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539A -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539A
KR20190010539A KR1020187031225A KR20187031225A KR20190010539A KR 20190010539 A KR20190010539 A KR 20190010539A KR 1020187031225 A KR1020187031225 A KR 1020187031225A KR 20187031225 A KR20187031225 A KR 20187031225A KR 20190010539 A KR20190010539 A KR 20190010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mplant
cylindrical body
angled
generally cylindrical
circumferentially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666B1 (ko
Inventor
그라함 알란 블랙비어드
리스 커러더스 커밍
Original Assignee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4Long implant, e.g. zygomatic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치아 임플란트는 대체로 원통체,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한다. 대체로 원통체는 주-중심축을 가지며, 적어도 약 900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대체로 원통체는 근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반대편 원위 부분을 가진다. 내부 보어는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되고, (i) 보어-중심축 및 (ⅱ)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진다. 비회전 특징부는 비회전 형태로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각각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되는 2016년 3월 30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15,274호 및 2016년 7월 13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61,665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복원 치아 임플란트(restorative dental implant) 및 교각치(abutment)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된 치아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단일 치아 복원물(예를 들어, 치관(crown))은 하부 구조물(예를 들어, 자연치 치조제(natural tooth prep), 교각치/임플란트 조립체 등) 상에 비회전식으로 지지되어만 하는 독특한 요구 조건을 제시한다. 하부 구조가 준비된 자연치일 때, 이러한 비회전 지지 요구 조건은 비원형 단면을 가지는 자연치를 준비하는 정상적인 과정에서 충족된다. 유사하게, 하부 구조가 치아 임플란트에 고정된 교각치일 때, 이러한 비회전 지지 조건은 비원형 단면을 가지는 교각치를 준비 및/또는 사용하는 것에 의해 충족된다. 이러한 후자의 시나리오는 치아 임플란트와 교각치 사이의 추가 연결로 인해 더욱 복잡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치아 임플란트는 환자의 턱의 뼈(예를 들어, 상악골(maxilla) 및/또는 하악골(mandible))에 이식된다. 수많은 설계 반복이 시판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이러한 조립체들에는 두 가지 형태의 치아 임플란트-교각치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다: (i) 외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 및(ⅱ) 내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 외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 설계는 전형적으로 치아 임플란트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육각형 보스(또는 다른 회전 방지 특징)를 포함하는데 반하여, 내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 설계는 전형적으로 하향하여 치아 임플란트의 상부 부분 내로 연장되는 육각형 소켓(또는 다른 회전 방지 특징)을 포함한다. 어느 치아 임플란트(예를 들어, 외부/보스 또는 내부/소켓)로도, 대응하는 교각치는 비회전 형태로 치아 임플란트와 결합되고, 전형적으로 스크루로 치아 임플란트에 고정된다.
대부분의 복원 상황에서, 치아 복원물(tooth restoration)의 중심 또는 주축 및/또는 교각치의 지주는 치아 임플란트의 중심 또는 주축에 대해 0이 아닌 각도에 있다. 이러한 것은 전형적으로 대부분의 환자의 자연적인 해부학에 기인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설치될 때, 입안에서 발생된 자연적인 힘(예를 들어, 씹는 것으로부터)은 치아 복원물(예를 들면, 치관)로부터 교각치로, 그런 다음 환자의 턱뼈에 설치된 치아 임플란트로 전달된다. 치아 복원물의 중심축과 중심축 치아 임플란트 사이의 각도 때문에, 힘은 또한 교각치와 치아 임플란트의 분리를 유발할 수 있는 굽힘 모멘트를 또한 생성하며, 굽힘 모멘트는 치아 임플란트 내로 누출될 수 있다.
교각치와 치아 임플란트 사이의 연결 부위에 이러한 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의 사용을 수반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전형적으로 교각치와의 연결을 위한 각이 진 접함면(예를 들어, 수평에 대해 각이 진) 및 치아 임플란트의 중심 또는 주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치아 임플란트에 교각치를 홀딩하는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각이 진 나사공(예를 들어, 수직에 대해 각이 진)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연결 부위(교각치와 치아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자연적인 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지만, 치아 임플란트 내에서 이러한 내측의 각이 진 특징부들의 포함은 이러한 각이 진 특징부(예를 들어, 6 ㎜의 외경)들을 그 안에 수용하도록 대체로 치아 임플란트가 비교적 큰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것을 요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내부의 각이 진 특징부들의 포함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의 외벽의 일부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벽의 나머지보다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경이 너무 작으면(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의 비교적 작은 부분일지라도), 각이 진 치아 교각치는 용이하게 파손되기/부러지기/약해지기 쉽다.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4.5mm의 외경을 가지도록 제한되어 왔으며; 그러나, 이러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전형적으로 많은 환자에게서 정면 상악골/하악골이 이러한 큰 외경을 구비한 치아 임플란트를 지지할 수 없음에 따라서 정면 상악골/하악골에서 사용하는제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환자의 정면 상악골/하악골에서 사용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외경(예를 들어, 3.0 mm, 3.25 mm, 3.5 mm, 4.0 mm 등)을 가지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른 필요를 다루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는 대체로 원통체,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한다. 대체로 원통체는 주-중심축을 가지며, 적어도 약 800 MPa,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900MPa, 예를 들어 920 MPa의 극한 인장강도(ultimate tensile strength)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대체로 원통체는 근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반대편 원위 부분을 가진다. 내부 보어는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되고, (i) 보어-중심축, 및 (ⅱ)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진다. 비회전 특징부는 비회전 형태로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대체로 원통체,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한다. 대체로 원통체는 최대 외경 및 주-중심축을 가진다. 대체로 원통체는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대체로 원통체는 근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반대편 원위 부분을 가진다. 내부 보어는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대체로 원통체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및 내부 보어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을 형성한다. 내부 보어는 대체로 원통체의 주-중심축에 대해 약 7° 내지 약 31°의 각도로 있는 보어-중심축을 가진다. 보어-중심축의 상대 각도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적어도 제1 부분이 제1 부분의 원주 주위에 가변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제1 부분에서의 원주 방향 연장 벽의 두께는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가장 얇은 부분으로부터 대체로 원통체의 제2 반대편 측면에 인접한 가장 두꺼운 부분까지 변한다. 내부 보어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진다. 비회전 특징부는 비회전 형태로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부분에서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에 대한 대체로 원통체의 최대 외경의 비는 약 16 내지 약 80이다.
치아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냉간 가공된 상업용 순수한 티타늄을 주-중심축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체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체로 원통체는 근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반대편 원위 부분을 가진다. 냉간 가공된 상업용 순수한 티타늄은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내부 보어는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된다. 내부 보어는 (i) 보어-중심축, 및 (ⅱ) 나사 부분을 포함한다. 비회전 특징부는 교각치와 결합하기 위해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각이 진 관골(angled zygomatic) 치아 임플란트는 대체로 원통체,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한다. 대체로 원통체는 최대 외경 및 주-중심축을 가진다. 대체로 원통체는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대체로 원통체는 근위 부분, 중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형 원위 부분을 가진다. 대체로 원통체는 약 25 ㎜ 내지 약 60 ㎜의 길이를 가진다. 내부 보어는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대체로 원통체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및 내부 보어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을 형성한다. 내부 보어는 대체로 원통체의 주-중심축에 대해 약 40° 내지 약 65°의 각도로 있는 보어-중심축을 가진다. 보어-중심축의 상대 각도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이 가장 얇은 부분을 가지도록 한다. 내부 보어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진다. 비회전 특징부는 비회전 형태로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에 대한 대체로 원통체의 최대 외경의 비는 약 50 내지 약 75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추가의 양태 및 실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실시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그 설명은 다음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이점 및 다른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한 직선-보어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절개 사시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하는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절개 사시도;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한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절개 사시도;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한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절개 사시도;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내부 연결부를 구비한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단면도;
도 6a는 교각치, 스크루, 및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한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아 조립체의 조립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치아 조립체의 조립 절개 사시도;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치아 조립체의 분해 부분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한 각이 진 보어형 관골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관골 치아 임플란트의 절개 사시도;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관골 치아 임플란트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한 각이 진 보어형 관골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외부 연결부를 구비한 각이 진 보어형 관골 치아 임플란트의 사시도.
본 발명이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서 예시로서 도시되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등가물, 및 대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들은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형성된다(예를 들어 이로부터 가공된다). 극한 인장강도는 재료가 부서지기 전에 신장되거나 또는 당겨지는 동안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것은 냉간 가공되는 것에 의해, 재료가 그 재결정 온도(예를 들면, 주위 온도) 아래의 온도에서 재료가 형상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상화 기술의 예는 압착, 굽힘, 인발, 전단, 압연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재료는 비교적 낮은 극한 인장강도(예를 들면, 550 MPa)를 구비한 상업용 순수 티타늄(예를 들면, ASTM 국제 표준 ASTM F67에 의해 정의되는 등급 IV 티타늄)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상업용 순수 티타늄은 냉간 가공되고, 이러한 것은 상업용 순수 티타늄의 극한 인장 강도를 그 초기값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값(예를 들어, 800 MPa, 850 MPa, 900 MPa, 920 MPa, 940 MPa, 960 MPa 등)으로 증가시킨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비교적 높은 극한 인장강도(예를 들어, 920 MPa)를 가지는 이러한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 재료로부터 가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비교적 낮은 극한 인장강도(예를 들어, 400 MPa)를 가지는 재료로부터 가공된 치아 임플란트와 비교하여 잠재적으로 치아 임플란트의 장기간 성능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비교적 작은 크기(예를 들어, 보다 작은 지름)로 가공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일반적으로 참조하면, 치아 임플란트(100)는 대체로 원통체(110), 내부 보어(130), 및 비회전 특징부(150)를 포함한다. 대체로 원통체(110)는 일반적으로 상부 또는 근위 부분(112a) 및 하부 또는 원위 부분(112b)으로 분할된다. 원위 부분(112b)은 전형적으로 치아 임플란트(100)를 환자의 뼈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100)는 환자의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고정될 수 있다.
근위 부분(112a)은 그 외부 표면 주위의 제1 나사부(114a)를 포함하고, 원위 부분(112b)는 그 외부 표면 주위의 제2 나사부(114b)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나사부(114a, 114b)들은 동일하며(예를 들어, 동일한 피치, 동일한 단면 및/또는 동일한 수의 출발점 등), 일부 대안에서, 제1 및 제2 나사부(114a, 114b)들은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나사부(114a)는 각각 0.6 ㎜의 피치(예를 들어, 다중-리드 나사부(multi-lead threads)의 인접한 턴들 사이에서 0.2 ㎜)를 가지는 3개의 나사(three thread)를 가지는 다중-리드 나사부일 수 있고, 제2 나사부(114b)는 0.6 ㎜의 피치를 가지는 한줄 나사(single thread)이다. 동일 또는 상이한 피치를 가지는 제1 나사부(114a) 및 제2 나사부(114b) 상의 다중-리드 나사부와 같은 다양한 대안적인 나사, 피치 및 비율이 고려된다. 제1 및 제2 나사부(114a, 114b)들은 서로 섞이거나(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100)의 중앙 근처에서) 또는 분리되고 구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접촉하지 않고).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나사부(114a)(원위 부분(112b) 주위의)는 마이크로 나사부(114a)이고 제2 나사부(114b)(근위 부분(112b) 주위의)는 메인 나사부(114b)이며, 메인 나사부(114b)는 보다 깊은 뼈와의 주요 결합부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마이크로 나사부(114a)는 메인 나사부(114b)의 최고-최저간 거리(peak-to-trough distance) 및 나사 안지름(minor thread 지름)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최고-최저간 거리 및 보다 큰 나사 안지름을 가진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05 ㎜ 내지 0.1 ㎜의 범위에 있고, 제2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2 ㎜ 내지 약 0.5 ㎜의 범위에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075 mm이고 제2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25 mm이다.
대체로 원통체(110)의 원위 부분(112b)은 제2 나사부(114b)를 교차하는(예를 들어, 부서지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원주 주위로 이격된 3개의 대체로 수직 세로 홈(vertical flute)(118)을 포함한다. 세로 홈(118)들은 (i) 환자의 뼈 소켓 내로 치아 임플란트(100)를 자가 태핑(self-tapping) 및/또는 (ⅱ) 설치 동안 치아 임플란트(100)를 수용하는 캐비티(예를 들어, 뼈 소켓)로부터 배출되는 재료를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치아 임플란트(100)의 설치를 돕는다. 더욱 많거나 적은 세로 홈(118)들도 고려된다(예를 들어, 1개, 2개, 4개, 5개 등).
대체로 원통체(110)의 근위 부분(112a)은 칼라 섹션(120)을 포함한다. 칼라 섹션(120)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치아 임플란트(100)의 근위 단부 근처 및/또는 근위 단부에 위치된다. 칼라 섹션(120)은 칼라 섹션(120)이 그 주위에 제1 나사부(114a)를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서 대체로 원통체(110)의 근위 부분(112a)의 나머지와 구별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섹션(120)은 제1 나사부(114a)의 외경에 의해 한정되는 근위 부분(112a)의 나머지의 최대 외경(Dmax,t)보다 약간 큰 최대 외경(Dmax,c)을 가진다. 대안적으로, 칼라 섹션(120)의 최대 외경(Dmax,c)은 제1 나사부(114a)의 최대 외경(Dmax,t) 이하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크기의 치아 임플란트가 참조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치아 임플란트를 식별하기 위해, 치아 임플란트들은 공칭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칭 크기는 대체로 또는 명목상으로 치아 임플란트의 최대 외경 또는 폭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최대 외경은 칼라 섹션(120)의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제1 나사부(114a)의 최대 외경(Dmax,t)(제1 나사부(114a)의 내경과는 대조적으로)을 지칭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100)는 3.25 ㎜ 치아 임플란트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칼라 섹션(1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제1 나사부(114a)의 공칭 최대 외경(Dmax,t)이다. 공칭은 외경(Dmax)이 약 3.25㎜이고 반드시 정확히 3.25㎜가 아님을 의미한다. 약 3.25 ㎜는 치수가 약 ± 0.1 ㎜의 공차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비회전 특징부(150)는 대체로 칼라 섹션(120)로부터 돌출하고, 내부 보어(130)의 외부에 있다(예를 들어 적어도 내부 보어(130)의 나사 부분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비회전 특징부(150)는 비회전 형태로 있는 교각치(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교각치(675))의 대응하는 비회전 특징부(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비회전 특징부(685))와 비회전식으로 접합할 수 있는 6면 육각형 보스이다. 예를 들어, 4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보스(도시되지 않음), 5면 다각형 보스(도시되지 않음), 12면 다각형/별형 보스(도시되지 않음), 3-부분 클로버 형상(clover shaped) 보스(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다양한 대안적인 비회전 특징부들이 고려된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대체로 원통체(110)는 주-중심축(Xmain)을 가진다. 주-중심축(Xmain)은 치아 임플란트(100)의 대체로 원통체(110)의 적어도 원위 부분(112b)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하는 직선 축/선으로서 정의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임플란트(100)의 주-중심축(Xmain)은 또한 치아 임플란트(100)의 대체로 원통체(110)의 근위 부분(112a)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한다. 이러한 것은 치아 임플란트(100)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들의 일부와 대조적으로 직선 보어 임플란트이기 때문이다.
내부 보어(130)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대체로 원통체(110)에 형성된다. 내부 보어(130)는 치아 임플란트(100) 상에 교각치를 홀딩하도록 스크루(예를 들어,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스크루(690))와 나사 접합되도록 암나사 또는 내부 나사부(132)를 포함한다(도 6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130)는 보어-중심축(Xbore)을 가진다. 보어-중심축(Xbore)은 치아 임플란트(100)의 적어도 내부 보어(130)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하는 직선 축/선으로 정의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130)의 보어-중심축(Xbore)은 또한 치아 임플란트(100)의 대체로 원통체(110)의 원위 부분(112b)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한다. 이러한 것은 임플란트(100)가 본 명세서 기술된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의 일부와 대조적으로 직선 보어 임플란트이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보어-중심축(Xbore)은 주-중심축(Xmain)에 대해 약 7°내지 약 31°의 각도로 있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각이 진 보어-중심축을 가지는 예시적인 치아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도 2a 내지 도 5c에 도시된다.
내부 보어(130)는 대체로 원통체(110)의 외부 표면(119)과 내부 보어(130)의 내부 표면(139)에 의해 한정된 원주 방향 연장 벽(135)을 형성한다. 원주 방향 연장 벽(135)은 도 1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두께(tw,min) 및 최대 두께(tw,max)를 가진다. 원주 방향 연장 벽(135)의 최소 및 최대 두께(tw,min 및 tw,max)는 치아 임플란트(100)의 크기(예를 들어, 3.0 지름 임플란트, 3.25 지름 임플란트, 3.5 지름 임플란트, 4.0 지름 임플란트, 5.0 지름 임플란트 등), 내부 보어(130)의 내경(임플란트에 교각치를 홀딩하도록 사용되는 스크루의 형태/크기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는), 제1 나사부(114a)의 크기(예를 들어, 피치), 내부 나사부(132)의 크기(예를 들어, 피치) 및/또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한 보어-중심축(Xbore)의 각도(치아 임플란트(100)의 경우에 0)에 의존하여 변한다.
또한, 원주 방향 연장 벽(135)의 최소 및 최대 두께(tw,min 및 tw,max)는 두께가 측정되는 위치(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의 높이를 따르는 수직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에 대해, 내부 보어의 근위 단부 근방 또는 근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최소 두께(tw,min)는 내부 보어의 원위 단부 근방 또는 원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최소 두께(tw,min)와 상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원주 방향 연장 벽(135)의 두께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있는 내부 보어로 인하여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의 원주(예를 들어, 주-중심축 주위의 회전 위치) 주위에서 변하며, 이러한 것은 다음에 설명되고 도 2a 내지 도 5c에 도시된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기초하여, 대체로 원통체(110)의 최대 외경(Dmax,c 또는 Dmax,t)(예를 들어, 3.25 ㎜의 공칭 외경) 대 대체로 원통체(110)의 원주 방향 연장 벽(135)의 가장 얇은 부분(예를 들어, 두께(tw.min))의 비율은 6.5와 같은 3.25 ㎜/0.5 ㎜이다.
지금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치아 임플란트(100)와 유사한 대체로 원통체(210)를 가지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칼라 섹션(220) 및 내부 보어(230)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중심축(Xmain)에 대해 각이 진다는 점에서 치아 임플란트(200)(도 1a 내지 도 1c)와 대체로 다르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는 칼라 섹션(2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제1 나사부(214a)의 공칭 최대 외경(Dmax,t)인 3.25 ㎜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 지칭될 수 있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는, 비회전 특징부(250)가 각이 진 칼라 섹션(220)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서, 비회전 특징부(250)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중심축(Xmain)에 대해 각이 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회전 특징부(150)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비회전 특징부(2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치아 임플란트(100)의 대체로 원통체(110)와 유사하게, 대체로 원통체(210)는 일반적으로 상부 또는 근위 부분(212a)과 하부 또는 원위 부분(212b)으로 분할된다. 근위 부분(212a)은 제1 나사부(214a)를 포함하고, 원위 부분(212b)은 제1 및 제2 나사부(114a, 114b)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2 나사부(214b)를 포함한다. 또한, 원위 부분(212b)은 세로 홈(118)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3개의 대체로 수직인 세로 홈(218)을 포함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는 주-중심축(Xmain)을 가진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중심축(Xmain)이 대체로 원통체(210)의 원위 부분(212b)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하지만(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100)의 주-중심축(Xmain)과 유사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중심축(Xmain)은 대체로 원통체(210)의 근위 부분(212a)의 대칭축을 통과하지(예를 들어, 대칭축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의 근위 부분(212a)이, (1)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중심축(Xmain) 및 (2)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근위 부분(212a)은, 칼라 섹션(220)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수직 및/또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해 각이 진다는 점에서 도 1a 내지 도 1c에서의 치아 임플란트(100)의 칼라 섹션(120)과 다른 칼라 섹션(220)를 포함한다. 칼라 섹션(220)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근위 단부 근방 및/또는 근위 단부에 위치된다.
내부 보어(23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에 형성된다. 내부 보어(23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 상에 교각치(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교각치(675))를 홀딩하도록 스크루(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스크루(690))와 나사 접합하도록 암나사 또는 내부 나사(232)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6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230)는 보어-중심축(Xbore)을 가진다. 내부 보어(230)의 보어-중심축(Xbore)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내부 보어(230)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통과한다. 치아 임플란트(100)(도 1a 내지 도 1c))에서, 내부 보어(230)의 보어-중심축(Xbore)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의 원위 부분(212b)의 기하학적 중심 및/또는 대칭축을 또한 통과하지 못한다. 이러한 것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가 각이 진 보어형 치아 임플란트이기 때문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230)의 보어-중심축(Xbore)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주-중심축(Xmain)에 대하여 각도(θ)로 있다. 각도(θ)는 예를 들어 약 7°내지 약 31°와 같은 각도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각도(θ)는 약 12°이다.
내부 보어(130)와 유사하게, 내부 보어(230)는 대체로 원통체(210)의 외부 표면(219)과 내부 보어(230)의 내부 표면(239)에 의해 한정된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을 형성한다.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은 도 2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두께(tw,min) 및 최대 두께(tw,max)를 가진다.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최소 및 최대 두께(tw,min 및 tw,max)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크기(예를 들어, 3.0 지름 임플란트, 3.25 지름 임플란트, 3.5 지름 임플란트, 4.0 지름 임플란트, 5.0 지름 임플란트 등), 내부 보어(230)의 내경(임플란트에 교각치를 홀딩하도록 사용되는 스크루의 형태/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제1 나사부(114a)의 크기(예를 들어, 피치), 내부 나사(132)의 크기(예를 들어, 피치), 및/또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한 보어-중심축(Xbore)의 각도(θ)(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경우에 약 12°)에 의존하여 변한다.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최소 및 최대 두께(tw,min 및 tw,max)는 또한 두께가 측정되는 위치(예를 들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의 높이를 따르는 수직 위치)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서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에 대해, 내부 보어(230)의 근위 단부(231a) 근방 또는 근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최소 두께(tw,min)는 내부 보어(230)의 원위 단부(231b) 근방 또는 원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최소 두께(tw,min)와 다르다. 예로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됨)는 약 12°의 각도(θ)를 가지는 내부 보어(230)를 가지는 3.25 지름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공칭 크기)이다. 이러한 예시된 예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의 제1 측면(2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230)의 원위 단부(2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최소 두께(tw,min)(예를 들어, 선(A)에서 취한)는 약 0.04 ㎜이다. 유사하게,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의 제2 반대편 측면(2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230)의 근위 단부(231a)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최소 두께(tw.min)(예를 들어, 선(A')에서 취한)는 약 0.4 ㎜이다.
상기 설명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두께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해 각도(θ)에 있는 내부 보어(230)로 인하여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원주(예를 들어, 주-중심축(Xmain)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위치) 주위에서 변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230)의 원위 단부(2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대체로 원통체(210)의 수평 단면에 대해,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두께는, (1) 제1 측면(2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230)의 원위 단부(2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의 최소 두께(tw,min)로부터 (2) 제2 반대편 측면(2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230)의 원위 단부(2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최대 두께(tw,max)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원주 주위에서 변한다. 대체로 원통체(210)의 수평 단면이 내부 보어(230))의 근위 단부(231a)를 향해 도 2c에서 수직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1 및 제2 측면(210a, 210b)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두께는 대체로 원통체(210)의 수평 단면이 근위 단부(231a)에 도달 및/또는 접근할 때까지 계속 변하며, 근위 단부에서, 최소 두께(tw,min)는 제1 측면(210a)으로부터 제2 반대편 측면(210b)으로 튀어오르며(flip), 유사하게 최대 두께(tw.max)는 제2 반대편 측면(210b)으로부터 제1 측면(210a)으로 튀어오른다.
요약하면,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은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섹션을 가진다.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이러한 부분들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가 적재될 때(예를 들어, 교각치 및 치관과 결합되고 환자의 입에서 저작 목적(mastication purposes)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파손되기/부러지기/약해지기 쉬운 것들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비교적 높은 극한 인장강도(예를 들어 920 MPa)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상업용 순수한 티타늄 재료로부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를 가공하는 것에 의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는 이러한 비교적 얇은 벽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이진 치아 임플란트는 이전의 치아 임플란트와 비교하여 비교적 더욱 작은 외부 지름 및/또는 비교적 큰 각도(θ)들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교적 작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들은 이러한 작은 크기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를 요구하는 예를 들어 정면 상악골 및/또는 정면 하악골과 같은 환자의 입의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기초하여, 대체로 원통체(210)의 최대 외경(Dmax,c 또는 Dmax,t)(예를 들어, 3.25 ㎜의 공칭 외경) 대 대체로 원통체(210)의 제1 측면(210a)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가장 얇은 부분(예를 들어, 두께(tw,min))의 비율은 81.25인 3.25 ㎜/0.04 ㎜이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와 유사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가 대체로 칼라 섹션(3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제1 나사부(314a)의 공칭 최대 외경(Dmax,t)인 4.0 ㎜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서 지칭된다는 점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와 다르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 각이 진 부분(213), 칼라 섹션(220), 내부 보어(230), 비회전 특징부(250), 근위 부분(212a), 원위 부분(212b), 제1 나사부(214a), 제2 나사부(214b), 세로 홈(2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235)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대체로 원통체(310), 각이 진 부분(313), 칼라 섹션(320), 내부 보어(330), 비회전 특징부(350), 근위 부분(312a), 원위 부분(312b), 제1 나사부(314a), 제2 나사부(314b), 세로 홈(3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을 포함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 및 300)들 사이의 주된 차이는, 각을 이루는 치아 임플란트(200 및 300)의 외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야기된 원주 방향 연장 벽(235 및 335)의 두께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은 대체로 원통체(310)의 외부 표면(319)과 내부 보어(330)의 내부 표면(339)에 의해 한정된다.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두께(tw,min) 및 최대 두께(tw,max)를 가진다. 내부 보어(330)의 근위 단부(331a) 근방 또는 근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의 최소 두께(tw,min)는 내부 보어(330)의 원위 단부(331b) 근방 또는 원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의 최소 두께(tw,min)와 다르다. 예로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됨)는 약 12°의 각도(θ)를 가지는 내부 보어(330)를 가지는 4.0 지름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공칭 크기)이다. 이러한 예시된 예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의 대체로 원통체(310)의 제1 측면(3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330)의 원위 단부(3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의 최소 두께(tw,min)(예를 들어, 선(B)에서 취한)는 약 0.2 ㎜이다. 유사하게,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의 대체로 원통체(310)의 제2 반대편 측면(3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330)의 근위 단부(331a) 또는 근방에서(예를 들어, 선(B')의로 취해진)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의 최소 두께(tw,min)는 약 0.7 ㎜이다.
또한, 상기 설명 및 도 3a 내지 도 3c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의 두께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해 각도(θ)로 있는 내부 보어(330)로 인하여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의 원주(예를 들어, 주-중심축(Xmain)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위치) 주위에서 변한다. 도 3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330)의 원위 단부(3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대체로 원통체(310)의 수평 단면에 대해,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의 두께는 (1) 제1 측면(3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330)의 원위 단부(3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의 최소 두께(tw,min)로부터 (2) 제2 반대편 측면(3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330)의 원위 단부(3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의 최대 두께(tw,max)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의 원주 주위에서 변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의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기초하여, (i) 대체로 원통체(310)의 최대 외경(Dmax,c 또는 Dmax,t)(예를 들어, 4.0 ㎜의 공칭 외경) 대 (ⅱ) 대체로 원통체(310)의 제1 측면(310a)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335)의 가장 얇은 부분(예를 들어, 두께(tw,min))의 비율은 20인 4.0 ㎜/0.2 ㎜이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와 유사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는 대체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가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도 3a 내지 도 3c)의 보어-중심축(Xbore)의 약 12°의 각도와 대조적으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의 주-중심축(Xmain)에 대해 약 24°의 각도(θ)인 보어-중심축(Xbore)을 구비한 내부 보어(43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와 다르다. 또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는 일반적으로 칼라 섹션(4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제1 나사부(414a)의 공칭 최대 외경(Dmax,t)인 4.0 ㎜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 지칭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는 대체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의 대체로 원통체(310), 각이 진 부분(313), 칼라 섹션(320), 내부 보어(330), 비회전 특징부(350), 근위 부분(312a), 원위 부분(312b), 1 나사부(314a), 제2 나사부(314b), 세로 홈(3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335)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통체(410), 각이 진 부분(413), 칼라 섹션(420), 내부 보어(430), 비회전 특징부(450), 근위 부분(412a), 원위 부분(412b), 제1 나사부(414a), 제2 나사부(414b), 세로 홈(4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을 포함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 및 400)들 사이의 주된 차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300 및 400)들의 각도(θ)들 사이의 차이(예를 들어, 약 12° 대 약 24°)에 의해 유발되는 원주 방향 연장 벽(335 및 435)들의 두께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은 대체로 원통체(410)의 외부 표면(419)과 내부 보어(430)의 내부 표면(439)에 의해 한정된다.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은 도 4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두께(tw,min)와 최대 두께(tw,max)를 가진다. 내부 보어(430)의 근위 단부(431a) 근방 또는 근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의 최소 두께(tw,min)는 내부 보어(430)의 원위 단부(431b) 근방 또는 원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의 최소 두께(tw,min)와 상이하다. 예로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됨)는 약 24°의 각도(θ)를 가지는 내부 보어(430)를 구비하는 4.0 지름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공칭 크기)이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의 대체로 원통체(410)의 제1 측면(4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430)의 원위 단부(4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의 최소 두께(tw,min)(예를 들어, 선(C)에서 취한)는 약 0.14 ㎜이다. 유사하게,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의 대체로 원통체(410)의 제2 반대편 측면(4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430)의 근위 단부(431a)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의 최소 두께(tw,min)(또는 선(C)에서 취한)는 약 0.4 ㎜이다.
또한, 상기 설명 및 도 4a 내지 도 4c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의 두께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해 각도(θ)로 있는 내부 보어(430)로 인하여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의 원주(예를 들어, 주-중심축(Xmain)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위치) 주위에서 변한다. 도 4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430)의 원위 단부(4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대체로 원통체(410)의 수평 단면에 대해,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의 두께는 (1) 제1 측면(4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430)의 원위 단부(4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의 최소 두께(tw,min)로부터 (2) 제2 반대편 측면(4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430)의 원위 단부(4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최대 두께(tw,max)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 의 원주 주위에서 변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400)의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기초하여, (i) 대체로 원통체(410)의 최대 외경(Dmax,c 또는 Dmax,t)(예를 들어, 4.0 ㎜의 공칭 외경) 대 (ⅱ) 대체로 원통체(410)의 제1 측면(410a)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435)의 가장 얇은 부분(예를 들어, 두께(tw,min))에 대한 비율은 28.6인 4.0 ㎜/0.14 ㎜이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2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 300, 400)들과 유사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가 비회전 특징부(250, 350, 450)들과 같은 외부 보스가 아니라 비회전 특징부(550)로서 내부 소켓을 구비한 내부 연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라는 점에서 대체로 다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 300, 400)와 다르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의 주-중심축(Xmain)에 대해 약 12°의 각도(θ)에 있는 보어-중심축(Xbore)을 구비하는 내부 보어(530)를 포함한다. 또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는 일반적으로 칼라 섹션(5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제1 나사부(514a)의 공칭 최대 외경(Dmax,t)인 3.5mm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 지칭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 각이 진 부분(213), 칼라 섹션(220), 내부 보어(230), 근위 부분(212a), 원위 부분(212b), 제1 나사부(214a), 제2 나사부(214b), 세로 홈(2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235)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대체로 원통체(510), 각이 진 부분(513), 칼라 섹션(520), 내부 보어(530), 근위 부분(512a), 원위 부분(512b), 제1 나사부(514a), 제2 나사부(514b), 각이 진 부분(213), 칼라 섹션(220), 세로 홈(5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을 포함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 및 500)들 사이의 주된 차이는 비회전 특징부(250, 550)들,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1) 비회전 특징부(250, 550)들에서의 차이, 및 (2)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 및 500)들의 외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유발되는 원주 방향 연장 벽(235 및 535)들의 두께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은 대체로 원통체(510)의 외부 표면(519)과 내부 보어(530)의 내부 표면(539)에 의해 한정된다.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은 도 5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두께(tw,min) 및 최대 두께(tw,max)를 가진다. 내부 보어(530)의 근위 단부(531a) 근방 또는 근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의 최소 두께(tw,min)는 내부 보어의 원위 단부(531b) 근방 또는 원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의 최소 두께(tw,min)와 다르다. 예로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됨)는 약 12°의 각도(θ)를 가지는 내부 보어(530)를 구비하는 3.5 mm 지름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공칭 크기)이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의 대체로 원통체(510)의 제1 측면(5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530)의 근위 단부(531a)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의 최소 두께(tw,min)(예를 들어, 선(D)에서 취한)는 약 0.15 ㎜이다. 유사하게,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의 대체로 원통체(510)의 제2 반대편 측면(5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530)의 원위 단부(531b)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의 최소 두께(tw,min)(예를 들어, 선(D')에서 취한)는 약 0.32 ㎜이다.
또한, 상기 설명 및 도 5a 내지 도 5c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의 두께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해 각도(θ)에 있는 내부 보어(530)로 인하여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의 원주(예를 들어, 주-중심축(Xmain)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위치) 주위에서 변한다. 도 5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530)의 근위 단부(531a)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대체로 원통체(510)의 수평 단면에 대해,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의 두께는 (1) 제1 측면(5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530)의 근위 단부(531a)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최소 두께(tw,min)로부터 (2) 제2 반대편 측면(5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530)의 근위 단부(531a)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최대 두께(tw.max)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의 원주 주위에서 변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의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에 기초하여, (i) 대체로 원통체(510)의 최대 외경(Dmax,c 또는 Dmax,t)(예를 들어, 3.5 ㎜의 공칭 외경) 대 (ⅱ) 대체로 원통체(510)의 제1 측면(510a)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의 가장 얇은 부분(예를 들어, 두께(tw,min))의 비율은 23.3인 3.5 ㎜/0.15 ㎜이다.
이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치아 조립체(601)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600), 교각치(675), 및 스크루(690)를 포함한다.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60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 300, 400, 500)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
교각치(675)는 지주(680), 및 지주(680)로부터 비교적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682)을 포함한다. 지주(680)는 그 위의 복원물(예를 들면, 치관)을 지지하도록 크기화되고 형상화된다. 스템(682)은 비회전 형태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600)의 비회전 특징부(650)를 결합하기 위한 비회전 특징부(685)를 포함할 수 있어서, 교각치(675)는 치아 임프란트에 결합될 때(예를 들어, 스크루(690)에 의해) 각을 가진 치아 임플란트(60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교각치(675)는 스크루(690)가 그 안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주(680) 및 스템(682)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 보어(688)를 포함한다. 스크루(690)는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600)의 내부 보어(630)의 암나사 또는 내부 나사(632)과 나사 결합되도록 교각치(675)의 관통 보어(688) 내로 삽입된다.
각이 진 부분(613)을 가지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600)로 인해, 교각치(675)의 지주(680)는 해부학적 치아 복원물을 제공하도록 교각치(675)의 베이스(678)에 대해 각이 질 필요가 없다.
이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와 유사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7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700)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가 환자의 입안에서 관골 뼈(zygoma bone)에 근접한 환자의 위 턱뼈에 설치되도록,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700)가 비관골의(non-zygomatic)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들(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200, 300, 400, 500)들)보다 상당히 길다는 점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와 대체로 다르다. 관골 치아 임플란트는 비관골 또는 보다 전통적인 치아 임플란트(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200, 300, 400, 500)들)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소켓을 제공하지 않는 재흡수 및/또는 악화된 턱뼈(예를 들어, 암 환자)를 가진 환자에게 필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골 치아 임플란트는 환자의 입안에 설치되고(하나 이상의 비관골의 치아 임플란트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교각치, 브릿지, 바, 보철 치아, 부착 부재 또는 그 임의의 조합(예를 들어 보철을 포함한 브릿지)에 결합된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는 대체로 4.5 ㎜의 관골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서 지칭되며, 여기에서 4.5 ㎜는 칼라 섹션(7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제1 나사부(714a)의 공칭 최대 외경(Dmax,t)이며, 관골은 약 20 ㎜ 내지 약 70 ㎜의 길이(L)를 나타내며, 특히 관골은 치아 임플란트(700)가 약 25 ㎜ 내지 약 60 ㎜의 길이(L)를 가지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골은 임플란트(700)가 약 25 ㎜, 약 30 ㎜, 약 35 ㎜, 약 40 ㎜, 약 45 ㎜, 약 50 ㎜, 약 55 ㎜, 약 60 ㎜, 약 65 ㎜, 약 70 ㎜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이러한 길이(L)는 전형적으로 약 7 ㎜ 내지 약 18 ㎜의 길이를 가지는 비관골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예를 들어, 각이 진 임플란트들(200, 300, 400, 500)들)보다 상당히 길며, 특히, 비관골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약 8 mm 내지 약 15 mm의 길이를 가진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가 대체로 원통체(710)의 근위 부분(712a)과 대체로 원통체(710)의 원위 부분(712b) 사이에 무나사 중간 부분(non-threaded 중간 부분)(712c)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와 다르다. 무나사 중간 부분(712c)은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전체 길이의 약 20% 내지 약 70%인 길이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 무나사 중간 부분(712c)은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전체 길이의 약 35% 내지 약 55%인 길이를 가진다. 일부 구현예에서, 무나사 중간 부분(712c)은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전체 길이의 약 45%인 길이를 가진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는 또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가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주-중심축(Xmain)에 대한 각도(θ)인 내부 보어(730)의 보어-중심축 보어를 가진다는 점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와 다르며, 여기에서, 각도(θ)는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65°, 또는 약 40° 내지 약 65°와 같은 임의 각도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θ)는 약 55°이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200)의 대체로 원통체(210), 각이 진 부분(213), 칼라 섹션(220), 내부 보어(230), 비회전 특징부(250), 근위 부분(212a), 원위 부분(212b), 제1 나사부(214a), 제2 나사부(214b), 세로 홈(2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235)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대체로 원통체(710), 각이 진 부분(713), 칼라 섹션(720), 내부 보어(730), 비회전 특징부(750), 근위 부분(712a), 원위 부분(712b), 제1 나사부(714a), 제2 나사부(714b), 세로 홈(7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을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은 대체로 원통체(710)의 외부 표면(719)과 내부 보어(730)의 내부 표면(739)에 의해 한정된다.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은 도 7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두께(tw,min)를 가진다.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의 최소 두께(tw,min)는 내부 보어(730)의 원위 단부(731)의 근방 또는 원위 단부에 있다. 예로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는 약 55°의 각도(θ)를 가지는 내부 보어(730)를 구비한 4.5 지름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공칭 크기)이다. 이러한 예시된 예에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700)의 대체로 원통체(710)의 제1 측면(7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730)의 원위 단부(731)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의 최소 두께(tw,min)(예를 들어, 선(E)에서 취해진)는 약 0.08㎜이다.
또한, 전술한 설명 및 도 7a 내지 도 7c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의 두께는 주-중심축(Xmain)에 대한 각도(θ)인 내부 보어(730)로 인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원주(예를 들어, 주-중심축(Xmain)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위치) 주위에서 변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보어(730)의 원위 단부(731)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대체로 원통체(710)의 수평 단면에 대해,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의 두께는 (1) 제1 측면(710a)에 인접한 내부 보어(730)의 원위 단부(731)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의 최소 두께(tw,min)로부터 (2) 제2 반대편 측면(710b)에 인접한 내부 보어(730)의 원위 단부(731)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의 비교적 두꺼운 및/또는 최대 두께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700)의 원주 주위에서 변한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기초하여, (i) 대체로 원통체(710)의 최대 외경(Dmax,c 또는 Dmax,t)(예를 들어, 4.5 ㎜의 공칭 외경) 대 (ⅱ) 대체로 원통체(710)의 제1 측면(710a)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735)의 가장 얇은 부분(예를 들어, 두께(tw,min))의 비율은 56.25인 4.5 ㎜/0.08 ㎜이다.
대체로 원통체(710)의 근위 부분(712a)은 대체로 원통체(710)의 무나사 중간 부분(712c)의 최대 외경 및 대체로 원통체(710)의 원위 부분(712b)의 최대 외경보다 비교적 큰 최대 외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i) 나사형 근위 부분(712a)의 최대 외경은 약 4.3 ㎜이며, (ⅱ) 나사형 원위 부분(712b)의 최대 외경 및 무나사 중간 부분(712c)의 최대 외경은 약 약 3.2㎜ 내지 약 4㎜이다. 대안적으로, 나사형 원위 부분(712b)의 최대 외경 및 무나사 중간 부분(712c)의 최대 외경은 나사형 근위 부분(712a)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와 유사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8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800)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800)가 무나사 중간 부분이 없다는 점에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과 다르다. 오히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800)는, 대체로 원통체(810)의 근위 또는 상부 나사 부분(812a), 대체로 원통체(810)의 원위 또는 하부 나사 부분(812b), 및 대체로 원통체(810)의 중간 나사 부분(812c)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체(81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단일의 일정한 나사부(814)는 원위, 중간, 및 근위 부분(812a, b, c)들 주위에 감겨진다. 대안적으로, 나사부(814)는 대체로 원통체(810)의 길이를 따라서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피치, 깊이 등이 변한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800)는 대체로 3.5 ㎜ 관골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 지칭되며, 여기에서 3.5 ㎜는 칼라 섹션(8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 및/또는 나사부(814)의 공칭 최대 외경(Dmax,t)이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800)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대체로 원통체(710), 각이 진 부분(713), 칼라 섹션(720), 내부 보어(730), 비회전 특징부(750), 근위 부분(712a), 원위 부분(712b), 세로 홈(7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735)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대체로 원통체(810), 각이 진 부분(813), 칼라 섹션(820), 내부 보어(830), 비회전 특징부(850), 근위 부분(812a), 원위 부분(812b), 세로 홈(8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835)을 포함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여기에 기술되고 도 7a 내지 도 8에 도시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 800)들과 유사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는 대체로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가 나사형 근위 부분가 없다는 점에서 각이 진 관골 임플란트(700, 800)와 다르다. 오히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는 대체로 원통체(910)의 근위 또는 상부 무나사 부분(912a), 대체로 원통체(910)의 중간 무나사 부분(912c), 및 대체로 원토에(910)의 하부 나사 부분(912b)을 포함한다.
단일의 일정한 나사부(914)는 원위 부분(912b) 둘레에 감겨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부분(912a)과 중간 부분(912c)의 최대 외경은 나사형 원위 부분(912b)의 비주요 지름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근위 부분(912a) 및 중간 부분(912c)의 최대 외경은 나사형 원위 부분(912b)의 주요 지름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
무나사 근위 부분(912a)과 중간 부분(912c)의 조합된 길이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의 전체 길이의 약 20% 내지 약 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무나사 근위 및 중간 부분(912a, 912c)들의 조합된 길이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의 전체 길이의 약 35% 내지 약 70%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무나사 근위 부분(912a, 912c)들의 조합된 길이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의 전체 길이의 약 60%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무나사 부분 근위 및 중간 부분(912a, 912c)들의 조합된 길이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의 전체 길이의 약 30%이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은 일반적으로 3.5 ㎜ 관골의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 지칭되며, 여기에서 3.5 ㎜는 칼라 섹션(920)의 공칭 최대 외경(Dmax,c)이다.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900)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700)의 대체로 원통체(710), 각이 진 부분(713), 칼라 섹션(720), 내부 보어(730), 비회전 특징부(750), 중간 부분(712c), 원위 부분(712b), 세로 홈(718),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735)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대체로 원통체(910), 각이 진 부분(913), 칼라 섹션(920), 내부 보어(930), 비회전 특징부(950), 중간 부분(912c), 원위 부분(912b), 세로 홈(918)들, 주-중심축(Xmain), 보어-중심축(Xbore), 및 원주 방향 연장 벽(935)을 포함한다.
다양한 치아 임플란트들이, 모두 그 원주 방향 연장 벽(예를 들어, 원주 방향 연장 벽(235))의 측정 가능한 가장 얇은 부분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치아 임플란트들에 기여할 수 있는 특정 외경(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의 공칭 크기), 특정 길이, 특정 나사 부분, 특정 무나사 부분, 특정 연결 형태, 및 특정 각도를 구비한 내부 보어를 가지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의 표는 벽의 가장 얇은 부분 및 치아 임플란트이 벽의 가장 얇은 벽에 대한 최대 외경(예를 들어, 공칭 크기)의 비율과 함께 치아 임플란트(예를 들어, 직선형 치아 임플란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관골 치아 임플란트)의 예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가 냉간 가공된, 고강도의, 상업용 순수(예를 들어, 등급 IV) 티타늄으로부터 가공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일부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티타늄과 바나듐, 알루미늄, 니오븀, 지르코늄, 크롬, 또는 그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합금과 같은 하나 이상의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약 90%의 티타늄, 약 6%의 알루미늄, 및 약 4%의 바나듐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약 86%의 티타늄, 및 약 14%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약 83%의 티타늄, 및 약 17%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된다. 기술된 티타늄-지르코늄 합금 중 하나를 사용하는 이러한 구현예에서, 티타늄-지르코늄 합금 재료는 약 95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일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약 98% 티타늄, 및 약 2% 니오븀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약 87%의 티타늄, 약 6%의 알루미늄, 및 약 7%의 니오븀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된다. 일부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약 91%의 티타늄, 약 6%의 알루미늄, 및 약 3%의 니오븀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된다. 일부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는 약 77%의 티타늄, 약 3%의 알루미늄, 약 9%의 니오브 및 약 11%의 크롬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가공된다.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들은 제1 나사부(예를 들어, 114a, 214a, 314a, 414a, 514a) 및 제2 나사부(예를 들어, 114b, 214b, 314b, 414b, 514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예를 들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는 제1 나사부(514a) 및 제2 나사부(514b)를 포함한다. 제1 나사부(514a)는 마이크로 나사부(원위 부분(512b)에 대해)로서 공지되고, 제2 나사부(514b)는 메인 나사부(514b)로서(근위 부분(512b)에 대해) 공지된다. 용어 마이크로 나사부는 마이크로 나사부(514a)가 메인 나사부(514b)와 비교하여 비교적 작은 최고-최저간 거리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마이크로 나사부(514a)(동일한 주요 나사 지름, 동일한 나사 안지름 등을 구비한 제2 나사부(514b)의 연속인 것과 반대로)를 가지는 제1 나사부(514a)에 의해, 마이크로 나사부(514a)의 안지름은 메인 나사부(514b)의 나사 안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이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은 제1 나사부(514a)의 안지름이 제2 나사부(514b)의 나사 안지름과 동일하면 가지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두껍다. 이와 같이, 원주 방향 연장 벽(535)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것에 의해,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500)는 상대적으로 더욱 강하다.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중 일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예를 들어, 등급 IV) 티타늄으로부터 가공된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된다. 일부 이러한 구현예에서, 냉간 가공된 고강도의 상업용 순수(예를 들어, 등급 IV) 티타늄으로부터 가공된 이러한 치아 임플란트는 적어도 약 200 N, 적어도 약 225 N, 또는 적어도 약 250 N의 피로 강도를 가진다.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 및 구현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의 각각 및 이들의 명백한 변형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기술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94)

  1.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로서,
    최대 외경 및 주-중심축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체로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가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되고, 근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상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반대편의 원위 부분을 가지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
    상기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및 내부 보어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보어로서, 상기 내부 보어가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주-중심축에 대해 약 7°내지 약 31°의 각도로 있는 보어-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보어-중심축의 상대 각도가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적어도 제1 부분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부분의 원주 주위에 가변 두께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제1 부분에서의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두께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가장 얇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2 반대편 측면에 인접한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 변하며, 상기 내부 보어는 상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지는, 상기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형태로 상기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최대 외경 대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의 비율은 약 16 내지 약 80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제1 부분은 상기 내부 보어의 근위 단부에 인접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제1 부분은 상기 내부 보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약 20 내지 약 80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약 30 내지 약 80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약 30 내지 약 50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외경은 약 3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외경은 약 3.25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외경은 약 3.5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외경은 약 4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외경은 약 4.25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04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10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15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2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25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3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35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4 ㎜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내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이며,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상기 내부 보어에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는 외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이며,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환자의 뼈 내로 상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를 설치하도록 도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뼈는 환자의 정면 상악골 또는 정면 하악골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6면 육각형 소켓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12면 별 형상 소켓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비회전 형태로 상기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는 치아형 보철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 부분, 및 상기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의 비회전 특징부와 결합하기 위한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은 등급 IV 티타늄인,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의 외부 표면은 마이크로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반대편 원위 부분의 외부 표면은 메인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나사부는 상기 가장 얇은 부분을 가지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제1 부분 주위에 위치되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나사부는 상기 메인 나사부에 비해 보다 작은 최고-최저간 거리 및 보다 큰 나사 안지름을 가지는,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31.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로서,
    최대 외경 및 주-중심축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체로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가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되고, 근위 부분, 중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상기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형 원위 부분을 가지며, 상기 대체로 원통체가 약 25 ㎜ 내지 약 60 ㎜의 길이를 가지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
    상기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및 내부 보어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보어로서, 상기 내부 보어가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주-중심축에 대해 약 40°내지 약 65°의 각도로 있는 보어-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보어-중심축의 상대 각도가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으로 하여금 가장 얇은 부분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내부 보어는 상기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을 가지는, 상기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형태로 상기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최대 외경 대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의 비율은 약 50 내지 약 75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04 ㎜ 내지 약 0.1 ㎜의 두께를 가지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약 0.06 ㎜ 내지 약 0.08 ㎜의 두께를 가지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은 상기 내부 보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는,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55°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 사이의 최대 외경은 약 3.5 ㎜ 내지 약 4.5 ㎜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7. 제31항에 있어서, (i)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은 나사부이며, (ⅱ)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중간 부분은 무나사부이며, (ⅲ)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원위 부분은 나사부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8. 제31항에 있어서, (i)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은 무나사부이며, (ⅱ)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중간 부분은 무나사부이며, (ⅲ)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원위 부분은 나사부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39. 제31항에 있어서, (i)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은 나사부이며, (ⅱ)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중간 부분은 나사부이며, (ⅲ)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원위 부분은 나사부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약 55 내지 약 65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약 40 ㎜ 내지 약 55 ㎜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치는 복수의 보철 치아에 결합된 브릿지인, 각이 진 관골 치아 임플란트.
  43. 치아 임플란트로서,
    주-중심축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체로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가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냉간 가공된,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으로 형성되고, 근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반대편의 원위 부분을 가지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
    상기 대체로 원통체에 형성되며, (i) 보어-중심축 및 (ⅱ) 상기 치아 임플란트와의 결합으로 교각치를 제거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부분를 가지는 내부 보어; 및
    비회전 형태로 상기 교각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비회전 특징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외부 표면과 상기 내부 보어의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 원주 방향 연장 벽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교각체와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치아 임플란트.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04 ㎜ 내지 약 0.25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상기 부분은 상기 내부 보어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는, 치아 임플란트.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상기 부분은 상기 내부 보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는, 치아 임플란트.
  4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10 ㎜ 내지 약 0.25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15 ㎜ 내지 약 0.2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05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2.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15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3.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2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4.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25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3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35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4 ㎜의 두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5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극한 인장강도는 약 920 MPa인, 치아 임플란트.
  5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어의 보어-중심축은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주-중심축에 대해 0이 아닌 각도로 있는, 치아 임플란트.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0이 아닌 각도는 약 7°내지 약 31°인, 치아 임플란트.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0이 아닌 각도는 약 12°인, 치아 임플란트.
  62.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0이 아닌 각도는 약 24°인, 치아 임플란트.
  6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0이 아닌 각도는 약 7°인, 치아 임플란트.
  64.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0이 아닌 각도는 약 31°인, 치아 임플란트.
  6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약 3 ㎜의 최대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6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약 3.25 ㎜의 최대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6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약 3.5 ㎜의 최대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6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약 4 ㎜의 최대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6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약 4.25 ㎜의 최대 외경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7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의 외부 표면은 제1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반대편 원위 부분의 외부 표면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는 제1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2 나사부는 상기 제1 피치와 동일한 제2 피치를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는 다중-리드 나사부이며, 상기 제2 나사부는 단일-리드 나사부인, 치아 임플란트.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05 ㎜ 내지 약 0.1 ㎜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제2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2 ㎜ 내지 약 0.5 ㎜의 범위에 있는, 치아 임플란트.
  74.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의 외부 표면은 제1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반대편 원위 부분의 외부 표면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부는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 주위에 위치되는, 치아 임플란트.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는 마이크로 나사부이며, 상기 제2 나사부 는 메인 나사부인, 치아 임플란트.
  7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뼈는 환자의 정면 상악골 또는 정면 하악골인, 치아 임플란트.
  7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은 등급 IV 티타늄인, 치아 임플란트.
  7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는 내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이며,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상기 내부 보어에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7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는 외부 연결 치아 임플란트이며, 상기 비회전 특징부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80. 치아 임플란트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냉간 가공된 상업용 순수한 티타늄을 주-중심축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체로 가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근위 부분, 및 환자의 뼈에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반대편 원위 부분을 가지며, 상기 냉간 가공된 상업용 순수한 티타늄은 적어도 약 900 MPa의 극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상기 가공 단계;
    상기 대체로 원통체에서, (i) 보어-중심축 및 (ⅱ) 나사 부분을 가지는 내부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 및
    교각치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대체로 원통체에서 비회전 특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어의 보어-중심축은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주-중심축에 대해 0이 아닌 각도로 있는,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약 3 ㎜ 내지 약 4 ㎜의 최대 외경을 가지는, 방법.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0이 아닌 각도는 7°보다 크고 31°보다 작은, 방법.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외부 표면 및 상기 내부 보어의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 원주 방향 연장 벽을 포함하도록 가공되는, 방법.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04 ㎜ 내지 약 0.25 ㎜의 두께를 가지는, 방법.
  8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일부는 약 0.04 ㎜ 내지 약 0.4 ㎜의 두께를 가지는, 방법.
  87.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상기 부분은 상기 내부 보어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는, 방법.
  88.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상기 부분은 상기 내부 보어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는, 방법.
  89.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상업용 순수 티타늄은 등급 IV 티타늄인, 방법.
  90. 제89항에 있어서, 환자의 정면 상악골 또는 정면 하악골 내로 상기 치아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와 상기 교각치를 비회전식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보어의 나사 부분과 결합되는 스크루로 상기 교각치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에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2.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단계 전에, 상기 상업용 순수 티타늄을 냉간 가공하고, 이에 의해 상기 티타늄의 극한 인장강도를 적어도 약 900 MPa까지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3.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원통체는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외부 표면과 상기 내부 보어의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방향 연장 벽을 포함하도록 가공되고,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근위 부분의 외부 표면 내로 마이크로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대체로 원통체의 반대편 원위 부분의 외부 표면 내로 메인 나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나사부는 상기 원주 방향 연장 벽의 가장 얇은 부분 주위에 위치되는, 방법.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나사부는 상기 메인 나사부에 비해 보다 작은 최고-최저간 거리 및 보다 큰 나사 안지름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05 ㎜ 내지 약 0.1 ㎜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메인 나사부의 최고-최저간 거리는 약 0.2 ㎜ 내지 약 0.5 ㎜의 범위에 있는, 방법.
KR1020187031225A 2016-03-30 2017-03-01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KR102316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15274P 2016-03-30 2016-03-30
US62/315,274 2016-03-30
US201662361665P 2016-07-13 2016-07-13
US62/361,665 2016-07-13
PCT/IB2017/051211 WO2017168270A1 (en) 2016-03-30 2017-03-01 Angulated dental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39A true KR20190010539A (ko) 2019-01-30
KR102316666B1 KR102316666B1 (ko) 2021-10-27

Family

ID=5834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225A KR102316666B1 (ko) 2016-03-30 2017-03-01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292793B2 (ko)
EP (2) EP3653166A1 (ko)
JP (1) JP7021103B2 (ko)
KR (1) KR102316666B1 (ko)
CN (1) CN109069231B (ko)
BR (1) BR112018068468B1 (ko)
ES (1) ES2779803T3 (ko)
IL (1) IL261961A (ko)
WO (1) WO2017168270A1 (ko)
ZA (1) ZA201805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5708B2 (en) 2008-07-09 2015-09-08 Nobel Biocare Services Ag 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IL230833A0 (en) * 2014-02-05 2014-09-30 Ophir Fromovich bone graft
EP3069681A1 (en) * 2015-03-19 2016-09-21 Drs. Bettens - De Pooter BVBA Surgical guiding tool, method and kit for placing dental implants
ES2842303T3 (es) * 2015-08-11 2021-07-13 Biomet 3I Llc Implante dental que tiene superficie roscada cónica con características de mejora en la instalación
KR102316666B1 (ko) * 2016-03-30 2021-10-27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US20170354484A1 (en) * 2016-06-14 2017-12-14 Omid Allan Narrow Diameter Dental Implant with Multi-Unit Abutment
JP2019517885A (ja) 2016-06-14 2019-06-27 サザン・インプランツ・(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前面抜歯後ソケット用の逆テーパ状本体を有する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D882794S1 (en) * 2018-01-31 2020-04-28 Beijing Smtp Technology Co., Ltd. Ultrasonic cutter head
USD882791S1 (en) * 2018-01-31 2020-04-28 Beijing Smtp Technology Co., Ltd. Ultrasonic cutter head
KR102462085B1 (ko) * 2018-02-21 2022-11-01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부분 마이크로 스레드/그루브를 갖는 비대칭 광대뼈의 치과용 임플란트
EP3793472A1 (en) * 2018-05-03 2021-03-24 Mendes Caramês, João Manuel Medical implant and medical implant system for malar process of the maxilla
CN109330723A (zh) * 2018-11-21 2019-02-15 陈颖 一种具有套筒冠基台的修复基台
WO2020104684A1 (en) * 2018-11-23 2020-05-28 Nobel Biocare Services Ag Multi-part implant
BR202019001133U2 (pt) * 2019-01-21 2020-08-04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Implante zigomático com porção rosqueada parcialmente interrompida
RU2711546C1 (ru) * 2019-04-19 2020-01-17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Потапов Баз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AU2021246750B2 (en) * 2020-04-02 2023-09-07 Michael WASSEF Endosteal horizontally placed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CN113057733B (zh) * 2020-08-31 2022-02-11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基于三维模型确定颧骨种植体种植位置的方法和装置
US11992387B2 (en) 2020-12-17 2024-05-28 Massimo Afflitto Zygomatic implant
US20230044939A1 (en) * 2021-08-04 2023-02-09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1779438B2 (en) 2021-08-04 2023-10-10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1596504B2 (en) 2021-08-04 2023-03-07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WO2023225702A1 (en) * 2022-05-25 2023-11-30 Omid Allan Dental miniature implant
CN115337123B (zh) * 2022-08-31 2023-08-15 北京大清西格科技有限公司 种植牙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1808A1 (en) * 2002-11-13 2004-05-27 Porter Stephan S. Dental implant system
KR20040091874A (ko) * 2003-04-22 2004-11-02 이성복 치과용 핀 임플란트
WO2008157137A1 (en) * 2007-06-14 2008-12-24 Southern Implants, Inc. Dental implant system for use with coaxially non-aligned prosthesis
US20140087331A1 (en) * 2011-03-22 2014-03-27 Riemser Pharma Gmbh Dental implant having a first, conical, screw part and a second, cylindrical, screw part
WO2016033642A1 (en) * 2014-09-05 2016-03-10 Greg Miller A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5174D0 (en) * 1986-10-21 1986-11-26 Edwards Barry Noel Dental prostheses
ZA9010217B (en) 1989-12-21 1991-10-30 Smith & Nephew Richards Inc Biocompatible low modulus titanium alloy for medical implants
US5573401A (en) * 1989-12-21 1996-11-12 Smith & Nephew Richards, Inc. Biocompatible, low modulus dental devices
US5564926A (en) * 1992-11-26 1996-10-15 Medevelop Ab Anchoring element for anchorage in bone tissue
SE500383C2 (sv) * 1992-11-26 1994-06-13 Medevelop Ab Dubbelförankrad tandfixtur
DE9420038U1 (de) * 1994-12-14 1995-02-09 Hartmann, Alexander, 79104 Freiburg Implantateinrichtung
SE510956C2 (sv) * 1997-11-11 1999-07-12 Nobel Biocare Ab Anordning för förankring av ett gängat implantat i ben, t ex tandben, medelst ett fastvridningsverktyg
US6116070A (en) * 1998-11-11 2000-09-12 Advanced Research And Technology Institute Superplastically-formed prosthetic components, and equipment for same
US20040053197A1 (en) * 2002-09-16 2004-03-18 Zoran Minevski Biocompatible implants
BRMU8700304Y8 (pt) * 2007-03-05 2021-06-22 Geninho Thome implante zigomático dotado de conexão interna através de cavidade em forma cônica (cone morse)
EP2303179A1 (en) * 2008-05-21 2011-04-06 Adin Dental Implants Systems, Ltd. One-piece inclined dental implant
US20110027756A1 (en) * 2008-05-21 2011-02-03 Jean Benatouil One-piece inclined dental implant
US9125708B2 (en) * 2008-07-09 2015-09-08 Nobel Biocare Services Ag Medic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DE102008054138B4 (de) * 2008-10-31 2018-01-11 Holger Zipprich Dentalimplantat
CN201727594U (zh) * 2010-04-22 2011-02-02 陈俊龙 单件角度植牙体
EP2407120A1 (en) * 2010-07-14 2012-01-18 Nobel Biocare Services AG Implant system
US20120178048A1 (en) * 2011-01-11 2012-07-12 Cottrell Richard D Dental implant with multiple thread patterns
EP2732791B1 (en) * 2011-07-11 2019-03-06 Neobiotech Co., Ltd. Angular friction joint type of dental implant
CN102319125B (zh) * 2011-08-01 2013-04-10 四川大学 一种防松防腐蚀的牙种植体中央螺钉
JP5156113B2 (ja) * 2011-08-02 2013-03-06 株式会社松風 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5538463B2 (ja) * 2012-03-27 2014-07-02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用インプラント
WO2014151580A1 (en) * 2013-03-15 2014-09-25 Clar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Surface modified dental implant
CN105012025A (zh) * 2014-04-17 2015-11-04 萨摩亚商星世代股份有限公司台湾分公司 多尺寸植牙体通用旋推结构
MX2016013728A (es) 2014-04-22 2017-05-01 T A G Medical Devices - Agriculture Coop Ltd Implantes dentales.
US20160015483A1 (en) * 2014-04-30 2016-01-21 Osseodyne Surgical Solutions, LLC. Osseointegrative surgical implant
CN104436321B (zh) * 2014-12-25 2017-02-22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支抗钉及其制备方法
KR102316666B1 (ko) * 2016-03-30 2021-10-27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KR102462085B1 (ko) * 2018-02-21 2022-11-01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부분 마이크로 스레드/그루브를 갖는 비대칭 광대뼈의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1808A1 (en) * 2002-11-13 2004-05-27 Porter Stephan S. Dental implant system
KR20040091874A (ko) * 2003-04-22 2004-11-02 이성복 치과용 핀 임플란트
WO2008157137A1 (en) * 2007-06-14 2008-12-24 Southern Implants, Inc. Dental implant system for use with coaxially non-aligned prosthesis
US20140087331A1 (en) * 2011-03-22 2014-03-27 Riemser Pharma Gmbh Dental implant having a first, conical, screw part and a second, cylindrical, screw part
WO2016033642A1 (en) * 2014-09-05 2016-03-10 Greg Miller A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17705A1 (en) 2022-04-21
EP3389551A1 (en) 2018-10-24
US11998419B2 (en) 2024-06-04
IL261961A (en) 2018-10-31
US20170281320A1 (en) 2017-10-05
US11253343B2 (en) 2022-02-22
US20190231489A1 (en) 2019-08-01
ES2779803T3 (es) 2020-08-19
US10292793B2 (en) 2019-05-21
JP2019509851A (ja) 2019-04-11
WO2017168270A1 (en) 2017-10-05
JP7021103B2 (ja) 2022-02-16
BR112018068468A2 (pt) 2019-01-22
EP3389551B1 (en) 2019-12-18
EP3653166A1 (en) 2020-05-20
BR112018068468B1 (pt) 2022-10-11
ZA201805681B (en) 2019-07-31
KR102316666B1 (ko) 2021-10-27
CN109069231A (zh) 2018-12-21
CN109069231B (zh)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539A (ko)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US12004920B2 (en) Asymmetric zygomatic dental implant with partial micro thread/groove
KR101007746B1 (ko) 치과용 삽입물
US20120178048A1 (en) Dental implant with multiple thread patterns
EP1849431B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ieces
EP3629997B1 (en) Dental connection system
US20120237898A1 (en) Multi-stage dental implant
CA2832385C (en) A fixture, a thread maker and a fixture set
JP2017164534A (ja) 歯科用構成部材のセット
KR20150036467A (ko) 지대주 시스템 및 치과 방법들
US10414022B2 (en) Implant with high primary stability and accelerated secondary stability
EP2696796B1 (en) Fixture
Prithviraj et al. The evolution of external and internal implant–abutment connections: A review
CA2866385C (en) Top piece for a corresponding pin-shaped dental implant
BR112019022762A2 (pt) implante dentário, parafuso de conexão e kit para implantação
US20130316303A1 (en) Narrowed implant body
US20190336250A1 (en) Dental implant
BG1637U1 (bg) Зъбен импла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