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208A -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 Google Patents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208A
KR20190010208A KR1020170092688A KR20170092688A KR20190010208A KR 20190010208 A KR20190010208 A KR 20190010208A KR 1020170092688 A KR1020170092688 A KR 1020170092688A KR 20170092688 A KR20170092688 A KR 20170092688A KR 20190010208 A KR20190010208 A KR 20190010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weight
control unit
sound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7340B1 (en
Inventor
박의권
Original Assignee
박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권 filed Critical 박의권
Priority to KR102017009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340B1/en
Publication of KR2019001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2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03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load-cell construction or mount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s may be prepared by measuring a weight of food materials, power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recipe information, and efficient space utilization is possible by integrally forming a scale and a heating means in one body in particular. The scale integrated cookware comprises: a base plate; a heating means, a load cell; a local communication means; a screen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저울 일체형 조리기구{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된 레시피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가열수단과 일체로 제작된 전자저울을 통해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고, 조리 과정에 대응하여 화력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a material through an electronic scale integrally formed with a heating means in accordance with recip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mart device,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irepower in response to the process.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재료를 준비하고, 정해진 요리법에 따라 준비된 식재료를 끓이거나 데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요리에 숙달된 사람이라면 경험을 통해 각 재료의 양을 맞추고 적당한 시간에 불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요리를 완성할 수 있지만, 요리 경험이 없는 사람은 책자나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를 참고하여 요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In order to cook, you must first prepare the ingredients and then boil or dip the prepared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prescribed recipes. If you are a cooked person, you can adjust the amount of each ingredient through experience and adjust the intensity of fire in a reasonable time, but if you do not have cooking experience, you can refer to the recip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booklet or on the internet for cooking .

하지만 레시피를 참고한다 하더라도, 요리를 못하는 사람의 경우 재료의 정량을 맞추거나 불의 세기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However, even if you refer to the recip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fire or the quantity of material in the case of people who can not cook.

이를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7087호(2014.10.27.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음식 요리 시스템', 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와 같이 레시피 정보를 관리하는 요리 서버, 식재료의 무게를 비교하는 스마트 저울, 요리를 수행하는 조리기기로 구성된 음식 요리 시스템을 통해 요리 과정을 지원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For this purpose, a cooking server that manages recipe information such as Korean Patent No. 10-1457087 (referred to as 'food cooking system using smar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ntional technology') on Oct. 27, 2014, a smart The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o support the cooking process through a food culinary system composed of scales and cooking devices for cooking.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과 음식을 가열하는 조리기기가 별도로 구비된 것이어서, 주방에서 자리를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실시간 요리 정보(무게 변화 등)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balan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material and the cooking device for heating the food are separately provid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space in the kitchen and does not integrally provide real-time cooking information There is also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재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량의 재료가 준비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 조리 상태에 따른 식재료 무게 변화를 자체 출력하거나 스마트기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며, 레시피 정보에 따라 화력을 자동 조절토록 하되, 저울과 가열수단이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고 휴대가 편리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weight of a food material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can be prepar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which can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and can be easily carried by allowing the scale and the heating means to be integrally formed in one body, have.

또한, 조리 과정에서 내용물이 끓어 넘칠 경우, 뚜껑의 달그락 거리는 소리나 진동을 인식하여 넘침 여부를 확인하고 즉시 화력을 최저로 낮춘 후 스마트기기에서 경고가 표시되도록 하고, 동시에 단계적으로 화력을 상승시키는 등의 적절한 요리프로그램을 통해 넘침을 방지하는 등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장치가 마련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ent is boiled over during the cooking process, it recognizes the flickering noise or vibration of the lid, confirms whether it is overflowed, immediately reduces the firepower to the lowest level and displays a warning on the smar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for fire prevention, for example, preventing overflow through an appropriate cooking program.

또, 사용자가 작성하는 수유 일지를 공유하여 수유 시간이 도래하면 자동으로 가열수단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분유 타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can save time for powdered milk by allowing the heating means to operate automatically when a feeding time is shared by sharing a milking log created by a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는,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올려진 상기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받침판에 올려진 용기에 담기는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 스마트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수단; 조리 관련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및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에 담기는 재료의 무게가 상기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근거리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의 화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Heating means for providing heat to said container mounted on said bed plate; A load cell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placed on the bed plate; A local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smart device; A screen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oking rela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power of the hea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ecip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weight of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measured by the load cell is outputted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출력부를 통해 필요한 재료의 무게를 출력하여 안내하고, 사용자가 상기 받침판에 안내된 재료를 올리면 상기 로드셀을 통해 측정된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화면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측정된 재료의 무게가 상기 레시피 정보에 따라 안내된 무게와 다를 경우, 상기 가열수단의 화력을 조절할 시 상기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재료의 무게를 대신하여 상기 측정된 재료의 무게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outputs and guides the weight of material required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and when the user raises the material guided on the tablet, the weight of the material measured through the load cell Wherein when the measured weight of the material differs from the weight guided accor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the weight of the material included in the recipe information is used instead of the weight of the material when adjusting the thermal power of the heating means, And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measured material.

또한, 소리를 인식하는 음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조리 과정 중 상기 음압센서를 통해 특정 패턴의 소리를 인식하여 넘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가열수단의 화력을 최저로 낮춘 후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sound of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confirms that the overflow phenomenon occurs.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thermal power of the heating unit to the lowest level It can be increased stepwise.

또,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유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유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음압센서를 통해 특정 패턴의 소리를 인식하여 아기 울음 소리가 확인되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시작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t a feeding mod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When the feeding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sound of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and start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when the baby is crying .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에 의하면, 받침판에 올려진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화면 출력함으로써, 요리에 필요한 재료들의 무게를 잴 수 있도록 하고, 요리 과정에서도 실시간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요리 초보자가 요리 준비 과정에서 정량의 재료를 준비할 수 있고, 요리 진행 과정에서도 정량의 재료에 의해 잘 진행되고 있는지 체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material placed on the base plate is measur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weight of the materials required for cooking can be measured, and the weight is measur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in the cooking process, We can prepare a certain amount of ingredients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and we can help you check whether the cooking process is proceeding well with a certain amount of ingredients.

또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레피시 정보를 통해 요리 진행 과정별로 적절한 시간동안 화력 조절이 자동 진행되기 때문에, 요리 초보자가 불 조절에 실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epower control is automatically carried out for the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cooking progress process through the restaura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ker from failing to control the firepower.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저울과 가열수단이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높아 좁은 주방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휴대가 편리하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lance and the heating means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body, space utilization is high,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narrow kitchen, and is portable.

더불어 조리 과정에서 내용물이 끓어 넘칠 경우, 뚜껑의 달그락 거리는 소리나 진동을 인식하여 넘침 여부를 확인하고 즉시 화력을 최저로 낮춘 후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함으로써 넘침 현상을 신속하게 차단한 상태로 조리를 마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ents are boiled over during the cooking process, recognize the overturning sound or vibration of the lid, check whether it is overflowed, and immediately lower the firepower to the lowest level and raise it step by step, .

또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유 일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유 모드를 설정하였을 경우 수유 시간이 도래하였거나 아기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었다면, 자동으로 가열수단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분유 타는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 breast-feed log from a smart device, storing the breast-feeding log, and setting the breast-feeding mode, when the breast-feeding time is over or the baby's crying sound is recognized, the heating means is automatically activat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작동 과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다른 작동 과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또 다른 작동 과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utensil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those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저울 일체형 조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의 (a)는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에서 받침판, 로드셀 및 가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2의 (b)는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ale integrated cooking device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base plate, a load cell and a heating means in the cook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2B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저울 일체형 조리기구(10)(이하 '조리기구'라고 함)는 본체(11), 키입력부(12), 음압센서(13), 진동센서(14), 받침판(15), 로드셀(16), 가열수단(17), 화면출력부(18), 음성출력부(19), 근거리통신수단(20), 제어부(21) 및 메모리(22)를 포함한다.1 and 2, a balance-type cooking apparatus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ing apparatus")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a key input unit 12, The sensor 13, the vibration sensor 14, the base plate 15, the load cell 16, the heating means 17, the screen output unit 18, the audio output unit 19, 21 and a memory 22. [

본체(11)에는 조리기구(10)의 다른 구성들이 실장되며, 전면에 키입력부(12), 음압센서(13), 화면출력부(18) 및 음성출력부(19)가 설치되어 있다.Other components of the cooking apparatus 10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1 and a key input unit 12, a sound pressure sensor 13, a screen output unit 18 and an audio output unit 19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키입력부(1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키입력부(12)를 통해 메모리(2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정보를 로딩시키거나, 단계별 재료 측량 확인 또는 단계별 조리 완료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수유 모드 등의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2 is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The user can load the recipe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22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or perform stepwise material survey confirmation or step- Or a setting command such as a feeding mode can be input.

음압센서(13)는 소리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판(15)에 올려진 조리용기(40)의 덮개가 달그락 거리는 소리를 인식하거나, 아기의 울음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음압센서(13)에서 인식된 소리 정보는 제어부(21)로 전달되며, 제어부(21)는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패턴의 소리가 발생한 것인지 판단하여 이후 제어를 수행한다. 실시하기에 따라 사용자는 키입력부(12)를 대신하여 음성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음압센서(13)에서 취득할 수 있다.The sound pressure sensor 13 is for recognizing a sound, and can recognize the rattle sound of the lid of the cooking container 40 placed on the receiving plate 15 or recognize the sound of the baby. The sound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 The control unit 21 analyzes the sound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 sound of a specific pattern has occurred, and then performs control. The user can input a user command by voice instead of the key input unit 12. At this time,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can be obtained from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

진동센서(14)는 진동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진동센서(14)는 받침판(15)에 올려진 조리용기(40)의 덮개가 달그락 거릴 때 발생하는 진동을 인식할 수 있다.The vibration sensor 14 is for recognizing the vibra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sensor 14 can recognize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lid of the cooking container 40 put on the receiving plate 15 swings.

음압센서(13)나 진동센서(14)에서 조리용기(40)의 덮개가 달그락 거릴 때 발생하는 소리나 진동을 탐지하는 이유는 조리 과정에서 넘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인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리나 진동 중 어느 하나만 탐지하더라도 넘침 현상 확인은 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기능만을 위한다면 음압센서(13)나 진동센서(14) 중 어느 하나는 제외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음압센서(13)와 진동센서(14)를 모두 이용한다면 더욱 정확한 넘침 현상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The reason why the sound or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lid of the cooking container 40 is tumbled by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or the vibration sensor 14 is to recognize that the overflow phenomenon occurs in the cook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verflow phenomenon even if only one of them is detected. Therefore, any one of the multi-surface sound pressure sensor 13 and the vibration sensor 14 for the function alone may be excluded. However, if both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and the vibration sensor 14 are used, a more accurate overflow phenomenon can be confirmed.

받침판(15)은 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조리용기(40)가 받침판(15)에 올려진 상태로 조리가 이루어진다.The support plate 15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 and is cooked while the cooking vessel 40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5.

로드셀(16)은 받침판(15)에 올려진 용기 또는 용기에 담겨지는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전자저울의 역할을 수행한다. 로드셀(16)에서 측정된 용기 또는 재료의 무게 정보는 제어부(21)로 전달된다.The load cell 16 serves as an electronic balance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material placed in the container or container placed on the receiving plate 15. [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material measured by the load cell 16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 [

가열수단(17)은 받침판(15)에 올려진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유도 방식으로 열을 제공하는 인덕션 방식을 탑재하였다. 즉 도2에서 가열수단(17)은 교류 전류가 공급되었을 시 교류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일 수 있다.The heating means 17 provides heat to the container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5. In this embodiment, the induction system for providing heat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mounted. 2, the heating means 17 may be a coil forming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supplied.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전기레인지(하이라이트 방식)나 가스레인지 방식의 가열수단(17)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레인지 방식이 적용될 경우 가열수단(17)은 전원 공급시 열을 발생시켜 받침판(15)을 가열하는 코일일 수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 방식이 적용될 경우 가열수단(17)은 가스를 원료로 하여 불을 발생시키는 화구일 수 있다. 물론 가스레인지 방식일 경우 화염이 조리용기(4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받침판(15)의 형태도 함께 설계 변경되어야 한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n electric range (highlighting) or a gas range heating means 1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range system is applied, the heating means 17 may be a coil for heating the bed plate 15 by generating heat when power is supplied. Further, when the gas range system is applied, the heating means 17 may be a crater for generating a fire using gas as a raw material.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gas range system, the shape of the bed plate 15 must be changed so that the flame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ooking vessel 40.

화면출력부(18)는 설정 메뉴나 측정된 재료의 무게 정보 등 조리 과정에서 필요한 관련 정보를 화면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creen output unit 18 is provided for outputting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cooking process such as a setting menu or weight information of a measured material.

음성출력부(19)는 조리 과정에 필요한 안내 멘트나 경고음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voice output unit 19 is provided for outputting voice announcements and alarms necessary for the cooking process.

근거리통신수단(20)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스마트냉장고, 컴퓨터 등의 스마트기기(3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근거리통신수단(2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스마트기기(30)로부터 레시피 정보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20 is provided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smart device 30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TV, a smart refrigerator, a computer, and transmitting / receiv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0 may connect the communication channel using Bluetooth or Wi-Fi, and receive the recipe information or the user command from the smart device 30. [

제어부(21)는 로드셀(16)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화면출력부(18)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스마트기기(30)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22)에 저장된 레시피 정보를 단계별로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메뉴가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설정된 레시피 정보에 따라 가열수단(17)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제어부(21)는 음압센서(13)나 진동센서(14)에서 측정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가열수단(17)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1 processes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ad cell 16 to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18 or outputs the recip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30 and stored in the memory 22 in a step- Or a setting menu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user command, or to adjust the thermal power of the heating means 17 according to the set recip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1 analyzes the sound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or the vibration sensor 14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7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메모리(22)는 조리 과정에 필요한 정보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근거리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스마트기기(30)로부터 레시피 정보나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메모리(22)에 저장될 수 있고, 키입력부(12)를 통해 직접 입력한 설정 정보가 메모리(22)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2)에 저장된 정보들은 제어부(21)에 의해 독출되어 화면출력부(18)를 통해 출력되거나 가열수단(17)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The memory 22 is provided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oking process or information se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recipe information or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3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 and the setting information directl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2 is read by the control unit 21 and output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18 or used for controlling the heating means 17. [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10)는 이하 도3 내지 도5에서 설명하는 조리기구의 작동 과정 예시를 통해 더욱 구체화 될 것이다.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further specified through an example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oking apparatus described in Figs. 3 to 5 below.

도3은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작동 과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3은 조리기구(10)의 제어부(21)에 세팅된 레시피 정보에 따라 조리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More specifically,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oking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recipe information set in the control unit 21 of the cooking apparatus 10.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기기(30)를 통해 레시피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30)에서 검색된 레시피 정보를 조리기구(10)의 근거리통신수단(20)에서 수신하면, 제어부(21)가 수신된 레시피 정보를 메모리(22)에 저장하거나 조리 시작을 위해 세팅<S305>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3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10)와 연동될 수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레시피 정보를 검색하여 조리기구(10)에서 레시피 정보를 수신할 경우, 해당 레시피 정보에는 조리기구(10)에서 단계별로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조리기구(10)를 설정할 수 있는 전용 레시피 정보는 조리기구(10)를 공급한 업체 또는 이와 연계된 업체에서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can retrieve the recipe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30. When the recipe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smart device 30 is received by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20 of the cooking appliance 10, The stored recip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 or may be set to start cooking (S305). At this time,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30, and the recipe information is retrieved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and the recipe information is received , The recipe information includes control information that allows the cooking apparatus 10 to control the thermal power in steps. Of course, such exclusive application and dedicated recipe information for setting the cooking appliance 10 can be provided by the supplier who supplied the cooking appliance 10 or a company associated therewith.

메모리(22)에 저장된 레시피 정보를 로딩하거나, 실시간으로 근거리통신수단(20)을 통해 수신한 레시피 정보가 제어부(21)에 세팅되면, 사용자는 조리용기(40)를 받침판(15)에 올리고 로드셀(16)(저울)을 초기화<S310> 시킨다. 만약 조리기구(10)의 가열수단(17)이 인덕션 방식으로 열을 제공할 경우 조리용기(40) 역시 인덕션 레인지용 전용 용기가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로드셀(16)을 초기화 하는 이유는 조리용기(40)의 무게는 식재료 중량에서 제외해야 하기 때문이다.When the recip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2 is loaded or the recipe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20 in real time is set in the control unit 21, the user places the cooking container 40 on the base plate 15, (Balance) is initialized (S310). If the heating means 17 of the cooking apparatus 10 provides heat in an induction manner, the cooking vessel 40 also needs to use a dedicated vessel for the induction range. The reason for initializing the load cell 16 is that the weight of the cooking container 40 should be excluded from the weight of the food.

이후 제어부(21)는 레시피 정보에 대응하여 조리 관련 정보, 즉 레시피 정보를 화면출력부(18)를 통해 단계별로 출력<S315>되도록 처리한다. 예컨대 라면을 조리할 경우 '550ml(또는 550g)의 물을 준비하세요'라는 안내 문구가 화면출력부(18)를 통해 먼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음성출력부(19)를 통해 화면출력부(18)에서 출력되는 문구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안내 문구와 음성 멘트는 레시피 정보에 연동되어 매칭 저장된 상태일 때 가능하다.Then, the control unit 21 processes the cooking-related information, that is, the recipe information, in a step-by-step manner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18 in accordance with the recipe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ramen is cooked, a message of 'Prepare 550 ml (or 550 g) of water' can be output first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18. Also, the control unit 21 may output the phrase output from the screen output unit 18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19 by voice. Guidance texts and voices can be linked to recipe information and are stored in a matching state.

이후 사용자는 화면출력부(18)나 음성출력부(19)를 통해 안내되는 문구에 따라 조리용기(40)에 물을 붓는다. 이때 로드셀(16)에서는 조리용기(40)에 담겨지는 물의 양에 따라 무게를 측정하고, 로드셀(16)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제어부(21)가 화면출력부(18)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출력부(18)에 표시되는 무게를 확인하면서 550ml(550g)의 물을 정확하게 따를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pours water into the cooking container 40 according to a phrase guided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18 or the sound output unit 19. At this time, in the load cell 16, the weight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40, and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ad cell 16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18 by the control unit 21, The user can accurately follow 550 ml (550 g) of water while checking the weight displayed on the screen output unit 18. [

한편 조리 과정에서 필요한 식재료는 여러 가지일 수 있는데, 화면출력부(18)에서 순서대로 준비해야 할 재료를 안내해 주면, 사용자는 받침판(15) 위에 각각의 재료들을 올려 놓은 후, 정량의 재료들을 먼저 준비할 수 있다. 물론 재료들을 받치는 용기가 서로 다르다면 각 재료들을 담는 용기를 먼저 올려 놓은 후 중량 초기화 과정을 먼저 수행하고 중량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re is a variety of food ingredients required in the cooking process, if the screen output unit 18 guides the materials to be prepared in order, the user puts the respective materials on the plate 15, You can prepare. Of course, if the containers supporting the materia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weight initialization process first and then perform the weight measurement after putt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espective materials first.

또한 제어부(21)는 각 재료들의 중량을 체크하는 과정에서 정량의 재료가 준비된 것이 확인되면 '정량의 재료가 준비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멘트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재료의 중량이 부족하거나 많다면 제어부(21)는 과부족에 대한 내용을 알릴 수 있고, 사용자는 부족한 만큼의 재료를 추가하거나 넘치는 재료에서 일부를 빼낼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식성에 따라 특정 재료를 레시피보다 일부러 많이 넣거나 적게 넣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키입력부(12)를 통해 과부족 상태 그대로 특정 재료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겠다는 확인 버튼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21)는 과부족 상태의 재료 정보를 메모리(22)에 저장함으로써, 이후 조리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is prepared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weight of each material, 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o output the announcement message &quot;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is prepared &quot; . If the weight of the material is insufficient or too large, the control unit 21 can inform the user of the excess or the shortage, and the user can add as much material as needed or remove the material from the overflowing material. Of course, depending on the user's eating habits,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a specific ingredient is placed more or less than a recipe more than the recipe. Therefore, the user can input an OK button for cooking using a specific materi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unit 21 stores the material information of the over-or-under state in the memory 22, and can refer to it later in the cooking process.

물론 제어부(21)는 메모리(22)에 저장된 과부족 상태의 재료 정보를 이후 동일한 레시피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다시 독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이후 해당 요리 조리시에는 사용자의 식성에 맞게 특정 재료의 준비를 안내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trol unit 21 reads the excess or defective materi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2 again in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same recipe, and then outputs the materi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1 to guide the preparation of the specific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eating habits of the user It is possible.

모든 재료의 중량 체크를 마치면, 제어부(21)는 받침판(15)에 올려진 조리용기(40)를 레시피 정보에 따라 가열하고, 조리 단계별로 정해진 시간에 기반하여 화력을 조절<S320>한다.When the weight of all the materials is checked, the control unit 21 heats the cooking vessel 40 placed on the base plate 15 accor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and adjusts the thermal power based on the time set by the cooking step.

예컨대 라면 조리의 경우 제어부(21)는 '물을 끓입니다'라는 안내 정보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고 동시에 가열수단(17)의 작동을 시작하여 조리용기(40)에 담긴 물을 가열시킨다. 물의 양이 레시피 정보에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해당 물을 어떠한 화력으로 몇 분간 끓여야 하는지에 대한 제어 정보도 함께 레시피 정보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1)는 레시피 정보에 따라 특정 화력으로 특정 시간동안 물을 끓일 수 있도록 가열수단(17)을 제어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ramen cooking, the control unit 21 outputs information such as 'boil water' on a screen or voice, and at the same time start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17 to he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oking vessel 40. Since the amount of water is determined in the recipe information, control information on how to boil the water for a few minutes with the firepower will also be stored in the recip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heating unit 17 to boil the water for a specific time with the specific heat power accor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만약 앞선 과정에서 물의 중량을 체크할 시 사용자가 물의 중량을 레시피 정보에서 알려준 것보다 임의로 적게 넣거나 많게 넣어서 진행할 것임을 입력하였다면, 제어부(21)는 물을 끓이는 시간 또는 화력을 물의 양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레시피에서 벗어난 과부족 재료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22)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 조리 과정에서도 특정 재료의 과부족에 따른 화력 조절 또는 시간 조절은 제어부(21)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If the user inputs the weight of the water in the recipe information in a random manner, or if the user inputs a lot of water, the control unit 21 may adjust the time for boiling water or the thermal power to match the amount of water . Of course, since the information on excess and defective materials deviating from the recipe is stored in the memory 22, the control of the thermal power control or the time control according to the excess or deficiency of the specific material in the cooking process can be flexib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

첫 번째 가열 과정을 통해 물이 끓고 있다면, 이후 제어부(21)는 '면을 넣어주세요'라는 안내 멘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로드셀(16)을 통해 변화되는 무게를 통해 사용자가 면을 넣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이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면을 넣은 시점부터 카운팅을 시작하여 적정 시간동안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 단계별로 다른 재료의 투입을 안내하고 로드셀(16)을 통해 해당 재료의 투입 여부가 확인되면 화력을 줄이거나 높이면서 조리가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water is boiling through the first heating process, then the control unit 21 can output an announcement message 'Please put a face', and if the user puts the face through the weight changed through the load cell 16 After confirming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following process. That is, counting is started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surface is inserted, and is heated for a proper time. Likewise, when the introduction of other materials is guided through each step and whether or not the material is input through the load cell 16, the cooking can be completed while reducing or increasing the thermal power.

도3의 과정을 통해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10)는 받침판(15)에 올려진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화면 출력함으로써, 요리에 필요한 재료들의 무게를 잴 수 있도록 하고, 요리 과정에서도 실시간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요리 초보자가 요리 준비 과정에서 정량의 재료를 준비할 수 있고, 요리 진행 과정에서도 정량의 재료에 의해 잘 진행되고 있는지 체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3, 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weight of the material placed on the bed plate 15 and displays the weight of the material on the bed, By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weight in real time in the cooking process, it is possible for the cooker to prepare a predetermined amount of ingredients in preparation for cooking and to check whether the cooking process is proceeding well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ingredients.

또한, 스마트기기(30)로부터 수신한 레피시 정보를 통해 요리 진행 과정별로 적절한 시간동안 화력 조절이 자동 진행되기 때문에, 요리 초보자가 불 조절에 실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epower control is automatically performed for a proper time according to the cooking progress process through the restaura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ker from failing to control the firepower.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10)에서는 저울과 가열수단(17)이 하나의 본체(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높아 좁은 주방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lance and the heating means 17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main body 11, space utilization is high and the apparatus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narrow kitchen.

도4는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다른 작동 과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도3에서 설명한 조리기구(10)의 자동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상황에 대한 것으로, 조리 과정 중 내용물이 넘치는 현상을 신속하게 탐지하여 화력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cook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fic situa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automatic cooking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o that the overflowing phenomenon during the cooking process can be quickly detected and the firepower control can be performed.

즉, 도3의 과정에 따라 조리용기(40)에 담겨진 음식을 가열하는 과정 중,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구(10)의 제어부(21)는 음압센서(13) 및/또는 진동센서(14)를 통해 내용물이 넘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S405>한다.That is, during the process of heat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40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3, the contents may boil over. Therefore, the control unit 21 of the cooking apparatus 10 confirms in real time whether the contents are overflowing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and / or the vibration sensor 14 (S405).

음식이 끓어 넘칠 경우에는 조리용기(40)의 덮개가 요동을 치면서 달그락 거리는 소리를 내면서 진동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메모리(22)에는 달그락 거리는 소리에 대응하는 소리 패턴과 진동 패턴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음압센서(13)나 진동센서(14)에서 소리 및 진동 여부를 감지하면 제어부(21)는 측정된 소리 및 진동이 메모리(2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패턴의 소리와 진동인지 확인한 후 넘침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제어부(21)는 소리와 진동의 패턴 비교 방식이 아닌,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와 진동이 인식되면 넘침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When the food boils and overflows, the lid of the cooking utensil 40 vibrates with a rattle sound while rocking. Accordingly, the sound pattern and the vibration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lling sound are stored in the memory 22 in advance. When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or the vibration sensor 14 detects sound and vibration, the control unit 21 It is determined whether sound and vibration are sound and vibration of a specific pattern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22, an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ound is overflowed. Of course, the control unit 21 may determine not to compare patterns of sound and vibration, but to overflow if sounds and vibra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re recognized.

만약 제어부(21)에서 음식이 끓어 넘치는 것을 확인하였다면<S410>, 제어부(21)는 가열수단(17)을 제어하여 화력을 최저로 낮추어 넘침 현상을 일단 멈추도록 한 후, 조리를 마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화력을 상승<S415>시킨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food is boiling in the control unit 21, 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heating unit 17 to lower the thermal power to the lowest level so as to stop the overflow phenomenon. Then, To increase the firepower <S415>.

물론 음식이 끓어 넘칠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조리기구(10)의 화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사용자가 자리를 비웠을 경우 조리기구(10)까지 다가오는 시간 동안 상당량의 음식이 이미 넘칠 수도 있기 때문에, 도4의 과정을 통해 조리기구(10)가 넘침 현상을 바로 인지하고 화력 조절을 자동 수행한다면, 음식물 넘침에 따른 조리 실패나 받침판(15) 오염 등의 문제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food is overcooked, the user can recognize the fact and control the firepower of the cooking utensil 10. However, if the user is left out, a considerable amount of food may already be overflowed to the cooking appliance 10, so that the cooking appliance 10 immediately recognizes the overflow phenomenon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blems such as the failure to cook due to food overflow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support plate 15.

도5는 도1에 도시된 조리기구의 또 다른 작동 과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10)는 근거리통신수단(20)을 통해 스마트기기(30)와 정보를 송수신 하는 기능, 가열수단(17)을 자동 제어하는 기능, 그리고 음압센서(13)를 통해 소리를 인식한 후 특정 패턴의 소리를 분석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 기능들은 분유를 수유하는 부모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That is, 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to / from the smart device 30 via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20,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ing means 17, ) To analyze the sound of a specific pattern after recognizing the sound. These functions can be useful for parents who feed formula.

즉, 신생아의 경우 밤 낮을 가리지 않고 짧은 주기로 수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모유를 수유한다면 수유 준비 과정이 길지 않지만, 분유를 수유할 경우 물부터 끓이고 분유를 타야만 해서 수유 준비 과정이 꽤 길다. 특히 취침 중이기 때문에 수유할 시간을 미리 체크할 수 없는 한 밤중에는 아이가 배가 고파 울음을 터뜨릴 때까지 아무런 준비를 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10)는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newborn babies, feeding should be done at short intervals regardless of nighttime. Breastfeeding is not a long process to prepare for breastfeeding, but breastfeeding requires boiling and boiling powdered milk, so the process of breastfeeding is quite long. Especially when you can not check the time to feed because you are at bedtime, you will not be able to make any preparations until the child bursts into a hungry crying at night. 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such a problem to be minimized.

즉 사용자(부모)는 스마트기기(30)를 통해 수유 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수유 일지란 신생아들에게 수유한 시간과 수유량 등을 기재해 놓는 일종의 기록지를 말하며, 이를 통해 추후 수유 시간과 양을 예측하거나 발육 상태 등을 점검할 수 있다. 근래에는 스마트기기(3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유 일지를 기록하기도 한다.That is, the user (parent) can create a milking diary through the smart device 30. A breastfeeding log is a kind of record that records the amount of time and amount of breastfeeding given to newborn babies. In recent years, a milking log may be record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3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10)와 연동 가능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유 일지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수유 일지를 작성하면, 조리기구(10)의 근거리통신수단(20)이 스마트기기(3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스마트기기(30)에서 작성된 수유 일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메모리(22)에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제어부(21)에 세팅<S505>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feeding log function is provided in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ooking applian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creates a feeding log in the dedicated application,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20 of the cooking appliance 10 It is possible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30 to periodically receive the lactation log information created in the smart device 30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22 or share it in real time to set the control device 21 in the step S505. have.

이후 사용자가 받침판(15)에 분유를 탈 목적으로 준비한 조리용기(40)를 올려 놓고 물을 담아 놓은 후, 키입력부(12)를 통해 수유 모드를 설정<S510>하면, 제어부(21)는 이후 수유 모드로 작동을 시작한다. 수유 모드로 작동한다는 것은 추후 수유가 필요한 시점을 제어부(21)가 스스로 판단한 후, 가열수단(17)의 작동을 시작하여 조리용기(40)에 담겨진 분유용 물을 신속하게 가열시키도록 한다는 것이다.Then, when the user puts the cooking container 40 prepar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the powdered milk into the bed plate 15 and puts the water on the bed, the control unit 21 sets the feeding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Start working in feeding mode. The operation in the feeding mode means that the control unit 21 start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17 after the control unit 21 determines the timing of the later feeding and promptly heats the milk powder contained in the cooking vessel 40.

제어부(21)가 수유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은 미리 설정한 바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의 울음 소리와 수유 일지를 기반으로 판단토록 하고 있다.There are various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feeding time point by the control unit 21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ting, but in this embodiment, it is judged based on the baby's crying and the milking log.

즉, 수유 모드로 설정된 이후 제어부(21)는 음압센서(13)를 통해 인식되는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메모리(22)에 기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패턴(아기 울음 소리에 대응하는 패턴)의 소리가 인식<S515>되었는지 판단한다.That is, after the mode is set to the feeding mode, the control unit 21 analyzes the sound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and detects the sound of a specific patter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baby crying sound) stored in the memory 22 &Lt; S515 >

신생아는 배가 고플 때 울 수도 있지만, 다른 이유로 우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아기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었다고 하여 바로 수유를 하기 위해 가열수단(17)을 작동시켜서는 안된다. 즉 제어부(21)는 음압센서(13)를 통해 아기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면, 메모리(22)에 저장된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30)와 실시간으로 공유되어 있는 수유 일지를 확인하여 수유 시간이 도래하였는지 판단<S520>한다. 즉 기존 수유 시간으로부터 3시간이 지났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신생아별로 그리고 개월수에 따라 다르지만 수유 주기는 3시간 내지 4시간이 가장 보편적이다. 물론 수유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세팅될 수도 있고, 제어부(21)가 메모리(22)에 저장된 수유 일지를 분석하여, 해당 아기의 평균적인 수유 주기를 산출한 후 기준 주기로 설정할 수도 있다.Newborns may cry when they are hungry, but they may cry for other reasons. Therefore, the heating means 17 should not be operated to feed the babies immediately because the baby's crying has been recognized. That is, when the baby's crying sound is recognized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13, the control unit 21 checks the milking log stored in the memory 22 or shared with the user's smart device 30 in real time, (S520). That is, it is judged whether 3 hours have elapsed from the existing feeding time. Depending on the newborn and the number of months, the feeding cycle is most common from 3 hours to 4 hours. Of course, the feeding cycle may be set by the user in advance, or the control unit 21 may analyze the feeding log stored in the memory 22, calculate the average feeding cycle of the baby, and set the reference feeding cycle.

제어부(21)에서 아기의 울음 소리를 인식하고, 수유 시간이 도래한 것까지 판단하였다면<S525>, 제어부(21)는 가열수단(17)을 작동<S530> 시켜 조리용기(40)에 담겨진 분유용 물을 신속하게 가열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유 시간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하고, 물을 끓이기 위해 주방까지 와야 하는 시간을 절약하여 분유 수유를 준비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가 있다.The control unit 21 recognizes the baby's crying sound in the control unit 21 and operates the heating unit 17 to operate the milking unit 17 in step S525, Thereby rapidly heating the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check whether the feeding time has come, prepare time for reaching the kitchen to boil the water, and prepare for feeding the milk.

물론 제어부(21)는 수유 모드로 설정되어 아기 울음소리와 수유 시간 도래 여부까지 판단하여 가열수단(17)을 작동시켰다 하더라도 일정 시간 이후에는 가열을 중단시킨다.Of course, the control unit 21 is set in the feeding mode to judge whether the baby crying and the feeding time have come, and even if the heating means 17 is operated, the heating is stopp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낮 시간에는 아기의 울음 소리와 관계 없이 주기적인 시간에 수유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어부(21)는 수유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낮 시간에는 아기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지 않더라도 수유할 시간이 도래하면 가열을 시작토록 하고, 밤 시간에는 아기의 울음 소리와 수유 시간 도래가 모두 확인되었을 때에만 가열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fant is often fed during a period of time irrespective of the crying sound of the baby during the daytime, when the infant is set in the infant feeding mode, It is possible to start the heating only at the time of arrival of the baby, and to start the heating only at the time of the night when the crying of the baby and the arrival of the feeding time are all confirm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10)는 받침판(15)에 올려진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화면 출력함으로써, 요리에 필요한 재료들의 무게를 잴 수 있도록 하고, 요리 과정에서도 실시간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요리 초보자가 요리 준비 과정에서 정량의 재료를 준비할 수 있고, 요리 진행 과정에서도 정량의 재료에 의해 잘 진행되고 있는지 체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weight of the material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5 and displays the weight of the material on the screen. Thus, the weight of the materials required for cooking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weight, it is possible for a beginner to prepare a certain amount of ingredients during cooking preparation, and to check whether the cooking process is proceeding well with a certain quantity of ingredients.

또한, 스마트기기(30)로부터 수신한 레피시 정보를 통해 요리 진행 과정별로 적절한 시간동안 화력 조절이 자동 진행되기 때문에, 요리 초보자가 불 조절에 실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epower control is automatically performed for a proper time according to the cooking progress process through the restaura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ker from failing to control the firepower.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10)에서는 저울과 가열수단(17)이 하나의 본체(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높아 좁은 주방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lance and the heating means 17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main body 11, space utilization is high and the apparatus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narrow kitchen.

더불어 조리 과정에서 내용물이 끓어 넘칠 경우, 뚜껑의 달그락 거리는 소리나 진동을 인식하여 넘침 여부를 확인하고 즉시 화력을 최저로 낮춘 후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함으로써 넘침 현상을 신속하게 차단한 상태로 조리를 마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ents are boiled over during the cooking process, recognize the overturning sound or vibration of the lid, check whether it is overflowed, and immediately lower the firepower to the lowest level and raise it step by step, .

또한, 스마트기기(30)로부터 수유 일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유 모드를 설정하였을 경우 수유 시간이 도래하였거나 아기의 울음 소리가 인식되었다면, 자동으로 가열수단(17)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분유 타는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milking diary from the smart device 30 and storing it, and when the lactation mode is set, the heating means 17 is automatically activated when the lactation time has come or the baby's crying has been recognized, Can be sav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조리기구
11 : 본체
12 : 키입력부
13 : 음압센서
14 : 진동센서
15 : 받침판
16 : 로드셀
17 : 가열수단
18 : 화면출력부
19 : 음성출력부
20 : 근거리통신수단
21 : 제어부
22 : 메모리
30 : 스마트기기
40 : 조리용기
10: Cookware
11: Body
12:
13: Sound pressure sensor
14: Vibration sensor
15:
16: Load cell
17: Heating means
18:
19: Audio output section
20: Local communication means
21:
22: Memory
30: Smart devices
40: Cooking container

Claims (4)

용기가 올려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올려진 상기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받침판에 올려진 용기에 담기는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
스마트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수단;
조리 관련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및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에 담기는 재료의 무게가 상기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근거리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의 화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container is raised;
Heating means for providing heat to said container mounted on said bed plate;
A load cell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placed on the bed plate;
A local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smart device;
A screen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oking rela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he weight of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measured by the load cell to output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and adjusting the thermal power of the hea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ecip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short- And a cooking device for cooking the fo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출력부를 통해 필요한 재료의 무게를 출력하여 안내하고, 사용자가 상기 받침판에 안내된 재료를 올리면 상기 로드셀을 통해 측정된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화면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측정된 재료의 무게가 상기 레시피 정보에 따라 안내된 무게와 다를 경우, 상기 가열수단의 화력을 조절할 시 상기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재료의 무게를 대신하여 상기 측정된 재료의 무게에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utputs and guides the weight of the required material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When the user raises the guided material on the receiving plate,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weight of the material measured through the load cell The weight of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ipe information is used to control the heating power of the heating means when the measured weight of the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weight guided accor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And adjusts the weight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th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소리를 인식하는 음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조리 과정 중 상기 음압센서를 통해 특정 패턴의 소리를 인식하여 넘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가열수단의 화력을 최저로 낮춘 후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und pressure sensor for recognizing sound,
Wherei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sound of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confirms that the overflow phenomenon occurs, thereby lowering the thermal power of the heating means to the lowest level and raising the cooking power gradual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유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유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음압센서를 통해 특정 패턴의 소리를 인식하여 아기 울음 소리가 확인되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can set a feeding mod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When the feeding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sound of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and start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when a baby crying sound is confirmed Cooking utensils.
KR1020170092688A 2017-07-21 2017-07-21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KR101987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88A KR101987340B1 (en) 2017-07-21 2017-07-21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88A KR101987340B1 (en) 2017-07-21 2017-07-21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08A true KR20190010208A (en) 2019-01-30
KR101987340B1 KR101987340B1 (en) 2019-06-10

Family

ID=6527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88A KR101987340B1 (en) 2017-07-21 2017-07-21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34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983A (en) * 2019-06-14 2019-09-17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Gas-cooker and its control method
CN110779056A (en) * 2019-11-04 2020-02-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Cooking stat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of cooking appliance
KR20200109911A (en) * 2019-03-15 2020-09-23 김혁 Smart multi-cooker system and cook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80B1 (en) * 2014-04-11 2015-10-13 주식회사 컴투루 Cooking method generating devic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12017B1 (en) * 2015-05-08 2016-04-12 김민찬 Machine for food cooking
KR101647666B1 (en) * 2015-09-25 2016-08-11 주식회사 올넷전자 Induction range with voice-recognizing member and pollution-detecting member, interworking smartphone
KR20170070535A (en) * 2015-12-14 2017-06-22 서원영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ctric ra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80B1 (en) * 2014-04-11 2015-10-13 주식회사 컴투루 Cooking method generating devic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12017B1 (en) * 2015-05-08 2016-04-12 김민찬 Machine for food cooking
KR101647666B1 (en) * 2015-09-25 2016-08-11 주식회사 올넷전자 Induction range with voice-recognizing member and pollution-detecting member, interworking smartphone
KR20170070535A (en) * 2015-12-14 2017-06-22 서원영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ctric ran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911A (en) * 2019-03-15 2020-09-23 김혁 Smart multi-cooker system and cook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N110242983A (en) * 2019-06-14 2019-09-17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Gas-cooker and its control method
CN110779056A (en) * 2019-11-04 2020-02-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Cooking stat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of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340B1 (en)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340B1 (en)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CN105933451B (en) Intelligent cooking method and system
US20190125120A1 (en) Cooking system for tracking a cooking device
US20240008674A1 (en) Cooking system with error detection
KR20190000908U (en) Cooking system with inductive heating and wireless feeding of kitchen utensils
US20160198885A1 (en) Intelligent Cooking Apparatuses and Methods
KR20190057201A (en) Auxiliary button for cooking system
KR20180018548A (en) Recipe System
JP2016018761A (en) Fire power control device, fire pow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200089103A (en) Scale integrated cookware using smart device
CN106724812A (en) Intelligent egg cooker
CN206252343U (en) Kitchen storage tool and cooking apparatus
CN107340311B (en) Method for detecting liquid boiling and heating device
JP2019523430A (en)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9209371A1 (en) Cooking system for tracking a cooking device
JP6269618B2 (en) Cooker
JP2017208617A (en) Communication device
JP6632934B2 (en) Cooking device
JP2019011882A (en) Heating system, heating device, container, hea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1176131B (en) Soup cooking equipment, soup ladle and soup cooking system
CN206745157U (en) Cooking apparatus
TWI664877B (en) Intelligent multifunctional cooking equipment
CN110584455A (en) Liquid heating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0554619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4335332A1 (en) Beverage preparatio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