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090A -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 Google Patents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090A
KR20190009090A KR1020170090867A KR20170090867A KR20190009090A KR 20190009090 A KR20190009090 A KR 20190009090A KR 1020170090867 A KR1020170090867 A KR 1020170090867A KR 20170090867 A KR20170090867 A KR 20170090867A KR 20190009090 A KR20190009090 A KR 20190009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suction
tube
suction cathet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589B1 (ko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09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3Suction drainage systems comprising sensors or indicators for physical va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5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9Lu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위적 객담 배출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객담을 흡인하여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석션카테터에 있어서, 상단에 흡인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음압제어부 및 하기 두 분지관이 이루는 평면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에 Y자형 분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관과, 상단이 상기 메인관의 Y자형 분지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분지관을 포함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Y shaped Bronchial suction catheter}
본 발명은 객담 제거를 위한 석션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위적 객담 배출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사람의 폐나 기관지에서 발생하는 분비물(통상 '객담'이라 함)은 점액 섬모 운동과 기침 반사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호흡기 관련 환자의 경우에는 분비물이 지나치게 많아지거나 점성이 높아지게 되어 정상적인 방식으로 배출되지 못할 정도가 되어 분비물이 폐나 기관지에 고이게 된다. 이렇게 폐나 기도를 채운 분비물은 환자의 호흡을 방해하고 세균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위험하다.
객담을 배출하는 방법으로는 중력에 의해 객담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상체를 거꾸로 하는 등의 체위요법, 체위요법과 함께 또는 별도로 안마기나 진동기 등을 이용한 진동을 통해 객담이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요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 가능하다.
기도 절개(tracheostomy) 또는 기도 삽관(tracheal intubation)을 한 환자, 폐렴, 급성 호흡부전, 폐렴 후유증, 객담침착증(mucus impaction)의 환자, 자발적인 가래 배출이 어려운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환자 등 거동이 불가능하거나 체위요법이나 진동요법으로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다량의 또는 고점도의 객담이 분비되는 환자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강제 흡입요법(suction)에 의한 인위적인 객담의 배출이 요구된다.
흡입요법으로는 석션카테터(suction catheter)에 의한 방법과, 기관지 내시경에 의한 방법이 있다. 전자는 기관이나 기관지에 있는 분비물을 비교적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후자는 폐의 하엽에까지 분비물이 차 있는 경우 전문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술이다.
종래 석션카테터는 도 1a에 첨부된 개념도 및 실제예 사진과 같이, 상단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음압제어부와 연결부가 장착되어 있는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가는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부는 소정의 관을 매개로 흡인기에 결합된다. 사용시에는 음압제어부를 막거나 열어서 관에 음압이 형성되고 흡입공을 통해 분비물이 흡인기 전단의 흡인병(suction bottle)으로 배출된다. 실제 사용시 상황에 따라 코나 입을 통해서 또는 기도 절개 환자의 경우 튜브를 통해서 석션카테터가 삽입된다(도 1b 참조). 그런데 종래 통상의 석션카테터로는 기관(trachea)내의 분비물 제거만을 염두에 두고 있어 관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실제로 분비물이 많이 고여 있는 양측 폐의 하엽에는 도달하기 힘들어서 분비물 제거가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 설령 관의 길이가 긴 석션카테터라도 블라인드(blind) 상태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석션카테터를 원하는 방향의 폐로 삽입하기가 매우 어렵다. 우측 기도(기관지)의 직경이 더 크고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삽입되는 석션카테터는 대부분 우측 폐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좌측 폐의 분비물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특히 좌측 폐의 하엽에 있는 분비물 제거를 위해서는 석션기능이 있는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기관지 내시경 시술은 호흡기 내과 전문의, 간호사 등 전문 인력 및 기관지 내시경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중환자의 경우 시술 중 또는 검사실로 이동 과정에서 산소 포화도 저하 등 합병증 발생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꼭 필요한 환자라도 자주 시술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PCT/US2014/029265(한국 공개특허 10-2015-0140295)는 말단에 절곡부를 가지는 두 카테터를 하나의 삽관-엔벨로프에 내장하여 기관내삽관을 기관에 삽입한 다음 각각의 카테터를 조작하여 좌, 우 기관지로 삽입할 수 있는 석션카테터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도 2a 참조). 이에 의하면, 도 2b에 첨부되었듯이, 각 카테터의 말단이 절곡되어 있고 카테터 말단의 단면은 반달형이며 기관내삽관의 말단에는 각 카테터의 단면에 대응되는 조인트가 있어 각 카테터의 말단의 방향이 Y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장치의 기관내삽관을 환자의 기관에 삽입하면 첨부된 도 2c처럼 각 카테터 말단(적색으로 표시함)이 좌우 기관지를 향하여 배치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에 의하면 실제 사용시에 각 카테터 말단이 도 2c처럼 좌우 기관지의 방향으로 배열되기 어렵기 때문에 환기어댑터와 연결된 조인트를 조절하여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카테터 장치는 특수 구조의 부품들(단면이 반달형이면서 유연성 있는 관, 반달형 개구가 두 개 형성된 조인트-조인트피팅, 조인트피팅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등)이 요구되며, 장치가 매우 복잡하여 사용상 편리하지 않다.
나아가 기관내삽관에 카테터들이 내장된 상태이고, 카테터의 단면이 반달형이며, 조인트에 의해 비틀림이나 휨이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 말단 부분이 실질적으로 상당히 단단한 상태인데, 이때 카테터를 밀어 넣으면 기관지에 손상을 줄 우려도 있다.
한편, 호흡기에서 기관지분지계를 해부학적으로 보면 기관 하부의 기관분기부에서 우측, 좌측 주기관지로 나뉜다. 우측 주기관지는 먼저 우측 상엽 기관지와 우측 중간기관지(bronchus intermedius)로 나뉘고 우측 중간 기관지는 우중엽 기관지 및 우하엽 기관지로 나뉜다. 반면 좌측 주기관지는 좌측 상엽 기관지와 좌측 하엽 기관지로 바로 나뉜다. 기관은 성인의 경우 길이가 11~13 ㎝ 정도 되고 직경은 1.5~2.5 ㎝ 정도이다. 우측 주기관지는 수직에 대해서 약 20~25˚ 정도 기울어져 있는데, 기관분기부에서 우측하엽기관지 하단까지 길이는 7~10 ㎝ 정도이다. 좌측 주기관지는 수직에서 약 40~50˚ 정도 기울어져 있고 기관분기부에서 좌측하엽기관지 하단까지의 길이는 대략 8~10 ㎝ 이다. (http://www.bronchotraining.org/spip.php?article11 참조)
그런데 현재까지는 양쪽 폐의 기관지분지계의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한 석션카테터가 알려져 있지 않다.
PCT/US2014/029265
http://www.bronchotraining.org/spip.php?article11
본 발명은 환자의 폐에 있는 객담 배출을 위한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객담을 흡인하여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석션카테터에 있어서, 상단에 흡인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음압제어부 및 하기 두 분지관이 이루는 평면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에 Y자형 분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관과, 상단이 상기 메인관의 Y자형 분지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분지관을 포함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의 삽입으로 기존의 카테터로는 제거가 어려웠던 양측 하엽 기관지의 객담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환자에게 부하가 적고 의료진도 편리하게 객담 배출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관지 내시경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고 경제적이면서도 위생적으로 폐의 객담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석션카테터의 개념도 및 실제예 사진.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석션카테터의 사용예 개념도.
도 2a, 2b, 2c는 각각 종래기술에 의한 석션카테터의 개념도 및 부분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의 예시적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를 폐에 삽입하는 과정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자 맞춤형 석션카테터 준비방법에서 환자의 기관계 길이를 추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환자의 흉부 단층촬영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 도면부호가 병기되어 있는 경우, 이는 설명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도면부호로 구성요소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서 하단, 하부, 아랫부분 등은 사용시에 기관지로 삽입되는 쪽이나 부분을 의미하며, 상단, 상부, 윗부분 등은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쪽이나 부분을 의미한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상단에 흡인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음압제어부 및 하기 두 분지관이 이루는 평면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에 Y자형 분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관과, 상단이 상기 메인관의 Y자형 분지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분지관을 포함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의 예를 도 3a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는, 상단에 통상의 연결부 및 음압제어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두 분지관 하단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대략 역 Y자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메인관이 분지관보다 굵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들의 직경비율은 핵심적인 사항은 아니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관과 분지관의 재질은, 통상의 석션카테터의 재질인 비독성의 의료용급의 PVC, 실리콘, 라텍스, PE, 테플론(teflon)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이다. 분지관의 외경크기 역시 통상의 것처럼 5~24 게이지 (4.6~0.5 ㎜)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을 것이지만, 이론적으로는 기관 직경의 1/2 이하이고 하엽기관지 직경 이하면 충분할 것이다. 뒤에서 설명하지만, 분지관은 사용시에 기관지~하엽기관지에 삽입되는데, 기관지~하엽까지의 길이가 우측이 약 7~10 ㎝, 좌측이 약 8~10 ㎝ 전후이므로 상기 분지관의 길이는 대략 10 ㎝ 정도면 충분하다. 한편, 두 분지관은 메인관에 각각 연결되는데, 이때 메인관의 Y자형 분지의 구조 자체가 분지관을 미세하게 서로 반대쪽으로 탄성적으로 멀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에 아무런 외압이나 제한이 가해지지 않으면 두 분지관은 탄성적으로 살짝(대략 수 ㎜ 간격) 벌어지는 '벌어짐 탄성'을 가지게 된다.
당연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가 환자에게 적용될 때 메인관과 두 분지관이 이루는 역 Y자 평면구조가 기관과 두 기관지가 만드는 역 Y자 평면구조와 일치되도록 삽입되어야 두 분지관이 각각 좌우 기관지로 도입된다. 그런데 두 분지관이 구강이나 비강 또는 튜브로 진입하면 블라인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석션카테터의 역 Y자 평면이 어떻게 배향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인관의 상단에 두 분지관이 이루는 평면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시부를 둔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시술시 상기 표시부를 참조하여 두 분지관이 이루는 평면의 방향을 환자의 기관지가 이루는 평면이 되도록(이하 편의를 위해 '배향일치'라 표현함)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부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예를 들면 메인관의 상단에 인쇄된 점이나 선, 또는 날개부 등의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음압제어부의 위치가 표시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시술자는 시술시에 상기 표시부를 참조하여 메인관을 회전하여 배향을 일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관과 분지관은 뒤틀림에 어느 정도의 저항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틀림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는 추후 두 분지관이 두 기관지로 삽입될 때 자연스럽게 벌어지는 것을 막지 않는 정도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는, 벌어짐 탄성과는 별도로, 두 분지관이 좌우 기관지로 잘 분리되어 도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분지관 중 최소한 어느 한 분지관의 흡입공측 말단이 중심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휘어져 있는 것이 좋다(도 3a 참조). 특히 하나의 분지관 말단이 휘어지는 경우에는 좌측 기관지로 삽입될 예정의 것이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분지관 말단이 밖으로 휘어진 경우 삽입시에 기관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분지관 최말단 부분은 다시 안쪽으로 살짝 휘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를 실제 폐에 삽입하는 과정의 개념도를 도 3b에 도시하였다. 편의상 기관~(주)기관지~(상중하)엽기관지만을 표현하였으며, 석션카테터 상부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객담 흡인시에 수행해야 할 각종 준비절차나 주의사항 등은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구강이나 비강 또는 기도 절개 환자의 경우 튜브를 통해서 두 분지관 말단을 한꺼번에 넣고 표시부를 참조하여 두 분지관이 이루는 평면의 방향을 조절하면서 서서히 밀어 넣는다. 분지관 말단이 기관을 통과하여(도면에서 A) 기관분기부에 이르면 -이때 벌어짐 탄성에 의해 분지관은 살짝 벌어져 있다- 벌어진 분지관이 각각 우측기관지와 좌측기관지로 진입하고(도면에서 B), 이어서 각각 우측과 좌측 하엽기관지에까지 진입하게 된다(도면에서 C). 이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객담흡인을 수행한다. 이후의 과정은 통상의 그것과 동일하다.
한편, 전술하였듯이, 기관분기부~하엽기관지 말단까지의 길이는 우측이 약 7~10 ㎝, 좌측이 약 8~10 ㎝ 전후로서 보통 우측이 다소 짧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 사용시 분지관의 길이를 그에 대응되도록 약 1~2 ㎝정도의 길이 차이를 두는 것도 좋다(도시 생략). 예컨대, 환자마다 기관분기부~좌우하엽기관지 말단까지의 길이가 다 상이한데, 이 경우 환자의 흉부 단층촬영 사진을 참조하여 그 길이와 필요하다면 분지되는 각도를 추산하고(도 4 참조) 이에 맞는 맞춤형 석션카테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지관의 길이가 충분히 긴 기본 석션카테터를 구비하고 있다가 환자의 해부학적 특성에 맞도록 분지관 말단을 (예를 들면 도 4의 환자의 경우에는 각각 8 및 10 ㎝가 되도록) 자른 후 흡입공을 뚫는 등 적절한 가공을 하여 환자 맞춤형 석션카테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분지관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상기 표시부에 분지관 길이가 상이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예를 들면 분지관이 긴 방향으로 화살표를 표시하면 긴 분지관이 좌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배향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배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석션카테터는 배향을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두 개의 분지관의 흡입공측 말단 부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는 안내관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도시 생략). 이에 의하면 시술자는 두 개의 분지관의 흡입공측 말단이 안내관에 내장된 상태에서 동시에 기도로 삽입하고, 기관분기부에 이르면 안내관을 정지시키고 카테터를 밀어 넣는다. 그러면 두 분지관이 안내관 밖으로 노출되고 벌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좌우 기관지로 삽입된다. 안내관은 두 개의 분지관을 나란히 수납하고 있어 납작한 형태이므로 배향제어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도 절개 또는 기도 삽관을 한 환자, 폐렴, 급성 호흡부전, 폐렴 후유증, mucus impaction으로 객담의 배출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환자, 자발적인 가래 배출이 어려운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환자 등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적용하여 양쪽 폐의 분비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환자의 객담을 흡인하여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석션카테터에 있어서,
    상단에 흡인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음압제어부 및 하기 두 분지관이 이루는 평면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시부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에 Y자형 분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관과,
    상단이 상기 메인관의 Y자형 분지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분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과 분지관은 뒤틀림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분지관의 길이가 상이하며,
    상기 표시부는 분지관 길이가 상이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분지관 중 최소한 어느 한 분지관의 흡입공측 말단이 밖으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한 상기 두 개의 분지관의 흡입공측 말단 부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는 안내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
  6. (A)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충분히 긴 분지관을 가지는 청구항 1 또는 2항에 의한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를 준비하는 단계;
    (B) 환자의 흉부 단층촬영 사진을 참고하여 기관분기부에서 좌우측하엽기관지 하단까지의 길이를 추산하는 단계;
    (C) 상기 추산된 길이에 맞추어 상기 석션카테터의 분지관을 자르는 단계;
    (D) 잘라진 석션카테터의 분지관 말단에 소정의 흡입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양쪽 폐 동시 흡인용 석션카테터의 준비방법.
KR1020170090867A 2017-07-18 2017-07-18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KR10199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67A KR101998589B1 (ko) 2017-07-18 2017-07-18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67A KR101998589B1 (ko) 2017-07-18 2017-07-18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78A Division KR102049548B1 (ko) 2019-06-24 2019-06-24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90A true KR20190009090A (ko) 2019-01-28
KR101998589B1 KR101998589B1 (ko) 2019-07-10

Family

ID=6526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867A KR101998589B1 (ko) 2017-07-18 2017-07-18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983B1 (ko) * 2021-05-26 2024-05-07 서울대학교병원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분석한 환자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한 환자 맞춤형 일측폐환기용 이중기관지 튜브 제조 시스템, 이에 따라 제조된 환자 맞춤형 일측폐환기용 이중기관지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748A1 (en) * 2000-12-14 2002-06-20 Bodenham Andrew R Device for selective bronchial intubation and separate lund ventilation
KR200365015Y1 (ko) * 2004-07-09 2004-10-19 이진명 효율적인 썩션 카테타
US20090209940A1 (en) * 2008-02-15 2009-08-20 Spire Corporation Fusion manufacture of multi-lumen catheters
WO2014029265A1 (en) 2012-08-24 2014-02-2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message box
US20140350458A1 (en) * 2013-03-14 2014-11-27 Patient Centered Medical Incorporated Aspiration catheters,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748A1 (en) * 2000-12-14 2002-06-20 Bodenham Andrew R Device for selective bronchial intubation and separate lund ventilation
KR200365015Y1 (ko) * 2004-07-09 2004-10-19 이진명 효율적인 썩션 카테타
US20090209940A1 (en) * 2008-02-15 2009-08-20 Spire Corporation Fusion manufacture of multi-lumen catheters
WO2014029265A1 (en) 2012-08-24 2014-02-2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message box
US20140350458A1 (en) * 2013-03-14 2014-11-27 Patient Centered Medical Incorporated Aspiration catheters, systems, and metho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bronchotraining.org/spip.php?article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589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679B2 (en) Endobronchial tube with integrated image sensor
US4865586A (en) Suction stylet for endotracheal intubation
JP6525481B2 (ja) 医療機器、及び当該医療機器の使用方法
EP2754384B1 (en) Endobronchial tube with integrated image sensor and cleaning nozzle arrangement
CN105343975B (zh) 一种无需喉镜的气管插管装置
EP3049138B1 (en) Endotracheal tube
Campos Lung isolation
CN201978294U (zh) 一种兼具吸痰和单肺或双肺通气功能的单腔气管导管
KR102049551B1 (ko) X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KR101998589B1 (ko)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US10272217B2 (en) Device for gripping and directing bougies for intubation
CN107261285B (zh) 组合型侧方限制式气管和支气管导管
KR101998590B1 (ko) X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KR20190077279A (ko) Y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KR101647972B1 (ko) 기도삽관 튜브
KR101635443B1 (ko) 기도삽관 튜브
CN213642451U (zh) 一种带有帽盖结构的可持续吸引吸痰管
CN216629367U (zh) 套件式气管插管
Ball Equipment for airway management
KR101807355B1 (ko) 기관내 튜브
Lee Airway apparatus for thoracic surgery
Foley et al. Fibreoptic bronchoscopic positioning of double-lumen tubes
RU57585U1 (ru) Аспиратор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травмы носа и глотки
CN115554549A (zh) 套件式气管插管
KR20170138381A (ko) 기관내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