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874A - 치과용 핀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핀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874A
KR20040091874A KR1020030025525A KR20030025525A KR20040091874A KR 20040091874 A KR20040091874 A KR 20040091874A KR 1020030025525 A KR1020030025525 A KR 1020030025525A KR 20030025525 A KR20030025525 A KR 20030025525A KR 20040091874 A KR20040091874 A KR 2004009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in implant
abutment
pin
artificial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096B1 (ko
Inventor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이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복 filed Critical 이성복
Priority to KR2003002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096B1/ko
Priority to PCT/KR2004/000900 priority patent/WO2004093715A1/en
Priority to TW93111045A priority patent/TWI291869B/zh
Publication of KR2004009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8Pins, needles; Head struct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8Immediate loaded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에 함몰부를 갖는 평탄면부를 갖고 그 배면에는 그루브를 갖는, 인공치아 보철물이 고정되는 상부의 지대치부; 나사산 영역의 상부와 막대형 하부로 이루어진, 악골에 식립되는 하부의 인공치근부; 및 상기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를 연결하는 연조직 결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핀 임플란트{Dental pin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술 가능한 치과용 임시 핀 임플란트 및 전치부용 영구 핀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분야에서 사용되는 인공 치아용 임플란트란 구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의 턱뼈에 식립함으로써 뼈와 유착되는 치아의 뿌리 형태를 갖는 금속 구조물을 말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5235호 및 특허공개 제1999-009886호가 참조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그 식립 위치에 따라 골막하 임플란트, 골내 임플란트, 골관통형 임플란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임프란트의 외형에 따라 나사형 임프란트, 실린더형 임프란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임플란트는 인접 치아를 깎을 필요가 없고, 잇몸 뼈가 흡수되는 것을 막아 기능 및 심미적으로 우수한 보철물을 만들 수 있으며, 말하거나 웃을 때, 또는 식사시 틀니가 탈락되는 일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치과치료의 영역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으며 그 보급 또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요즈음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1960년대에 이르러 조직현미경적으로 입증되기 시작한 골유착(osseointegration)의 개념에 의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 시술법의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고유의 방법은 본체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1차 수술과 본체 임프란트를 노출시키는 2차 수술을 거치는 방법으로서, 치아가 전혀 없는 무치악 환자나 치아를 많이 상실하여 광범위한 결손부위를 갖는 환자에 있어서는 임프란트 시술 후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 이상의 기능적 심미적 장애를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보철물을 최종적으로 설치할 즈음에 이르러 환자들은 장기간의 영양결핍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겪어야만 했으며, 치유기간 중 자칫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심미적 목적의 보철물 장착으로 인하여 초기 고정에 실패하거나 임플란트가 노출되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치과분야에서는 임플란트 시술 후 치유기간을 가능한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어 많은 연구와 동물실험 및 임상적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과학적으로 뚜렷하게 입증되지는 않은 실정이기 때문에 인간을 통한 임상적 적용을 하기에는 아직은 모두 적합하지 않다.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의 치유기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임시 임플란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등장하였다. 임플란트 시술 시 이와 함께 임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식립된 임시 임플란트에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여 인공 임시 치아로서 사용함으로써 영구 임플란트가 완전하게 고정될 때까지 치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Stuart F 등은 이행 임프란트(transitional implant)라고 하는 임시 임플란트를 발표하였다(Stuart F, Shahram E, Mitchell JB, Jeffery S, Tarnow DP.: The use of transitional implants for immediate fixed temporary prostheses in cases of implant restorations. Pract Periodont Aesthet Dent 1998;10(6):737-746). 그러나, 상기 이행 임플란트는 인공치근부 전체가 나사산으로 되어 있고, 지대치부는 상부구조를 임시장착하기 위해 너무 복잡한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시술하는데 많은 시간과 기술이 요구되어 임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며, 한국인의 식습관에 적용하기에는 기계적으로 다소 약하여 같은 증례에서의 서양인 환자에서보다 더 많은 개수의 임플란트를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시술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치유기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서 임플란트를 식립 후 즉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임프란트를 식립 후 즉시 로딩을 가하면 임프란트-골 계면에 섬유조직을 발생시킨다는 많은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좋은 골질에 식립된 임프란트에 즉시 로딩을 가한 경우에도 기존의 방식대로 행한 임플란트에서와 동일한 골유착 정도를 얻을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Tarnow DP, Emtiaz S, Classi A, Immediate loading of threaded implants at stage 1 surgery in edentulous arches, Ten consecutive case reports with 1 to 5 year data,Int J Oral Maxillofac Impl,1997;12(3):319-324).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던질 수 있는 질문은 주로 사용된 임프란트의 표면 성상, 초기 고정, 및 골내 안정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가 나사 형태를 취하고 있고, 거친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에서 얻어낸 어느 정도의 초기 안정이 임플란트-골계면에 섬유조직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식립 후의 즉각적인 로딩에 대응할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다. 몇 가지 동물실험을 통하여 식립 즉시 로딩을 가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가능성들이 보고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들의 조직학적 결과를 인체에 옮기는데 있어서는 아주 신중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술 가능한 핀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핀 임플란트의 지대치부에 장착되어 지대치부의 평탄면부 상의 함몰부에 개창되는 구멍을 갖는 임시 치아 제작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 시술법의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핀 임플란트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핀 임플란트의 확대 배면도이다.
도 4는 핀 임플란트의 확대 정면 사시도이다.
도 5은 핀 임플란트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핀 임플란트의 인공치근부의 상부에 해당하는 나사산 영역의 나사산의 바람직한 형태 및 크기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핀 임플란트의 지대치부에 캡이 분리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핀 임플란트의 지대치부와 캡이 결합된 상태의 확대 정면도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인공치아 보철물이 고정되는 상부의 지대치부;
나사산 영역의 상부와 막대형 하부로 이루어진, 악골에 식립되는 하부의 인공치근부; 및
상기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를 연결하는 연조직 결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를 제공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 함몰부를 갖는 평탄면부를 갖고 그 배면에는 그루브를 갖는, 인공치아 보철물이 고정되는 상부의 지대치부;
악골에 식립되는 하부의 인공치근부; 및
상기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를 연결하는 연조직 결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플란트의 지대치부에 장착되어 지대치의 평탄면부상의 함몰부에 개창되는 구멍을 갖는 임시 치아 제작용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는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 사이에 연조직 결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대치부는 일체형 임플란트의 가장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임플란트가 악골에 식립되었을 때, 잇몸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대치부는 그 일측면이 평탄면부로 이루어져 있고, 그 평탄면부에는 함몰부를 가지며, 그 평탄면부의 배면에는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평탄면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는 치관제작용 캡과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함몰부의 직경은 0.5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는 스크류 드라이버 걸림용 그루브이며, 이러한 그루브와 스크류 드라이버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를 악골에 용이하게 식립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대치부에 장착되어 지대치부의 평탄면부상에 있는 함몰부에 개창되는 구멍을 갖는 임시 치아 제작용 캡을 제공한다. 이 임시 치아 제작용 캡을 상기 지대치부에 씌운 뒤 캡의 구멍과 지대치부의 함몰부에 치과용 수지를 채워 넣음으로써 캡을 지대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단 시간 내에 치과용 접착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자마자 지대치부에 그대로 장착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 중 인공치근부는 나사산 영역의 상부와 막대형의 하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인공치근부는 일체형 임플란트의 가장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악골에 식립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핀 임플란트의 인공치근부는 하부가 나사산 영역이 아닌 막대형이기 때문에 핀 임플란트를 악골에 식립 시 임플란트의 막대형 하부 치근 구조를 악골에 밀어 넣음으로써 인공치근부 전체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있는 임플란트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악골에 식립할 수 있으며, 막대형의 하부 치근 구조가 악골에 식립된 이후에는 스크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산 영역의 상부 치근 구조를 악골에 식립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악골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통상의 이행 임플란트와는 달리 본 발명품인 핀 임플란트에서는 인공치근부 전체가 나사산 영역이 아니고, 일부만이 나사산이므로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핀 임플란트를 악골에 식립할 수 있다.
상기 핀 임플란트 중 연조직 결착부(연조직 관통부)는 임플란트 식립 시 잇몸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연조직 결착부는 벤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핀 임플란트가 식립된 후에 여러 개의 핀 임플란트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핀 임플란트는 그 인공치근부의 표면처리에 따라 임시 임플란트 또는 영구 임플란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인공치근부의 표면이 매끈하다면 임시 핀 임플란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인공치근부의 표면이 거칠기를 갖는다면 영구 핀 임플란트로 사용될 수 있다. 치아 결손부에 식립되어 영구적인 골 유착을 필요로 하는 영구 핀 임플란트는 나사산 영역을 포함한 인공치근부의 표면에 거칠기를 가짐으로써 악골과 영구적이며 안정적으로 결착될 수 있다.
상기 인공치근부가 거칠기를 갖도록 하기 위해 표면을 블래스팅 공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블래스팅 공법으로 매우 작은 크기의 함몰부가 표면에 형성될 수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작은 함몰부가 표면에 거칠기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함몰부의 직경은 2.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함몰부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30 내지 200㎛의 직경을 불규칙하게 갖는 TCP(tricalcium phosphate powder) 또는 Al2O3파우더를 이용하여 블래스팅 공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핀 임플란트 및 영구 핀 임플란트는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순수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이 있다.
상기 임시 핀 임플란트 및 영구 핀 임플란트의 횡단면의 직경은 통상의 핀 임플란트 직경범위일 수 있으며, 2.0 내지 3.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 핀 임플란트는 전치부에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전치부용 영구 임플란트는 그 직경이 3.3 내지 3.8mm로서, 한국 사람의 하악 전치부와 상악 측절치부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굵어서 잔존 뼈의 양이 적을 경우 식립 자체가 어렵거나 심미적으로도 불완전한 결과를 초래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기 영구 핀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직경의 범위는 2 내지 3mm로서 직경이 가늘어서 하악 전치부와 상악 측절치부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 구현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 구현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핀 임플란트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핀 임플란트의 확대 배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임플란트(1)는 일측면에 평탄면부(8)를 갖고 그 평탄면부(8)상에 함몰부(9)를 가지며 그 평탄부의 배면에는 스크류 드라이버 걸림용 그루브(10)를 갖는 지대치부(2); 나사산 영역의 상부(5)와 막대형 하부(6)로 이루어진 인공치근부(4); 및 상기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를 연결하는 연조직 결착부(3)로 구성된다. 핀 임플란트의 정면 사시도를 도 4에 나타냈으며, 핀 임플란트의 배면 사시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치근 제작용 캡이 장착되는 부분인 상기 지대치부(2)는 일 측면에 평탄면부(8)를 가지며 그 평탄면부(8)에 함몰부(9)를 갖는다. 상기 평탄면부의 배면에는 그루브(10)가 새겨져 있다. 배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로 인해 스크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임플란트를 악골에 용이하게 식립시킬 수 있다. 상기 지대치부(2)가 일 측면에 평탄면부(8)를 가지고, 그 평탄면부에 함몰부(9)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치근 제작용 캡이 장착되기 위한 구조이다. 치근 제작용 캡이 임플란트(1)과 결합되기 전과 결합되었을 때의 형상을 각각 도 7와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은 핀 임플란트의 지대치부와 치근 제작용 캡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핀 임플란트의 지대치부에 치근 제작용 캡이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임시 치아 제작용 캡(7)은 지대치부(2)와 결합하여 평탄면부(8) 상의 함몰부(9)에 개창되는 구멍(11)을 갖는다. 이러한 임시 치아 제작용캡(7)이 임플란트(1)의 지대치부(2)에 장착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대치부(2)의 평탄면부(8) 상의 함몰부(9)가 임시 치아 제작용 캡(7)의 구멍(11)에 개창된다. 임시 치아 제작용 캡(7)이 장착된 후 임시 치아 제작용 캡에 형성된 구멍(11)과 임플란트의 지대치부의 함몰부(9)에 치과용 수지를 채워 넣고 경화시킴으로써 임시 치아 제작용 캡이 고정될 수 있다.
연조직 결착부(3)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임시 핀 임플란트(1)가 식립된 후에 연조직 결착부(3)의 벤딩이 가능하며, 이러한 벤딩 특성으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 후에 장착하는 보철물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인공치근부의 나사산 영역의 나사산 구조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와 크기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산 구조의 형태와 크기 범위를 벗어나면, 음식물 저작 시 뼈에 전달되는 힘을 치조골내에 적절히 분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치부용 영구 핀 임플란트는 상기 핀 임플란트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다만 임플란트중 인공치근부의 나사산 영역과 막대형 하부 모두의 표면이 거칠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술 가능한 임시 핀 임플란트와 영구 핀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인공치아 보철물이 고정되는 상부의 지대치부(2);
    나사산 영역의 상부(5)와 막대형 하부(6)로 이루어진, 악골에 식립되는 하부의 인공치근부(4); 및
    상기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를 연결하는 연조직 결착부(3)를 포함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1).
  2. 일측면에 함몰부(9)를 갖는 평탄면부(8)를 갖고 그 배면에는 그루브(10)를 갖는, 인공치아 보철물이 고정되는 상부의 지대치부(2);
    악골에 식립되는 하부의 인공치근부(4); 및
    상기 지대치부와 인공치근부를 연결하는 연조직 결착부(3)를 포함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근부(4)의 표면이 매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핀 임플란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근부(4)의 표면이 거칠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핀 임플란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9)의 직경은 0.5 내지 1.0mm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1).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임플란트의 횡단면의 직경은 2.0 내지 3.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핀 임플란트(1),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근부(4)의 거칠기는 블라스팅 공법에 의한 함몰부의 형성으로 생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핀 임플란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칠기를 생성하는 함몰부의 직경은 2.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핀 임플란트.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핀 임플란트는 전치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핀 임플란트.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결착부(3)의 직경은 지대치부(2)와 인공치근부(4)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임플란트(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결착부(3)는 벤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임플란트(1).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임플란트의 지대치부(2)에 장착되어 지대치의 평탄면부(8)상의 함몰부(9)에 개창되는 구멍(11)을 갖는 임시 치아 제작용 캡(7).
KR20030025525A 2003-04-22 2003-04-22 치과용 핀 임플란트 KR100564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5525A KR100564096B1 (ko) 2003-04-22 2003-04-22 치과용 핀 임플란트
PCT/KR2004/000900 WO2004093715A1 (en) 2003-04-22 2004-04-20 Dental pin implant
TW93111045A TWI291869B (en) 2003-04-22 2004-04-21 Dental pin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5525A KR100564096B1 (ko) 2003-04-22 2003-04-22 치과용 핀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874A true KR20040091874A (ko) 2004-11-02
KR100564096B1 KR100564096B1 (ko) 2006-03-24

Family

ID=3330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5525A KR100564096B1 (ko) 2003-04-22 2003-04-22 치과용 핀 임플란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64096B1 (ko)
TW (1) TWI291869B (ko)
WO (1) WO20040937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39B1 (ko) * 2005-04-07 2007-08-06 윤태호 어버트먼트 일체형 임플란트
KR20190010539A (ko) * 2016-03-30 2019-01-30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WO2019164245A1 (ko) * 2018-02-21 2019-08-29 이태경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85B1 (ko) * 2007-11-05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EP2732791B1 (en) * 2011-07-11 2019-03-06 Neobiotech Co., Ltd. Angular friction joint type of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967A (en) * 1994-11-14 1999-06-29 Mcgill University Implant assembly
BR9706645A (pt) * 1996-02-08 1999-01-12 Straumann Inst Ag Sistema de impressão para uma extremidade de implante salientando-se a partir da estrutura de tecido humano
US6273720B1 (en) * 1999-04-20 2001-08-14 Robert Spalten Dental implant system
KR100414885B1 (ko) * 2000-12-09 2004-01-24 주식회사 워랜텍 치과용 임플란트 및 컴팩션 드릴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39B1 (ko) * 2005-04-07 2007-08-06 윤태호 어버트먼트 일체형 임플란트
KR20190010539A (ko) * 2016-03-30 2019-01-30 사우던 임플란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각이 진 치아 임플란트
WO2019164245A1 (ko) * 2018-02-21 2019-08-29 이태경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0043A (en) 2005-01-01
WO2004093715A1 (en) 2004-11-04
TWI291869B (en) 2008-01-01
KR100564096B1 (ko) 200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9548A (en) Two-piece healing abutment system
US7632095B2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US7291013B2 (en) Organic shaped interface for dental implant devices
US8454362B2 (en)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for periodontal- or osseointegration,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6655961B2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US6733291B1 (en)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JP3488493B2 (ja) 骨組織内に固定するためのアンカ要素
US20030031981A1 (en) Prosthetic implant
US20060199152A1 (en) Natural implant system
EP1467674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050022738A (ko) 치과용 임플란트
US5820369A (en) Subperiosteal bone anchor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US5769630A (en) Subperiosteal bone anchor
EP1021996A1 (en) Device for an endosteal dental implant
KR20120027604A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USRE36126E (en) Dental restoration on artificial root fixtures
KR101611520B1 (ko) 맞춤형 전치부 임플란트
KR100564096B1 (ko) 치과용 핀 임플란트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88933Y1 (ko) 연조직의 깊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런트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RU2118136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дивадент"
JP2691350B2 (ja) 人工歯根用基材及び人工歯根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