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594A - 지능형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594A
KR20190009594A KR1020170091584A KR20170091584A KR20190009594A KR 20190009594 A KR20190009594 A KR 20190009594A KR 1020170091584 A KR1020170091584 A KR 1020170091584A KR 20170091584 A KR20170091584 A KR 20170091584A KR 20190009594 A KR20190009594 A KR 2019000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transformer
distribution box
sub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026B1 (ko
Inventor
한규호
김준호
최경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분전함에 설치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연계된 제2 분전함에 설치된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와 통신하여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부; 상기 제1분전함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와 상기 제2분전함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비교하여 고장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활선인 경우 상기 제1분전함으로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의 자동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제2분전함으로 상기 제1분전함과 연계된 연계 스위치의 투입 명령을 출력하여 절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단말장치{INTELLIGENT FEEDER REMOTE TERMINAL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능형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방식 저압전력계통에 사용될 수 있는 지능형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지중 저압전력공급 방식은 수지상 공급 방식으로 변압기 고장 시 동일 계통의 부하는 모두 정전을 경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 수지상 공급 방식의 경우에는 특고압 차단기 또는 개폐기 1대에 여러대의 변압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변압기 중 어느 한 대에 고장이 발생 할 경우 고장이 발생한 변압기 이 후 구간의 모든 변압기 및 저압 수용가는 고장이 복구되기 전까지 정전을 경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수지상 공급 방식의 지중 저압전력공급 방식에서 저압 오픈-루프 배전 공급 방식으로의 계통구성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저압 오픈-루프 배전방식은 변압기 등의 고장 시 배전운전원이 고장을 직접 판단하고 계통 확인 후 원격조작을 통해 고장을 복구하는 구조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압 오픈-루프 공급 방식은 배전계통 운전원이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하여 고장을 인지하고 계통 확인 후 원격 조작을 통하여 정전을 복구 해야 한다. 이때, 배전계통 운전원은 특고압 배전계통 중심으로 운전하므로 고장 미인지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한 정전 피해의 확산은 계통 운영을 어렵게 하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전함 단말장치간 정보 교환을 통하여 연계된 분전함 회로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고압측 고장, 변압기측 고장, 저압측 고장을 구별하여 자동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분전함에 설치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연계된 제2 분전함에 설치된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와 통신하여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부; 상기 제1분전함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와 상기 제2분전함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비교하여 고장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활선인 경우 상기 제1분전함으로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의 자동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제2분전함으로 상기 제1분전함과 연계된 연계 스위치의 투입 명령을 출력하여 절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활선인 경우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제1변압기 고장 또는 상기 제1변압기와 다회로 차단기 사이의 특고압 구간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 고압측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전함 회로 정보는 분전함 회로별 활선 정보, 사선 정보, 개폐 정보, 트립 정보 및 변압기 이용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상기 개방 명령 및 상기 투입 명령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80% 이하일 경우 상기 개방 명령 및 상기 투입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상기 절체 동작의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100%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절체 동작의 중단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스위치는 각각의 분전함과 변압기를 연계시키는 스위치이고, 상기 연계 스위치는 상기 제1분전함과 상기 제2분전함을 연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지능형 단말장치는 분전함 단말장치간 정보 교환을 통하여 연계된 분전함 회로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압측 고장, 변압기측 고장, 저압측 고장을 구별하여 자동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의 이용률을 고려하여 자동 절체 동작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능형 단말장치 및 제2지능형 단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능형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는 실시예에 따른 제2지능형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계통은 다회로 차단기(50), 제1변압기(41), 제2변압기(42), 제1분전함(31) 및 제2분전함(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회로 차단기(50)는 변전소(미도시)와 변압기(41, 42)를 연결하는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다회로 차단기(50)는 제1 내지 제4스위치(51~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회로 차단기(50)의 제1스위치(51) 및 제4스위치(54)는 변전소측으로 연결되고, 제2스위치(52) 및 제3스위치(53)는 변압기측(41, 42)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치는 독립적으로 절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변압기(41)의 고압측은 다회로 차단기의 제2스위치(52)와 연결되고, 저압측은 제1분전함(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변압기(41)는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22.9kv의 고압 전력을 380V로 강압하여 제1분전함(31)에 공급할 수 있다.
제2변압기(42)의 고압측은 다회로 차단기의 제3스위치(53)와 연결되고, 저압측은 제2분전함(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변압기(42)는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22.9kv의 고압 전력을 380V로 강압하여 제2분전함(32)에 공급할 수 있다.
제1분전함(31)은 제1변압기(41)로부터 강압된 전력을 받아 수용가(Load#1~#5)로 공급할 수 있다. 제1분전함(31)은 제1변압기(41)에 연결되는 메인 스위치(31-1), 각각 수용가에 연결되는 제2스위치(31-2) 및 제3스위치(31-3), 그리고 제2분전함(32)에 연결되는 제4스위치(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스위치(31-4)는 연계 스위치로서, 제2분전함(32)과 연계되는 선로 구간을 통하여 수용가(Load#1~#5)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2분전함(32)은 제2변압기(42)로부터 강압된 전력을 받아 수용가(Load#1~#5)로 공급할 수 있다. 제2분전함(32)은 제2변압기(41)에 연결되는 메인 스위치(32-1), 각각 수용가에 연결되는 제2스위치(32-2) 및 제3스위치(32-3), 그리고 제1분전함(31)에 연결되는 제4스위치(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스위치(32-4)는 연계 스위치로서, 제1분전함(31)과 연계되는 선로 구간을 통하여 수용가(Load#1~#5)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지능형 단말장치(10)는 제1분전함(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지능형 단말장치(20)는 제2분전함(32)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지능형 단말장치(10)와 제2지능형 단말장치(20)는 할당된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지능형 단말장치(10)와 제2지능형 단말장치(20)는 예를 들면, 예비(RS-232) 포트를 활용하여 1:1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S-232포트를 활용할 경우의 제1지능형 단말장치(10)와 제2지능형 단말장치(20)의 통신거리는 15m일 수 있으며, RS-232 to RS-485 젠더를 사용할 경우 1.2km까지 통신거리가 확장될 수 있다.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주장치(60)는 제1지능형 단말장치(10) 및 제2지능형 단말장치(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고장 정보, 절체 정보, 복구 정보, 정전 발생 정보 등을 교환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능형 단말장치 및 제2지능형 단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능형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 및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능형 단말장치(10)는 제1통신부(11), 제1판단부(12), 제1데이터베이스(13) 및 제1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2지능형 단말장치(20)는 제2통신부(21), 제2판단부(22), 제2데이터베이스(23) 및 제2제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통신부(11)는 연계된 제2 분전함(32)에 설치된 제2지능형 단말장치(20)와 통신하여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1통신부(11)와 제2통신부(21)는 예를 들면, RS-232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통신부(11)는 제1분전함 회로 정보를 제2지능형 단말장치(20)에 송신하고, 제2지능형 단말장치(20)로부터 제2분전함 회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분전함 회로 정보는 분전함 회로별 활선 정보, 사선 정보, 개폐 정보, 트립 정보 및 변압기 이용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11)와 제2통신부(21)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기 설정된 주기 이외에도 분전함 또는 변압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DAS주장치로부터 정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1판단부(12)는 제1분전함(31)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와 제2분전함(32)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비교하여 고장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제1판단부(12)는 제1분전함(31)과 연결되어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2분전함(32) 회로 정보를 이용하여 제2분전함(32)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는 스위치별로 구분되어 있다.
제1판단부(12)는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가 활선인 경우 제1분전함(31)에 연결된 제1변압기의(41) 고장 또는 제1변압기(41)와 다회로 차단기(50) 사이의 특고압 구간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판단부(12)는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인 경우 고압측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판단부(12)는 제1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인 경우, 제2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2-1)가 활선인지 또는 사선인지에 따라서 고장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제1판단부(12)는 제1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이면서 동시에 제2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인 경우 고압측 고장으로 인하여 두 개의 분전함(31, 32)이 모두 사선을 경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판단부(12)는 제1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인데 제2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2-1)는 활선인 경우에는 고압측의 고장이 아니라 제1분전함(31)에 연결되어 있는 제1변압기(41)의 내부 고장 또는 제1변압기(41)와 다회로 차단기(50)의 연결 구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는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가 활선인 경우, 제1분전함(31)으로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의 자동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제2분전함(32)으로 제1분전함(31)과 연계된 연계 스위치(32-4)의 투입 명령을 출력하여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4)는 제1변압기(41)의 내부 고장 또는 제1변압기(41)와 다회로 차단기(50)의 연결 구간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는 자동 개방시키고 제2분전함의 제4스위치(32-4)를 투입함으로써 제1분전함(31)에 발생된 정전 원인을 제거하고 정전을 복구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는 제1분전함(31)에 연결된 제1변압기(41)의 이용률과 제2분전함(32)에 연결된 제2변압기(42)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제어부(14)는 제1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어 있는 제1변압기(41)의 용량과 제2분전함 회로 정보에 포함된 제2변압기(42)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부(14)는 제1변압기(41)의 이용률과 제2 변압기(42)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80% 이하일 경우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1제어부(14)는 제1 변압기(41)의 이용률과 제2변압기(42)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제어부(14)는 제1변압기(41)와 제2변압기(42)의 예비율 및 기기보호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의 기준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는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제1분전함(31)에 연결된 제1변압기(41)의 이용률과 제2분전함(32)에 연결된 제2변압기(42)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절체 동작의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제어부(14)는 제2분전함의 제4스위치(32-4)가 투입되어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중에 있어서, 제1 변압기(41)의 이용률과 제2 변압기(42)의 이용률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절체 동작의 중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4)는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제1 변압기(41)의 이용률과 제2 변압기(42)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100%를 초과할 경우 절체 동작의 중단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합산된 변압기 이용률이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전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통신부(11)는 절체 동작의 수행, 중단에 대한 정보를 DAS주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는 실시예에 따른 제2지능형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통신부(21)는 연계된 제1 분전함(31)에 설치된 제1지능형 단말장치(10)와 통신하여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2통신부(21)와 제1통신부(11)는 예를 들면, RS232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통신부(21)는 제2분전함 회로 정보를 제1지능형 단말장치(10)에 송신하고, 제1지능형 단말장치(10)로부터 제1분전함 회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분전함 회로 정보는 분전함 회로별 활선 정보, 사선 정보, 개폐 정보, 트립 정보 및 변압기 이용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부(21)와 제1통신부(11)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기 설정된 주기 이외에도 분전함 또는 변압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DAS주장치로부터 정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2판단부(22)는 제2분전함(32)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와 제1분전함(31)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비교하여 고장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제2판단부(22)는 제2분전함(32)과 연결되어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1분전함 회로 정보를 이용하여 제1분전함(31)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는 스위치별로 구분되어 있다.
제2판단부(22)는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가 활선인 경우 제2분전함(32)에 연결된 제2변압기의(42) 고장 또는 제2변압기(42)와 다회로 차단기(50) 사이의 특고압 구간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판단부(22)는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인 경우 고압측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2판단부(22)는 제2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인 경우, 제1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1-1)가 활선인지 또는 사선인지에 따라서 고장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제2판단부(22)는 제2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이면서 동시에 제1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1-1)가 사선인 경우 고압측 고장으로 인하여 두 개의 분전함(31, 32)이 모두 사선을 경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판단부(22)는 제2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인데 제1분전함의 메인 스위치(31-1)는 활선인 경우에는 고압측의 고장이 아니라 제2분전함(32)에 연결되어 있는 제2변압기(42)의 내부 고장 또는 제2변압기(42)와 다회로 차단기(50)의 연결 구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4)는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31-1)가 활선인 경우, 제2분전함(32)으로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의 자동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제1분전함(31)으로 제2분전함(32)과 연계된 연계 스위치(31-4)의 투입 명령을 출력하여 절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4)는 제2변압기(42)의 내부 고장 또는 제2변압기(42)와 다회로 차단기(50)의 연결 구간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32-1)는 자동 개방시키고 제1분전함의 제4스위치(31-4)를 투입함으로써 제2분전함(32)에 발생된 정전 원인을 제거하고 정전을 복구할 수 있다.
제2제어부(24)는 제2분전함(32)에 연결된 제2변압기(42)의 이용률과 제1분전함(31)에 연결된 제1변압기(41)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제어부(24)는 제2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되어 있는 제2변압기(42)의 용량과 제1분전함 회로 정보에 포함된 제1변압기(41)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 경우 에는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제어부(24)는 제2변압기(42)의 이용률과 제1 변압기(41)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80% 이하일 경우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제어부(24)는 제2 변압기(42)의 이용률과 제1변압기(41)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개방 명령 및 투입 명령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제어부(24)는 제2변압기(42)와 제1변압기(41)의 예비율 및 기기보호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의 기준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4)는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제2분전함(32)에 연결된 제2변압기(42)의 이용률과 제1분전함(31)에 연결된 제1변압기(41)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절체 동작의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제어부(24)는 제1분전함의 제4스위치(31-4)가 투입되어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중에 있어서, 제2 변압기(42)의 이용률과 제1 변압기(41)의 이용률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절체 동작의 중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24)는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제2 변압기(42)의 이용률과 제1 변압기(41)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100%를 초과할 경우 절체 동작의 중단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합산된 변압기 이용률이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전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통신부(21)는 절체 동작의 수행, 중단에 대한 정보를 DAS주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지능형 단말장치
20: 제2지능형 단말장치
31: 제1분전함
32: 제2분전함
41: 제1변압기
42: 제2변압기
50: 다회로 차단기
60: DAS 주장치

Claims (9)

  1. 제1분전함에 설치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연계된 제2 분전함에 설치된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와 통신하여 분전함 회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부;
    상기 제1분전함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와 상기 제2분전함 스위치의 활선 또는 사선 정보를 비교하여 고장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활선인 경우 상기 제1분전함으로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의 자동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제2분전함으로 상기 제1분전함과 연계된 연계 스위치의 투입 명령을 출력하여 절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활선인 경우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제1변압기 고장 또는 상기 제1변압기와 다회로 차단기 사이의 특고압 구간 고장으로 판단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분전함 메인 스위치가 사선인 경우 고압측 고장으로 판단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 회로 정보는 분전함 회로별 활선 정보, 사선 정보, 개폐 정보, 트립 정보 및 변압기 이용률 정보를 포함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상기 개방 명령 및 상기 투입 명령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80% 이하일 경우 상기 개방 명령 및 상기 투입 명령을 출력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상기 절체 동작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체 동작의 수행 중 상기 제1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과 상기 제2분전함에 연결된 변압기의 이용률을 합산하여 100%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절체 동작의 중단 명령을 출력하는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는 각각의 분전함과 변압기를 연계시키는 스위치이고, 상기 연계 스위치는 상기 제1분전함과 상기 제2분전함을 연계시키는 스위치인 지능형 분전함용 단말장치.
KR1020170091584A 2017-07-19 2017-07-19 지능형 단말장치 KR10198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84A KR101982026B1 (ko) 2017-07-19 2017-07-19 지능형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84A KR101982026B1 (ko) 2017-07-19 2017-07-19 지능형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94A true KR20190009594A (ko) 2019-01-29
KR101982026B1 KR101982026B1 (ko) 2019-05-24

Family

ID=6532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584A KR101982026B1 (ko) 2017-07-19 2017-07-19 지능형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696B1 (ko) * 2006-11-01 2008-1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변압기 부하감시 무정전 부하배분 절체장치
JP2015198518A (ja) * 2014-04-01 2015-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分電盤
KR20150140907A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 현태 통합형 디스플레이 및 지능형 제어기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차단기 감시 제어시스템
KR101621653B1 (ko) * 2015-03-10 2016-05-31 박윤수 양방향통신 기반 자동복구 전문가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696B1 (ko) * 2006-11-01 2008-1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변압기 부하감시 무정전 부하배분 절체장치
JP2015198518A (ja) * 2014-04-01 2015-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分電盤
KR20150140907A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 현태 통합형 디스플레이 및 지능형 제어기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차단기 감시 제어시스템
KR101621653B1 (ko) * 2015-03-10 2016-05-31 박윤수 양방향통신 기반 자동복구 전문가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026B1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81826A1 (en) Solid state power contactors based on no break power transfer method
US9342414B1 (en) Reserve power bus ring for data center
US6988023B2 (e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20200212679A1 (en) Distribution networks with flexible direct current interconnection system
KR20200030819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WO2020198561A1 (en) Transformer isolation response using direct current link
US6529857B1 (en) Distribution automation remote terminal unit
KR101982026B1 (ko) 지능형 단말장치
CN105391030A (zh) 基于网络拓扑结构负荷逐渐加载聚合的计划孤岛划分方法
CN113156268A (zh) 基于电压时间型或电流型的故障定位方法、装置及设备
KR102299860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CN108649561B (zh) 供电系统
KR102336316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CN108469570B (zh) 一种基于逆变器的电网故障处理方法及系统
EP3949055A1 (en) Feeder line fault response using direct current interconnection system
CN219498960U (zh) 用于多段母线环形供电的备自投系统
KR20210051383A (ko)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US20210075208A1 (en) Double incoming breaker system for power system of power plant
US11811219B2 (en) Restoration of fault insulated feeder
KR20200030825A (ko) 전원 공급 시스템
KR20150049501A (ko) 연계용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및 연계용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의 자동 투입 방법
CN117791590A (zh) 一种配电网线路不停电自愈方法、装置及结构
CN216086256U (zh) 一种电源自动切换系统
KR102209695B1 (ko) 변압기 통합 운전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N116031873A (zh) 用于多段母线环形供电的备自投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