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802A -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802A
KR20190007802A KR1020170089263A KR20170089263A KR20190007802A KR 20190007802 A KR20190007802 A KR 20190007802A KR 1020170089263 A KR1020170089263 A KR 1020170089263A KR 20170089263 A KR20170089263 A KR 20170089263A KR 20190007802 A KR20190007802 A KR 2019000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ehicle
function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치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802A/ko
Publication of KR2019000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스위치를 통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가 간편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과,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입력부 조작에 의해 차량의 시트 제어 기능, 공조 제어 기능,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입력부는 버튼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스크롤 스위치, 터치 버튼 스위치, 터치 스크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 구조를 취한다.

Description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MULTI-FUNCTION SWITCH UNIT FOR REA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기나 오디오, 시트 등 차량의 다양한 기능 장치나 편의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의 경우,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는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 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또한 차량의 뒷좌석에 배치되는 암레스트에도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스위치가 배치된다. 뒷좌석 암레스트에 구비되는 스위치로는 차량의 공조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공조스위치와 차량의 오디오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오디오스위치 등의 리모트제어스위치와, 뒷좌석 열선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열선스위치와 뒷좌석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스위치 등의 시트제어스위치 등이 있다.
그런데 뒷좌석 암레스트에 구비되는 종래의 스위치는 리모트제어스위치와 시트제어스위치가 별도의 제어부를 갖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가 번거롭고 많은 부품으로 인한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902호 (2011. 03. 0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스위치를 통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가 간편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조작에 의해 차량의 시트 제어 기능, 공조 제어 기능,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부는 버튼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스크롤 스위치, 터치 버튼 스위치, 터치 스크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공조기나 오디오 제어를 위한 리모트제어스위치와, 시트의 편의 기능 제어를 위한 시트제어스위치를 통합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다양한 스위치의 통합 구조를 통해 설치 시 배선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중복된 하드웨더(커넥터, PCB 등)를 통합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복수의 스위치를 단일화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고, 금형 투자비나 설비 투자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시 중복 공정을 단일화하여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인건비나 관리비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이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각종 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과 차량의 각종 장치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의 선택 모드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다양한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의 터치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터치 버튼 스위치의 스위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터치 버튼 스위치의 터치 버튼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과 차량의 각종 장치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과 차량의 각종 장치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이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각종 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과 차량의 각종 장치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과, 로터리 스위치(115)와, 스크롤 스위치(120)와, 버튼 스위치(125)(130)와, 기판(135)과, 제어부(140)와, 스위치 둘레에 배치되는 베젤부(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100)은 종래 기술과 같이 별도로 설치되는 각종 스위치(예컨대, RARS: Rear Arm Rest Switch, RRC: Rear Remote Control 등)가 통합된 구조를 취하여 차량(10)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10)의 각종 기능 장치 또는 편의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100)이 연결될 수 있는 차량(10)의 장치로는, CCP(Central Control Panel), CGW(Central Gateway), PSM(Power Seat Module), APSM(Assist Power Seat Module), EDSM(Electronic Driver Seat Module), EASM(Electronic Assistant Seat Module), CCS(Climate Control System), IBU(Integrated Body Unit), PSSW(Power Seat Switch), CCS(Climate Control System), RRER(Rear Right Electronic Relay), RLER(Rear Leftt Electronic Relay), AV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Curtain 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100)은 이러한 각종 장치들과 LIN 통신 방식, B-CAN 통신 방식, MM-CAN 통신 방식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10)의 뒷자리 암레스트 등 탑승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하우징 바디(111)와, 하우징 바디(111)의 하부를 덮는 하우징 바텀 커버(1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에는 기판(135)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로터리 스위치(115), 스크롤 스위치(120), 버튼 스위치(125)(130) 등의 설치를 위한 각종 설치홈이 마련된다.
로터리 스위치(115)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120)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120)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버튼 스위치(125)(130)는 하우징(110)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버튼 스위치(125)(130)는 하우징(110)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무빙 블록(150)과 연결된다. 버튼 스위치(125)(130)의 조작에 따라 무빙 블록(150)이 움직여 기판(135)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제어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무빙 블록(150)과 기판(135) 사이에는 러버 패드(155)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스위치(125)(130) 중 버튼 스위치(125)는 로터리 스위치(115) 및 스크롤 스위치(120)와 함께 차량의 공조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버튼 스위치(130)는 차량의 시트 기능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LIN 통신 방식, B-CAN 통신 방식, MM-CAN 통신 방식 등을 통해 시트 제어나 공조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 제어를 위한 각종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100)은 사용자 조작을 위한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고, 차량의 각종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10)의 시트나 공조기, 또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제어를 위한 스위치나 공조기 등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중복된 하드웨더(커넥터, PCB 등)를 통합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복수의 스위치를 단일화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고, 금형 투자비나 설비 투자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시 중복 공정을 단일화하여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인건비나 관리비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의 선택 모드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다양한 아이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200)은 하우징(210)과, 버튼 스위치(215)와, 터치 스크린(220)과, 장식 패널부(225)와, 인디케이터 렌즈(23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의 내측에는 기판과, 제어부, 광원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200)은 버튼 스위치(215)와 터치 스크린(220)을 입력부로 하여 시트 제어나 공조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20)은 입력 모드에 따라 다양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제어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220)은 도 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아이콘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공조 제어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220)은 도 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아이콘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제어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220)은 도 6의 (c) 및 (d)에 나타낸 것과 같은 아이콘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장식 패널부(225)에는 로고 등 다양한 장식 마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식 패널부(225)는 터치 입력부 구조를 취하여 필기 인식 또는 터치 인식이 가능한 입력부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 렌즈(230)는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렌즈(230)는 장식 패널부(225)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의 터치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터치 버튼 스위치의 스위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터치 버튼 스위치의 터치 버튼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300)은 하우징(310)과, 로터리 스위치(115)와, 스크롤 스위치(120)와, 터치 버튼 스위치(321)와, 버튼 스위치(125)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기판과, 제어부, 광원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200)은 버튼 스위치(215)와 터치 스크린(220)을 입력부로 하여 시트 제어나 공조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115)와 스크롤 스위치(120) 및 버튼 스위치(125)는 차량의 공조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터치 버튼 스위치(321)는 차량의 시트 기능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터치 버튼 스위치(321)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터치 버튼부(321)와, 제어부와 연결되는 스위치부(322)를 포함한다.
터치 버튼부(321)는 IMD(In Mold Decoration)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터치 버튼부(321)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도 10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부 금형(350), 중간 금형(355) 및 상부 금형(360)을 준비하고, 하부 금형(350) 위에 잉크 레이어(375)가 적층된 캐리어 필름(370)을 올려 놓는다.
다음으로, 도 10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부 금형(350)과 중간 금형(355) 사이에 캐리어 필름(370)이 개재되도록 하여 하부 금형(350)과 중간 금형(355) 및 상부 금형(360)을 차례로 결합한다. 그리고 인젝터(365)를 이용하여 액상의 레진을 상부 금형(360) 및 중간 금형(355)을 통해 캐리어 필름(370)과 중간 금형(355)의 사이에 주입한다.
다음으로, 도 10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진을 경화시켜 사출물의 일면에 잉크 레이어가 구비된 터치 버튼부(321)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과 차량의 각종 장치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400)은 하우징(410)과, 시트 스위치(415)와, 공조 스위치(420)와 디스플레이부(4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400)은 시트 스위치(415)와 공조 스위치(420)를 입력부로함으로써 시트 제어나 공조 기능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25)에는 작동 모드에 따른 각종 아이콘이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시트 스위치(415)와 공조 스위치(420)는 버튼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터치 버튼 스위치, 터치 센서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과 차량의 각종 장치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500)은 하우징(510)과, 시트 스위치(515)와, 공조 스위치(520)와, 멀티미디어 스위치(525)와, 디스플레이부(5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500)은 시트 스위치(515)와 공조 스위치(520) 및 멀티미디어 스위치(525)를 입력부로함으로써 시트 제어나, 공조 기능 제어, 멀티미디어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30)에는 작동 모드에 따른 각종 아이콘이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시트 스위치(515)와, 공조 스위치(520) 및 멀티미디어 스위치(525)는 버튼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터치 버튼 스위치, 터치 센서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시트 제어 기능의 마스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좌,우 시트에 존재하는 다양한 슬레이브들의 마스터(스케줄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슬레이브의 종류로는 열선(통풍 제어), 형상 스위치(시트 위치제어), 시트 럼버모듈, 전자식 릴레이 등이 있다. 슬레이브와의 통신 방법식으로는 LIN, 2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Gate-way 역할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전,후석 연동 기능에 있어 슬레이브들의 신호정보를 Body-CAN으로 역할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석 VIP 석에서 릴리스 모드 스위치를 누르면 보조석 시트가 접히면서 동시에 VIP석 시트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들의 진단 관련 정보 Gate-way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공조제어기의 Display 및 입력장치 역할을 수행할수 있다. 이를 위해 공조모듈과 로컬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은 Sleep상태(시동꺼짐상태 등)에서도 형상스위치 혹은 ARS 스위치를 누르면 Wake-u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조작에 의해 차량의 시트 제어 기능, 공조 제어 기능,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부는 버튼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스크롤 스위치, 터치 버튼 스위치, 터치 스크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KR1020170089263A 2017-07-13 2017-07-13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KR20190007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63A KR20190007802A (ko) 2017-07-13 2017-07-13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63A KR20190007802A (ko) 2017-07-13 2017-07-13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802A true KR20190007802A (ko) 2019-01-23

Family

ID=6532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263A KR20190007802A (ko) 2017-07-13 2017-07-13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8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02B1 (ko) 2009-04-20 2011-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형 리모콘 스위치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02B1 (ko) 2009-04-20 2011-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형 리모콘 스위치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9388B (zh) 动态可重配置显示旋钮
US8411054B2 (en) Input device of touch panel type for vehicle
US8648832B2 (en)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US20090174533A1 (en) Instrumentation Assembly For A Vehicle
US20100057273A1 (en) Screen-Based Vehicle Control System
US20140229075A1 (en) Aftermarket hvac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climate control system
US20090024275A1 (en) Integrated Faceplate for Electronics Modules In Vehicle Center Console Designed Around Pass-Through Media Slots
WO2009089092A1 (en) Touch sensitive switches integrated with a vehicle interior part
KR20130129935A (ko) 자동차용 전자 제어 패널
US6118434A (en) Module structure
KR102354135B1 (ko) 근접센서
JP201705683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190007802A (ko)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US8103405B2 (en) Operator control unit for devices in a motor vehicle
US10737573B2 (en) Input device for vehicle
US6166450A (en) Control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15431761A (zh) 车载显示装置、车辆方向盘总成及车辆
US912648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uman-machine interface for a motor vehicle, and human-machine interface produced by said method
US8155831B2 (en) Flat panel touch interface for vehicle climate control system
KR102464610B1 (ko) 근접센서
JP7499118B2 (ja) 操作パネル
CN109747418B (zh) 用于车辆的控制面板
CN211350434U (zh) 一种汽车开关控制总成
CN211684949U (zh) 乘用车前排顶部控制模块
CN208705866U (zh) 一种电容触控式车用空调控制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