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752A -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752A
KR20190008752A KR1020170090532A KR20170090532A KR20190008752A KR 20190008752 A KR20190008752 A KR 20190008752A KR 1020170090532 A KR1020170090532 A KR 1020170090532A KR 20170090532 A KR20170090532 A KR 20170090532A KR 20190008752 A KR20190008752 A KR 2019000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bonding system
layer
dry bond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449B1 (ko
Inventor
방창현
김지원
백상열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49B1/ko
Priority to PCT/KR2017/010713 priority patent/WO2019017526A1/ko
Publication of KR2019000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0Interconnection of layers at least one layer having inter-reacti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접착면을 가지는 하단 층; 및 상기 하단 층의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과 인터락킹 결합에 의해 증착된 상단 층을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DRY BONDING SYSTEM HAVING INTERLOCKING STRUCTURES BETWEEN MULTIPLE LAYERS}
본 발명은, 달팽이의 다리 근육 구조가 유발하는 건식 접착 메커니즘을 모사하여 건조, 습윤, 오염 등의 다양한 상태를 가지는 패치 표면 및 접착 표면에서도 접착력의 증폭을 유도하는 미세구조가 결합된 이중 접합 건식 접착제 및 이의 사용 방법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층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탄성 또는 점탄성 구조체가 층 간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인터락킹 구조로 연결되어 있을 때 패치의 표면에 유발되는 물리적 상호작용(반데르발스 힘, 흡착, 모세관 힘 등)을 이용한 건식 접착 패치 제조 기술이다.
접착 기술은 크게 습식 접착 기술과 건식 접착 기술로 구분된다. 습식 접착 기술은 두 표면 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는 화학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상태를 구현한다. 반면 건식 접착 기술은 반데르발스 힘, 흡착, 모세관 힘 등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접착력을 유도한다. 습식 접착은 다양한 표면에 사용 가능하고, 필요한 정도에 따라 강력한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편리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되어왔고,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습식 접착 기술에는 다양한 한계가 존재한다. 습식 접착 기술은 본드, 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가역적 접착 성질을 가지며, 화학 접착제의 오염물질이 표면에 잔류하여 비가역적 오염이나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게다가,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는 화학접착제의 특징상, 접착력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고, 무엇보다 탈/부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습식 접착 기술은 표면 손상에 민감한 나노/마이크로구조체를 가지는 반도체 및 전자 소자 등에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건식 접착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건식 접착 기술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물리적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두 표면을 접착 상태로 유도하기 때문에, 표면에 비가역적 오염이나, 손상을 남기는 경우가 드물고, 접착력 역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지난 십 수년간 다양한 건식 접착 기술이 연구되어 왔고, 새로이 발달해 왔다.
특히, 이러한 다양한 건식 접착 기술 중 높은 효율을 보이는 건식 접착 기술들은 대부분 자연계에 존재하는 효율 높은 건식 접착 원리를 모방하여 제작된다. 그 예로는 게코 도마뱀의 발바닥을 모사한 것(Nature Materials 2, 461-463 (2003))과 딱정벌레 날개의 인터락킹 구조를 모사한 것(Adv. Mater., 2012, 24(4), 475-479) 등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건식 접착 기술에도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그것은 기존에 개발되어 온 건식 접착 패치 기술은 패치 표면과 접착 표면의 제작된 구조체 간의 상호작용에 강력히 의존하는 것이다. 이는 건식 접착 상태를 매우 제한적인 환경에 대해서만 유발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한다. 앞서 서술한 한 게코 도마뱀의 발바닥을 모사한 건식 접착 기술의 경우, 접착 표면에 미세 입자, 용매 등이 존재하는 경우 접착력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딱정벌레 날개의 인터락킹 구조를 모사한 건식 접착 기술의 경우 역시, 패치 표면과 접착 표면이 모두 나노 섬모로 구성된 경우에만 건식 접착 상태를 유도할 수 있는 한계를 지녔다. 더 나아가, 기존에 개발된 건식 접착 기술은 현재 반도체 및 전자 산업에 응용하기에 수직방향의 접착력에 있어 현저히 낮은 수치를 가지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건조, 습윤, 오염 등 다양한 패치 표면 및 접착 표면에서 강력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한 가역적인 건식 접착 패치의 개발이 강력하게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식 접착 기술은 패치 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구조체 기술에 기반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패치 표면 구조에 의존해 왔던 건식 접착 기술의 한계에서 벗어나 내부에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구조체를 가지는 패치를 제작하고, 패치 내부의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치 표면 및 접착표면에서 접착력을 증감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면에 접착면을 가지는 하단 층; 및 상기 하단 층의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과 인터락킹 결합에 의해 증착된 상단 층을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인터락킹 결합이란, 두 층의 표면에 형성된 구조물 간의 맞물림 및 엉킴 등과 같은 결합에 따른 결합을 의미한다.
상기 하단 층 및 상기 상단 층은 스트레스에 따른 변형률이 다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터락킹 결합에 의해 결합된 두 층이, 패치의 탈착 행위 또는 부탁된 면의 움직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따라, 각각 다른 변형률로 국소적으로 변함에 따른 접착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국소적 변형 또는 접착 대상과의 공간 형성 등에 의해 건식 접착이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하단 층은 상기 상단 층에 비해 스트레스에 따른 변형률이 큼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 층이 상단 층에 비해 더 유연하고 변형률이 크면, 외부의 스트레스에 의해 접착면에의 다수의 국소적 변형 또는 공간이 잘 발생되어, 건식 접착의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특히, 탈착 방향의 힘 또는 부착대상의 움직임 등에 대해 접착력을 오래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하단 층은 상기 상단 층에 비해 유연한 재질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킹은, 상기 하단 층의 상기 반대면에 형성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과, 상기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에 각각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기 상단 층에 형성된 음각 또는 양각 구조물의 맞물림에 의해 이뤄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각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음각 층을 포함하는 층에 비해 스트레스에 따른 변형률이 큼을 특징으로 한다. 양각층이 변형률이 크면, 외부의 스트레스에 의해 접착면에의 다수의 국소적 변형 또는 공간이 잘 발생되어, 건식 접착의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특히, 탈착 방향의 힘 또는 부착대상의 움직임 등에 대해 접착력을 오래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하단 층의 양각 또는 음각과 상기 상단 층의 음각 또는 양각 간의 측면 계면에 화학 접착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접착제에 의해 인터락킹의 결합력을 높여 건식 접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측면 계면에의 접착으로 건식 패치의 스트레스에 따른 접착면의 변형 및 상기 접착면의 공간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의 직경은 102 ㎚ 내지 102 ㎛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면에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면에 형성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의 직경은 1 ㎛ 내지 10 ㎛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단 및 하단 층은 탄성체 또는 점탄성 고체 및 점탄성 유체로 제작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단 및 하단 층은 PDMS(Poly dimethyl siloxane), PUA(Poly urethane acrylate), PS(Poly silicon), PVA(Poly vinyl alcohol), PU(Poly urethane), 및 PEG(poly ethylene glycol)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식 접착 시스템을 포함하는 피부 접착 패치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접착 패치는 상처 습윤 드레싱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메커니즘에 기반한 건식 접착 기술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새로운 건식 접착 기술이 개발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시도되지 않은 다양한 패치표면 및 접착 표면 상태에서의 건식 접착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새로운 건식 접착 기술은 다양한 표면에서의 제어된 접착력, 접착 후 내구성, 탈부착 반복성, 대면적 제조 여부, 표면 오염 및 자극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건식 접착 패치의 실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달팽이 모사 기반 건식 접착 패치 기술이 적용된 다층 건식 접착 패치의 대략적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락킹 구조체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모습의 구조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하단 층의 밑면(접착면)의 예시적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식 접착 패치의 건조, 습윤 및 오염 환경에서 접착력 증폭 현상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식 접착 패치의 맞물리는 인터락킹 구조체의 형태에 따른 접착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체의 종횡 비(AR)에서 표면 접착력을 측정한 실험의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식 접착 패치의 두께 비(TR) 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두께에서의 접착력을 측정한 실험의 결과이다.
도 7은 인터락킹 구조의 단면이며, 인터락킹 구조의 D(지름), AR(종회 비: 높이/지름), SR(공간 비: 간격/지름), 및 TR(두께 비: 최 하단 층 두께/높이)의 정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달팽이의 다리 근육 구조가 유발하는 건식 접착 메커니즘을 모사하여 건조, 습윤, 오염 등의 다양한 상태를 가지는 패치 표면 및 접착 표면에서 접착력의 증폭을 유도하는 미세구조가 결합된 이중 접합 건식 접착제 및 이의 사용 방법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층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탄성, 점탄성 구조체가 층 간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인터락킹 구조로 연결되어 있을 때 패치의 표면에 유발되는 물리적 상호작용(반데르발스 힘, 흡착, 모세관 힘 등)을 이용한 건식 접착 패치 제조 기술이다
본 발명의 달팽이 모사 기반 건식 접착 패치 제작 기술은, 패치 내부에 존재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층을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패치 내부에 스트레스 상태를 조절하고, 이를 이용하여 패치 표면에 앞서 서술한 다양한 물리적 상호작용을 유도, 표면의 접착력의 증감을 제어하는 다층 구조 건식 접착 유도 기술을 제공한다.
도 1은 달팽이 모사 기반 건식 접착 패치 기술이 적용된 다층 건식 접착 패치의 대략적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건식 접착 패치는 일면에 음각이 형성된 상단 층(110) 및 상기 음각에 맞물리게 구성되는 양각이 일면에 형성된 하단 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하단 층의 아랫면(122)이 접착이 되는 면이다.
상기 양각과 음각의 결합은 맞물린 형태로 인터락킹 되어 있다. 이때의 구조체는 인터락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구조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삼각, 사각, 오각, … , n각, 원형태의 밑면을 가지는 대칭 필라 또는 홀이 되거나, 삼각 사각 오각, … , n각, 원형의 밑면을 가지는 피라미드 또는 역 피라미드 상을 가지는 필라 또는 홀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거나 변형, 이동시켜 개량한 다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층은 동일하거나 다른 탄성체 또는 점탄성 고체 및 점탄성 유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PDMS(Poly dimethyl siloxane), PUA(Poly urethane acrylate), PS(Poly silicon), PVA(Poly vinyl alcohol), PU(Poly urethane), PEG(poly ethylene glycol)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면을 가지는 상기 하단 층은 상기 상단 층에 비해 더욱 유연한 재질로 이뤄져 있으며, 상기 상단 층은 상기 하단 층에 비해 더욱 단단한 재질로 이뤄져 있다.
접착이 되는 면인 상기 하단 층의 밑면은 민무늬(즉, 평평한 면)일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건식 접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건식 접착 구조물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단 층의 밑면은 다양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구조체는 상기 인터락킹 구조에 의해 상기 하단 층의 밑면에 유발되는 건식 접착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기 위해 그 크기가 각각 10μm 이하가 되어야 한다. 도 3에서 제시된 상기 하단 층 밑면에 존재하는 구조체는 굴곡이 있거나 거칠기를 가지는 표면에 긴밀한 접촉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때의 구조체 형태는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구조체 및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거나 변형, 개량시킨 구조들을 포함한다. 또한 이 접착면에 형성된 건식 구조체는 양각인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양각의 상단에 빨판 챔버를 포함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상단 층과 하단 층간의 인터락킹 맞물림 구조에 의해 상기 하단 층의 접착면에 수직 방향 건식 접착 능력을 증폭 및 제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는, 패치의 밑면의 전단 방향 건식 접착 능력을 증폭 및 제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증폭 효과는 건조, 습윤 및 오염(수분, 알코올, 오일 등) 환경 하에서 유도되며, 소재 제어를 통해 더욱 증폭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재료 (실리콘, 유리, 금속 박막 등), 또는 형태 (요철 구조 등)를 가지는 접착 표면에 대해서도 그 증폭 성질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건식 접착 패치의 건조, 습윤 및 오염 환경에서 접착력 증폭 현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건조한 상태 및 물, 알코올, 오일에 오염된 상태의 4가지의 접착 표면 상태에 대하여, 내부에 맞물리는 인터락킹 구조가 있는 본 발명의 달팽이 모사 패치(Slug Patch)와 인터락킹 구조가 없는 평면 패치(flat Patch)의 접착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의 달팽이 모사 패치에서, 이의 맞물리는 인터락킹 구조체는 도 7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D(지름)=30μm, AR(종회 비: 높이/지름)=3, SR(공간 비: 간격/지름)=1, TR(두께 비: 최 하단 층 두께/높이)=8"로 제작하였다. 이의 하단 층의 재질은 실리콘을 제작하였고, 상단 층의 재질은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하였으면, 하단 층이 상단 층에 비해 유연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서의 인터락킹 구조가 없는 평면 패치는 본 발명의 하단 층과 동일 한 재질로 하였고, 크기도 본 발명의 패치와 동일한 두께 및 너비를 갖도록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달팽이 모사 건식 접착 패치에서 최소 9배에서 최대 20배까지의 접착력 증폭 현상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건식 접착 패치의 맞물리는 인터락킹 구조체의 형태에 따른 접착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체의 종횡 비(AR)에서 표면 접착력을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접착 표면은 건조한 상태와 오일에 오염된 상태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험결과 구조체의 AR이 감소할수록 표면에 접착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맞물리는 인터락킹 구조체 및 하단 층은 AR을 제외하고는 모두 “D=30μm, SR=1, TR=8”의 상태였다.
본 발명의 건식 접착 패치의 두께 비(TR) 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두께에서의 접착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접착 표면은 건조한 상태와 오일에 오염된 상태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TR을 제어하여 접착력의 증감을 100~300%까지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맞물리는 인터락킹 구조체는 모두 “D= 30μm, AR= 3, SR=1”의 상태였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일면에 접착면을 가지는 하단 층; 및
    상기 하단 층의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과 인터락킹 결합에 의해 증착된 상단 층을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층 및 상기 상단 층은 스트레스에 따른 변형률이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층은 상기 상단 층에 비해 스트레스에 따른 변형률이 큼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층은 상기 상단 층에 비해 유연한 재질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킹은, 상기 하단 층의 상기 반대면에 형성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과, 상기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에 각각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기 상단 층에 형성된 음각 또는 양각 구조물의 맞물림에 의해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은 상기 음각 층을 포함하는 층에 비해 스트레스에 따른 변형률이 큼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층의 양각 또는 음각과 상기 상단 층의 음각 또는 양각 간의 측면 계면에 화학 접착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의 직경은 102 ㎚ 내지 102 ㎛ 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에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에 형성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물의 직경은 1 ㎛ 내지 10 ㎛ 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및 하단 층은 탄성체 또는 점탄성 고체 및 점탄성 유체로 제작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및 하단 층은 PDMS(Poly dimethyl siloxane), PUA(Poly urethane acrylate), PS(Poly silicon), PVA(Poly vinyl alcohol), PU(Poly urethane), 및 PEG(poly ethylene glycol)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식 접착 시스템을 포함하는 피부 접착 패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착 패치는 상처 습윤 드레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착 패치.
KR1020170090532A 2017-07-17 2017-07-17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KR10209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32A KR102097449B1 (ko) 2017-07-17 2017-07-17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PCT/KR2017/010713 WO2019017526A1 (ko) 2017-07-17 2017-09-27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32A KR102097449B1 (ko) 2017-07-17 2017-07-17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52A true KR20190008752A (ko) 2019-01-25
KR102097449B1 KR102097449B1 (ko) 2020-04-06

Family

ID=6501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32A KR102097449B1 (ko) 2017-07-17 2017-07-17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7449B1 (ko)
WO (1) WO2019017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19400A (zh) 2021-09-02 2023-05-16 瑞士商赫孚孟拉羅股份公司 用於治療aml之抗體
WO2023208990A1 (en) 2022-04-26 2023-11-02 F. Hoffmann-La Roche Ag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a fas axis antagonist and a t-reg cell depleting agent antagonist,
WO2024088987A1 (en) 2022-10-26 2024-05-02 F. Hoffmann-La Roche Ag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98B1 (ko) * 2011-05-27 2012-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섬모의 인터락킹을 이용한 가역적 전기커넥터, 이를 이용한 다기능 센서 및 그 제작방법
US20140363610A1 (en) * 2009-10-14 2014-12-11 Daniel Elliot Sameoto Compression, extrusion and injection molding of interlocking dry adhesive microstructures with flexible mold technology
KR20150104321A (ko) * 2014-03-05 2015-09-1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접합 플라스틱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0080A (ko) * 2014-12-29 2016-07-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식 접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접착용 웨어러블 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3610A1 (en) * 2009-10-14 2014-12-11 Daniel Elliot Sameoto Compression, extrusion and injection molding of interlocking dry adhesive microstructures with flexible mold technology
KR101200798B1 (ko) * 2011-05-27 2012-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섬모의 인터락킹을 이용한 가역적 전기커넥터, 이를 이용한 다기능 센서 및 그 제작방법
KR20150104321A (ko) * 2014-03-05 2015-09-1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접합 플라스틱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0080A (ko) * 2014-12-29 2016-07-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식 접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접착용 웨어러블 소자
KR101745803B1 (ko) * 2014-12-29 2017-06-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식 접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접착용 웨어러블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526A1 (ko) 2019-01-24
KR102097449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8752A (ko) 복수의 층간 인터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건식 접착 시스템
CN106816530B (zh)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1745803B1 (ko) 건식 접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접착용 웨어러블 소자
Minsky et al. Composite microposts with high dry adhesion strength
Zhang et al. Strain-controlled switching of hierarchically wrinkled surfaces between superhydrophobicity and superhydrophilicity
EP2267796A3 (en) Separation method of nitride semiconductor laye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emiconductor waf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L2008000206A1 (es) Laminado elastomerico que comprende a) una capa de pelicula elastomerica con una primera y segunda superficie donde su peso base es menor a 70 gsm y b) una capa sustrato la cual contiene un material extensible con una deformacion por traccion en rupt
Chun et al. A transparent, glue-free, skin-attachable graphene pressure sensor with micropillars for skin-elasticity measurement
CN109533960B (zh) 一种基于壁虎仿生结构辅助的真空吸附结构及制作方法
CN105836696B (zh) 一种基于电致动的干粘附复合结构及制造工艺
WO2009028283A1 (ja) 半導体歪みセンサー
TW200735258A (en) Thin slice electrode of electrostatic sucking disc
US11982580B2 (en) Dielectric elastomer transducer and corresponding fabrication process
Ruffatto et al. Optimiza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electrostatic adhesive geometry
US10138542B2 (en) Mechanically gated electrical switches by creasing of patterned metal/elastomer bilayer films
WO2009028068A1 (ja) 粘着シート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2011063082A3 (en) Surface-modified adhesives
WO2009006284A3 (en) Semiconductor die having a redistribution layer
KR20200075719A (ko)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한, 피부에 부착 가능한 플렉서블 패치 및 상기 플렉서블 패치를 제조하는 방법
MX2015001811A (es) Dispositivo de aislamiento sismico deslizante.
KR101200798B1 (ko) 미세섬모의 인터락킹을 이용한 가역적 전기커넥터, 이를 이용한 다기능 센서 및 그 제작방법
Kwon et al. Porous dielectric elastomer based ultra-sensitive capacitive pressure sensor and its application to wearable sensing device
Mohammadi Nasab et al. Switchable adhesion via subsurface pressure modulation
KR101269395B1 (ko) 센서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551359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8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27

Effective date: 202003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