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428A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428A
KR20190008428A KR1020197000991A KR20197000991A KR20190008428A KR 20190008428 A KR20190008428 A KR 20190008428A KR 1020197000991 A KR1020197000991 A KR 1020197000991A KR 20197000991 A KR20197000991 A KR 20197000991A KR 20190008428 A KR20190008428 A KR 2019000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solutio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458B1 (ko
Inventor
권정환
황선호
배경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25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display capabilities, e.g. screen resolution of a mobile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33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hardware characteristics, e.g. manufacturer, processing or storag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송수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스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가 특정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영상의 송수신이 가능한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들은 방송국에서 방송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여, 이를 영상으로 변환 및 출력하였다.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영상 표시 장치들은 방송 신호들뿐만 아니라,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영상들을 출력하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스마트 TV(smart TV)라고 한다.
스마트 TV는 통신을 통하여, 웹(web) 접속,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능, 게임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영상 표시 장치는, 이동 단말기 등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영상들을 출력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미러링(mirroring) 기술,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 캐스팅(casting) 기술 등이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통신 표준화 기구에서, 통신 기술을 규격화하였다. 이러한 표준 규격의 일 예로, 2012년 8월 24일 Wi-Fi Display specification v1.0이 공표되고, 2014년 4월 24일 Wi-Fi Display specification v1.1의 표준 문서가 공표되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기기 간 영상의 공유 시, 통신 상태의 불안정성 또는 통신 부하로 인하여, 영상의 끊김 등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기기 간의 원활하게 영상을 공유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기기 간의 영상의 공유 시, 영상의 끊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 규격을 따르는 두 기기 간의 영상 공유 시, 영상의 수신 장치 측에서,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멀티 태스킹(multi-tasking) 수행 시,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을 보장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소스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가 특정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크기에 대응되는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이 제1크기를 갖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가 제1대역폭을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이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를 갖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가 제1대역폭보다 큰 제2대역폭을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기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작아지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 중인 영상의 수신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수신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크기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영상을 다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 작업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통신 상태를 갖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이 백그라운드(background) 작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통신 상태와 다른 제2통신 상태를 갖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은,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될 때보다,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될 때, 더 낮은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장치가 싱글 태스킹(single-tasking)으로 동작 중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으로 동작을 전환하는 경우,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될 영상이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장치가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을 전환하는 경우,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될 영상이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모듈레이션 타입 및 코딩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기 전에 수신된 영상과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기 전,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의 변경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정보에 대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싱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싱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특정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특정 해상도로 상기 싱크 장치에 영상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장치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장치에 영상의 전송 중, 상기 싱크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장치와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 중인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전송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장치와 통신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싱크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전송 내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이 중단되기 전 전송 될 영상을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 중인 상태에서,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중인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는 고해상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저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함으로써, 영상의 끊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전송 장치에 직접적인 해상도 변경 명령을 전송하지 않더라도, 영상 전송 장치가 해상도를 변경한 영상을 전송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표시 중,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가 낮춰지도록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변경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멀티 태스킹 수행 시, 불필요한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메모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의 무선 통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소스 장치(source device)와 싱크 장치(skin device)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들 간의 연결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는 도 5와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영상의 표시 크기에 따른 영상의 해상도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9은 도 7과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상태에 따라, 영상의 해상도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와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멀티 태스킹에 따른, 영상의 해상도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과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싱크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소스 장치에서,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제어 방법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소스 장치가, 해상도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장치로써, 고정형 단말기 및 이동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 고정형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는 고정형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형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영상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영상 표시 장치(100)와 다른 영상 표시 장치(100) 사이,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영상 표시 장치 내 정보, 영상 표시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영상 표시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영상 표시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영상 표시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영상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영상 표시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 표시 장치(100) 간의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적합한 형태로 인코딩/디코딩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인코딩/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다른 영상 표시 장치에 전송하거나, 다른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영상 표시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의 무선 통신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는 와이파이 장치(Wi-Fi Device)일 수 있다.
와이파이 장치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기기 간에 AP(Access point)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렇게 와이파이 장치 간의 직접적인 통신 방식을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Wireless Fidelity) Direct)라고 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화된 표준 규격이 정의되어 있다. 이하의 영상 표시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표준 규격을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다른 영상 표시 장치와 직접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송수신부(1101), PHY 프로토콜 모듈(Physical Layer Protocol Module)(1102), MAC 프로토콜 모듈(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Module)(1103), 프레임 생성부(1104)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1)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와이파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수신부(1101)는 PHY 프로토콜 모듈(1102)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정보를 RF 스펙트럼(Radio-Frequency Spectrum)으로 옮기고, 필터링(Filtering), 증폭(Amplification) 등을 수행하여 안테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101)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와이파이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스트림(stream)을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1101)는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을 PHY 프로토콜 모듈(1102)에서 처리 가능한 대역으로 옮기고,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송수신부(1101)는 이러한 송신과 수신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Switch)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PHY 프로토콜 모듈(1102)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통신 매체에 적합하게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PHY 프로토콜 모듈(1102)은 MAC 프로토콜 모듈(1103)으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받으면, 요청 받은 데이터에 대하여 FEC 인코딩(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ing), 모듈레이션(Modulation), 프리엠블(Preamble) 및 파일롯(Pilot)등의 부가신호를 삽입하는 등의 처리를 하여 송수신부(1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HY 프로토콜 모듈(1102)은 송수신부(1101)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전달 받으면, 전달 받은 수신 신호를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이퀄리제이션(Equalization), FEC 디코딩(Forward Error Correction Decoding) 및 PHY(Physical layer)에서 부가된 신호의 제고 등의 과정을 통해 MAC 프로토콜 모듈(1103)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해서 PHY 프로토콜 모듈(1102)은 모듈레이터(Modulator),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 이퀄라이져(Equalizer), FEC 인코더(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er) 및 FEC 디코더(Forward Error Correction de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MAC 프로토콜 모듈(1103)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상위 레이어(layer)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PHY 프로토콜 모듈(1102)로 전달,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정을 수행하기도 하고, 기본적인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한 부가적인 전송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MAC 프로토콜 모듈(1103)은 상위 레이어에서 전송 요구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게 가공하여 PHY 프로토콜 모듈(1102)로 전달 및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MAC 프로토콜 모듈(1103)은 PHY 프로토콜 모듈(1102)에서 전달된 수신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위 레이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전달을 위해서 필요한 여타의 부가적인 송수신을 담당함으로써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역할 또는 담당할 수 있다.
프레임 생성부(1104)는 다른 와이파이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하여, 데이터 프레임, 요청 프레임 및/또는 응답 프레임을 생성한다.
제어부(180)는 앞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들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영상 표시 장치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소스 장치(source device)와 싱크 장치(skin device)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를 소스 장치(source device)(200),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를 싱크 장치(sink device)(300)로 명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스 장치(20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싱크 장치(3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싱크 장치(30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스 장치(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를 구별하는 경우, 각각의 용어를 사용하고,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를 참조하면,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는 통신 수행을 위하여, 서로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여기에서, 페어링은,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페어링을 위한 동작은 종래 알려진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가 페어링되는 경우,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는 서로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정보들을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정보들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결정하기 위한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정보은, RTSP command 메시지들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정보들을 통하여,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이 결정된 후, 상기 소스 장치(200)는 싱크 장치(3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stream)을 생성하기 위하여, 비디오 코덱, 오디오 코덱, PES packetization, HDCP system 2.0/2.1, MPEC2-TS over RTP/UDP/I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장치(200)는 싱크 장치(200)에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전송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RTSP over TCP/IP, remote I2C Read/Write, UIBC with HIDC, generic user input, session key establishment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소스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RTP 또는 UDP 기반으로 동작하고, 통신 제어를 위하여, TCP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오류 복구가 필요없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채널과, 통신 제어를 위한 정보 전송 채널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싱크 장치(20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싱크 장치(200)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 및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들 간의 연결 방식를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들 간의 연결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는,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 간에 Wi-Fi P2P 또는 TDLS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우선, 도 3a과 같이,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는, 802.11 Wi-Fi P2P 규격에 따른 Wi-Fi P2P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AP(Access Point)는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AP는 동일한 AP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AP 일 수도 있다. 또는,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가 Wi-Fi P2P 연결된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에는 AP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도 3b와 같이,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는, 802.11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규격에 따른 TDLS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는 특정 AP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는 공통의 AP를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의 연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Wi-Fi Direct 표준 규격에서는, 소스 장치가 싱크 장치에 영상의 전송 시, 싱크 장치의 성능을 고려하여, 싱크 장치에 전송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고, 나아가, 영상의 전송 중, 소스 장치가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 규격 상으로, 싱크 장치는 영상의 전송 중,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권한을 가지지 못하였다. 이에, 싱크 장치는 불필요한 경우에도 항상 소스 장치에서 전송하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 간의 영상의 송수신 시, 원활한 영상 공유를 위하여, 싱크 장치에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를 도면 부호 380, 디스플레이부를 도면 부호 35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소스 장치(200)의, 제어부를 도면 부호 280, 디스플레이부를 도면 부호 25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며, 각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의 제어부(180), 디스플레이부(151) 및 통신부(11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와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우선, 싱크 장치(300)는, 소스 장치(2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510).
싱크 장치(300)는, 앞선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소스 장치(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에게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정보들(예를 들어, RTSP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싱크 장치(300)는 상기 소스 장치(200)와 통신 연결된 후, 상기 소스 장치(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520).
상기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은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장치(200)는 통신 상태(channel condition)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 상태는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신로(통신 채널)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역폭, 전송 속도 등 통신과 관련된 정보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 상태를 대역폭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대역폭 이외의 전송 속도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포맷은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포맷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해상도는, 일반적으로, SD(Standard Definition: 표준 해상도), HD(High Definition:고 선명도), 풀 HD(Full High Definition), 울트라 HD(Ultra High Definition)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분 이외에도, 다양한 기준으로 구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싱크 장치(300)와 페어링된 소스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상기 싱크 장치(300)의 대역폭에 근거하여,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대역폭이 클수록,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고해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200)는 제1대역폭을 갖는 통신 상태인 경우, 영상의 해상도를 제1대역폭에 대응되는 제1해상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소스 장치(200)는 제1대역폭보다 큰 제2대역폭을 갖는 통신 상태인 경우, 영상의 해상도를 제2대역폭에 대응되는 제2해상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해상도는, 제1해상도보다 고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영상의 해상도 결정 후, 상기 싱크 장치(300)에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싱크 장치(300)는, 상기 소스 장치(200)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상기 소스 장치(200)로부터 영상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된 영상에 대하여 디코딩 및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80)는 상기 디코딩 및 렌더링이 수행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51)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상기 영상의 출력은 동영상의 재생을 의미한다.
상기 싱크 장치(300)는, 상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중, 기 설정된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S530).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필요로 하는 싱크 장치(300)의 동작과 관련된 이벤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이벤트,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상태가 변경되는 이벤트 및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이벤트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표시되는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이벤트이다. 예를 들어, 표시 크기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상태가 변경되는 이벤트는 영상 표시 기능이 백그라운드 실행 및 포어그라운드 실행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은, 소스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백그라운드 실행은 복수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 중인 상태에서, 우선 순위가 낮아, 후순위로 처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백그라운드 실행 상태에서, 프로그램은 화면 접근 권한을 가지지 않는다. 반대로, 포어그라우드 실행은 복수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 중인 상태에서, 우선 순위가 높아 우선적으로 처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포어그라운드 실행 상태에서, 프로그램은 화면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으로 동작하는 이벤트는, 싱크 장치(300)가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싱크 장치(300)가 영상의 출력 이외에 다른 기능을 동시에 실행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싱크 장치(300)가 영상의 출력 기능만을 실행하는 경우,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하는 단일 태스킹(single-tasking)으로 동작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540).
상기 제어부(38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80)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변경하기 위하여, 와이파이 드라이버(Wi-Fi Driver)의 모듈레이션 타입(Modulation type) 및 코딩 레이트(Cording rate)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소스 장치(200)는 제1대역폭을 갖는 통신로를 통하여, 제1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출력 영역과 동일한 제1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 중인 영상은 제1크기에서,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로 축소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표시 크기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영상의 표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장치에 설치된 기능들 중, 상기 영상의 표시와 관련되지 않은 기능의 실행 요청이 입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표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1크기에 대응되는 해상도보다 낮은, 제2크기에 대응되는 저해상도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가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소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채널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와 같이, 제어부(380)는 제1대역폭(a)보다 좁은 제2대역폭(b)으로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소스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싱크 장치(300)에 영상의 전송 중, 싱크 장치(300)와 통신하는 통신 채널의 대역폭이 변경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변경된 대역폭에 적합하도록 싱크 장치(300)에 전송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제1해상도를 갖는 영상의 전송 중, 대역폭이 좁아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제1해상도에서, 상기 제1해상도보다 낮은 제2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그 후, 소스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제2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싱크 장치(300)는 상기 대역폭의 변경 후, 상기 소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대역폭의 변경 전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550).
싱크 장치(300)는 대역폭의 변경 후, 소스 장치(200)로부터 통신 대역폭이 변경되기 전에 수신되었던 영상과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제어부(380)는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통신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소스 장치(200)가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싱크 장치(300)는 소스 장치(200)에 해상도 변경을 위한 직접적인 제어 명령을 전송하지 않더라도, 해상도가 변경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380)는 영상의 출력 중 영상의 표시 크기가, 대역폭이 변경되기 전의 크기로 되돌아 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와 같이,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크기가, 제2크기에서, 대역폭의 변경 전 크기인 제1크기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상기 영상의 해상도가 제1크기에 적합한 해상도로 변경할 필요성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80)는 상기 영상의 크기가 제1크기로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소스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제1크기에 대응되는 대역폭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영상의 크기가, 제2크기에서 제1크기로 변경된 경우, 제2해상도에 대응되는 제2대역폭(b)에서, 제1해상도에 대응되는 제1대역폭(a)으로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싱크 장치(300)는 영상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이 수신되도록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200)는 앞선 설명과 같이, 대역폭이 제2대역폭(b)에서 제1대역폭(a)으로 변경됨을 감지하고, 제1대역폭(a)으로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대역폭(a)에 대응되는 제1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상도 변경을 위한 별도의 제어 명령을 가하지 않더라도 싱크 장치(300)에서 영상의 출력 중 영상의 표시 크기에 따라 적절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 간의 영상 송수신 시, 대역폭을 변경함으로써, 영상의 해상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300)는 간접적으로 소스 장치(200)에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 간에 보다 원활하게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영상의 끊김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에서, 영상의 표시 크기 변경에 근거하여,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영상의 표시 크기에 따른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은 도 7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개념도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장치(200)와 싱크 장치(300)가 서로 페어링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710). 상기 영상이 수신되면,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51)에 상기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720).
상기 영상의 표시 중, 제어부(380)는 상기 표시된 영상의 표시 크기의 변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730).
상기 제어부(38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영상의 표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를 통한 무선 신호 입력, 또는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은 영상의 표시 크기 변경을 위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51)의 전체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표시 모드 및 디스플레이부(351)의 일부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일부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표시 모드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체 표시 모드 및 일부 표시 모드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351)의 전체 출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전체 표시 모드에 진입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80)는 일부 표시 모드로 진입을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51)의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b)와 같이,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출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일부 표시 모드에 진입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일부 표시 모드에서는 사용자는, 직접 영상의 표시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와 같이, 제어부(380)는 영상을 제1크기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을 제1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c)와 같이, 제어부(380)는 영상을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을 제2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변경된 영상의 표시 크기에 근거하여,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740).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크기의 변경이 감지되면, 소스 장치가 전송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된 경우, 소스 장치가 전송하는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유도하기 위하여, 소스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기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대역폭을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기 이전보다 좁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기 이전보다 커진 경우, 대역폭을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기 이전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부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크기가 작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대역폭(x1 -> x2 -> x3)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로의 대역폭 변경 후, 제어부(380)는 상기 대역폭 변경 이전에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750).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이 수신되면, 제어부(380)는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760).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상기 통신로의 대역폭을 변경한 후, 상기 소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대역폭의 변경 이전에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서, 상기 제어부(380)는 제1대역폭(x1) 하에서, 제1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80)는 제1해상도를 갖는 영상의 크기가, 제1크기에서, 제2크기로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영상의 크기가 제2크기로 변경됨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로의 대역폭을 제1대역폭(x1)에서, 제2대역폭(x2)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통신로의 대역폭이 제2대역폭(x2)으로 변경된 후,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대역폭 변경 이전에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제2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제2해상도를 갖는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제2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제2크기로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8의 (c)에서도, 상기 제어부(380)는, 영상이 제2크기에서, 제3크기로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로의 대역폭을 제2대역폭(x2)에서, 제3대역폭(x3)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80)는 제3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3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제3크기로 디스플레이부(351)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설명에서, 소스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는 동영상의 재생 중 동영상의 해상도를 동영상의 크기에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작아지는 경우, 소스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수신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작아지는 경우, 소스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더 이상 영상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크기는, 사용자 또는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된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300)는 영상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작아지면, 사용자가 더 이상 영상을 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영상의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싱크 장치(300)는 사용자의 니즈(needs)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영상의 수신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통신 연결의 해제 이전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80)는, 동영상이 수신 중인 경우, 동영상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 와 같이, 제어부(380)는 제3대역폭(x3)하에서, 제3해상도를 갖는 영상의 수신 중,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영상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작아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동영상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c)와 같이, 제어부(380)는 통신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크기로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소스 장치(200)와 다시 통신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상기 통신이 해제되기 이전에 수신 중인 영상을 재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스 장치(200)는 통신이 해제되는 시점에서, 전송 중인 영상의 전송 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소스 장치(200)는 다시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전송 내역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연결의 해제 이전에 전송 중이던 영상을 재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300)는 통신이 해제되더라도, 통신 해제 이전에 수신 중인 영상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영상의 표시 크기에 따른 통신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영상의 표시 크기에 적절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상태 변경에 따라,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실행 상태에 따라, 영상의 해상도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와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기능의 실행 상태에 따라, 소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로의 통신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소스 장치(200)에서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 표시 기능을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S1010).
도 11의 (a)와 같이, 상기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그라운드 작업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51)에 소스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그라운드 작업 중인 경우, 소스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으 제1크기(y1)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표시 중, 제어부(380)는 기 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020).
제어부(380)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 중,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이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되는 이벤트는, 상기 영상 표시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b)와 같이,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중, 메뉴 표시 기능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메뉴 표시 기능을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시키고, 영상 표시 기능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메뉴 표시 기능은 영상 표시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항목으로 갖는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중,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영상 표시 기능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모드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지 않아, 대기 전류를 제외한 나머지 전류를 차단하여,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한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대기 모드에서는, 스크린 세이버(screen saver)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어,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b)와 같이,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경우, 대역폭을 제1대역폭(y1)에서, 제2대역폭(y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200)는, 대역폭 변경에 근거하여,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200)는, 제1대역폭(y1)에서 제1해상도를 갖는 영상의 전송 중, 제2대역폭(y2)으로 변경되면, 제1해상도보다 낮은 제2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300)는 대역폭 변경을 통하여,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메모리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메모리의 사용량을 감소키고, 이를 통하여, 메모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영상 표시 기능이 다시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하는 경우, 소스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을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을 백그라운드 작업에서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대역폭을 다시 제2대역폭(y2)에서 제1대역폭(y1)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 중인 경우,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받고, 영상 표시 기능이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 중인 경우, 저해상도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상태에 따른, 영상의 해상도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멀티 태스킹에 따른 영상의 해상도 변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싱크 장치에서, 멀티 태스킹에 따른, 영상의 해상도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과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 태스킹 또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싱글 태스킹(single-tasking)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멀티 태스킹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작업 및/또는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 중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싱글 태스킹은 하나의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작업 및/또는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 중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80)는,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을 전환하거나, 그 반대의 동작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어부(380)는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하는 경우, 메모리 효율성을 위하여, 소스 장치(200)와의 통신로의 대역폭을 감소시켜,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이 저해상도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1210). 또한,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220). 이 경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능만을 실행하는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능만이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 중, 제어부(380)는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함을 감지할 수 있다(S1230).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이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 중, 영상 표시 기능과 다른 기능이 실행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중, 예약 녹화 기능이 수행됨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중, 뮤직 플레이 기능이 실행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1240).
제어부(380)는 싱글 태스킹에서 멀티 태스킹으로 전환되는 경우,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소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a)와 같이, 제어부(380)는 영상 표시 기능만이 실행 중인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 중, 예약 녹화 기능의 실행이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싱글 태스킹에서,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을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되는 경우,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위하여,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b)와 같이, 제1대역폭(z1)에서, 제2대역폭(z2)로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200)는 대역폭 변경을 감지하고, 제2대역폭(z2)에 대응되는 제2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대역폭(z2)에 대응되는 제2해상도는, 제1대역폭(z1)에 대응되는 제1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일 수 있다.
제어부(380)는 상기 대역폭의 변경 후, 상기 대역폭의 변경 전에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1280). 그 후,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260).
즉,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는 메모리 부족으로, 고해상도의 영상의 수신 시, 영상 끊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인 경우, 영상의 해상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는, 메모리의 효율성과 동시에, 영상의 원활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어부(380)는, 멀티 태스킹에서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이 전환되는 경우, 통신 상태를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80)는 예약 녹화 기능이 종료된 경우, 대역폭을 제2대역폭(z2)에서, 제1대역폭(z1)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중, 뮤직 플레이 기능이 종료된 경우, 제2대역폭(z2)에서, 제1대역폭(z1)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다시 제1대역폭(z1)에 대응되는 제1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멀티 태스킹 동작 수행 여부에 따른 해상도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해상도 변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싱크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300)의 제어부(38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소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통신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영상의 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도 있지만,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영상의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80)는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4의 (c)와 같이, 제어부(380)는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동작의 수행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부(351)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팝업창을 통하여 해상도 변경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을 통하여,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c)와 같이, 사용자가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동작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80)는, 소스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제1대역폭(w1)에서, 제2대역폭(w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상도 변경을 위한 제어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해상도 변경의 필요성을 알림과 동시에, 해상도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해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싱크 장치의 제어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소스 장치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소스 장치에서,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제어 방법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소스 장치가, 해상도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장치(200)는 싱크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장치(200)는, 싱크 장치(300)에 영상 전송 중, 싱크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싱크 장치(300)에 전송될 영상의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장치(200)는 변경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와 같이, 소스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싱크 장치(3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1510). 그 후,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싱크 장치(300)의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S1520).
제어부(280)는 상기 싱크 장치(300)와 통신 연결이 수행되면, 상기 싱크 장치(300)로부터 통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대역폭, 전송 속도, 동작 주파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통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제1대역폭인 경우, 제1해상도, 제2대역폭인 경우, 제2해상도로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상기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S1530).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의 전송 중, 싱크 장치(300)의 통신 상태의 변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540).
제어부(280)는, 상기 싱크 장치(300)에 상기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의 전송 중, 싱크 장치(300)의 통신 상태의 변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80)는, 싱크 장치(300)와 통신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이 줄어듦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싱크 장치(300)의 통신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S1550).
상기 제어부(280)는, 대역폭이 변경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상기 변경된 대역폭에 대응되는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표준 규격에 따라,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80)는 싱크 장치(300)에 해상도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해상도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wfd-av-format-change-timing parameter를 포함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싱크 장치(300)는, 해상도 변경 요청을 수락 또는 해상도 변경 요청을 거절하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소스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fd-video-formats을 0으로 설정한 메시지는 해상도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메시지이고, wfd-video-formats을 1로 설정한 메시지는, 해상도 변경 요청을 거절하는 메시지이다.
소스 장치(200)는 싱크 장치(300)로부터 해상도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변경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S1560).
만일, 소스 장치(200)는 싱크 장치(300)로부터 해상도 변경 요청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대역폭 변경 이전 영상과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싱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상기 싱크 장치(300)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영상의 전송 중, 싱크 장치(3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싱크 장치(300)에 전송 중인 영상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싱크 장치(300)에 전송 중인 영상의 중단 시점을 나타내는 전송 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280)는, 다시 싱크 장치(300)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전송 내역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을 재전송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시적인 통신 단절에도, 연속성 있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소스 장치(200)에서,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 중인 상태에서,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중인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는 고해상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저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함으로써, 영상의 끊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전송 장치에 직접적인 해상도 변경 명령을 전송하지 않더라도, 영상 전송 장치가 해상도를 변경한 영상을 전송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표시 중,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가 낮춰지도록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변경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멀티 태스킹 수행 시, 불필요한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메모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소스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 및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가 특정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크기에 대응되는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이 제1크기를 갖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가 제1대역폭을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이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를 갖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가 제1대역폭보다 큰 제2대역폭을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기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작아지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 중인 영상의 수신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수신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크기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영상을 다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 작업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통신 상태를 갖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이 백그라운드(background) 작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통신 상태와 다른 제2통신 상태를 갖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은,
    상기 영상 표시 기능이 포어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될 때보다,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동작될 때, 더 낮은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장치가 싱글 태스킹(single-tasking)으로 동작 중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으로 동작을 전환하는 경우,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될 영상이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표시 장치가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을 전환하는 경우, 싱글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될 영상이 멀티 태스킹으로 동작 중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모듈레이션 타입 및 코딩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기 전에 수신된 영상과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기 전,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의 변경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정보에 대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4. 소스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가 특정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로의 대역폭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로의 대역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특정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가 특정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의 표시 크기가 변경되는 이벤트,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능의 실행 상태가 변경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8. 싱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 및
    상기 싱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할 영상의 특정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특정 해상도로 상기 싱크 장치에 영상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장치의 통신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통신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장치에 영상의 전송 중, 상기 싱크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 장치와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싱크 장치에 전송 중인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전송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 장치.
KR1020197000991A 2016-09-07 2016-09-07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142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0009 WO2018047989A1 (en) 2016-09-07 2016-09-07 Image display device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428A true KR20190008428A (ko) 2019-01-23
KR102142458B1 KR102142458B1 (ko) 2020-08-10

Family

ID=6156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991A KR102142458B1 (ko) 2016-09-07 2016-09-07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95939B2 (ko)
KR (1) KR102142458B1 (ko)
WO (1) WO20180479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82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하우앳 무선으로 전력 및 영상 관련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9223A1 (en) * 2020-05-27 2021-12-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content
EP4181618A4 (en) * 2020-09-24 2023-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IRECT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5149A1 (en) * 2004-07-28 2006-02-02 Jeyhan Karaoguz Quality-of-service (QoS)-based association with a new network using background network scanning
KR20070018199A (ko) * 2005-08-09 2007-0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송 중단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방법
US20070249363A1 (en) * 2001-01-31 2007-10-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Queuing far/far service requests in wireless network
US20130076908A1 (en) * 2009-05-26 2013-03-28 Raymond Alex Bratt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and control for portable device
US20140184723A1 (en) * 2012-12-31 2014-07-03 T-Mobile Usa, Inc. Display and Service Adjustments to Enable Multi-Tasking During a Video Call
US20150016500A1 (en) * 2013-07-11 2015-01-15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scalable coding of video information
US20150121226A1 (en) * 2012-08-31 2015-04-30 Google Inc. Dynamic adjustment of video quality
KR20160039453A (ko) * 2014-10-01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5815B2 (en) * 2006-12-13 2015-03-31 Quickplay Media Inc. Mobile media pause and resume
US20100034256A1 (en) 2008-08-06 2010-02-11 Broadcom Corporation Video frame/encoder structure to increase robustness of video delivery
US8156238B2 (en) 2009-05-13 2012-04-10 Stmicroelectronics, Inc. Wireless multimedia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JP5897792B2 (ja) * 2010-12-10 2016-03-3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システム
US8674957B2 (en) 2011-02-04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device for wireless back channel
US8250228B1 (en) * 2011-09-27 2012-08-21 Google Inc. Pausing or terminating video portion while continuing to run audio portion of plug-in on browser
US9171348B2 (en) * 2012-01-23 2015-10-27 Google Inc. Rendering content on computing systems
CN104184682B (zh) 2013-05-21 2018-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带宽的调整方法以及带宽调整控制器
US9558787B2 (en) * 2014-01-29 2017-01-31 Google Inc. Media application backgrounding
PH12016000220A1 (en) * 2016-06-06 2018-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processing with operating state-dependent handling of multimedia attribut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9363A1 (en) * 2001-01-31 2007-10-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Queuing far/far service requests in wireless network
US20060025149A1 (en) * 2004-07-28 2006-02-02 Jeyhan Karaoguz Quality-of-service (QoS)-based association with a new network using background network scanning
KR20070018199A (ko) * 2005-08-09 2007-0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송 중단된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방법
US20130076908A1 (en) * 2009-05-26 2013-03-28 Raymond Alex Bratt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and control for portable device
US20150121226A1 (en) * 2012-08-31 2015-04-30 Google Inc. Dynamic adjustment of video quality
US20140184723A1 (en) * 2012-12-31 2014-07-03 T-Mobile Usa, Inc. Display and Service Adjustments to Enable Multi-Tasking During a Video Call
US20150016500A1 (en) * 2013-07-11 2015-01-15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scalable coding of video information
KR20160039453A (ko) * 2014-10-01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82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하우앳 무선으로 전력 및 영상 관련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458B1 (ko) 2020-08-10
WO2018047989A1 (en) 2018-03-15
US20190238939A1 (en) 2019-08-01
US11095939B2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62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US2018022762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reproduction system
US97561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8056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3060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a process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US20160337689A1 (en) Decoding apparatus, de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EP2846254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1021480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9509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ile during video call in electronic device
US100850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I684101B (zh)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之記錄媒體
CN108605057B (zh)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US110681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142458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시스템
JP6022076B2 (ja)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500517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703537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4075264A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表示方法
JP2016100841A (ja) 通信装置、撮像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501677A (zh) 一种镜像投屏方法、显示设备及移动终端
CN115426338A (zh) 一种媒体文件传输方法及装置
US20150002429A1 (en) Hos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hos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