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081A -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081A
KR20190008081A KR1020180061848A KR20180061848A KR20190008081A KR 20190008081 A KR20190008081 A KR 20190008081A KR 1020180061848 A KR1020180061848 A KR 1020180061848A KR 20180061848 A KR20180061848 A KR 20180061848A KR 20190008081 A KR20190008081 A KR 2019000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expense
receipt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703B1 (ko
Inventor
석창규
Original Assignee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898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69021B1/ko
Application filed by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7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은,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타임스탬프(time stamp)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저장을 위하여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회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회사의 임직원이 비용으로 사용한 각종 종이 영수증을 전자문서화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보관함으로써 영수증을 법적인 증빙효력을 가지는 전자문서 형태로 보관할 수 있고, 그 결과 종래와 같이 거래의 증빙서류로서 종이 영수증을 일정 기간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이나 이에 따른 비용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경비처리증빙 처리 결과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어, 회사의 경비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XPENSES WITHOUT USING EVIDENTIAL PAPER RECEIPTS, AND COMPUTER PROGRAM AND USER DEVICE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비 지출 영수증을 전자문서화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소에 저장함으로써, 영수증을 촬영한 전자문서가 법적인 증빙효력을 갖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종래의 종이 영수증 증빙서류를 대체하는 새로운 경비지출관리 기술에 대한 것이다.
기업에서는, 임직원들이 법인 명의의 카드, 개인 명의의 카드 또는 현금 등을 사용하여 지출한 내역에 대하여, 선지출 후 회사의 경비 관리자에게 증빙서류와 함께 지출 결의서를 제출하고 결재를 거쳐 경비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출 과정은 통상적으로 종이에 인쇄된 서류에 종이 영수증을 풀칠하여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출 결의서의 승인이 완료된 후 승인 완료된 지출결의서를 편철하여 창고에 보관하거나 이미지로 스캔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실물 종이 영수증을 증빙서류로 수령한 회사는, 국세기본법 제85조의 3(장부 등의 비치와 보존)에 따라 종이 영수증을 거래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국세의 법정신고기한이 지난 날부터 5년간 보관할 의무를 갖는다. 종이 영수증 보관의 불편으로 인하여 영수증을 이미지로 스캔하여 회사 서버에 파일 형태로 저장하더라도, 이러한 이미지는 국세기본법상의 증거자료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이미지는 이미지대로 보관하고 실물 종이 영수증은 여전히 별도의 공간을 할애하여 국세기본법상 규정에 따라 5년간 보관하여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028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사의 임직원이 비용으로 사용한 각종 종이 영수증을 전자문서화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소에 보관함으로써 종래의 종이 영수증 보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경비처리증빙 처리 결과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은,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타임스탬프(time stamp)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저장을 위하여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회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은, 상기 저장부에 의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이 저장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회부는,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공인전자문서 서버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은,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검증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경비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하여,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서 발급된 타임스탬프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검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 정보를 타임스탬프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저장을 위하여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상기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공인전자문서 서버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경비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사용자 장치가,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이미지 정보를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서 발급된 타임스탬프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 장치가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회사의 임직원 등이 비용으로 사용한 각종 종이 영수증을 실물 형태로 보관하는 대신 이미지 형태로 전자문서화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소에 보관함으로써, 국세기본법의 규정에 따라 회사의 거래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종이 영수증을 5년간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타임 스탬프(timestamp) 인증을 거쳐 공인전자문서 보관소에 저장된 증빙 전자문서는, 국세기본법 제85조의 3(장부 등의 비치와 보존) 제4항과,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5조(전자문서의 보관) 제2항 및 제31조의 2(공인전자문서센터의 지정)의 규정에 따라 거래 증거자료로서 유효한 것이므로, 상기 증빙 전자문서에 의하여 종래의 실물 종이 영수증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은 경비 사용자 또는 회사의 경비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경비처리증빙 결과로서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 또는 원본을 제공함으로써, 경비 사용자는 자신이 신청한 경비에 대한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경비 담당자는 경비 사용자들이 제출한 경비처리 신청에 대한 증빙문서의 원본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경비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장치(1) 및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 통신하면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경비 관리자의 제2 사용자 장치(2)와도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5)와도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통신 과정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수신부(31), 인증부(33), 저장부(34) 및 조회부(35)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검증부(32)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데이터베이스(340)를 더 포함한다.
한편,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는 문서저장 서버(41) 및 타임스탬프인증(Time Stamping Authorities; TSA) 서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는 정부의 지정을 받아 타인을 위하여 전자문서를 보관, 증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미지 및 메타데이터(metadata)의 무결성 정보를 검사하는 소위 신뢰 스캔 과정을 거쳐 스캔된 이미지를 법적 효력을 가진 전자문서로서 보관하는 기관의 서버이다.
또한, 금융기관 서버(5)는 영수증 검증에 사용되는 카드 사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이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장치로 도시하였으나, 금융기관 서버(5)는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기관을 통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하는 금융기관이란 카드사, 은행, 국세청, 전자영수증 사업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사용자 장치 및 서버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 2),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 및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 이들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의 수신부(31), 검증부(32), 인증부(33), 저장부(34) 및 조회부(35) 등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부(31), 검증부(32), 인증부(33), 저장부(34) 및 조회부(35)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치(1, 2)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또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치(1, 2)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소정의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다른 장치가 접속하기 위한 서버가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같은 독립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경비 사용자란, 회사의 경비 지출을 목적으로 법인공용카드, 법인개별카드, 개인카드, 복지카드, 해외카드 또는 현금 등을 사용하고 증빙을 위해 영수증을 제출하고자 하는 회사의 임직원 등을 지칭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영수증이란 신용카드 영수증, 직불카드 영수증, 현금 영수증, 간이과세 영수증 등 실물 종이 영수증으로서 법에서 지출에 대한 증빙으로 규정하는 임의의 형식을 가지는 영수증일 수 있고, 특정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 장치(1)는 위와 같은 경비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구현되며,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와 통신함으로써 경비 처리를 위한 영수증 이미지 제출 및 증빙처리결과의 조회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1 사용자 장치(1)의 형태는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용자 장치(1)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경비 관리자란, 회사 내 경비처리를 주 업무로 하는 임직원으로서, 다른 임직원들이 영수증을 첨부하여 제출한 경비인정 요청에 대하여 이를 승인하거나 거절하는 등 경비 처리를 수행하는 담당자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2 사용자 장치(2)란 상기 경비 관리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경비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사용자 장치(1)에 대응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는 인증부(13) 및 통신부(1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는 촬영부(1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는 검증부(12)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부(11-14)는 사용자 장치(1)에서 수행하는 동작에 따라 사용자 장치(1)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며,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소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사용자 장치(1)의 각 부(11-14)에 의한 동작은 사용자 장치(1)상에서 실행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11)는 경비로 인정받고자 하는 종이 영수증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촬영부(11)는 통상의 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3)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과의 통신을 통하여, 영수증 이미지에 대응되는 타임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수신하고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부분이다. 타임스탬프는 특정 시각에 데이터 파일이 실제로 존재하였고 그 시점 이후에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증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파일의 해시(hash)값, 데이터 파일의 전송 시각,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대하여 발급된 인증서 및 전자 서명 등이 포함된 토큰(token)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의 통신을 통한 타임스탬프 인증을 위해서는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 연계된 기능 모듈이 필요하며, 인증부(13)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구비된 이러한 기능 모듈을 통하여 증빙 전자문서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 증빙 전자문서의 생성을 위하여, 사용자 장치(1)의 인증부(13)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을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서 영수증 이미지 파일을 전자문서화하고 타임스탬프 날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장치(1)의 인증부(13)에서 직접 영수증 이미지 파일을 전자문서화하고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과의 통신을 통해 타임스탬프 날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증빙 전자문서의 생성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통신부(14)는 사용자 장치(1)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통신을 위한 부분이다. 예컨대, 통신부(14)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 또는 이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거나,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증빙 전자문서 생성을 위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거나, 생성된 증빙 전자문서를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의 저장을 위하여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1)가 검증부(12)를 포함하는 경우, 검증부(12)는 촬영된 영수증에 대한 진위여부 검증 및/또는 중복 여부 검증을 수행한다. 검증 과정을 위하여, 통신부(14)는 금융기관 서버(5)(도 1 참조)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를 이용하여 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검증 과정을 위한 카드 사용 데이터는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1)에 수신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검증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수신부(31)는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영수증 이미지 파일 또는 이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를 수신하며, 인증부(33)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대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의 통신을 통해 타임스탬프를 날인하여 이를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인증부(33)는 전자문서의 전자적 정보에 해당하는 해시값을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전송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의 TSA 서버(42)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으로 발행된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해당 해시값에 대해 발행된 타임스탬프 정보는 TSA 서버(42)에도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은 제1 사용자 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부(33)는 제1 사용자 장치(1)가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계된 기능 모듈의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부(34)는, 제1 사용자 장치(1) 또는 인증부(33)에서 생성된 증빙 전자문서를 수신하고, 이를 보관을 위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의 문서저장 서버(41)에 전송한다. 또한, 저장부(34)는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생성하거나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40)는 영수증 이미지 원본 데이터, 카드 거래 데이터, 영수증에 대한 검증 데이터, 과거의 경비지출처리 결과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열람하는 것뿐만 아니라,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영수증이 과거에 경비처리된 영수증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중복 제출 검증 등에 더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이 검증부(32)를 포함하는 경우, 검증부(32)는 촬영된 영수증에 대한 진위여부 검증 및/또는 중복 여부 검증을 수행한다. 검증 과정을 위하여, 수신부(31)는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5)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며, 검증부(32)는 수신부(31)에 수신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검증 과정이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수신부(31)는 단지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검증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조회부(35)는, 제1 사용자 장치(1) 및/또는 제2 사용자 장치(2)에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조회부(35)는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이용하여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사용자 장치(1) 및/또는 제2 사용자 장치(2)에 의한 요청이 있을 경우, 조회부(35)는 경비처리증빙의 원본, 즉, 문서저장 서버(41)에 저장된 증빙 전자문서의 조회를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요청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로부터 수신된 조회 결과를 제1 사용자 장치(1) 및/또는 제2 사용자 장치(2)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영수증에 대한 검증 과정 및 영수증의 증빙 전자문서로의 변환 과정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상에서 이루어지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기 과정들은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5)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전송받고(S20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수신된 경비사용내역 조회 요청(S202)에 대한 응답으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203). 경비지출관리 시스템(1)은 사전에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scrapping) 등의 방식으로 금융기관 서버(5)로부터 사용자의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카드 사용 데이터를 스크래핑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 또는/또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 사용 데이터의 수신(S201) 과정은 사용자의 조회 요청(S202)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경비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에 수신된 카드 사용 데이터를 열람하다가 그 중 회사의 경비로 처리할 것을 신청하고자 하는 사용내역이 있을 경우, 사용자 장치(1)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내역에 대한 증빙 영수증을 촬영하고(S204), 촬영된 이미지 정보 및 이에 대해 경비 사용자가 입력한 경비지출정보(예컨대, 경비의 사용 목적, 사용 내역 등)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205). 이때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란 영수증을 촬영한 영수증 이미지 파일에 해당한다.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서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 및 경비지출정보로부터 영수증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S206),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단계(S201)에서 수신된 카드 사용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영수증에 대한 진위여부의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S207). 이때, 진위여부 검증을 위하여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할 데이터의 종류는 회사의 경비 관리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검증부(32)(도 1 참조)는 소정의 검증 규칙 엔진을 포함하고 있으며, 소정의 검증 규칙에 기초하여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데이터의 주요 항목은 거래수단식별번호(카드 번호, 현금영수증 번호, 계좌 번호 등), 거래식별번호(승인 번호, 영수증 번호 등), 거래일시(거래일자, 거래시각 등), 거래금액, 거래처 정보(사업자 번호, 가맹점 명 등) 등일 수 있다.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영수증 이미지 파일에 공지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이미지로부터 전술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영수증 이미지의 어느 부분에 어떠한 정보가 위치하고 있는지는 사전에 알 수 없으므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서는 각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카드사에서 규정하고 있는 형식에 기반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기준으로 해당 데이터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항목 카드사 규정 형식 이미지에서 추출할 데이터
거래수단식별번호 16자리 숫자 16자리를 가지는
연속된 숫자열
거래식별번호 10자리 내외 숫자 10자리 내외의
연속된 숫자열
거래금액 금액 콤마(,)를 포함하는
XX,XX0 형식의 숫자열
(X는 임의의 정수)
거래처 정보 사업자 번호 YYY-YY-YYYYY 형식의 숫자열
(Y는 임의의 정수)
그러나,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할 데이터 항목과 이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은 상기 표 1에 기재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할 데이터 항목의 종류나 이에 대하여 카드사에서 규정한 형식에 따라 상기 표에 도시한 것과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서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주요 항목이 카드 사용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영수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의 주요 항목 중 하나라도 카드 사용 데이터와 상이할 경우에는 위조된 영수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할 데이터 항목의 개수 및/또는 종류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종이 영수증을 이미지로 촬영하면 영수증의 상태에 따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회사의 경비 관리자는 회사의 업무 관행이나 통상적인 영수증 이미지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할 데이터의 항목의 개수 및/또는 종류를 보안 수준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경비 관리자는 하기 표 2와 같은 형태로 보안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보안 수준 검증할 데이터 항목
레벨 0 거래금액 일치
레벨 1 거래금액 + 사용일시 일치
레벨 2 거래금액 + 사용일시 + 추가 1개 항목 일치
레벨 3 거래금액 + 사용일시 + 추가 2개 항목 일치
상기 표 2에 도시된 보안 수준과 이에 따른 데이터 검증 항목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표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영수증의 경비처리를 위한 보안 수준은 각 경비 사용자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도 1 참조)는 각 사용자의 직급이나 부서 등 사용자 정보, 및 직급이나 부서 등에 기반하여 설정된 보안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로부터 영수증 이미지가 수신될 경우, 해당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이에 대해 설정된 보안 수준을 확인하고, 확인된 보안 수준에 기초하여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항목과 카드 사용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진위여부 검증 과정과 병행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경비처리를 위하여 제출된 영수증에 대한 중복 제출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S208). 이는 과거에 이미 경비처리를 위해 제출되어 증빙문서의 저장이 이루어진 영수증이 중복으로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도 1 참조)는 영수증 이미지 원본 데이터, 카드 거래 데이터, 영수증에 대한 검증 데이터, 과거의 경비지출처리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현재 경비처리를 위해 제출된 영수증이 과거에 동일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에 의하여 제출된 것이 아닌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복 제출 여부에 대한 검증 과정은 다음과 같은 복수의 단계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검증 단계로서, 사용자 장치(1)로부터 제출된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해당 파일의 해시(hash)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해시값을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도 1 참조)에 저장되어 있는 영수증 이미지 원본 데이터들의 해시값과 비교하여 동일한 해시값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이 과거에 제출된 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과거에 제출되지 않은 영수증 이미지 파일이라고 하더라도, 동일한 종이 영수증을 다시 촬영하여 중복 제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한 두 번째 검증 단계로서,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추출된 주요 데이터 항목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도 1 참조)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의 경비지출처리 결과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중복 제출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 항목을 통한 중복 제출 여부 검증 시에는, 동일한 거래수단에 의해 동일 금액을 여러 번 지출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거래수단식별번호, 사용금액, 거래처 등의 일치 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적어도 거래식별번호 또는 거래일시를 주요 데이터 항목으로 하여 과거의 경비지출처리 결과와의 비교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진위여부 검증 및/또는 중복 제출 여부에 대한 검증 결과를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209). 또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상기 검증 결과를 회사의 경비 관리자에게도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2)(도 1 참조)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S210).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영수증의 검증 과정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영수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S201 내지 S210)는 생략되거나 간략화될 수 있다. 예컨대, 영수증 검증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장치(1)는 증빙 영수증을 촬영하여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는 과정(S204, 205)만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 과정에 의하여 위조된 영수증이 아니며 또한 중복 제출되지 않은 영수증인 것으로 결정되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영수증 이미지 파일을 소정의 형식의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S211). 상기 전자문서로의 변환은, 실물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에 법적 증빙효력을 부여하기 위한 전자문서화 과정의 첫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전자문서는 전자문서 표준 포맷(format)인 PDF 형식의 문서일 수 있다.
다음으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에 상응하는 타임스탬프 인증을 수행하고(S212), 타임스탬프를 전자문서에 날인함으로써 증빙 전자문서의 원본을 생성한다(S13). 구체적으로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전자문서의 해시값을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전송함으로써,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로부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PDF형식의 전자문서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결합하여 PDF 또는 XML 형식의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문서에 대한 타임스탬프 인증을 통하여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은 ISO32000-1, RFC 3161, 어도비(Adobe) 표준 등 TSA 관련 국내외 표준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므로, 타임스탬프 인증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 연계 모듈은, 전자문서에 대한 타임스탬프 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과정과, 또한 전자문서에 대한 위변조 체크를 통한 검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API를 이용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이상의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증빙 전자문서의 원본을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전송하여 문서저장 서버(41)(도 1 참조)에 저장되도록 한다(S214). 이상의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증빙 전자문서는 법에서 정의하는 거래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유효하므로 이로서 실물 종이 영수증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도 1 참조)에 저장한다(S215).
다음으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제출된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한다(S216). 이때,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이용하여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저장된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 자체를 포함하거나, 이에 대한 스냅샷 또는 관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회사의 경비 관리자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자신의 관리 감독하에 있는 일부 또는 전체 경비 사용자의 경비처리증빙에 대한 원본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비 관리자는 경비처리내역에 대한 법적 증빙 요구가 있는 경우 원본조회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원본조회를 요청하는 과정은 경비 관리자가 자신의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경비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원본조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경비처리증빙 원본 조회 요청을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전송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 조회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본 조회 결과를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2)(도 1 참조)를 통해 경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경비처리증빙 원본 조회 결과를 경비 관리자뿐만 아니라 경비 사용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은, 영수증에 대한 검증 과정 및 영수증의 증빙 전자문서로의 변환 과정이 제1 사용자 장치(1)에서 이루어지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비 사용자가 카드 사용 데이터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을 통하여 수신하고, 이 중 경비 처리를 위하여 제출할 사용내역에 대한 증빙 영수증 및 경비지출정보를 제출하는 단계(S301 내지 S305)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상응하는 단계(S201 내지 S205)와 각각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경비지출정보 및 영수증의 전송 후 사용자 장치(1)에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추출하고(S306), 추출된 데이터 항목을 카드 사용 데이터와 비교하여 영수증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7). 상기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영수증이 위조되지 않은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용자 장치(1)상에 별도의 입력이 없더라도 사용자 장치(1)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영수증의 진위 여부 검증 과정과 병행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사용자 장치(1)는 촬영된 영수증이 과거에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에 제출된 것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중복 제출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S308). 중복 제출 여부의 검증을 위하여, 사용자 장치(1)는 중복 제출 여부의 검증에 필요한 정보(예컨대, 영수증 이미지 원본 데이터, 과거 경비지출처리 결과 데이터 등)를 경비지출 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도 1 참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진위여부 검증 및/또는 중복 제출 여부에 대한 검증 결과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309). 또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상기 검증 결과를 회사의 경비 관리자에게도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2)(도 1 참조)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검증 과정에 의하여 위조된 영수증이 아니며 또한 중복 제출되지 않은 영수증인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장치(1)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을 소정의 형식의 전자문서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자문서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310).
다음으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전자문서에 상응하는 타임스탬프 인증을 수행하고(S312), 타임스탬프를 전자문서에 날인함으로써 증빙 전자문서의 원본을 생성한다(S11). 전자문서의 변환 및 타임스탬프 날인을 통한 증빙 전자문서의 생성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1)는 이상의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증빙 전자문서의 원본을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전송하여 문서저장 서버(41)(도 1 참조)에 저장되도록 한다(S313).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의 접근을 위하여 연계 모듈의 동작이 필요하므로, 증빙 전자문서의 원본을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에 전송하는 과정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을 경유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는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전송하여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도 1 참조)에 저장되도록 한다(S314).
회사의 경비 관리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접속함으로써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저장된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조회할 수 있다(S315). 도 3에서는 경비 관리자에 의한 조회 동작만을 도시하였으나, 경비 사용자도 자신의 사용자 장치(1)에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에 접속함으로써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조회할 수 있다. 나아가, 경비지출관리 시스템(3)은, 경비 사용자 및/또는 경비 관리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4)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 조회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본 조회 결과를 경비 사용자 및/또는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타임스탬프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저장을 위하여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회부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의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이 저장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부는,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공인전자문서 서버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도록 더 구성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8. 경비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사용자 장치로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하여,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서 발급된 타임스탬프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검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사용자 장치.
  12.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 정보를 타임스탬프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하여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저장을 위하여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로부터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증빙 전자문서의 사본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공인전자문서 서버로부터 경비처리증빙 원본조회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이,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경비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19. 경비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사용자 장치가, 종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이미지 정보를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서 발급된 타임스탬프 정보와 결합된 증빙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종이 영수증에 대한 경비처리증빙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수증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하고, 영수증 이미지 파일로부터 변환된 전자문서에 상기 타임스탬프 정보를 날인하여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증빙 전자문서를 상기 공인전자문서 보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사용자 장치가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카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영수증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경비지출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비지출관리 방법.
  2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비지출관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61848A 2017-07-14 2018-05-30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48A KR102417703B1 (ko) 2017-07-14 2018-05-30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24A KR101869021B1 (ko) 2017-07-14 2017-07-14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61848A KR102417703B1 (ko) 2017-07-14 2018-05-30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24A Division KR101869021B1 (ko) 2017-07-14 2017-07-14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81A true KR20190008081A (ko) 2019-01-23
KR102417703B1 KR102417703B1 (ko) 2022-07-07

Family

ID=8239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48A KR102417703B1 (ko) 2017-07-14 2018-05-30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7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2508A (ja) * 2003-03-28 2004-10-28 K Solution:Kk 科目機能内蔵決済端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決済システム
JP2008107912A (ja) * 2006-10-23 2008-05-08 Ricoh Co Ltd 業務管理装置、業務管理方法及び業務管理プログラム
KR20100009028U (ko) 2009-03-06 2010-09-15 조민현 영수증 증빙서철
JP2016115225A (ja) * 2014-12-17 2016-06-23 達也 菅藤 経費仕訳管理用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経費仕訳管理用サーバープログラム、経費仕訳管理用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及び経費仕訳管理用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2508A (ja) * 2003-03-28 2004-10-28 K Solution:Kk 科目機能内蔵決済端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決済システム
JP2008107912A (ja) * 2006-10-23 2008-05-08 Ricoh Co Ltd 業務管理装置、業務管理方法及び業務管理プログラム
KR20100009028U (ko) 2009-03-06 2010-09-15 조민현 영수증 증빙서철
JP2016115225A (ja) * 2014-12-17 2016-06-23 達也 菅藤 経費仕訳管理用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経費仕訳管理用サーバープログラム、経費仕訳管理用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及び経費仕訳管理用サー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703B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2658B (zh) 用于提供数字身份记录以核实用户的身份的系统和方法
US10402784B2 (en) Dynamic notary system
US20190364038A1 (en) Digital Identification Document
US92689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eld-verifiable record authentication
US11373265B2 (en) Digital identification document
US10692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watermarking digital facial portraits
KR101869021B1 (ko)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EA034354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подлинности информации документа
US200800919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rinted page authentication, unique code generation and content integrity verification of documents
EP2908261A1 (en) Method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with an analog-digital signature with additional verification
KR20060084032A (ko)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20210272084A1 (en) System and process for electronic payments
KR20000049674A (ko)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전자서명 제공 및 인증 방법
CN111145031B (zh) 一种保险业务定制方法、装置及系统
US104601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watermarking digital facial portraits
TWM520159U (zh) 產生與驗證具電子認證與紙本認證的認證電子文件之裝置
KR20190008081A (ko) 종이 영수증 무증빙 처리를 위한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515781B (zh) 一种电子保函验真方法及装置
TW201719487A (zh) 產生與驗證具電子認證與紙本認證的認證電子文件之裝置及其方法
CN112464968A (zh) 印鉴快速鉴伪方法、服务器及用户终端
KR102511854B1 (ko) 문서 공증 시스템 및 방법
EP4167520A1 (en) Digital certification of scanned documents
RU2794054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независимого подтвержд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WO2022097608A1 (ja) 情報管理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方法
JP2020108178A (ja) 電子データ保管サーバ、及び、電子データ保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