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932A - 소방용 손도끼 - Google Patents

소방용 손도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932A
KR20190009932A KR1020170091918A KR20170091918A KR20190009932A KR 20190009932 A KR20190009932 A KR 20190009932A KR 1020170091918 A KR1020170091918 A KR 1020170091918A KR 20170091918 A KR20170091918 A KR 20170091918A KR 20190009932 A KR20190009932 A KR 20190009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g
fire
firefighting
h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신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진 filed Critical 신동진
Priority to KR102017009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932A/ko
Priority to PCT/KR2017/011592 priority patent/WO2019017528A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3/00Axes; Hatch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4Rakes or b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06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percussion tool-heads or -blades, e.g. hammers,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손도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진압시, 소방대원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화재를 진입하는 과정에서, 화염 등에 의해 퇴로가 막히거나, 특정 공간(예를 들어, 옥상) 등에 갇히게 되는 경우,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한 손도끼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상시 로프가 연결된 카라비너(Carabiner)를 연결하고, 손도끼에 구성된 지지구를 이용하여 손도끼가 난간벽(Parapet wall)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후, 로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설치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손도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소방 분야 및 소방 장비 분야, 특히 소방대원이 휴대하는 개인장비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손도끼{Fire hatchet}
본 발명은 소방용 손도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진압시, 소방대원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화재를 진입하는 과정에서, 화염 등에 의해 퇴로가 막히거나, 특정 공간(예를 들어, 옥상) 등에 갇히게 되는 경우,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한 손도끼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상시 로프가 연결된 카라비너(Carabiner)를 연결하고, 손도끼에 구성된 지지구를 이용하여 손도끼가 난간벽(Parapet wall)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후, 로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설치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손도끼에 관한 것이다.
화재 진압시, 소방대원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화염 등에 의해 퇴로가 막히거나, 기타 다양한 이유로 인해 특정 공간 등에 갇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염을 피해 건물 옥상으로 대피하는 경우, 옥상에 고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소방대원이 건물 외부로 탈출하기 위해서는, 헬기나 사다리차와 같은 별도의 소방장비가 필요하지만, 헬기가 특정 위치로 이동하거나 사다리차와 같은 장비를 설치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서는 무용지물일 수 밖에 없었다.
만약, 고립된 공간이 저층일 경우에는 창문 등을 통하여 탈출이 가능하지만, 고층일 경우에는 추락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소방대원이 비상시 탈출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추가로 휴대할 수도 있다.
다만, 소방대원은 평상시에도 움직임이 불편한 방화복과 방화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산소호흡기와 건물 진입 등을 위한 손도끼 등을 휴대한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로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는 경우, 화재진압시 체력적으로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히려 정상적인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신체적 부담 등에 의한 체력저하로 인해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비상상황시 소방대원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058호 '소방용 손도끼'는, 소방대원이 휴대하는 소방용 손도끼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도 비상상황시 탈출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058호 '소방용 손도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화재 진압시, 소방대원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화재를 진입하는 과정에서, 화염 등에 의해 퇴로가 막히거나, 특정 공간(예를 들어, 옥상) 등에 갇히게 되는 경우,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한 손도끼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손도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상시 로프가 연결된 카라비너(Carabiner)를 연결하고, 손도끼에 구성된 지지구를 이용하여 손도끼가 난간벽(Parapet wall)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후, 로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설치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손도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구가 손도끼의 자루 내부로 삽입되거나 그 일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화재진압시에는 손도끼로서의 기능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비상시에만 지지구를 인출하여 난간대의 모서리 부분에서 직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출시 소방대원의 체중에 의한 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손도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손도끼는, 일측에 도끼날이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가 일측에 구성된 자루; 및 상기 자루에 힌지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의 회동각도는, 상기 자루와 나란한 상태에서 직각인 상태까지로 제한되며, 상기 지지구는, 상기 자루와 직각인 상태에서 그 각도가 유지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도끼날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상기 자루의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회동시 상기 도끼날의 반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에는, 회동축의 반대측에 비너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루에는, 상기 지지구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비너홀이 노출되도록 인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루에는, 상기 지지구가 회동되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지지구가 회동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구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루의 다른 일측 종단부에 구성된 배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끼날이 형성된 치크(Cheek)부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헤드와 연결되고, 상기 치크부는, 상기 도끼날이 형성된 반대측에 렌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또는 상기 도끼날이 형성된 치크(Cheek)부 중 적어도 하나에, 비너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끼날의 힐(Heel)에서 박음날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화재 진압시, 소방대원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화재를 진입하는 과정에서, 화염 등에 의해 퇴로가 막히거나, 특정 공간(예를 들어, 옥상) 등에 갇히게 되는 경우,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한 손도끼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소방대원은 비상상황시 탈출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화재진압시 불필요한 체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 로프가 연결된 카라비너(Carabiner)를 연결하고, 손도끼에 구성된 지지구를 이용하여 손도끼가 난간벽(Parapet wall)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설치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구가 손도끼의 자루 내부로 삽입되거나 그 일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화재진압시에는 손도끼로서의 기능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손도끼의 자루 끝부분에 배척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배척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배척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와 자루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옥외소화전의 밸브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렌치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옥외소화전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소방 분야 및 소방 장비 분야, 특히 소방대원이 휴대하는 개인장비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손도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각 구성들의 기능 및 작용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사용방법들을 설명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중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난 지지구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난 지지구를 자루에 락킹(Locking)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손도끼를 이용하여 소화전에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렌치구를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손도끼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손도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손도끼(A)는 헤드(Head, 100), 자루(Handle, 200) 및 지지구(300)를 포함한다.
헤드(100)는 일측에 도끼날(blade, 111)이 형성되며 자루(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끼날(blade, 111)은 치크(Cheek)부(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끼날(111)의 상단부분을 토우(Toe, 112)라고 하며, 도끼날(111)의 하단부분을 힐(Heel, 113)이라고 한다.
그리고, 치크부(110)는 연결부(120)에 의해 헤드(1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루(200)는 소방대원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도끼의 자루(200)의 상부 뒤쪽(도끼날의 반대쪽으로, 도 1에서 우측상부방향)을 숄더(Shoulder, 210)부, 자루(200)의 중간부분 앞쪽(도끼날 방향으로, 도 1에서 좌측하부방향)을 벨리(Belly)부(220), 자루(200)의 하부 뒤쪽을 스로트(Throat)부(230)라고 하며, 각 부분이 라운드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자루(200)의 하부 종단부의 앞쪽 돌출 부분을 그립(Grip)부(240)라고 한다.
본 발명의 자루(200)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난간벽(Parapet wall)에 밀착되야 하므로, 숄더부(210)로부터 벨리부(220) 및 스로트부(230)까지 직선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구(300)는 자루(200)에 힌지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평상시 또는 화재진압시 자루(2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구성되고, 비상상황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구(300)의 회동각도는, 자루(200)와 나란한 상태에서 직각인 상태(완전히 인출된 상태로 도 1에 나타난 상태임)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자루(200)에는, 지지구(300)가 자루(200)와 직각인 상태에서 그 각도가 유지되도록 지지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지지구(30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끼날(111) 방향(도 1에서 좌측하부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지지구(300)는 회동시 도끼날(111)의 반대측(자루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도끼날의 반대측인 자루의 하부측으로, 도 1에서 하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301'은 지지구(300)에 형성된 비너홀이고, '121'은 연결부(120)에 형성된 비너홀이며, '201'은 자루(200)에 형성된 비너홀로서, 각각의 비너홀의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미설명부호 '114'는 렌치홈으로서, 이에 대해서도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루(200)의 종단부에는 배척(4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구(30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축(203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지지구(300)의 회동축(203a) 반대측에는 로프(R)와 연결된 카라비너(Carabiner, CB)가 결합되는 비너홀(30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진압시, 소방대원은 상당히 두꺼운 방화복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지지구(300)를 자루(200)에서 인출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지구(300)가 자루(200)에 인입된 상태에서, 비너홀(30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출홈(20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대원은 인출홈(202)에 노출된 비너홀(301)을 이용하여, 지지구(300)를 쉽게 회동 및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프(R)가 연결된 카라비너(CB)를 비너홀(301)에 결합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루(200)의 측면(도끼날 방향과 수직인 측면)이 난간벽(P)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구(300)가 난간벽(P)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후, 로프(R)를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다.
이때, 소방대원의 체중이 상당하기는 하나, 본 발명의 지지구(300)가 자루(200)와 직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되므로, 소방용 손도끼(A)가 난간벽(P)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각 구성들의 기능 및 작용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구(300)가 회동되는 자루(200)에는, 지지구(300)가 회동되어 삽입되는 삽입홈(20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203)에는 지지구(300)가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축(20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203)의 양측에는 앞서 설명한 인출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삽입홈(203)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동축(203a)에 인접한 부분에, 지지구(3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턱(204)을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삽입홈(203)에 삽입되어 있던 지지구(300)를 회동시키면, 최종적으로 지지턱(204)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면서, 자루(200)와 직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지지턱(204)은 삽입홈(203)의 일측(도 4에서 상부)에서 돌출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자루(200)와 지지구(300)의 각도를 직각상태로 제한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소방용 손도끼(A)의 사용성 및 휴대성, 그리고 제품의 제조비용 등을 고려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삽입홈(203)의 일측면을 자루(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지지구(300)의 각도를 제한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자루(200)와 지지구(300)가 직각인 상태로 난간벽(P)의 모서리부분에 지지되면, 헤드(100)의 무게(G)에 의해 지지구(300)가 난간벽(P)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지지구(300)의 지지력에 의해 헤드(100) 부분이 난간벽 측으로 가압(박스형 화살표)됨과 동시에 상부에서도 소방대원의 체중(박스형 일점쇄선 화살표)에 대항하는 지지력(박스형 화살표)이 발생하게 되므로, 난간벽(P)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사용방법들을 설명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지지구(300)를 도끼날(11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로프(R)가 연결된 카리비너(CB)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루(200)의 측면이 난간벽(P)에 밀착되도록 하여, 도 3 및 도 4와 동일 내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 나타나 바와 같이 도끼날(111)의 힐(113)에는, 박음날(111a)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건물이 목조건물인 경우, 소방대원은 도끼날(111)의 박음날(111a)을 이용하여, 도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재의 난간벽(P) 내부에 박음날(111a)이 박혀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용 손도끼(A)를 난간벽(P)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프(R)가 연결된 카리비너(CB)는, 연결부(120)에 형성된 비너홀(121)에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문이 있는 경우, 창문틀(F)의 모서리 부분에 소방용 손도끼(A)의 양측종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자루(200)에 형성된 비너홀(201)에 로프(R)가 연결된 카리비너(CB)를 연결하여 탈출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방용 손도끼(A)는 일측에 도끼날이 형성된 헤드(100), 헤드(100)가 일측에 구성된 자루(200)와 더불어, 자루(200)의 다른 일측에 삽입되며, 다단 절곡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인출되어 지지되는 지지구(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구(3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지지구(300)와 같이, 자루(200)에서 인출되면 자루(200)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난 지지구(300)는, 도 8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단 절곡방식으로 이동 및 회동될 수 있다(도 8에서 실선화살표).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나타난 지지구(300)는 자루(200)의 다른 일측 종단부(도 8에서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락킹(Locking)될 수 있다.
이에, 소방대원이 화재진압시 도어나 창문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소방용 손도끼(A)의 고유기능을 수행하는데 방해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소방대원은 지지구(300)를 자루(200)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직선이동(도 8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구(300)가 언락킹(Unlocking)되도록 한 후, 지지구(300)를 회동시켜 자루(200)와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된 지지구(300)를 수평방향(도 8에서 좌측하부에서 우측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지지구(300)가 자루(200)의 직각방향으로 이동되어 인출된 상태로 락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나타난 자루(200)와 지지구(300)의 결합관계 및 지지구(300)의 락킹/언락킹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도 1의 중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자루(200)에는 다른 일측 종단부(도 9에서 상부)로 개방되는 슬라이드홈(20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구(300)는, 슬라이드홈(205)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지지바(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310)는 슬라이드홈(205)의 내측(도 9에서 하부측)으로 이동되면 락킹(Locking)될 수 있고, 슬라이드홈(205)의 외측(도 9에서 상부측)으로 이동되면 언락킹(Unlocking)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310)의 락킹 및 언라킹 구조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자루(200)에는 슬라이드홈(205)에 가이드축(20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구(300)에는 가이드축(208)이 슬라이드이동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홈(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311)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방향(도 9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루(200)에는 슬라이드홈(205)의 일측(도 9에서 좌측하부)으로 지지바(3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홈(206)이 연장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홈(205)의 다른 일측(도 9에서 우측상부)으로 지지바(310)가 인출되는 개방홈(2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구(300)가 가이드축(208)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비너홀(301)이 형성된 부분은 개방홀(207)을 통과하여 인출될 수 있으며, 그 반대측은 지지홈(206)에 의해 회전각도가 지각으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방대원은 화재현장에서 비상상황시 본 발명의 소방용 손도끼(A)를 이용하여 비상탈출을 하게 되므로, 방화복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지지구(30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지지구(300)는 도 9에 아타난 바와 같이 지지바(310)와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루(200)의 다른 일측 종단부에는, 지지캡(320)이 결합되는 단턱부(미부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루(200)와 지지구(300)의 결합관계에 의한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난 지지구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지지구(300)는 지지바(310)가 슬라이드홈(2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캡(320)이 자루(200)의 단턱부에 결합된 상태로 락킹될 수 있다(도 10의 좌측상부).
이후,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소방대원은 지지캡(320)을 잡은 상태에서, 지지구(300)를 잡아 당기게 되고(도 10의 우측상부), 이에 의해 지지구(300)가 언락킹되면 소방대원은 지지구(300)를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도 10의 우측하부).
마지막으로, 소방대원은 지지구(300)의 지지캡(320)을 밀어서 자루(200)에 밀착시키게 되면(도 10의 좌측하부), 지지구(300)가 락킹되면서 자루(200)와 직각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소방대원은 지지바(310)에 형성된 비너홀(301)에 로프(R)가 연결된 카라비너(CB)를 결합하여,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간벽(P)에 설치한 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난 지지구를 자루에 락킹(Locking)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구(300)의 지지캡(320)에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편(321)을 돌출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자루(200)의 다른 일측 종단부에는, 고정편(321)이 억지끼움되는 고정홈(209a, 209b)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고정편(321)이 고정홈(209a, 209b)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지지구(300)가 자루(200)에 락킹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지구(300)는 두 군데에서 락킹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구(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락킹되도록, 자루(200)의 다른 일측 종단부 방향으로 제1 고정홈(209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구(300)가 회동되어 인출된 상태에서 락킹되도록, 자루(200)의 측면에 제2 고정홈(209b)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방용 손도끼(A)는 비상상황시 소방대원이 대피하는 과정에서, 난간벽(P)에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소방대원으로 하여금 신속하면서도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도로변 또는 대형 건축물 주변에는 화재 등의 긴급 상황시 옥외용 소화전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부와 연결부가 지상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소방대원은 필요시 옥외용 소화전을 이용하여 필요한 소방용수를 조달할 수 있다.
다만, 개폐부에 구성된 개폐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개폐부에 구성된 렌치구를 조작해야 하며, 기존에는 이를 위하여 별도의 장비(렌치)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지 않고, 본 발명의 소방용 손도끼(A)를 이용하여 옥외용 소화전의 개폐밸브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손도끼를 이용하여 소화전에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렌치구를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소방용 손도끼(A)는 연결부(120)의 폭이 렌치볼트(W1, W3)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치크부(110)에 렌치볼트(W2)의 일부가 끼워지는 렌치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끼날(111)이 형성된 치크부(110)와 자루(200) 사이의 간격을, 앞서 설명한 옥외용 소화전의 렌치볼트,
예를 들어, 도 13의 (a)에 나타난 사각 렌치볼트(W1) 또는 도 13의 (c)에 나타난 육각 렌치볼트(W3)의 폭에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장비(렌치)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소방용 손도끼(A)를 이용하여, 옥외용 소화전의 개폐부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소화전의 렌치구는 대부분 사각형태이나, 앞서 설명한 육각형태와 더불어 오각형태로도 구성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주로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국의 경우에는 주로 오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각형의 렌치볼트(W2) 또한 도끼날(111)이 형성된 치크부(110)와 자루(200)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오각형의 렌치볼트(W2)는 직선부분의 반대부분에 모서리가 형성되므로, 도 1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끼날(111)이 형성된 치크부(110)에 렌치홈(11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방용 손도끼(A)를 휴대한 소방대원은, 필요시 옥외용 소화전을 쉽게 개방하여 필요한 소방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손도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소방용 손도끼
100 : 헤드(Head)
110 : 치크(Cheek)부
111 : 도끼날(Blade) 111a : 박음날
112 : 토우(Toe) 113 : 힐(Heel)
114 : 렌치홈
120 : 연결부 121 : 비너홀
200 : 자루(Handle)
201 : 비너홀 202 : 인출홈
203 : 삽입홈 203a : 회동축
204 : 지지턱 205 : 슬라이드홈
206 : 지지홈 207 : 개방홈
208 : 가이드축 209a : 제1 고정홈
209b : 제2 고정홈
300 : 지지구 301 : 비너홀
310 : 지지바 311 : 가이드홈
320 : 지지캡
400 : 배척

Claims (10)

  1. 일측에 도끼날이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가 일측에 구성된 자루; 및
    상기 자루에 힌지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구;를 포함하는 소방용 손도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회동각도는,
    상기 자루와 나란한 상태에서 직각인 상태까지로 제한되며,
    상기 지지구는,
    상기 자루와 직각인 상태에서 그 각도가 유지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도끼날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상기 자루의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회동시 상기 도끼날의 반대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에는,
    회동축의 반대측에 비너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에는,
    상기 지지구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비너홀이 노출되도록 인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에는,
    상기 지지구가 회동되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지지구가 회동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구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의 다른 일측 종단부에 구성된 배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끼날이 형성된 치크(Cheek)부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헤드와 연결되고,
    상기 치크부는,
    상기 도끼날이 형성된 반대측에 렌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또는 상기 도끼날이 형성된 치크(Cheek)부 중 적어도 하나에, 비너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끼날의 힐(Heel)에서 박음날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손도끼.
KR1020170091918A 2017-07-20 2017-07-20 소방용 손도끼 KR20190009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18A KR20190009932A (ko) 2017-07-20 2017-07-20 소방용 손도끼
PCT/KR2017/011592 WO2019017528A1 (ko) 2017-07-20 2017-10-19 소방용 손도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18A KR20190009932A (ko) 2017-07-20 2017-07-20 소방용 손도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32A true KR20190009932A (ko) 2019-01-30

Family

ID=6527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18A KR20190009932A (ko) 2017-07-20 2017-07-20 소방용 손도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026A (ko) 2019-02-26 2020-09-03 양모 소방용 만능도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58U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신성이앤드지 소방용 손도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58U (ko)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신성이앤드지 소방용 손도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026A (ko) 2019-02-26 2020-09-03 양모 소방용 만능도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61188A1 (en) Combination firefighter tool
US8276714B2 (en) Emergency evacuation rappel line anchor mount apparatus
KR10064300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JP6568794B2 (ja) 消火栓装置
KR200484218Y1 (ko) 소방용 손도끼
KR20190009932A (ko) 소방용 손도끼
CN110792390A (zh) 一种消防车后爬梯
KR101993042B1 (ko) 비상탈출용 손도끼
KR101993054B1 (ko) 소방용 손도끼
US20050252989A1 (en) Water driven fire hose spinning nozzle
KR20090042692A (ko)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20110127349A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US20210023404A1 (en) CHAR Fire Fighting, Climbing and Demolition Hook
KR10070451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017078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JP2007050080A (ja) 避難用ハッチ
CN202073476U (zh) 防火防盗逃生网
CN102199984B (zh) 防火防盗逃生网
CN212669139U (zh) 一种消防工具固定装置
US3825096A (en) Fire ladder extension apparatus
CN211287493U (zh) 一种消防车后爬梯
CN207605264U (zh) 消防斧
KR101197519B1 (ko) 완강기
US20140202008A1 (en) Modified Ax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