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383A -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383A
KR20210051383A KR1020190136586A KR20190136586A KR20210051383A KR 20210051383 A KR20210051383 A KR 20210051383A KR 1020190136586 A KR1020190136586 A KR 1020190136586A KR 20190136586 A KR20190136586 A KR 20190136586A KR 20210051383 A KR20210051383 A KR 2021005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urrent
fluctuation rate
current valu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976B1 (ko
Inventor
신현구
박상현
임한균
한규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9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고장구간 차단시, 건전구간의 차단기 투입 직전 전류값을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공 CLS용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Closed loop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loser for Closed Loop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공선로 고장구간 자동분리 시스템(가공 CLS)은 선로에 가공 CLS용 단말장치(CCD, Closed loop Control Device)를 설치하여 단말장치간 피어-투-피어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장구간을 검출하여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폐루프 시스템(Closed Loop System) 배전망은 폐 루프방식으로 배전계통을 형성함으로써 배전선로의 일부가 고장에 의해 차단되더라도 당해 배전선로에 연결된 부하에는 타 방향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부하 측에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의 차단시에 당해 배전선로에 가장 인접한 차단기에서만 차단을 발생시킴으로써 차단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한편, 당해 배전망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선로가 있는 경우에는 각 분기선로의 고장 시에 배전선로로부터 고장이 발생한 분기선로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타 분기선로 또는 배전선로에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배전방식이다. 다회로 차단기는 이와 같은 폐 루프 시스템 배전망에 설치되어서 일정 부하 또는 분기선로를 개폐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단기이며, 부하 측의 보호 및 선로유지 보수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존 선로 D/L의 용량 및 선로 허용 용량은 개루프(Open Loop)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폐루프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 변전소 인출 구간에서의 사고시, 한 개의 뱅크(Bank)에서 전원을 공급함에 의하여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어, 기기의 손상이 우려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선로를 활용하여 가공CLS 형태로 운영하고자 한다면 고장 지점이 변전소 인출단에서 가까워질수록 반대측 뱅크에서 공급해야 하는 부하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과부하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설비의 소손 등이 우려될 수 있다.
또한 순간고장(가공 CLS 차단기 재폐로 성공)의 경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일시고장(고장이 제거되지 않아 CLS 차단기 완전 차단)의 경우 고장이 제거될 때까지 한쪽 뱅크에서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비에 과부하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과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배전 계통 운영자가 판단한 지점에 대하여 차단기 혹은 개폐기를 수동으로 차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과부하지속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루프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고장구간 차단시, 건전구간의 차단기 투입 직전 전류값을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공 CLS용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에 차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disable인 경우 과부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하는 단계; 고장구간 차단시, 건전구간의 차단기 투입 직전 전류값을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하는 단계; 및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에 차단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disable인 경우 과부하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은 가공 CLD형태에서 과부하 지속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전자동화 시스템이라는 기저설비인 단말장치에 알고리즘을 탑재할 수 있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폐 루프 시스템 배전망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CLS용 단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가공 CLS용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폐 루프 시스템 배전망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다회로 차단기는 4회로 차단기능을 갖는 4회로 차단기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3회로 차단기는 물론, 5회로 이상의 다회로 차단기능을 갖는 차단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배전망이 4개의 4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4회로 차단기를 갖는 배전망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1의 폐 루프 시스템 배전망은 하나의 변전소(5)에서 인출된 두 개의 배전선로(15)를 이용하여 폐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폐 루프 시스템 배전망은 배전선로(15)로 이루어지는 배전선로 계통과 배전선로 계통의 폐 루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선로로 이루어지는 통신선로 계통을 포함할 수 있다.
배전선로 계통은 변전소(5)에 연결된 폐 루프 시스템 배전선로(15)와, 배전선로(15)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4회로 차단기(20a, 20b, 20c, 20d)와, 폐 루프 시스템 배전선로(15)의 변전소(5) 측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메인차단기(10a, 10b)를 포함할 수 있다.
폐 루프 시스템 배전선로(15)는 변전소(5)의 출구 측으로부터 두 개의 선로로 분기하여 하나의 폐 루프를 형성하며, 분기 지점에 인접하여 각각 제 1 메인차단기(10a)와 제 2 메인차단기(10b)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4회로 차단기(20a, 20b, 20c, 20d)는 각각 그 내부에 4개의 차단부(25a, 25b, 25c, 25d)를 가지며, 이 중 차단부(25a, 25d)는 각각 이웃하는 4회로 차단기 또는 제 1, 2 메인 차단기(10a, 10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또 차단부(25b, 25c)는 각각 부하 또는 다른 폐 루프 시스템 배전망과 연결되어서 각각 부하 또는 다른 폐 루프 시스템 배전망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또는 공급할 수 있다.
차단부(25a, 25d)의 입구 측 및 출구 측 선로에는 선로의 전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성 릴레이(미 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고, 각 방향성 릴레이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4회로 차단기로부터 전류가 흘러나가는 방향은 정방향으로, 4회로 차단기로 전류가 흘러들어오는 방향은 역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신선로 계통은 복수의 4회로 차단기(20a, 20b, 20c, 20d)에 각각 연결되어 4회로 차단기 내의 각 차단부(25a, 25b, 25c, 25d)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하는 IED(30a, 30b, 30c, 30d)를 포함하며, IED(30a, 30b, 30c, 30d)는 복수의 4회로 차단기(20a, 20b, 20c, 20d)와 각각 일대 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서, 전력선 통신 등 공지의 통신선로를 통해서 각 단말장치(30a, 30b, 30c, 30d) 간에 서로 일대 일로 상호 통신하는 동시에 상위의 제어장치와도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장치(30a, 30b, 30c, 30d) 각각은 당해 제어부에 연결된 대응하는 4회로 차단기(20a, 20b, 20c, 20d)의 방향성 릴레이(미 도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전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인접하는 다른 제어부로부터 얻어진 다른 4회로 차단기의 정보도 제공받아서 내부의 각 차단부(25a, 25b, 25c, 25d)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전망에서, 예를 들어 도 1의 고장 점(A)에서 지락 사고가 발생한 경우, 배전선로(15)의 지락 지점을 통해 전력이 급속히 누설되어서 전류의 쏠림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4회로 차단기(20a)와 4회로 차단기(20b)의 전류방향이 고장점을 향해서 흐르는 방향이 되어서, 4회로 차단기(20a)의 차단부(25d)의 방향성 릴레이(미 도시)와 4회로 차단기(20b)의 차단부(25a)의 방향성 릴레이(미 도시)가 각각 전류의 증가를 감지하는 동시에, 정방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4회로 차단기(20a)에 연결된 단말장치(30a)는 차단부(25d)의 방향성 릴레이를 통해 전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 및 전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4회로 차단기(20b)에 연결된 단말장치(30b)는 차단부(25a)의 방향성 릴레이를 통해서 전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 및 전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 등의 통신에 의해 단말장치(30a)는 4회로 차단기(20b)의 차단부(25a)의 방향성 릴레이에서 감지한 전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 및 전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장치(30b)는 4회로 차단기(20a)의 차단부(25d)의 방향성 릴레이에서 감지한 전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정보 및 전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면, 단말장치(30a)와 단말장치(30b)는 전류의 흐름이 4회로 차단기(20a)와 4회로 차단기(20b) 사이에서 모두 정방향으로 흐르므로 이 2개의 4회로 차단기 사이의 배전선로(15)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30a)는 4회로 차단기(20a)의 차단부(25d)를 차단상태로 하고, 단말장치(30b)는 4회로 차단기(20b)의 차단부(251a)를 차단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4회로 차단기(20a)와 4회로 차단기(20b) 사이의 배전선로(15)가 차단될 수 있다.
그 후, 변전소(5)에서부터 4회로 차단기(20a)까지는 제 1 메인차단기(10a) 측의 배전선로(15)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변전소(5)로부터 4회로 차단기(20b)까지는 제 2 메인차단기(10b) 측의 배전선로(15)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4회로 차단기(20a)에 연결된 부하와 4회로 차단기(20b)에 연결된 부하는 모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서 정전이 발생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다른 모든 4회로 차단기에 연결된 부하에도 모두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CLS용 단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CLS용 단말장치(100)는 계측부(110), 연산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부(110)는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계측부(110)는 주기적으로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계측부(110)가 계측하는 배전선로의 데이터는 전류, 전압, 고장전류, 역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장표시기 및 단선/결상과 위상불일치 등 계통과 설비에 대한 상태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측부(110)는 로그스키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부(110)는 각 상에 체결된 로그스크 코일을 통해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고장구간 차단시, 건전구간의 차단기 투입 직전 전류값을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고장구간이 발생하여 차단기가 동작한 경우, 해당 가공 CLS용 단말장치(100)가 건전구간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연산부(120)는 해당 가공 CLS용 단말장치(120)가 건전구간에 배치되어 있다면, 차단기 투입 직전 가장 최근의 전류값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을 지속적으로 차단기 투입 직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류변동률을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산부(120)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각 상별 전류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4
는 A상의 전류변동률[%]이고,
Figure pat00005
는 B상의 전류변동률 [%]이고,
Figure pat00006
는 C상의 전류변동률 [%]이고,
Figure pat00007
는 차단기 투입 직전 A상의 전류값[I]이고,
Figure pat00008
는 차단기 투입 이후 A상의 전류값[I]이고,
Figure pat00009
는 차단기 투입 직전 B상의 전류값[I]이고,
Figure pat00010
는 차단기 투입 이후 B상의 전류값[I]이고,
Figure pat00011
는 차단기 투입 직전 C상의 전류값[I]이고,
Figure pat00012
는 차딘기 투입 이후 C상의 전류값[I]이다.
제어부(130)는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 이내이고,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 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내의 값을 가지면서, 동시에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 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과부하 방지를 위해 건전구간(정상 전력 공급구간)의 차단기가 차단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전류값(부하값)이 너무 낮은 차단기가 차단동작을 수행해도 변전소 인출단에서 경험하는 과부하값의 변동의 차가 적어지기 때문에 차단동작의 의미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단기 동작 수행시 변전소 인출단에서 경험하는 과부하값의 변동이 유의미한 범위내에서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의 하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너무 큰 값의 전류값은 후비측(변전소 인출구간)의 차단기에서 계측되기 때문에 후비측 차단기가 차단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정전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최대한 전위측의 차단기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의 상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가 후비측(변전소 인출구간)에서 차단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정전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최대한 전위측의 차단기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준 변동률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기준 변동률 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에 차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기모드 상태에 진입한 이후, 지속적으로 전류변동률을 연산하여 기준 변동률 값 이상을 유지하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전류변동률이 지속적으로 기준 변동률 값 이상으로 제2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는 경우 차단기에 차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disable인 경우 과부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disable인 경우에는 배전 운영자에게 과부하 알람을 출력하여, 배전 운영자가 수동으로 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가공 CLS용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가공CLS 차단기가 전체 부하 구간에 균등하게 설치되어 있고, 정상적인 폐루프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차단기 투입 이후 CB#2가 전원측이 되어 단말장치#1과 단말장치 #2사이 구간까지 전원공급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 전류변동률은 아래 표1과 같이 계측될 수 있다. 표1에서 고장 전 부하량은 차단기 투입 직전에 계측된 전류값을 의미하고, 고장 후 부하량은 차단기 투입 이후 일정 시점에서 계측된 전류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류 변동률은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간의 변동률을 의미할 수 있다.
[표1]
Figure pat00013
표1에서 변전소 인출단의 한 개의 배전선로 용량을 10MVA라고 하였을 때, 평상시 흐를 수 있는 부하량은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4
수학식 2에서 비상시 용량 14MVA는 고려되지 않았다.
차단기 투입 이후 CB#2가 전원측이 되어 단말장치#1과 단말장치#2사이 구간까지 전원공급을 하게 되는데, 전류변동률의 변화율을 보았을 때 고장 전 부하평형점에 가까운 차단기의 전류변동률이 큰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서, 전류변동률이 큰 차단기를 차단시키면 효과적으로 과부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의 하한값이 100[A]로 설정되어 있고, 상한값이 200[A]로 설정되어 있으며, 기준 변동률 값이 400[%]로 설정되어 있으면, 차단 대상이 되는 차단기는 단말장치#3에 연계된 차단기일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단말장치#3에 연계된 차단기를 차단하게 되고, CB#2의 부하량은 기존 432{A] → 252[A]로 감소되어 과부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한다(S501).
다음으로, 고장구간 차단시, 건전구간의 차단기 투입 직전 전류값을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한다(S502).
다음으로,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 이내이고,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한다(S503~504).
다음으로,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disable인 경우 과부하 알람을 출력한다(S505~506).
또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enable인 경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에 차단 명령을 전송한다(S507~508).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공 CLS용 단말장치
110: 계측부
120: 연산부
130: 제어부

Claims (6)

  1. 페루프 배전망에서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고장구간 차단시, 건전구간의 차단기 투입 직전 전류값을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공 CLS용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에 차단 명령을 전송하는 가공 CLS용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disable인 경우 과부하 알람을 출력하는 가공 CLS용 단말장치.
  4. 페루프 배전망에서 배전선로의 상전압 및 상전류를 계측하는 단계;
    고장구간 차단시, 건전구간의 차단기 투입 직전 전류값을 차단기 투입 이후의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 상별 전류변동률을 연산하는 단계; 및
    차단기 투입 이후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1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전류변동률이 기준 변동률값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이 제2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에 차단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자동-수동 차단 설정 값이 disable인 경우 과부하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KR1020190136586A 2019-10-30 2019-10-30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KR102352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86A KR102352976B1 (ko) 2019-10-30 2019-10-30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86A KR102352976B1 (ko) 2019-10-30 2019-10-30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83A true KR20210051383A (ko) 2021-05-10
KR102352976B1 KR102352976B1 (ko) 2022-01-19

Family

ID=7591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86A KR102352976B1 (ko) 2019-10-30 2019-10-30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022000108U1 (de) 2021-04-20 2023-08-0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iemodul und Batteriepack enthaltend dem Batteriemodu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29B1 (ko) * 2006-09-21 2007-04-20 한석주 자동 복귀 장치를 갖는 선박용 파워 서플라이
KR20130114496A (ko) * 2012-04-09 2013-10-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지락 과전류 계전기 및 그것의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29B1 (ko) * 2006-09-21 2007-04-20 한석주 자동 복귀 장치를 갖는 선박용 파워 서플라이
KR20130114496A (ko) * 2012-04-09 2013-10-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지락 과전류 계전기 및 그것의 작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022000108U1 (de) 2021-04-20 2023-08-0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iemodul und Batteriepack enthaltend dem Batteriemodu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976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166B2 (en) Advanced feeder architecture with automated power restoration
US5737166A (en) Protective equipment in a bipolar HVDC station
US9342414B1 (en) Reserve power bus ring for data center
Zhang et al. Remedial action schemes and defense systems
US10819112B1 (en) Feeder line fault response using direct current interconnection system
CA2537063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upervising the operation of current transformers
US20070086133A1 (en) Network system for safe connection of generation into a network power system
US20190199090A1 (en) Protection apparatus
KR100710658B1 (ko) 증강된 보호 기능을 가진 전력 분배 시스템의 자동화된 재배치 방법 및 장치
KR20210051383A (ko)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US20150288222A1 (en) Power distribution unit inrush current monitor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rom inrush current
KR101049862B1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KR100951445B1 (ko) 전원 자동절체 시스템 및 절체 제어방법
US5959819A (en) Reliable fault tolerant power supply for a protective relay
KR101030193B1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및 그 분배전반의 중성선 대체방법
KR101208468B1 (ko) 분배전반의 재해방재장치
KR101549583B1 (ko) 부하 전원의 이중화 구성을 위한 링 리엑터 장치
CN108469570B (zh) 一种基于逆变器的电网故障处理方法及系统
KR102362048B1 (ko) 폐루프 배전망 제어 방법
EP3949055A1 (en) Feeder line fault response using direct current interconnection system
KR20210100306A (ko) 아크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984103B1 (ko) 디지털 계전기
CN213661208U (zh) 配电装置和配电柜
KR20200022718A (ko) 배전반의 2-채널 회로 차단 시스템
KR102655598B1 (ko) 지상 무효 전력 공급 장치 및 이의 온도 보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