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610B1 - 근접센서 - Google Patents

근접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610B1
KR102464610B1 KR1020170154416A KR20170154416A KR102464610B1 KR 102464610 B1 KR102464610 B1 KR 102464610B1 KR 1020170154416 A KR1020170154416 A KR 1020170154416A KR 20170154416 A KR20170154416 A KR 20170154416A KR 102464610 B1 KR102464610 B1 KR 10246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sensor
metal layer
proximity sensor
sens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474A (ko
Inventor
권기덕
오석준
김무용
석동희
이종복
노희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10B1/ko
Priority to US16/175,070 priority patent/US11155206B2/en
Priority to DE102018219111.5A priority patent/DE102018219111A1/de
Priority to CN201811388271.3A priority patent/CN109814154B/zh
Publication of KR2019005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7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an obstacle, e.g. varying s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05Safety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e.g. increasing reliability, fail-saf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노출면이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심미감이 향상되고, 근접센서의 센싱 필드(field)를 조정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제1금속층을 포함하는 아우터 프레임과,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제2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2금속층과 접촉되는 센서 전극 및 상기 제2금속층으로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 전극과 연결되는 센서 IC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제한하도록 접지(GND)와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본 발명은 차량용 근접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용량 방식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근접센서는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기술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근접센서는 차량의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및 공조 등을 제어하는 입력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금속재질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입력 장치의 외관을 금속재질로 제작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차량 내부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적외선 근접센서의 경우, 그 전방에 금속과 같은 비투과성 물질이 배치되면 적외선이 이를 통과하지 못해 근접센서의 기능을 상실한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외관 제작에 난점이 있다.
또한, 적외선 근접센서의 경우, 적외선 센서 모듈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적외선 근접센서 대신 정전용량 방식 근접센서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정전용량 근접센서에서 발생되는 센싱 필드는 방향성이 없어 그 센싱 영역이 설계자가 의도한 영역보다 커질 수 있다. 즉, 원치 않는 영역에 대한 센싱이 이루어져 노이즈 발생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였을 때, 사용자의 무릎 등 신체 일부가 근접센서에 접촉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근접 또는 터치에 대한 센싱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관이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심미감이 향상된 근접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기구 설계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한 근접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근접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재질 선택 및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된 근접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근접센서의 센싱 영역을 보정하여 노이즈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 근접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제1금속층을 포함하는 아우터 프레임과,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제2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2금속층과 접촉되는 센서 전극 및 상기 제2금속층으로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 전극과 연결되는 센서 IC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제한하도록 접지(GN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 IC가 실장되고, 상기 접지(GND)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층과 상기 접지(GND)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와이어,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전도성을 가지는 기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의 범위를 형성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은,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을 적어도 둘로 나누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은 서로 분리된 제1이너 프레임과 제2이너 프레임 및 제3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이너 프레임 및 상기 제3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2이너 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3이너 프레임 사이에는 비전도성을 가지는 리브(rib)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는 아우터 프레임과,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1금속층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2금속층과, 상기 제2금속층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서 전극 및 상기 제2금속층으로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 전극과 연결되는 센서 IC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제한하도록 접지(GN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 IC가 실장되고, 상기 접지(GND)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의 범위를 형성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은,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을 적어도 둘로 나누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전극은 상기 패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에 결합되는 센서 전극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전극 베이스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전극은 상기 센서 전극 베이스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은 서로 분리된 제1이너 프레임과 제2이너 프레임 및 제3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이너 프레임 및 상기 제3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2이너 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3이너 프레임 사이에는 비전도성을 가지는 리브(rib)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외관이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심미감이 향상된 근접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기구 설계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한 근접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근접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재질 선택 및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된 근접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근접센서의 센싱 영역을 보정하여 노이즈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 근접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근접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근접센서에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스위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근접센서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에서, 아우터 프레임에 접지(GND)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에 센싱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에서, 아우터 프레임에 접지(GND)가 연결되었을 때에 센싱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과,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와,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와,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차륜(51, 52)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과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71)에는 밖을 내다 보거나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는 윈도우(72)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72)는 한쪽에서만 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와, 차량(10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패드(12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다이얼 조작부(123)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AVN 장치(1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1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131)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132)는 공조 장치(1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AVN 장치(134)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1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N 장치(134)는 AVN 장치(13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오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비디오 기능과 관련된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130)에는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 펜과 같은 입력수단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인식하도록 마련되는 근접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200)는 사용자의 근접 및 터치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접 및 터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근접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근접센서에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근접센서(200)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공조장치(131), 오디오 장치(133) 및 AVN 장치(134)를 제어할 수 있다. 근접센서(200)는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인식하여 이와 관련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공조장치(131), 오디오 장치(133) 및 AVN 장치(134)의 버튼, 다이얼 및 디스플레이 등에 마련되는 발광유닛(미도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근접센서(200)에 접근하기 이전에는 센터페시아(130)에 마련되는 버튼 또는 다이얼에 마련되는 발광유닛의 조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야간 주행 시, 과도한 실내 조명으로 인한 빛 공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야간 주행 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실내 조명은 사용자의 주의력을 흐트러뜨리고, 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의도가 없는 센터페시아의 버튼 등에 마련되는 발광유닛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그 조도를 낮춰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근접센서(200)에 접근하거나 근접센서(200)를 터치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페시아(130)에 마련되는 버튼 등에 마련되는 발광유닛의 조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버튼의 위치 또는 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 의도가 있는 경우에는 발광유닛의 조도가 높아지더라도 빛 공해로 인해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고, 오히려 버튼 등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여 운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근접만으로 해당 기능의 현재 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첨단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의 고급감을 부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근접센서(200)의 외부 재질은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최근의 사용자들은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에 금속 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금속(metal)이 주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사용자들이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근접센서의 외부 노출면에 금속 재질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기존의 적외선 센서의 경우 금속과 같은 비투과성 재질이 센서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적외선이 이를 통과하지 못해 그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근접센서(200)는 정전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 IC를 포함하여 금속의 비투과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200)는 센터페시아(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210)을 지지하는 패널(240)과, 상기 패널(24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25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실장되는 센서 IC(2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210)의 외면에는 금속층(22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 IC(251)와 연결되는 센서 전극(230)이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은 인쇄회로기판(250)과 연결되고, 이를 통해 센서 IC(251)와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210)은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210)은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형상에는 제약이 없으며, 프레임(210)의 일부분이 곡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꺾인 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210)은 센터페시아(130)에 마련되는 각종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beze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센서 IC가 인식할 수 있다면, 베젤의 내측에 배치되는 버튼 또는 터치부를 터치하기 위해 사용자가 근접하는 것 또한 센서 IC가 인식할 수 있다. 즉, 베젤에 근접센서가 마련되면, 버튼에 근접센서가 따로 마련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버튼에 근접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근접센서의 센싱 영역, 즉, 센싱 필드를 적절히 조절해야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접근을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아우터 프레임(211)과 이너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11)은 폐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너 프레임(212)은 아우터 프레임(2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12)은 폐곡선으로 마련되는 아우터 프레임(211)의 내측을 둘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도면에는 직선 형태의 이너 프레임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곡선 또는 두께가 변하는 이너 프레임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프레임(210)은 센터페시아(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최근 금속재질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프레임(210)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210) 전체를 금속재질로 제조하면, 무게가 무겁고, 비용이 증가하여 생산원가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10)을 기존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마련한 후, 프레임(210)의 외면에 금속 도금 또는 IPE(Ion Plasma Evaporation)하여 금속 재질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롬 도금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터페시아(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프레임(210)의 외면에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금속층(22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외면이 금속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고급감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우터 프레임(211)의 외면에 마련되는 금속층(220)을 제1금속층이라 지칭하고, 이너 프레임(212)의 외면에 마련되는 금속층(220)을 제2금속층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프레임(211)의 외면에는 제1금속층(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금속층(220)과 아우터 프레임(211)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프라이머층(213)이 마련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213)은 제1금속층(220)과 아우터 프레임(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라이머층(213)은 생략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층 없이 곧바로 아우터 프레임(211) 상에 금속층(22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금속층(220)은 접지(GND)와 연결될 수 있다. 접지(GND)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250, 도 5 참조)에 마련되는 그라운드 레이어(25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지(GND)는 차량의 샤시 그라운드에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0)이 차량의 샤시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250)의 그라운드 레이어(252)가 접지(GND)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근접센서(200)는 제1금속층(220)과 접지(GND, 252)를 연결하는 연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70)는 제1금속층(220)과 접지(GND, 2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는 와이어, 인쇄회로기판, 연성인쇄회로기판,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사출물, LDS 공법에 의해 전극을 포함하는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증착 또는 도금 물질을 제1금속층으로부터 접지(GND)까지 연장하는 방식,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제1금속층으로부터 접지(GND)까지 연결하는 방식 등 전기적으로 두 물체를 연결하기 위해 널리 알려진 모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금속층(220)이 접지(GND, 252)와 연결되면, 근접센서(200)의 센싱 필드를 제1금속층(220)의 내측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근접센서(200)는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접근을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로 인한 센서 IC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12)의 일면에는 센서 전극(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센서 전극(230)은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LDS 공법은 비전도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지지재를 형성하고, 지지재의 일부를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킨 후, 지지재를 금속화(Metalizing) 하여 지지재의 레이저 노출 부위에 도전성 구조를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이너 프레임(212)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210)을 레이저에 노출시켜 전극홈(미도시)을 프레임(210) 상에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센서 전극(230)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서 전극(230)은 이너 프레임(212)의 외면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12)의 외면에 센서 전극(230)이 마련되는 영역은 이너 프레임(212) 외면 전체와 비교하면 매우 작은 영역일 수 있다.
센서전극(230)이 마련되는 일부 영역을 제외한 이너 프레임(212)에는 프라이머층(213)이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213)은 제2금속층(220)과 이너 프레임(212)을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종의 접착제 역할을 한다. 프라이머층(213)은 제2금속층(220)을 형성하기 이전에 이너 프레임(212)에 마련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213)은 센서 전극(230)이 이너 프레임(212) 상에 마련되는 영역보다는 넓은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프라이머층(213)의 일부가 센서 전극(230)을 커버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프라이머층(213)과 센서 전극(230)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프라이머층(213)은 이너 프레임(212)의 외면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제2금속층(220)을 형성하는 금속 도금 영역 또는 금속 증착 영역이 프라이머층(213)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영역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제2금속층(220)은 프라이머층(213)과 센서 전극(230)을 커버할 수 있다. 센서 전극(230)과 제2금속층(220)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센서 전극(230)과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제2금속층(2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센서 전극(230)뿐만 아니라 센서 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금속층(220)에 사용자가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센서 IC(230)가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금속층(220)은 센싱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이너 프레임(212)에 형성된 센서 전극(230)은 인쇄회로기판(250)과 연결되고, 이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50) 상에 실장되는 센서 IC(251)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250)과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근접센서(200)는 이너 프레임(212)에 형성된 센서 전극(230)과 인쇄회로기판(250)을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12)의 외면에는 센서 전극(230)이 형성되고, 센서 전극(230)의 상면에 프라이머층 없이 곧바로 제2금속층(22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라이머층이 없어 제2금속층(220)과 센서 전극(230) 또는 이너 프레임(212)과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으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전극(230)의 상면에 프라이머층(213)이 마련되고, 프라이머층(213)의 상면에 제2금속층(22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라이머층(213)이 마련되므로 제2금속층(220)이 안정적으로 이너 프레임(212) 또는 센서 전극(230)과 결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213)은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제2금속층(220)과 센서 전극(230)이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지 않더라도, 제2금속층(220)이 센싱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제2금속층(220)과 센서 전극(230)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센싱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금속층(220)은 이너 프레임(212)의 외면에 마련되고, 센서 전극(230)은 이너 프레임(212)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금속층(220)은 이너 프레임(212)의 일면에 마련되고, 센서 전극(230)은 이너 프레임(212)의 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은 도 6 내지 도 8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50)과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은 이너 프레임(212)에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과 제2금속층(220)은 이너 프레임(212)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이너 프레임(212) 두께는 고정된 값이므로, 제2금속층(220)과 센서 전극(230)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터 값은 일정하다. 반면,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터 값은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센서 전극(230)에서의 캐패시터 값이 변한다. 센서 IC(251)는 센서 전극(230)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IC(251)는 센서 전극(230)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다소 작아지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제2금속층(220)에 대한 근접 또는 터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전극(230)은 패널(24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프레임(212)과 마주보는 패널(240)의 일면에 센서 전극(230)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은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240)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은 제2금속층(220)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12)과 센서 전극(230)이 d1만큼 이격되어 있고, 이너 프레임(212)의 두께가 d2라고 할 때, 센서 전극(230)과 제2금속층(220)은 d1 + 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이너 프레임(212)의 두께 d2는 고정된 값이고, 센서 전극(230)과 이너 프레임(212) 사이의 거리 d1도 고정된 값이므로, d1 + d2는 고정된 값이다. 따라서, 제2금속층(220)과 센서 전극(230)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터 값은 일정하다. 반면,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터 값은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센서 전극(230)에서의 캐패시터 값이 변한다. 센서 IC(251)는 센서 전극(230)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IC(251)는 센서 전극(230)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다소 작아지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제2금속층(220)에 대한 근접 또는 터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전극(230)과 이너 프레임(212) 사이의 빈 공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전극(230)과 이너 프레임(21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면, 제2금속층(220)에 정전기 등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이 발생하더라도 그 전압이 센서 전극(230) 및 센서 IC(251)로 전달될 가능성이 작아진다. 따라서, 정전기로 인해 센서 IC(251)가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작다는 장점이 있다. 즉, 내구성 또는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근접센서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프레임(210)은 아우터 프레임(211)과 이너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센서(200)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금속층(220)과, 프레임(210)과 결합하는 패널(240)과, 센서 전극(230)을 포함하고 패널(240)과 결합되는 센서 전극 베이스(260)와, 패널(240)의 내측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250) 및 인쇄회로기판(250)에 실장되는 센서 IC(25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센서(200)는 패널(240)과는 별도로 마련되고, 패널(240)에 결합되는 센서 전극 베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전극 베이스(260)는 센서 전극(23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전극 베이스(260)는 패널(240)과 결합하여 센서 전극(230)을 인쇄회로기판(250)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전극 베이스(260) 상에 형성되는 센서 전극(230)은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전극 베이스(260)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전극 베이스(260)가 패널(240)에 결합하면, 이너 프레임(212)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센서 전극(230)이 이너 프레임(212)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12)의 전면에는 제2금속층(220)이 금속 도금 또는 금속 증착을 통해 형성되고, 이너 프레임(212)의 전면에 프라이머층(미도시)을 마련한 후에 제2금속층(2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금속층(220)과 이너 프레임(212)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프라이머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센서 전극(230)과 제2금속층(220)은 이너 프레임(212)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이너 프레임(212) 두께는 고정된 값이므로, 제2금속층(220)과 센서 전극(230)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터 값은 일정하다. 반면,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터 값은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사용자와 제2금속층(220)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센서 전극(230)에서의 캐패시터 값이 변한다. 센서 IC(251)는 센서 전극(230)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IC(251)는 센서 전극(230)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다소 작아지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제2금속층(220)에 대한 근접 또는 터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 전극 베이스(260)가 마련되는 경우에도 센서 전극(230)과 이너 프레임(212)의 후면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층이 형성되면 센서 IC(251)의 손상 가능성이 작아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센서 전극 베이스(260)가 패널(240)과 별도로 마련되면,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패널(240)을 고정한 후 패널(240)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센서 전극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그 구조가 단순하고 고정이 용이한 센서 전극 베이스(260)에 센서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수월하다. 즉, 부피가 크고 센서 전극 형성을 위한 가공이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패널 대신, 부피가 작고 가공이 용이한 센서 전극 베이스에 센서 전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근접센서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센서 전극 베이스(260)는 패널(240)에 끼움 결합 등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패널(240)에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으로 센서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패널(240) 전체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반면, 센서 전극 베이스(260)는 그 부피가 패널(240)보다 작아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더라도 그 생산원가의 상승폭이 작다. 또한, 센서 전극 베이스(260)는 다양한 형상의 패널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에서, 아우터 프레임에 접지(GND)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에 센싱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에서, 아우터 프레임에 접지(GND)가 연결되었을 때에 센싱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근접센서의 센싱 영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12)의 제2금속층은 센싱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 제2금속층의 센싱 영역은 전(全) 방향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금속층의 전방 외에도 상, 하, 좌, 우 방향 및 후방에도 센싱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일부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른 센싱 영역이지만, 나머지 부분은 설계자가 의도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까지도 인식하여 오인식 또는 노이즈를 발생시킨다.
아우터 프레임(211)은 버튼부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bezel)로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부를 터치하기 위해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은 폐곡선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211)의 테두리 내측에 배치된다. 즉, 아우터 프레임(211)은 센싱 영역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프레임(211)의 외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더라도 이는 버튼부를 터치하기 위한 접근이 아니므로 이를 근접센서(200)가 인식하는 것은 노이즈를 인식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16은 근접센서(200)의 센싱 필드를 아우터 프레임(211)의 내측으로 제한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근접센서(200)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아우터 프레임(211)의 제1금속층과 접지(GND)를 연결하였다. 연결부(2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지(GND)가 마련되는 경우, 센싱 필드를 형성하는 전기장 필드 벡터가 접지(GND)로 수렴되기 때문에 센싱 필드가 아우터 프레임(211)의 내측으로 제한되는 것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접지(GND)와 연결된 아우터 프레임(211)은 센싱 필드를 아우터 프레임(211)의 내측으로 차폐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프레임(211)이 접지(GND)와 연결되면, 근접센서(200) 표면에 정전기가 발생하더라도 아우터 프레임(211)을 통해 접지(GND)로 정전기가 우회(bypass)하기 때문에 정전기로 인한 인쇄회로기판 상의 각종 소자들에 전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즉, 정전기로 인한 충격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12)은 서로 분리된 제1이너 프레임(212a)과 제2이너 프레임(212b) 및 제3이너 프레임(2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 3이너 프레임(212a, 212b, 212c) 각각의 외면에는 제1금속층(2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이너 프레임(212a) 상에 마련되는 제1금속층은 센서 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 IC(25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이너 프레임(212a)에 마련되는 제1금속층은 센싱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이너 프레임(212b)과 제3이너 프레임(212c) 상에 마련되는 제1금속층은 센서 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센싱부로 기능할 수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이너 프레임(212b) 및 제3이너 프레임(212c) 상에 마련되는 제1금속층을 터치하더라도 근접센서(200)는 이를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2 이너 프레임(212b)과 제3이너 프레임(212c)에 접촉한 경우, 이를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시트에 착좌한 경우, 근접센서의 위치와 사용자의 습관 등에 따라 사용자의 무릎 등과 같은 신체 일부가 근접센서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의 오른쪽 무릎이 이너 프레임(212)의 좌측단에 접촉할 수 있고, 동승자의 왼쪽 무릎이 이너 프레임(212)의 우측단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접촉은 버튼을 터치 또는 푸시하기 위한 접촉이 아니므로 노이즈에 해당하며, 근접센서는 이를 인식하지 않아야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212)이 세 부분으로 파팅(parting)되어 물리적으로 분리되면, 제2이너 프레임(212b)과 제3이너 프레임(212c)을 터치하더라도 근접센서(200)가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단순히 제1이너 프레임(212a)과 제2이너 프레임(212b) 및 제1이너 프레임(212a)과 제3이너 프레임(212c) 사이에 간극(gap)을 두는 경우, 제1이너 프레임(212a)과 제2이너 프레임(212b) 또는 제3이너 프레임(212c)이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금속층이 서로 접촉하여 제2이너 프레임(212b) 및 제3이너 프레임(212c)이 센싱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무릎 터치와 같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제1이너 프레임(212a)과 제2이너 프레임(212b) 및 제1이너 프레임(212a)과 제3이너 프레임(212c) 사이에는 리브(rib, 24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rib, 241)는 패널(24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근접센서
211 : 아우터 프레임
212 : 이너 프레임
220 : 금속층
230 : 센서 전극
240 : 패널
250 : 인쇄회로기판
251 : 센서 IC
252 : 접지(GND)
260 : 센서 전극 베이스
270 : 연결부

Claims (20)

  1.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제1금속층을 포함하는 아우터 프레임;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제2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제2금속층과 접촉되는 센서 전극; 및
    상기 제2금속층으로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 전극과 연결되는 센서 I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제한하도록 접지(GND)와 연결되는며,
    상기 이너 프레임은 서로 분리된 제1이너 프레임과 제2이너 프레임 및 제3이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되고,
    상기 제2이너 프레임 및 상기 제3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되지 않는 근접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IC가 실장되고, 상기 접지(GND)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근접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층과 상기 접지(GND)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근접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마련되는 근접센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와이어,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전도성을 가지는 기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접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의 범위를 형성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근접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은,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을 적어도 둘로 나누도록 마련되는 근접센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2이너 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3이너 프레임 사이에는 비전도성을 가지는 리브(rib)가 마련되는 근접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전극은 상기 이너 프레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마련되는 근접센서.
  11.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는 아우터 프레임;
    비전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1금속층;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2금속층;
    상기 제2금속층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서 전극; 및
    상기 제2금속층으로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 전극과 연결되는 센서 I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제한하도록 접지(GND)와 연결되는며,
    상기 이너 프레임은 서로 분리된 제1이너 프레임과 제2이너 프레임 및 제3이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되고,
    상기 제2이너 프레임 및 상기 제3이너 프레임의 금속층은 상기 센서 전극 및 상기 센서 IC와 연결되지 않는 근접센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IC가 실장되고, 상기 접지(GND)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근접센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센서 전극의 센싱 필드(field)의 범위를 형성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근접센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은,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을 적어도 둘로 나누도록 마련되는 근접센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패널을 더 포함하는 근접센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전극은 상기 패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형성되는 근접센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에 결합되는 센서 전극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근접센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전극 베이스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전극은 상기 센서 전극 베이스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되는 전극홈을 금속화하여 형성되는 근접센서.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2이너 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1이너 프레임과 상기 제3이너 프레임 사이에는 비전도성을 가지는 리브(rib)가 마련되는 근접센서.
KR1020170154416A 2017-11-20 2017-11-20 근접센서 KR10246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16A KR102464610B1 (ko) 2017-11-20 2017-11-20 근접센서
US16/175,070 US11155206B2 (en) 2017-11-20 2018-10-30 Proximity sensor
DE102018219111.5A DE102018219111A1 (de) 2017-11-20 2018-11-09 Näherungssensor
CN201811388271.3A CN109814154B (zh) 2017-11-20 2018-11-20 近距离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16A KR102464610B1 (ko) 2017-11-20 2017-11-20 근접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74A KR20190057474A (ko) 2019-05-29
KR102464610B1 true KR102464610B1 (ko) 2022-11-08

Family

ID=6633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416A KR102464610B1 (ko) 2017-11-20 2017-11-20 근접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55206B2 (ko)
KR (1) KR102464610B1 (ko)
CN (1) CN109814154B (ko)
DE (1) DE102018219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566B1 (ko) * 2021-08-11 2023-02-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리셉터클을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방식 파워 시트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1058A1 (en) * 2011-07-01 2013-01-03 Phantom-Products LLC Vehicle touch button
WO2015146277A1 (ja) * 2014-03-28 2015-10-01 株式会社カネカ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4585B2 (en) * 2002-09-30 2015-09-15 Gentex Corporation Automotive rearview mirror with capacitive switches
US9335868B2 (en) * 2008-07-31 2016-05-10 Apple Inc. Capacitive sensor behind black mask
US20110057669A1 (en) * 2009-09-08 2011-03-10 Amlogic Co., Ltd. Capacitive Sensor
DE102012105117A1 (de) * 2012-06-13 2013-12-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nnäherungserfassungsvorrichtung
DE102012109031A1 (de) * 2012-09-25 2014-03-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 Sensoreinheit zur Erfassung der berührungslosen Betätigung einer Tür oder Klappe an einem Kraftfahrzeug
JP6146998B2 (ja) * 2012-12-21 2017-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9559425B2 (en) * 2014-03-20 2017-01-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slot antenna and proximity sensor
EP2988479B1 (en) * 2014-08-19 2019-01-30 Semtech Corporation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nd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1058A1 (en) * 2011-07-01 2013-01-03 Phantom-Products LLC Vehicle touch button
WO2015146277A1 (ja) * 2014-03-28 2015-10-01 株式会社カネカ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74A (ko) 2019-05-29
CN109814154A (zh) 2019-05-28
DE102018219111A1 (de) 2019-05-23
CN109814154B (zh) 2023-05-26
US11155206B2 (en) 2021-10-26
US20190152391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9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32915A1 (en) Operating element for actuation by a user and operating element module
WO2009089092A1 (en) Touch sensitive switches integrated with a vehicle interior part
US20090174533A1 (en) Instrumentation Assembly For A Vehicle
KR102354135B1 (ko) 근접센서
US10454474B2 (en) Proximity switch having sensor with decorative metal
KR102333631B1 (ko)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20180297513A1 (en) Capacitive sensor and switch assembly with decorative conductive component
US20040118664A1 (en) Multifunction switch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1617491U (zh) 基于3d触摸控制的汽车座椅调节开关
CN110893815A (zh) 具有传感器和接地装饰部件的车辆装饰组件
KR101945976B1 (ko) 자동차용 전자 제어 패널
KR20140088600A (ko) 자동차용 제어 및 디스플레이 모듈
US9073433B2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2464610B1 (ko) 근접센서
US10336361B2 (en) Vehicle accessory control circuit
KR20180073792A (ko) 터치 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모듈
KR102378749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1515B1 (ko) 차량용 입력장치
KR102403356B1 (ko) 차량용 컨트롤 패널
KR20190007802A (ko) 차량 후석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CN219068182U (zh) 一种触控感应结构及汽车
US10556509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40126400A1 (en) Display device using detachable input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same
Kouba et al. Intuitive Touch Technologies—Semiconductor-Based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ir Integ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