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183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183A
KR20190009183A KR1020170091099A KR20170091099A KR20190009183A KR 20190009183 A KR20190009183 A KR 20190009183A KR 1020170091099 A KR1020170091099 A KR 1020170091099A KR 20170091099 A KR20170091099 A KR 20170091099A KR 20190009183 A KR20190009183 A KR 2019000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signal
voltage
electronic devi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김남우
김동한
김태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183A/ko
Priority to US16/036,137 priority patent/US20190028073A1/en
Publication of KR2019000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0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being continuously controlled by a controlling signal, e.g. the controlling signal of a transistor implemented as variable resistor in a supply path for, an IC-block showed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통신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무선 통신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 기기와 같은 전자 장치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 및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evice-to-device; D2D)과 같은 다양한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으로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이 있으며,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TE-advanced) 통신 네트워크 등의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전자 장치가 기지국 및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의 통신 대역 중 상향링크(uplink) 대역을 통해 서빙(serving) 기지국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거나 하향링크(downlink) 대역을 통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2D)으로는 상기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이하,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이라 칭함) 방식이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장치들 간에 ProSe(proximity based services)와 같은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들 간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을 반이중(half duplexing)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전자 장치들 간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을 수행해야 할 경우,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을 반이중(half duplexing)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대역을 이용하여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는 동작 및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세서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는 동작 및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통합된 안테나부, 제1 포트, 제2 포트, 제3 포트 및 제4 포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회로, 상기 제1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입력단, 상기 제2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입력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제1 결합기, 상기 제1 결합기의 상기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의 상기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 상기 제3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 및 상기 안테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포트는 상기 제1 결합기,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안테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랜시버 회로는,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LTE(long term evolution) UL(uplink)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LTE UL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LTE UL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LTE D2D(device-to-device)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LTE UL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LTE D2D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4 포트를 통해 LTE DL(downlink) 대역에 대응하는 LTE DL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에 대응되는 신호들을 결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에 대응되는 신호들을 결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그에 따른 실장 공간 또는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결합된 신호들을 증폭하여 전송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구동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모 등을 포함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리소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가 기재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6e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신 회로의 블록도들이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예를 들어,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지정된 복수의 임계 전압들 또는 지정된 복수의 임계 전력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상기 지정된 복수의 임계 전압들 또는 상기 지정된 임계 전력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상기 지정된 복수의 임계 전압들 또는 상기 지정된 임계 전력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복수의 임계 전압들 또는 상기 지정된 임계 전력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이 메모리(130)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상기 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 또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envelope) 전압(VE)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도 1의 element 164로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10), 통신 모듈(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 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예: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NFC 모듈(228) 및 RF 모듈(2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프로세서(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컬러(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52), (디지털) 펜 센서(254), 키(2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마이크(예: 마이크(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프로젝터(266), 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2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272), USB(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310)은 커널(320)(예: 커널(141)),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43)), (API(360)(예: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1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3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 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 윈도우 매니저(342), 멀티미디어 매니저(343), 리소스 매니저(344), 파워 매니저(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 패키지 매니저(347), 커넥티비티 매니저(348), 노티피케이션 매니저(349), 로케이션 매니저(350), 그래픽 매니저(351), 또는 시큐리티 매니저(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어플리케이션(3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3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3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3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70)은, 예를 들면, 홈(371), 다이얼러(372), SMS/MMS(373), IM(instant message)(374), 브라우저(375), 카메라(376), 알람(377), 컨택트(378), 음성 다이얼(379), 이메일(380), 달력(381), 미디어 플레이어(382), 앨범(383), 와치(384),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21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전자 장치(401) 또는 외부 전자 장치(402-1 또는 402-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1)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1)가 제1 기지국(400)의 내부 커버리지(400-1) 이내에 위치하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401)는 제1 기지국(400)과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지국(400)에 대응하는 내부 커버리지(400-1)는 상기 제1 위치의 전자 장치(401)에 대해 서빙 셀(serving cell)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401)가 제1 기지국(400)의 내부 커버리지(400-1)와 외부 커버리지(400-2) 사이에 있는 상기 제2 기지국(450)의 내부 커버리지(450-1) 내의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자 장치(401)는 상기 제1 기지국(400)과는 접속하여 통신할 수 없으나, 제1 기지국(400)의 신호를 수신할 수는 있으며, 제1 기지국(400)에 대응하는 내부 커버리지(400-1)는 상기 제2 위치의 전자 장치(401)에 대해 인접 셀(neighbor cell)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401)가 제2 기지국(450)의 내부 커버리지(450-1) 이내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401)는 제2 기지국(450)과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지국(450)에 대응하는 내부 커버리지(450-1)는 상기 제2 위치의 전자 장치(401)에 대해 서빙 셀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401)가 제2 기지국(450)의 내부 커버리지(450-1)와 외부 커버리지(450-2) 사이에 있는 상기 제1 기지국(400)의 내부 커버리지(400-1) 내의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자 장치(401)는 상기 제2 기지국(450)과는 접속하여 통신할 수 없으나, 제2 기지국(450)의 신호를 수신할 수는 있으며, 제2 기지국(450)에 대응하는 내부 커버리지(450-1)는 상기 제1 위치의 전자 장치(401)에 대해 인접 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빙 셀과 인접 셀은 상대적인 개념일 수 있다. 하나의 전자 장치(401)는 하나의 기지국의 내부 커버리지에 속하고, 복수의 기지국의 외부 커버리지에 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401)는 상기 전자 장치(401)가 속하는 기지국(예: 제1 기지국(400) 또는 제2 기지국(450))과 접속하여 제1 통신 방식(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전자 장치(401)와 근접해 있는 외부 전자 장치들(402-1 또는 402-2)과 제2 통신 방식(예: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의 전자 장치(401)가 상기 제1 통신 방식(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제1 기지국(400)에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제1 기지국(400)의 내부 커버리지(400-1)에 위치한 외부 전자 장치(402-1)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예: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401)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는 모두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은 LTE 상향링크(uplink; UL) 대역일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1)는 제1 프로세서(510), 제2 프로세서(520) 또는 통신 회로(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부들만 도시하였으며, 상기한 구성부들 이외에 다른 구성 요소들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전자 장치(501)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1)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510)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 또는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1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5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510)는 사용자로부터 제1 통신 방식 또는 제2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선택 또는 실행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510)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실행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제2 프로세서(5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520)는 제1 프로세서(530)로부터 전달된 상기 신호에 따라 통신 회로(530)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방식 또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외부 전자 장치(예: 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셀룰러(cellular) 통신 네트워크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은, 예를 들어, LTE(long-term evolution) 또는 LTE-A(LTE advanc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evice-to-device; D2D)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이하, '셀룰러 기반의 D2D 통신'으로 칭함)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셀룰러 기반의 D2D통신은, 예를 들어, LET D2D 또는 ProSe(proximity based service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 교환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동영상, 음원 또는 문서 등과 같은 콘텐트 교환 어플리케이션, 또는 PTT(push to talk)나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over LTE)와 같은 음성 교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또는 실행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상태 시, 전자 장치(501)의 사용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국(예: 기지국(400 또는 450) 또는 서버(106))으로부터 재난 방송을 수신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변의 다른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402-1 또는 402-2))와 메시지, 콘텐트 또는 음성 등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선택 또는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520)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또는 실행에 대한 신호들(예: 제1 신호들)이 동시에 입력되면, 이를 제2 프로세서(5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520)는 상기 제1 프로세서(510)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신호들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530)를 통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예: 기지국(400 또는 450) 또는 서버(106))와 통신하여 재난 관련 방송을 송수신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501)와 근접해 있는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402-1 또는 402-2) 또는 전자 장치(102))와 직접 통신하여 메시지, 콘텐트 또는 음성 등을 교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데이터 송수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릴레이(rela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릴레이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실행에 대한 신호들(예: 제2 신호들)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릴레이 기능 선택 시, 동시에 발생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실행에 대한 신호들(예: 제2 신호들)을 제2 프로세서(5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520)는 상기 제1 프로세서(510)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2 신호들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530)를 통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예: 기지국(400 또는 450) 또는 서버(106))와 통신하여 데이터(예: 메시지, 콘텐트 또는 음성)을 송수신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501)와 근접해 있는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402-1 또는 402-2) 또는 전자 장치(102))와 직접 통신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예: 메시지, 콘텐트 또는 음성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520)는 제1 프로세서(5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회로(530)를 이용하여 제1 프로세서(510)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520)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10) 또는 셀룰러 모듈(2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5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520)는 상기 제1 프로세서(510)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실행에 대한 입력이 전달되면, 통신 회로(5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각자의 통신 방식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520)는 제1 프로세서(51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520)는 제1 프로세서(510)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실행에 대한 입력이 전달되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예: 상향링크 대역) 중 제1 대역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제1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520)는 제1 프로세서(510)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실행에 대한 입력이 전달되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제2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520)는 상기 생성된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또는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통신 회로(5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530)는 상기 제2 프로세서(5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방식 또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530)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 또는 도 2에 도시된 RF 모듈(229)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530)는, 예를 들면, 상기 제2 프로세서(52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5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예: 기지국(400 또는 450)), 상기 기지국(400 또는 450)의 서버(예: 서버(106)) 또는 상기 기지국(400 또는 450)이나 상기 서버(106)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501)에 근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501)와 상기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402-1 또는 402-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530)는 복수의 통신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회로(530)는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이라고 칭하거나, 상기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을 그 일부로서 포함하거나 상기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530)는 제2 프로세서(520)로부터 전달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 또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제1 통신 방식 또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 송신 신호로 변환하여 제2 프로세서(5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530)는 상기 제2 프로세서(520)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제1 송신 신호 또는 제2 송신 신호의 무선 신호로 각각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변환된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530)는 상기 제2 프로세서(520)로부터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동시 송신에 대한 입력이 전달되면,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전력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하고, 상기 결합되어 증폭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530)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를 제1 기저대역 수신 신호 또는 제2 기저대역 수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5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520)는 상기 변환된 제1 기저대역 수신 신호 또는 상기 변환된 제2 기저대역 수신 신호를 제1 프로세서(5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변환된 제1 기저대역 수신 신호 또는 상기 변환된 제2 기저대역 수신 신호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디코딩하여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와 같은 제1 수신 데이터 또는 제2 수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및 상기 제2 수신 데이터를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520) 및 상기 통신 회로(530)는 도 6a 내지 6e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6a내지 6e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신 회로의 블록도들이다. 도 6a 내지 6e에서, 프로세서(620)는 도 5에 도시된 제2 프로세서(52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회로(630)는 도 5에 도시된 통신 회로(53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62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630)는 트랜시버(631), 제1 결합기(632),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633), 스위치(634), 제1 듀플렉서(635), 제1 안테나(ANT1) 또는 전원 컨트롤러(6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631)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제공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거나, 안테나(예: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 수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랜시버(631)는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또는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2_BB)를 상기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송신 신호(예: PTx1) 또는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송신 신호(예: PTx2)의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631)는 상기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수신 대역(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하향링크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수신 신호(예: PRx1) 또는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수신 신호(예: PRx2)의 무선 신호를 제1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제2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로 변환할 수 있다. 트랜시버(631)는 상기 변환된 제1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상기 변환된 제2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를 프로세서(6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제2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제1 프로세서(5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제2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되는 방법으로 디코딩하여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와 같은 제1 수신 데이터 또는 제2 수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및 상기 제2 수신 데이터를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은 LTE 상향링크(uplink; UL) 대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은 LTE 하향링크(downlink; DL) 대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는 상기 LTE UL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LTE UL 송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는 상기 LTE UL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LTE D2D 송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신 신호(PRx1)는 상기 LTE DL 대역에 대응하는 LTE DL 수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는 상기 LTE UL 대역에 대응하는 LTE D2D 수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631)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를 전송하는 제1 포트(T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전송하는 제2 포트(T2),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를 수신하는 제3 포트(T3)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PRx1)를 수신하는 제4 포트(T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기(632)는 상기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기(632)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제1 대역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제2 대역을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기(632)는 상기 트랜시버(631)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기(632)는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1 포트(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입력단(C11),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2 포트(T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입력단(C12), 및 출력단(C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기(632)는 상기 제1 입력단(C11)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를 상기 출력단(C1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기(632)는 상기 제2 입력단(C12)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상기 출력단(C1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기(632)는 상기 제1 입력단(C11) 및 상기 제2 입력단(C12)을 통해 각각 입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결합하여 상기 출력단(C1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PA)(633)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예: PTx1 + PTx2 = PTx_merge)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PA)(633)는 프로세서(620) 또는 전원 컨트롤러(636)를 통해 동작 전압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는 상기 제1 결합기(632)의 상기 출력단(C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단(P1) 및 출력단(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는 상기 입력단(P1)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단(P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는 상기 입력단(P1)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단(P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는 상기 입력단(P1)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단(P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634)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의 수신 시 수신 경로와,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송신 시 송신 경로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634)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송신 시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 수신 시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상기 출력단(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S1),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3 포트(T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S2) 및 제1 듀플렉서(635)(또는 상기 제1 안테나(AN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S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또는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또는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634)의 상기 제1 단자(S1) 또는 상기 제2 단자(S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외부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의 전송 시,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또는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635)의 상기 제1 단자(S1)로 스위칭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 수신 시,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또는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634)의 상기 제2 단자(S2)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634)는 SPDT(single-pole double throw) 스위치, SPxT(single-pole x throw) 스위치 또는 DPxT(double-pole x throw)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ANT1)는 메인 안테나(예: primary antenna)로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수신 신호(PRx1)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듀플렉서(635)는 상기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듀플렉서(635)는 시분할 방식(time division duplex; TDD)을 통해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송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듀플렉서(635)는 제1 안테나(AN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D11), 상기 스위치(634)(의 상기 제3 단자(S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D12), 및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4 포트(T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D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컨트롤러(636)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컨트롤러(636)는 소정의 고정 전압(예: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제1 고정 전압 또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컨트롤러(636)는 지정된 복수의 임계 전압들에 대응하는 소정의 적응형 전압(예: 상기 지정된 복수의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a 에서, 전원 컨트롤러(636)는 프로세서(620)와 별도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컨트롤러(636)는 프로세서(620)에 포함되거나, 프로세서(620)가 전원 컨트롤러(636)의 동작을 대신할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컨트롤러(63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프로세서(620)에 대해 후술되는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통신 회로(6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상기 통신 회로(6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PTx2)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대역에 상기 1 통신 방식의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상기 제1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또는 상기 제2 대역에 상기 2 통신 방식의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상기 제2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각각 생성하여 트랜시버(631)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트랜시버(631)를 통해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또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1차 증폭하여 상기 제1송신 신호(PTx1) 또는 상기 제2송신 신호(PTx2)의 무선 신호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결합기(632)를 통해 상기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제2 송신 신호(PTx2)를 결합(PTx1_PTx2=PTx_merge)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통신 회로(63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 PTx_merge)를 하나의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로 증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6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된 전압 또는 전력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된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통일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기재된 전압은 전력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소정의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하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예: Vcc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예: Vcc2)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 전압(Vcc1)은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최대 출력 전압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 전압(Vcc2)은 제2 송신 신호(PTx2)의 최대 출력 전압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고정 전압(Vcc1) 또는 제2 고정 전압(Vcc2)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Vcc1) 또는 제2 고정 전압(Vcc2)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1 고정 전압(Vcc1) 또는 상기 제2 고정 전압(Vcc2)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설정된 제1 고정 전압(Vcc1) 또는 제2 고정 전압(Vcc2)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Vcc1) 및 제2 고정 전압(Vcc2) 중 더 높은 고정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고정 전압(Vcc1) 및 상기 제2 고정 전압(Vcc2) 중 더 낮은 고정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33)는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소정의 적응형(adaptive)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적응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에 대해 복수의 전압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은 테이블 형태로 상기 전자 장치(501)의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적응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에 대해 복수의 전압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은 테이블 형태로 상기 전자 장치(501)의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제2 적응형 전압(Vad2)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Vad1)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2 적응형 전압(Vad2)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에 대해 저장된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에 대해 저장된 제2 테이블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상기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 전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높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 전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낮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각 임계 전압별로 비교하여 해당 임계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높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각 임계 전압별로 비교하여 해당 임계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낮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각 임계 전압별로 비교하고, 해당 임계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상기 각 임계 전압별로 상이한 선택 기준에 대응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제1 임계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높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고, 제2 임계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낮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대응하는 제3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제3 테이블은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에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제2 적응형 전압(Vad2) 사이의 중간값들을 상기 제3 적응형 전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제2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과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사이의 상기 중간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획득된 제3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획득된 중간값들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거나 지정된 수식에 따라 획득된 전압들을 상기 제3 적응형 전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1+PTx2)를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중치 또는 수식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501)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식은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다양한 수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3 적응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들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소정의 엔벨로프(envelop) 전압(VE)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엔벨로프 전압(VE)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6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62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630)는 트랜시버(631), 제1 결합기(632), 전력 증폭기(PA)(633), 스위치(634), 제1 듀플렉서(635), 제1 안테나(ANT1) 또는 전원 컨트롤러(6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스위치(634)의 위치가 변경된 것 외에는 도 6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63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듀플렉서(635) 및 제1 안테나(ANT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듀플렉서(635)의 상기 제1 단자(D11)는 상기 스위치(634)(의 제1 단자(S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듀플렉서(635)의 상기 제2 단자(D12)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출력 단자(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듀플렉서(635)의 상기 제3 단자(D13)는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3 포트(T3)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제1 듀플렉서(635)(의 상기 제1 단자(D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S1),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4 포트(T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S2) 및 상기 제1 안테나(AN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S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제1 듀플렉서(635)와 상기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634)의 상기 제1 단자(S1) 또는 상기 제2 단자(S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PRx1) 수신 시 상기 제1 듀플렉서(635)와 상기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634)의 상기 제1 단자(S1)로 스위칭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634)는 상기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 수신 시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제1 안테나(ANT1)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634)의 상기 제2 단자(S2)로 스위칭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62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630)는 트랜시버(631), 제1 결합기(632), 제2 결합기(637), 전력 증폭기(PA)(633), 스위치(634), 제1 듀플렉서(635), 제1 안테나(ANT1) 또는 전원 컨트롤러(6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c는 제2 결합기(637)가 추가된 것 외에는 도 6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기(637)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기(637)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2_BB)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 PTx2_BB = PTx_BB_merge)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1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예: 방송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등)과 관련된 제1 송신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프로세서(620)에서 상기 제1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을 사용하여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예: 메시지 교환 어플리케이션, 콘텐트 교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음성 교환 어플리케이션 등)과 관련된 제2 송신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프로세서(620)에서 상기 제2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결합기(637)는 상기 프로세서(6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입력단(C21), 상기 프로세서(6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입력단(C22),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를 출력하는 출력단(C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컨트롤러(636)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또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의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컨트롤러(636)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인벨로프 전압(예: VE)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c에서, 전원 컨트롤러(636)는 프로세서(620)와 별도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컨트롤러(636)는 프로세서(620)에 포함되거나, 프로세서(620)가 전원 컨트롤러(636)의 동작을 대신할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컨트롤러(63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프로세서(620)에 대해 후술되는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_BB_merge)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인벨로프 전압(예: VE)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하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2 결합기(637)를 통해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의 출력 전압의 합을 통해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VE)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20)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와 상기 엔벨로프 전압(VE) 간에 소정의 전압 폭(예: 마진(margin))를 갖도록 상기 엔벨로프 전압(VE)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VE)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VE)을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VE)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VE)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결합된 제1 및 제2 송신 신호(PTx_merge)를 증폭시킬 수 있다.
도6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62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630)는 트랜시버(631), 전력 증폭기(PA)(633), 스위치(634), 제1 듀플렉서(635), 제1 안테나(ANT1) 또는 전원 컨트롤러(6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d는 제1 결합기(632)가 트랜시버(631)에 통합되고, 제2 결합기(637)가 프로세서(630)에 통합되어 구성된 것 외에는 도 6c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2_B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와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_BB_merge)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PTx1_BB),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 또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를 트랜시버(631) 또는 전원 컨트롤러(636)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631)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 또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거나,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랜시버(631)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를 1차 증폭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631)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1차 증폭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631)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결합된 신호(PTx_BB_merge)를 1차 증폭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된 신호(PTx_merge)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631)는 프로세서(620)로부터 제공된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에 대응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를 생성하거나,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에 대응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631)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631)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 중 하나를 전력 증폭기(PA)(633)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631)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입력단(P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 중 하나를 전송하는 제1 포트(T11)(예: 도 6c의 제1 포트(T1)와 제2 포트(T2)가 통합된 포트), 상기 제2 수신 신호(PRx2)를 수신하는 제2 포트(T12)(예: 도 6c의 제3 포트(T3)에 해당)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PRx1)를 수신하는 제3 포트(T3)(예: 도 6c의 제4 포트(T4)에 해당)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62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630)는 트랜시버(631), 제1 결합기(632), 전력 증폭기(PA)(633), 스위치(634), 제1 듀플렉서(635), 제1 안테나(ANT1), 전원 컨트롤러(636), 제2 안테나(ANT2) 또는 제2 듀플렉서(6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e는 제2 안테나(ANT2) 및 제2 듀플렉서(638)가 추가된 것 외에는 도 6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안테나(ANT2)는 보조 안테나(예: diversity antenna)로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3 수신 신호(예: DRx1)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4 수신 신호(예: DRx2)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수신 신호(DRx1)는 LTE DL 대역에 대응되는 LTE DL 수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수신 신호(DRx2)는 LTE UL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LTE D2D 수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631)는 상기 제3 수신 신호(DRx1)를 수신하는 제5 포트(T5) 및 상기 제4 신호(DRx2)를 수신하는 제6 포트(T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듀플렉서(638)는 상기 제2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듀플렉서(638)는 시분할 방식(TDD)을 통해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예: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듀플렉서(638)는 제2 안테나(ANT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D21),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5 포트(T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D22), 및 상기 트랜시버(631)의 상기 제6 포트(T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D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2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인 상기 제3 수신 신호(DRx1) 또는 상기 제4 수신 신호(DRx2)를 상기 트랜시버(631)를 통해 제3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제4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상기 트랜시버(631)를 통해 변환된 상기 제3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제4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를 프로세서(6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3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제4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제1 프로세서(5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3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 또는 제4 기저대역 수신 신호(미도시)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되는 방법으로 디코딩하여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와 같은 제3 수신 데이터 또는 제4 수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제1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3 수신 데이터 및 상기 제4 수신 데이터를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는,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630)), 및 상기 통신 회로(63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통신 회로(630)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회로(630)는, 상기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무선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트랜시버(예: 트랜시버(631)), 상기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제1 결합기(예: 제1 결합기(632)), 및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회로(630)는,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수신 신호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예: 제1 안테나(ANT1)), 상기 제1 안테나(ANT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송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제1 듀플렉서(예: 제1 듀플렉서(635)),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제1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예: 스위치(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 또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회로(63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제2 결합기(6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회로(630)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3 수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4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ANT2), 및 상기 제2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제2 듀플렉서(6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는, 하우징(미도시), 상기 하우징(미도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통합된 안테나부(예: 제1 안테나(ANT1)), 제1 포트(T1), 제2 포트(T2), 제3 포트(T3) 및 제4 포트(T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회로(예: 트랜시버(631)), 상기 제1 포트(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입력단(C11), 상기 제2 포트(T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입력단(C12), 및 출력단(C13)을 포함하는 제1 결합기(예: 제1 결합기(632)), 상기 제1 결합기(632)의 상기 출력단(C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단(P1), 및 출력단(P2)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상기 출력단(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S1), 상기 제3 포트(T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S2), 및 상기 안테나부(AN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S3)를 포함하는 스위칭부(예: 스위치(6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포트(T4)는 상기 제1 결합기(632), 상기 전력 증폭기(PA)(633) 및 상기 스위칭부(634)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안테나부(AN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랜시버 회로(631)는 상기 제1 포트(T1)를 통해 LTE(long term evolution) UL(uplink)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LTE UL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포트(T2)를 통해 상기 LTE UL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LTE D2D(device-to-device)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3 포트(T3)를 통해 상기 LTE UL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LTE D2D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4 포트(T4)를 통해 LTE DL(downlink) 대역에 대응하는 LTE DL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안테나부(AN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D11), 상기 스위칭부(634)의 상기 제3 단자(S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D12), 및 상기 제4 포트(T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D13)를 포함하는 듀플렉서(예: 제1 듀플렉서(6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듀플렉서(635)는 상기 안테나부(ANT1)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LTE UL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LTE DL 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분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듀플렉서(635)는 시분할 방식을 통해 상기 안테나부(ANT1)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LTE UL 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LTE DL 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분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부(634)는 상기 LTE UL 송신 데이터, 상기 LTE D2D 송신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결합기(632)를 통해 결합된 상기 LTE UL 송신 데이터 및 상기 LTE D2D 송신 데이터의 전송 시,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와 상기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634)의 상기 제1 단자(S1)로 스위칭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634)는 상기 LTE D2D 수신 데이터 수신 시, 상기 트랜시버(631)와 상기 듀플렉서(635)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634)의 상기 제2 단자(S2)로 스위칭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안테나부(ANT1), 상기 트랜시버 회로(631), 상기 제1 결합기(632), 상기 전력 증폭기(PA)(633) 및 상기 스위칭부(634)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상기 프로세서(6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입력단(C21), 상기 프로세서(6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입력단(C22), 및 출력단(C23)을 포함하는 제2 결합기(예: 제2 결합기(637)), 상기 제2 결합기(637)를 통해 상기 LTE UL 송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LTE UL 기저대역 송신 데이터 및 상기 LTE D2D 송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LTE D2D 기저대역 송신 데이터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데이터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원 컨트롤러(예: 전원 컨트롤러(6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상기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나타낸 것으로, 시간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가 도시된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는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2_BB)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 각각의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또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트랜시버(예: 트랜시버(631)), 제2 결합기(예: 제2 결합기(637)) 또는 전원 컨트롤러(예: 전원 컨트롤러(636))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상기 송신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나타낸 것으로, 시간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송신 신호가 도시된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PTx2)가 도시된다.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는 상기 전자 장치(501)의 트랜시버(예: 트랜시버(631))를 통해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1차 증폭되어 무선 신호로 각각 변환된 신호이다. 상기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 또는 제1 결합기(예: 제1 결합기(632))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가 결합된 신호(PTx_merge)는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는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최대 출력 전압(Vmax)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Vcc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최대 출력 전압(Vmax)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Vcc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전압(Vcc1)은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최대 출력 전압(Vmax)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 전압(Vcc2)은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최대 출력 전압(Vmax)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의 프로세서(620)는 상기 생성된 상기 제1 고정 전압(Vcc1) 또는 제2 고정 전압(Vcc2)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전압(Vcc1) 또는 제2 고정 전압(Vcc2)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9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적응형 전압을 나타낸 것으로, 시간에 따른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 변동에 대응되는 적응형 전압이 도시된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PTx1)에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PTx2)에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Vad2)이 도시된다.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VTH1~VTH3)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적응되도록 대응하는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은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Vth1~Vth3)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적응되도록 대응하는 전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을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을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에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서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나타낸 것으로, 시간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가 도시되며, 도 10b에서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엔벨로프 전압(예: VE)을 나타낸 것으로, 시간에 따른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 변동에 대응되는 엔벨로프 전압이 도시된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가 도시된다.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는,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제2 결합기(예: 도 6c의 제2 결합기(637)) 또는 프로세서(예: 도 6d의 프로세서(620))를 통해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1_BB)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2_BB)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PTx_BB_merge)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VE)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501)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VE)을 상기 전자 장치(501)의 제1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엔벨로프 전압(VE)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633)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동작 1110 내지 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1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예: 통신 회로(630))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예: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예: PTx1) 및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예: PTx2)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통신 회로 내 제1 결합기(예: 제1 결합기(632))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식으로,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TE-advanced)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2D)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2D)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2D) 방식은 Prose(proximity based services) 또는 LTE D2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은 LTE 상향링크(uplink; UL) 대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송신 신호(PTx1)는 상기 LTE UL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LTE UL 송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송신 신호(PTx2)는 상기 LTE UL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LTE D2D 송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예: PTx1 + PTx2 = PTx_merge)를 하나의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로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예: Vcc1)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예: Vcc2)에 기반하여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 또는 제2 적응형 전압(예: Vad2)에 기반하여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및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2_BB)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 PTx2_BB = PTx2_BB_merge)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예: VE)에 기반하여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를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를 상기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2D)을 통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예: 기지국(400 또는 450)), 상기 기지국의 서버(예: 서버(106)) 또는 상기 기지국이나 상기 서버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에 근접하여 상기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와 상기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하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402-1 또는 402-2))일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동작 1110의 송신 신호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동작 1210 내지 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2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제1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를 제1 송신 신호의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대역에 상기 1 통신 방식의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상기 제1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트랜시버(예: 트랜시버(631))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1차 증폭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1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2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2_BB)를 제2 송신 신호의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대역에 상기 2 통신 방식의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트랜시버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1차 증폭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된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2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결합기(예: 제1 결합기(632))를 통해 상기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동작 1120의 송신 신호 증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동작 1310 및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3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예: PTx1)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예: Vcc1)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예: PTx2)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예: Vcc1)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고정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 이상의 전압을 상기 제1 고정 전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 이상의 전압을 상기 제2 고정 전압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3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고정 전압 또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1 고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1 고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2 고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2 고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2 고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 및 제2 고정 전압 중 더 높은 고정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 및 제2 고정 전압 중 더 낮은 고정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고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동작 1120의 송신 신호 증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동작 1410 및 1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4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예: PTx1)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하거나,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예: PTx2)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예: Vad2)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에 대해 복수의 전압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을 미리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응되도록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대해 생성된 상기 제1 적응형 전압은 테이블(예: 제1 테이블) 형태로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에 대해 복수의 전압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을 미리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응되도록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대해 생성된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은 테이블(예: 제2 테이블) 형태로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 14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거나, 상기 생성된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1 적응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1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1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2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2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제2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동작 1120의 송신 신호 증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동작 1510 내지 1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5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예: PTx1)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 1510은 도 14의 동작 1410에서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동작 15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예: PTx2)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예: Vad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 1520은 도 14의 동작 1410에서 제2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동작 15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 및 제2 적응형 전압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적응형 전압 및 제2 적응형 전압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에 대해 저장된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에 대해 저장된 제2 테이블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및 제2 적응형 전압 중 상기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 전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낮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각 임계 전압별로 비교하여 해당 임계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높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각 임계 전압별로 비교하여 해당 임계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낮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각 임계 전압별로 비교하고, 해당 임계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상기 각 임계 전압별로 상이한 선택 기준에 대응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임계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높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고, 제2 임계 전압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더 낮은 적응형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동작 154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대응하는 제3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제3 테이블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동작 1120의 송신 신호 증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동작 1610 내지 16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6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예: PTx1)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 1610은 도 15의 동작 15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동작 16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예: PTx2)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예: Vad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 1620은 도 15의 동작 152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동작 16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제2 적응형 전압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적응형 전압 및 제2 적응형 전압 사이의 중간값들을 상기 제3 적응형 전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적응형 전압에 대해 저장된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에 대해 저장된 제2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과 상기 제2 적응형 전압(Vad2) 사이의 상기 중간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거나 지정된 수식에 따라 획득된 전압들을 상기 제3 적응형 전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중치 또는 수식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식은 상기 제1 적응형 전압(Vad1) 또는 제2 적응형 전압(Vad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다양한 수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64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동작 1120의 송신 신호 증폭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동작 1710 내지 1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71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2_BB)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1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예: 방송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등)과 관련된 제1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송신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예: 메시지 교환 어플리케이션, 콘텐트 교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음성 교환 어플리케이션 등)과 관련된 제2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2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결합기(예: 제2 결합기(637))를 통해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의 합을 통해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_BB_merge)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72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예: VE)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와 상기 엔벨로프 전압 간에 소정의 전압 폭(예: 마진(margin))를 갖도록 상기 엔벨로프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730에서,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를 통해,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 상기 동작 전압으로 설정된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결합된 제1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501))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예: PTx1)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예: PTx2)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예: PTx1 + PTx2 = PTx2_merge)를 전력 증폭기(예: 전력 증폭기(PA)(633))로 증폭하는 동작, 및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예: Vcc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예: Vcc2)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 또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은,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예: Vad2)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하는 동작,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예: Vad2)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예: Vad1)을 생성하는 동작,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예: Vad2)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및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예: PTx1_BB + PTx1_BB = PTx1_BB_merge)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예: VE)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세서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는 동작, 및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 또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1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전자 장치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입출력 인터페이스 160: 디스플레이
170: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셀룰러 통신에 기반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방식인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무선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트랜시버;
    상기 변환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제1 결합기; 및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수신 신호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송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제1 듀플렉서; 및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제1 듀플렉서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제1 듀플렉서 사이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 또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제2 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3 수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4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상기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제2 듀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세서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방식의 송신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송신 신호 및 상기 송신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방식의 제2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 증폭하는 동작; 및
    상기 증폭된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된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1 고정 전압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전압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1 고정 전압 또는 제2 고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및 상기 제2 적응형 전압 중 지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형 전압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지정된 복수의 제1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1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지정된 복수의 제2 임계 전압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제2 적응형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1 적응형 전압 또는 상기 제2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제3 적응형 전압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제3 적응형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제1 기저대역 송신 신호 및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제2 기저대역 송신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
    상기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신호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송신 신호 및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통합된 안테나부;
    제1 포트, 제2 포트, 제3 포트 및 제4 포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회로;
    상기 제1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입력단, 상기 제2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입력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제1 결합기;
    상기 제1 결합기의 상기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의 상기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 상기 제3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 및 상기 안테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포트는 상기 제1 결합기,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안테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랜시버 회로는,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LTE(long term evolution) UL(uplink) 대역 중 제1 대역에 대응하는 LTE UL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LTE UL 대역 중 제2 대역에 대응하는 LTE D2D(device-to-device)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3 포트를 통해 상기 LTE UL 대역 중 상기 제2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LTE D2D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4 포트를 통해 LTE DL(downlink) 대역에 대응하는 LTE DL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3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 및 상기 제4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를 포함하는 듀플렉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LTE UL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LTE DL 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분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시분할 방식을 통해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LTE UL 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LTE DL 대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분리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LTE UL 송신 데이터, 상기 LTE D2D 송신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결합기를 통해 결합된 상기 LTE UL 송신 데이터 및 상기 LTE D2D 송신 데이터의 전송 시,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듀플렉서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단자로 스위칭되고,
    상기 LTE D2D 수신 데이터 수신 시,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듀플렉서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2 단자로 스위칭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 상기 트랜시버 회로, 상기 제1 결합기,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입력단,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입력단,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제2 결합기;
    상기 제2 결합기를 통해 상기 LTE UL 송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LTE UL 기저대역 송신 데이터 및 상기 LTE D2D 송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LTE D2D 기저대역 송신 데이터가 결합된 기저대역 송신 데이터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엔벨로프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원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091099A 2017-07-18 2017-07-18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KR20190009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99A KR20190009183A (ko) 2017-07-18 2017-07-18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US16/036,137 US20190028073A1 (en) 2017-07-18 2018-07-16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99A KR20190009183A (ko) 2017-07-18 2017-07-18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83A true KR20190009183A (ko) 2019-01-28

Family

ID=6502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099A KR20190009183A (ko) 2017-07-18 2017-07-18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028073A1 (ko)
KR (1) KR201900091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3450A (zh) * 2019-04-02 2019-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20200132161A (ko) * 2019-05-15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9829A (en) * 1996-02-29 1998-03-17 American Nucleonics Corporation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collocated transceivers
US6249670B1 (en) * 1997-01-13 2001-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 combining device and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KR19980065967A (ko) * 1997-01-17 1998-10-15 김광호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한 다중채널 시분할교신방식의 신호 송수신 장치
JP3796372B2 (ja) * 1999-06-07 2006-07-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ミリ波帯通信装置
US6996057B2 (en) * 2001-10-05 2006-02-07 Adtran, Inc. Integrated RF loopback test apparatus for redundant data radio transceiver system
US7787843B2 (en) * 2005-03-29 2010-08-31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band direct conversion radio frequency transceiver integrated circuit
US7561854B2 (en) * 2006-12-01 2009-07-14 Harris Corporation Lossless transmit path antenna switch circuit
US7818029B2 (en) * 2007-04-11 2010-10-19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ry with antenna sharing capabilitie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10141984B2 (en) * 2008-07-14 2018-11-27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band transmission system
US8374557B2 (en) * 2009-07-06 2013-02-12 Rfaxis, Inc. Radio frequency front end circuit with antenna diversity for multipath mitigation
US9397720B2 (en) * 2009-12-10 2016-07-19 Mediatek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transmit switch functionality in a WLAN radio transceiver
US8670726B2 (en) * 2010-07-08 2014-03-11 Microsemi Corporation Architecture for coexistence of multiple band radios
US9125183B2 (en) * 2012-03-01 2015-09-01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mpact transceiver architecture for achieving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using uplink and downlink carrier frequencies
JP6107358B2 (ja) * 2013-04-17 2017-04-05 富士通株式会社 電源回路、電源ic、電力増幅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101979807B1 (ko) * 2013-05-06 2019-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D2d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의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 방법
US20150016358A1 (en) * 2013-07-09 2015-01-15 Humax Holdings Co., Ltd. System and metod for lte D2D communications
US9331835B1 (en) * 2014-03-19 2016-05-03 Amazon Technologies, Inc. Radio frequency (RF) front-end circuitry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ide area network (WAN)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ommunications
US10313094B2 (en) * 2014-09-29 2019-06-04 Lg Electronics Inc.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cellular communication and D2D communication
US10673484B2 (en) * 2017-05-12 2020-06-0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diversity swi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8073A1 (en)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3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control method thereof
CN108282193B (zh) 电子设备和控制其无线通信的方法
US1029211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wireless signal thereof
US112515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456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19510B1 (ko)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율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9004457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559978B1 (ko) 복수의 주파수 밴드들을 이용한 d2d 통신을 지원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과 그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80000088A (ko) Sar 저감을 위한 안테나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65228A (ko)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123879A (ko) 이어폰의 타입에 따라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75113A (ko) 전력 증폭기의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368390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function
KR20180107997A (ko)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8121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impedance matching method for antenna thereof
US10135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ignal quality in electronic device
KR2017012801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KR2019000918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방법
US20170150270A1 (en) Audio accessory and audio output method
KR2017000473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수신 방법
US20170187447A1 (en) Relay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lay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18008212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70066111A (ko)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1137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16403A (ko)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