될 수 있게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VAPOR}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단이 외향으로 라운딩되도록 성형된 만곡부가 상단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만곡부 외측으로 하향삽입되도록 테두리의 하단에 끼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된 캡부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고압으로 팽창하기 전에 용기본체 내부의 수증기가 자연스럽게 용기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캡부의 일부 개방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이 청결하게 소비자에게 배달될 수 있게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문화의 다양성과 발달로 인하여 배달문화도 발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음식물이 포장용 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까지 배달되어짐으로써, 소비자는 다양한 음식을 집, 직장, 현장 등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상기한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용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단이 외향으로 라운딩되도록 성형된 만곡부(14)가 상단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만곡부(14) 외측으로 하향삽입되도록 테두리의 하단에 끼움홈(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된 캡부(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포장용 용기는 일회성으로 사용되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합성수지재를 도 1과 같은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사출성형하여 사용되지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주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재 등과 같이 딱딱하지 않고, 연질성 또는 플렉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4)에 끼움홈(12)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다 하더라도 캡부(20)의 끼움홈(12)이 확장된 후 원상복귀되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성도 보장된다.
그러나, 상기한 포장용 용기에 일정 온도 이상 가열하여 조리된 뜨거운 음식물 등을 수용시킨 후, 소망하는 장소까지 배달 또는 운반하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뜨거운 음식에서는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열과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캡부(2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 용기본체(10) 내부의 공기는 고압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고압으로 팽창하게 되는 공기는 캡부(20)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며, 그 힘은 결국, 캡부(20)의 끼움홈(12)이 만곡부(14)에서 분리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운반 시 용기본체(10)에 작은 움직임이라도 발생할 경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용기본체(10) 밖으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용기본체(10)에 차거운 음식물이 수용될 경우에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나, 뜨거운 음식물이 수용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캡부(20)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음식물이 누설되거나 주변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본체에 수용된 뜨거운 음식물에서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고압으로 팽창하기 전에 용기본체 내부의 수증기가 자연스럽게 용기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고압으로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캡부의 부분적 개방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음식물이 안전하고 청결하게 소비자에게 배달될 수 있게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2)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단이 외향으로 라운딩되도록 성형된 만곡부(104)가 상단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 외측으로 하향삽입되도록 테두리의 하단에 끼움홈(202)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된 캡부(200)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와 캡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에 캡부(200)가 끼움결합되어도 수용공간(102)에 수용된 물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끼움결합된 만곡부(104)와 끼움홈(202)사이로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만곡부(1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배출홈(10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만곡부(1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10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부(200)의 끼움홈(202)이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에 하향삽입되어 끼움결합 시 끼움홈(202)을 통하여 증기가 배출되도록 끼움홈(20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배출홈(20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만곡부에 형성된 제1배출홈에 의하여 용기본체 내부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거나 만곡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하여 돌기부와 캡부의 끼움홈이 접하면 돌기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틈새로 용기본체 내부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거나, 캡부의 끼움홈에 제2배출홈을 성형하여 용기본체 내부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본체가 캡부에 의해 폐쇄된다하더라도 수용된 뜨거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고압으로 팽창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캡부가 일부 개방되어 음식물이 누설되거나 주변이 음식물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안전하고 청결한 상태의 음식물을 소망하는 장소까지 배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포장용 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포장용 용기의 용기본체와 캡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용기본체와 캡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의 구성은 크게 용기본체(100)와 캡부(200)로 구분되며, 구체적으로는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만곡부(104)에 캡부(200)의 끼움홈(202)이 결합되어 용기본체(100)의 수용공간(102)이 외부와 차단된 구조에서도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용기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02)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의 테두리에는 외측방향을 향하여 '∩' 형상으로 라운딩된 만곡부(1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곡부(104)는 반드시 '∩' 형상으로 라운딩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 형상 또는 'ㄱ'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캡부(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 외측으로 하향삽입되도록 테두리의 하단에 끼움홈(202)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끼움홈(202)이 만곡부(104)에 끼워지면, 캡부(200)가 용기본체(100)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0)와 캡부(20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재의 재질상 연질 또는 플렉시블(Flexible) 특성을 가지게 되므로, 용기본체(100)와 캡부(200)에는 다수 개의 리브(Rib)를 성형하여 수직유지력, 수평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게 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만곡부(104)도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특성을 가지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외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특히, 용기본체(100)의 상단에서 성형되는 부분이므로 별도의 리브(Rib)를 구성하지 않아도 끼움홈(202)이 삽입되는 정도의 외압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찌그러지거나 구부러지는 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캡부(200)의 끼움홈(202)은 만곡부(104)에 하향으로 삽입 또는 끼워질 때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야 작용이 발생하여야 하므로, 끼움홈(202)이 벌어졌다가 재질적 특성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상복구되면서 만곡부(104)에 끼워지게 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리브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만곡부(104)와 끼움홈(202)의 결합구조에 증기 배출기능을 더하여 용기본체(100) 내부의 온도가 음식물의 발열에 의하여 상승함으로써 압력이 상승한다 하더라도 증기배출로 인한 자가조절기능이 부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에 캡부(200)의 끼움홈(202)이 삽입된다 하더라도 용기본체(100)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될 수 있도록 만곡부(104)의 내측과 외측에 제1배출홈(106)이 도 3과 도 4와 같이 성형되게 하되, 이 제1배출홈(106)은 용기본체(100)의 상단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성형되게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2)에 수용된 음식물에 의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 또는 증기가 발생할 경우 이 증기는 만곡부(104)의 내측면과 만곡부(104)의 상부면과 만곡부(104)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1배출홈(106)을 따라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202)이 만곡부(10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에서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만곡부(104)의 내측면, 만곡부(104)의 상부면, 만곡부(104)의 외측면에 이르기까지 돌기부(108)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끼움홈(202)이 만곡부(104)에 삽입되면 이 돌기부(108)에 의하여 돌기부(108) 양측에는 끼움홈(202)의 내측면이 만곡부(104)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렇게 이격된 틈새(110)를 통하여 용기본체(10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도 할 수 있다.
상기한 돌기부(108)는 원주방향을 따라 만곡부(104)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04)에는 돌기나 홈을 성형하지 않으면서, 오직 캡부(200)의 끼움홈(202)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배출홈(204)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성형함으로써, 끼움홈(202)이 만곡부(104)에 삽입되더라도 제2배출홈(204)만은 만곡부(104)에 밀착되지 않게 하면서, 끼움홈(202)만 만곡부(104)에 삽입밀착되게 하여 견고한 폐쇄구조가 이루어지게 하면서 용기본체(100) 내부의 증기는 제2배출홈(20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100 : 용기본체 102 : 용기본체의 수용공간
104 : 만곡부 106 : 제1배출홈
108 : 돌기부 110 : 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틈새
200 : 캡부 202 : 끼움홈
204 : 제2배출홈

Claims (4)

  1.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2)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단이 외향으로 라운딩되도록 성형된 만곡부(104)가 상단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 외측으로 하향삽입되도록 테두리의 하단에 끼움홈(202)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된 캡부(200)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와 캡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에 캡부(200)가 끼움결합되어도 수용공간(102)에 수용된 물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끼움결합된 만곡부(104)와 끼움홈(202)사이로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만곡부(1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배출홈(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만곡부(1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200)의 끼움홈(202)이 용기본체(100)의 만곡부(104)에 하향삽입되어 끼움결합 시 끼움홈(202)을 통하여 증기가 배출되도록 끼움홈(20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배출홈(2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KR1020170093049A 2017-07-22 2017-07-22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KR20190010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049A KR20190010823A (ko) 2017-07-22 2017-07-22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049A KR20190010823A (ko) 2017-07-22 2017-07-22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823A true KR20190010823A (ko) 2019-01-31

Family

ID=6532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049A KR20190010823A (ko) 2017-07-22 2017-07-22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08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50059A (ja) 急速冷凍用容器及びシール
WO2017162559A1 (en) Container and lid with audible and tactile feedback
JP2005193987A (ja) 発酵食品用密閉容器
JP2019536705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を含む加圧式ディスペンスシステム
US20170073145A1 (en)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and package for microwave oven
TWI594932B (zh) 用來保存發酵食品的容器
KR200473480Y1 (ko) 도시락 용기
TW201733868A (zh) 容器用閉合構件
KR20190010823A (ko) 증기 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 용기
CN112707011B (zh) 冷藏箱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JP4468479B1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JP2007330574A (ja) 食品保温容器
US20170144823A1 (en) Silicone food storage can
CN111132908B (zh)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KR200485378Y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JP2009179395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1460757B1 (ko) 일회용 밀폐용기
CN111148700B (zh) 包括封闭装置和盖的容器
KR200491542Y1 (ko) 조리 용기의 밀폐구조
JP6488032B1 (ja) 電子レンジで調理可能な多機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