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942A -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942A
KR20190009942A KR1020170091942A KR20170091942A KR20190009942A KR 20190009942 A KR20190009942 A KR 20190009942A KR 1020170091942 A KR1020170091942 A KR 1020170091942A KR 20170091942 A KR20170091942 A KR 20170091942A KR 20190009942 A KR20190009942 A KR 2019000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hand
key
side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081B1 (ko
Inventor
박철민
Original Assignee
박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민 filed Critical 박철민
Priority to KR102017009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0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06K9/0035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키패드의 키 입력을 위해 키패드의 하측에 위치한 터치패드의 양측에 손이 놓이는 것을 감지하고 양손이 모두 놓인 것을 확인하면 터치패드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며, 이를 통해 키패드의 키 입력시 터치패드에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Input error prevention device of notebook touch pad}
본 발명은 노트북의 입력 오류를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트북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의도치 않은 터치가 되는 입력 오류를 방지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은 노트 형태의 PC(personal computer)로서 사용자의 무릎 위에 올려두고 사용이 가능하여 랩톱 컴퓨터(lap top computer)라고도 불린다.
노트북은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데스크톱 컴퓨터(desk top computer)에 비해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데스크톱 컴퓨터와 견줄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개선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노트북은 통상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구비하는데, 사용자의 손이 키패드에 포함된 키를 누르기 위해 키패드의 아래 부분에 놓이는 경우 터치패드에 손가락 등이 닿아 의도치 않는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트북의 제조사는 터치패드의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기능(function) 키를 마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패드를 이용하지 않으려는 경우 이러한 기능키를 이용해 터치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다시 터치패드를 이용하려는 경우 기능키를 이용해 터치 입력 기능을 활성화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노트북은 사용자가 직접 기능키를 눌러 터치패드의 터치 입력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야 함으로써, 노트북을 이용한 작업이 수시로 중단되고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8111호 (2008.08.27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의 키 입력을 위해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노트북에 구비된 터치패드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비활성화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오류를 방지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는, 키패드의 하측에 위치한 터치패드, 상기 키패드의 키 입력을 위해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손이 놓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해 양손이 모두 놓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터치패드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직 상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손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노트북의 양측에 구비된 USB 단자에 결합하는 USB 인터페이스,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끝단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손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감지 결과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대응하는 픽셀의 픽셀값이 변화함에 따라 손이 놓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키패드의 키를 위치에 따라 왼손으로 입력하는 왼손 키와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오른손 키로 구분하고 어느 위치의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왼손 키 및 오른손 키 모두에서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양손이 모두 놓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해 한 손만이 놓인 것을 확인하거나 어느 손도 놓이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터치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에 따르면 키패드의 키 입력시 터치패드에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노트북의 기능(function) 키를 누르는 등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키패드의 키 입력을 하려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터치패드의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터치패드의 기능을 다시 활성화하여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입력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노트북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류 방지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오류 방지 장치(100)는 터치패드(10), 센서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패드(10)는 키패드(1)의 하측에 위치하며, 터치패드(10)의 양 옆에는 키패드(1)의 키 입력을 위해 손(2, 3)이 놓이는 팜레스트(palm rest) 공간이 위치한다.
터치패드(10)는 손가락이 닿으면 해당 부분의 압력 변화나 정전용량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며, 이렇게 확인된 위치에 따라 화면(4)에 표시된 커서(cursor)의 위치가 이동된다.
센서부(20)는 키패드(1)의 키 입력을 위해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20)는 손(2, 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하여, 제어부(30)가 터치패드(1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참조하도록 한다.
제어부(30)는 터치패드(10) 및 센서부(20)를 포함하는 입력 오류 방지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연산 유닛, 메모리, 프로그램 저장소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30)는 센서부(20)의 감지 결과를 확인하여 터치패드(10)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터치패드(10)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상 키패드(1)의 키 입력을 위해 터치패드(10)의 양측 팜레스트(palm rest)에 양손(2, 3)이 모두 놓인 경우, 해당 양손(2, 3)은 터치패드(10)를 이용한 터치 입력 동작은 하지 않고 키패드(1)의 키 입력 동작만을 수행할 뿐이므로, 터치패드(10)의 동작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키 입력을 수행하는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터치패드(10)에 닿아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터치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30)는, 센서부(2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해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양손(2, 3)이 모두 놓인 것을 확인하면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비활성화하여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한편 터치패드(10)의 일측에 하나의 손(예컨대 2) 만이 놓이거나, 터치패드(10)의 옆에 양손(2, 3) 중 어느 손도 놓이지 않은 경우, 한 손(예컨대 3)을 이용해 터치패드(10)를 터치하여 터치 입력을 하기 위한 상태일 수 있으므로, 터치 패드(10)의 동작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센서부(2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해 터치패드(10)의 옆에 한 손(2 또는 3 중 하나)만이 놓인 것을 확인하거나 어느 손(2, 3)도 놓이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터치패드(10)의 동작을 활성화하여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를 이용해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위치에는 각각 근접 센서(21, 22)가 위치한다.
센서부(20)는 근접 센서(21)를 이용해 왼손(2)이 놓이는 것을 감지하고, 근접 센서(22)를 이용해 오른손(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근접 센서(21, 22)는 키패드(1)와 터치패드(10)가 위치한 평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광센서를 이용해 반사광을 수광하여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0)는 근접 센서(21, 22)를 이용해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하며, 제어부(30)는 양손(2, 3)이 모두 놓인 경우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비활성화하여 터치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한 손(2 또는 3 중 하나)만이 놓이거나 어느 손(2, 3)도 놓이지 않은 경우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다시 활성화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노트북의 양측에 구비된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이용해 노트북과 결합된 근접 센서(24, 27)가 위치한다.
이때 센서부(20)는 노트북의 양측에 구비된 USB 단자에 각각 결합하는 USB 인터페이스(23, 26)와,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24, 27)를 포함한다.
센서부(20)는 근접 센서(24)를 이용해 왼손(2)이 놓이는 것을 감지하고, 근접 센서(27)를 이용해 오른손(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24, 27)는 USB 인터페이스(23, 26)의 끝단으로부터 각각 신장되어 터치패드(10)의 양측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광센서를 이용해 반사광을 수광하여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근접 센서(24, 27)는 USB 인터페이스(23, 26)의 끝단으로부터 '⊃' 형태로 구부러져 터치패드(10)의 양측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으며, 이때 적외선 조사 방향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노트북에 구비된 USB 단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터치패드(10)의 양측으로 손(2, 3)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0)의 근접 센서(24, 27)는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정보를 USB 인터페이스(23, 26)를 통해 제어부(30)로 전달하며, 제어부(30)는 양손(2, 3)이 모두 놓인 경우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비활성화하여 터치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한 손(2 또는 3 중 하나)만이 놓이거나 어느 손(2, 3)도 놓이지 않은 경우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다시 활성화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0)는 노트북에 구비된 카메라(29)를 이용해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화면(4)의 상단에 카메라(29)가 위치하며, 카메라(29)는 터치패드(10)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위치를 촬영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카메라(29)의 촬영 영상에서 터치패드(10)의 양측에 대응하는 픽셀의 픽셀값이 변화함에 따라 손(2, 3)이 놓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손(2, 3)이 놓이지 않은 상태를 촬영한 카메라(29)의 촬영 영상에서 터치패드(10) 양측에 위치한 픽셀의 픽셀값을 저장한 후, 카메라(29)의 촬영 영상에서 해당 픽셀의 픽셀값이 일정 정도 이상 변화함을 확인하여 따라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카메라(29)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판단 결과 양손(2, 3)이 모두 놓인 경우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비활성화하여 터치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한 손(2 또는 3 중 하나)만이 놓이거나 어느 손(2, 3)도 놓이지 않은 경우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다시 활성화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0)는 왼손(2)으로 입력하는 키패드(1)의 키가 입력되고, 오른손(3)으로 입력하는 키패드(1)의 키가 입력되는 것을 확인하여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손(2, 3)이 놓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20)는 키패드(1)의 키를 위치에 따라 왼손(2)으로 입력하는 왼손 키와 오른손(3)으로 입력하는 오른손 키로 구분하고 어느 위치의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센서부(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왼손 키 및 오른손 키 모두에서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양손(2, 3)이 모두 놓인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비활성화하여 터치 입력 오류를 방지하다.
또한 제어부(30)는 왼손 키나 오른손 키 중 하나에서만 키 입력이 이루어져 터치패드(10)의 일측에 한 손(2 또는 3 중 하나)만이 놓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왼손 키와 오른손 키 중 어느 곳에서도 키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아 터치패드(10)의 양측에 어느 손(2, 3)도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터치패드(10)의 동작을 다시 활성화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키패드
4: 화면
10: 터치패드
20: 센서부
21, 22, 24, 27: 근접 센서
23, 26: USB 인터페이스
29: 카메라
30: 제어부
100: 입력 오류 방지 장치

Claims (6)

  1. 키패드의 하측에 위치한 터치패드;
    상기 키패드의 키 입력을 위해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손이 놓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해 양손이 모두 놓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터치패드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직 상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손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노트북의 양측에 구비된 USB 단자에 결합하는 USB 인터페이스;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끝단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손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감지 결과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접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에 대응하는 픽셀의 픽셀값이 변화함에 따라 손이 놓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키패드의 키를 위치에 따라 왼손으로 입력하는 왼손 키와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오른손 키로 구분하고 어느 위치의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왼손 키 및 오른손 키 모두에서 키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양손이 모두 놓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해 한 손만이 놓인 것을 확인하거나 어느 손도 놓이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터치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KR1020170091942A 2017-07-20 2017-07-20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KR101968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42A KR101968081B1 (ko) 2017-07-20 2017-07-20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42A KR101968081B1 (ko) 2017-07-20 2017-07-20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42A true KR20190009942A (ko) 2019-01-30
KR101968081B1 KR101968081B1 (ko) 2019-04-11

Family

ID=6527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42A KR101968081B1 (ko) 2017-07-20 2017-07-20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676A1 (ko) * 2022-11-15 2024-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 활성 영역 및 키보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808A (ja) * 2005-09-29 2007-04-12 Toshiba Corp タブレット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KR20080078111A (ko) 2007-02-22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KR20110023654A (ko) * 2009-08-31 2011-03-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핑거 마우스
WO2014184868A1 (ja) * 2013-05-14 2014-11-20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および生体信号測定方法
KR20150113733A (ko)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감지 전자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808A (ja) * 2005-09-29 2007-04-12 Toshiba Corp タブレット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KR20080078111A (ko) 2007-02-22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KR20110023654A (ko) * 2009-08-31 2011-03-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핑거 마우스
WO2014184868A1 (ja) * 2013-05-14 2014-11-20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および生体信号測定方法
KR20150113733A (ko)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감지 전자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676A1 (ko) * 2022-11-15 2024-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 활성 영역 및 키보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081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9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two or more deactivated portions on touch screen
JP52826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39132A5 (ko)
JPH11283026A (ja) 指紋検出機能付きタッチパッド及び情報処理装置
CN101308427A (zh) 处理触控屏幕输入机制的装置及方法
US2012003858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object thereof
US201500773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ouch on user terminal
JP2014182657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9367140B2 (en)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235349B2 (ja) タッチ操作機能付表示装置
KR101968081B1 (ko) 노트북 터치패드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JP2014176019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6660529B2 (ja) 入力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4013079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및 터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00271300A1 (en) Multi-Touch Pad Control Method
US20140333369A1 (en) Key module and signal gen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67861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JP6220429B1 (ja) 情報処理装置、タッチパネル感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4127315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01013219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78290B1 (ko)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5146090A (ja) 手書き入力装置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TW201535192A (zh) 資訊處理裝置
US10146364B2 (en) Touch pad input device
US10416884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oftware keyboard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