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581A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581A
KR20190007581A KR1020170088685A KR20170088685A KR20190007581A KR 20190007581 A KR20190007581 A KR 20190007581A KR 1020170088685 A KR1020170088685 A KR 1020170088685A KR 20170088685 A KR20170088685 A KR 20170088685A KR 20190007581 A KR20190007581 A KR 20190007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lution
information
wearable device
map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030B1 (ko
Inventor
조남은
고려옥
박봉균
정해융
김진성
배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공기오염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사용자 주변의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공기오염정보가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공기오염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상기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오염지도를 생성 및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공기오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공기오염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산업화와, 자동차 등에 의한 배기가스 증가로 인하여 공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공기오염을 발생시키는 오염물질은 호흡을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부로 침입하여 호흡기 질환 및 심장질환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오염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오염 수준을 미리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오염물질은 흡입성 먼지(미세먼지, 부유먼지)를 포함한다. 흡입성 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 사람의 육안으로 관찰되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공기오염 수준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최근에는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오염 수준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오염 수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공개특허 제10-2012-0040046(공개일, 2012년04월 26일)에는, 인터넷 접속 유닛에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부착하여, 상기 측정유닛이 위치한 장소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오염도를 인터넷 망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공기오염도의 원격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한편, 선행문헌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은 어느 한 지점이 고정설치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이 상기 측정유닛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사용자가 제공받는 공기오염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의 공기오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공기오염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되는 공기오염정보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오염정보를 생성 및 표시하는 모바일 기기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공기오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오염물질을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물질의 수치를 측정하는 오염감지센서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오염물질 종류 및 수치를 확인할 수 있어, 공기오염 수준에 따른 적합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지도상에 매칭하여 공기오염지도를 생성 및 표시하는 모바일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쉽게 현재 위치의 공기오염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서버는 공기오염정보를 설정지역 별로 분류하여,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한다. 상기 공기오염지도는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오염정보를 획득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공기오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공기오염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설정지역을 지도상에 지정하고, 지정된 설정지역에 대표값을 매칭하여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므로, 사용자가 지도에 표시된 설정지역의 공기오염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 주변의 공기오염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오염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주변에 고정형 공기오염도 측정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현재위치의 공기오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통해 현재 위치의 오염물질 종류 및 수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현재위치에서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에 대하여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례로, PM2.5 수치가 높은 경우, 사용자는 PM2.5를 여과할 수 있는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모바일 기기의 공기오염정보를 설정지역 별로 분류하여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지역 공기오염정보는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오염정보를 획득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거나, 사용자 주변에 고정형 공기오염도 측정유닛이 없더라도, 네트워크 서버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설정지역에 대한 공기오염지도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갖는 공기오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되는 공기오염정보를 갖고 있는 모바일 기기가 많아질수록,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무선인터넷모듈 및 이동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를 경유하지 않고도, 공기오염정보가 네트워크 서버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공기오염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습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별 공기오염정보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화면에서 설정지역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설정지역의 공기오염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모바일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1)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동일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일례로,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을 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가능범위 내에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가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를 착용한 사용자 주변의 공기오염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공기오염정보가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함께 획득(또는,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공기오염정보는, 오염물질의 종류 및 상기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른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획득된 공기오염정보 및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오염정보 및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의 형태로써 상기 모바일 기기(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획득하는 공기오염감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오염감지부(310)는 오염물질을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물질의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감지센서(311, 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염감지센서(311, 31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염감지센서(311, 312)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오염감지센서는 공기 중에 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오염물질을 검출 및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오염감지부(310)는, 2.5[um]이하의 크기를 가진 입자(이하, PM2.5이라 함.)를 측정하는 제 1 오염감지센서(311), 10[um]이하의 크기를 가진 입자(이하, PM10이라 함.)를 감지하는 제 2 오염감지센서(312), 질소산화물(NOx)를 감지하는 제 3 오염감지센서, 황산화물(SOx)를 감지하는 제 4 오염감지센서, 오존(Ozone)를 감지하는 제 5 오염감지센서, 및 일산화탄소(CO)를 감지하는 제 6 오염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모바일 기기(10)에 통신 연결되기 위한 디바이스 통신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32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써, 상기 모바일 기기(10)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320)는 일례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 위치정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위치정보부(330)는 일례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를 구성하는 모듈(공기오염감지부, 디바이스 통신부, 디바이스 위치정보부)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제어부(340)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통신부에 통신 연결되는 모바일 통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바일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근거리통신모듈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ZigBee, NFC, Wi-Fi, Wi-Fi Direct, Wireless USB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32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모바일 이동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네트워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모바일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SUPA, LTE, LTE-A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상기 모바일 기기(1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 위치정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위치정보부(120)는 일례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모바일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모바일 기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기기(1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모바일 기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30)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10) 및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례로, 상기 모바일 기기(10)가 온 되면, 도 3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초기화면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화면은, 시간정보, 배터리정보, 통신연결정보, 및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제 1 화면(1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화면은, 어플리케이션(170)이 표시되는 제 2 화면(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화면(152)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17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화면은, 이전 실행으로 돌아가는 뒤로가기 버튼, 다른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버튼, 및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옵션메뉴 표시를 위한 옵션메뉴버튼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제 3 화면(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화면(15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거나, 숨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화면(151), 제 2 화면(152), 및 제 3 화면(153)은 일례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으나, 좌우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화면(151), 제 2 화면(152), 및 제 3 화면(153)은 독립적인 화면이거나 표시되는 내용으로 구분된 화면일 수 있다.
다시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모바일 기기(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일례로, 모바일 기기(10)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데이터 및 다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전달받은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도 3의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이 수행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수집된 공기오염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로부터 전달받은 공기오염정보에 기반하여 현재위치의 공기오염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판단한 현재위치의 공기오염 수준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모바일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을 구동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170)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통신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로부터 공기오염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공기오염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공기오염감지부(310)에서 측정된 하나 이상의 오염물질에 대한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설정정보 및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측정된 오염물질의 종류와 대응되는 개수의 기준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PM2.5, PM10,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오존, 및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된 오염물질 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설정정보는 각각의 오염물질에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6 기준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치는 일례로, 지역별 또는 국가별로 지정한 표준일 수 있다.
공기 중의 오염물질 측정수치가 상기 오염물질에 대응되는 기준수치보다 큰 경우,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오염물질의 공기오염 수준이 위험수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 측정수치가 상기 오염물질에 대응되는 기준수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오염물질의 공기오염 수준이 안전수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측정된 공기오염정보 중 PM2.5 수치가 제 1 기준수치보다 큰 경우,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현재위치에 대한 PM2.5의 오염수준은 위험수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된 공기오염정보 중 오존 수치가 제 5 기준수치보다 작은 경우, 오존에 대한 현재 공기의 오염수준은 안전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모바일 위치정보부(120)를 이용하여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지도는 상기 모바일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도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 상에서 다운로드(down load)한 지도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상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현재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현재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현재위치에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입력부(130)을 통해 공기오염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의 현재위치 및 이에 대응되는 공기오염정보가 포함된 공기오염지도(도 5의 20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공기오염지도(200)에 오염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게 현재위치에 대한 오염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정된 공기오염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표시하는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정된 공기오염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10)의 사용자 입력부(130)의 명령입력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은 동작될 수 있다(S100).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이 동작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호 통신 연결될 수 있다(S110). 이때,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일례로, 블루투스 통신과 같이, 근거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가 각각 구비된 유선 데이터 포트에 각각 통신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유선통신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모바일 기기(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가 통신 연결 되면,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오염정보 수집을 요청할 수 있다(S120).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모바일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오염물질 수집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340)는 설정시간 동안 공기오염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30).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340)는 상기 공기오염감지부(310) 및 상기 디바이스 위치정보부(330)를 이용하여 현재위치에서 공기 중에 있는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오염감지부(310)는 PM2.5, PM10,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오존, 및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모바일 기기(10)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시간이 길어질수록 현재위치에서 측정되는 공기오염정보는 보다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설정시간이 짧아질수록 사용자는 보다 신속하게 공기오염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폭을 다양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340)는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에 수집된 공기오염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140).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전달받은 공기오염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공기 오염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S360). 상세히,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전달받은 공기오염정보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로부터 전달된 오염물질의 종류에 대응되는 기준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공기오염정보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종류와, 오염물질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오염정보에 포함된 오염물질 종류가, PM10 및 오존일 수 있다. 측정된 PM10의 수치가 단위부피 당 78[um]이고, 오존 수치는 0[pp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정보는 PM10에 대한 기준수치와, 오존에 대한 기준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달받은 오염물질 수치와 해당 오염물질에 대응되는 기준수치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 수치가 상기 기준수치보다 큰 경우,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오염물질에 대한 공기 오염수준이 위험수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모바일 위치정보부(120)를 이용하여, 현재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S170),
그리고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지도에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및 공기오염 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180).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습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제 2 화면(152)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의 실행화면은, 현재 모바일 기기의 현재위치(또는,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문자로 표시하는 제 1 실행화면(17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의 실행화면은, 공기오염지도(200)를 표시하는 제 2 실행화면(1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행화면(176)에 표시되는 공기오염지도(200)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10)의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설정지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행화면(176)에 표시되는 설정지역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10)의 현재위치가 임의 설정된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행화면(176)에는, 현재위치의 공기오염 수준을 대표하는 값(이하, 제 1 대표값이라함.)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대표값은 상기 공기오염감지부(310)에서 획득된 오염물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대표값일 수 있다. 상기 제 1 대표값은, 일례로, 측정된 PM2.5 수치에서 산출한 AQI(Air Quality Index)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측정된 다수의 오염물질 수치를 모두 합한 뒤, 오염물질 종류의 수로 나눈 평균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대표값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서 측정된 다수의 오염물질에 각각 가중치를 가감한 뒤, 산출한 평균값일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일례로, 인체에 유해한 정도에 따라 임의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170)의 실행화면은, 현재위치에서 측정된 오염물질의 수치가 표시되는 제 3 실행화면(17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게 현재위치에서, 공기 중에 있는 오염물질의 수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 3 실행화면(177)에 현재위치의 공기오염정보 및 위험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대표값 및 상기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제 1 설정대표값을 비교하여, 현재위치의 공기오염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대표값이 상기 제 1 설정대표값 보다 큰 경우,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현재위치의 공기오염 수준이 위험 수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대표값이 상기 제 1 설정대표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제어부(180)는 현재위치의 공기오염 수준이 안전 수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대표값의 공기오염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제 1 설정대표값은 다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설정대표값은 하나인 것으로 설명한다.
현재위치의 제 1 대표값을 기반으로 한 공기오염 수준은, 상기 제 2 실행화면(176)에 숫자, 문자,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오염 수준이 위험수준인 경우, 상기 제 1 대표값의 숫자는 붉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오염 수준이 안전수준이 경우, 상기 제 1 대표값의 글자는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현재위치의 오염물질 수치를 기반으로 한 공기오염 수준은, 상기 제 3 실행화면(177)에, 글자, 문자,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PM2.5의 공기 오염수준이 위험수준인 경우, 상기 PM2.5의 수치는 붉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0)에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공기오염감지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오염감지부(310)에서 측정된 오염물질은, 상기 모바일 기기(10)로 전달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한 지점에서의 공기오염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내용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내용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비록 동일한 내용일지라도, 발명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모바일 모바일 기기에서 획득된 공기오염정보를 위치정보를 기초로 설정지역별로 분류하고, 분류한 공기오염정보를 재가공하여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2)은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에 통신 연결된 네트워크 서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 각각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55, 65) 중 어느 하나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일례로, 헤어밴드 타입(Hairband type), 와치 타입(Watch type), 암밴드 타입(Armband type), HMD 타입(Head mounted display type), 넥밴드 타입(Neckband typ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는 일례로, 제 1 모바일 기기(50) 및 제 2 모바일 기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55, 65)는 상기 제 1 모바일 기기(50)에 통신 연결되는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55)와, 상기 제 2 모바일 기기(60)에 통신 연결되는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55) 및 제 1 모바일 기기(50)는 제 1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65) 및 제 2 모바일 기기(60)는 제 2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통신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가 위치한 지역의 공기오염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위치정보와,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9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공기오염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사면,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설정지역별로 수집된 공기오염정보를 평균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생성하고, 각 설정지역에 대응되는 공기오염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지역은 일례로, 도로명 주소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설정지역은 지번 주소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정보가 표시된 공기오염지도(도 9의 800)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90)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1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공기오염지도(800)를 통해 보다 정확한 공기오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2)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2)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지도 생성을 위한 지도생성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생성부(910)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에서 각각 전달되는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설정지역에 공기오염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와의 통신을 위한 서버 통신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통신부(920)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와의 통신을 위하여 이통통신 모듈 및 원거리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90) 및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가 통신 연결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 각각의 위치정보 및 공기오염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전달받은 공기오염정보를 설정지역별로 분류하는 오염정보 분류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정보 분류부(930)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에서 전달되는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전달받은 공기오염정보를 설정지역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공기오염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메모리(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위험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정보는 후술되는 제 2 대표값의 위험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제 2 설정대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정대표값은 다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2 설정대표값은 하나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는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 수준을 표시하는 서버 제어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상기 오염정보 분류부(930)에서 설정지역별로 분류된 공기오염정보를 평균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산출한 평균수치 및 상기 서버 메모리(940)에 저장된 기준수치를 비교하여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에 따른 위험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판단한 설정지역별 위험수준과, 상기 산출한 평균수치를 상기 지도생성부(910)에서 생성한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상기 공기오염정보가 표시된 공기오염지도(800)를 상기 서버 메모리(9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통신부(920)에 연결된 제 3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상기 공기오염지도(800)를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상기 공기오염지도(800)를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정지역별로 분류되어 재가공된 공기오염정보가 네트워크 서버(90)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로 전달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별 공기오염정보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로부터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공기오염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S310).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50, 60)는 상기 공기오염정보와, 상기 공기오염정보가 측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9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오염정보는, 모바일 기기에 통신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오염물질 종류와, 각 오염물질의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상기 오염정보 분류부(930)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설정지역별로 분류할 수 있다(320).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상기 모바일 기기(1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한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설정지역은, 일례로, 도로명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정보에 있는 오염물질 수치를 평균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오염물질 별로 평균수치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설정지역의 PM2.5의 평균수치는, 설정지역에서 측정된 PM2.5의 수치들을 모두 합산한 값에, 합산에 이용된 PM2.5의 수치 개수를 나눔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950)는 상기 설정지역의 공기오염 수준을 대표하는 값(이하, 제 2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S330). 상기 제 2 대표값은, 복수의 오염물질 중 어느 하나의 오염물질의 수치를 대표하는 값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대표값은 일설정지역의 PM2.5의 평균수치에서 산출한 AQI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대표값은 산출한 오염물질 별로 평균수치를 모두 합산한 뒤, 합산에 이용된 오염물질 수로 나눈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대표값은, 오염물질의 별 평균수치에 각각 가중치를 가감한 뒤에 산출한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중치는 인체에 유해한 정도에 따라 임의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산출한 각 설정지역의 제 2 대표값, 공기오염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340).
한편,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의 어플리케이션(770)이 구동될 수 있다(S350). 상기 어플리케이션(770)이 구동되면,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9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의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설정지역에 대한 공기오염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50). 이때,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의 제어부는 상기 설정지역에 대한 공기오염정보 전달 요청과 함께 현재 위치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360).
상기 서버 제어부(950)는,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지역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로 전달할 수 있다(S370).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모바일 기기(10)의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770)의 제 2 실행화면(772)에 상기 서버 제어부(950)로부터 전달받은 설정지역 공기오염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80). 이때, 상기 제 2 실행화면(772)에 표시되는 공기오염지도(800)에는, 설정지역별로 제 2 대표값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대표값에 따른 공기오염 수준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대표값에 따른 위험수준은 서로 다른 색깔, 도형,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 화면에서 설정지역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설정지역의 공기오염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수의 설정지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S390).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설정지역에 표시된 제 2 대표값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제 2 대표값은 제 1 하이라이트(775)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된 제 2 대표값에 대응되는 설정지역은 제 2 하이라이트(776)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다수의 설정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설정지역이 제 2 하이라이트(776)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2 하이라이트(775, 776)는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강조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하이라이트(775)는 대략 사각형의 형태로 상기 제 2 대표값의 둘레를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2 하이라이트(776)는 상기 설정지역을 따라 점선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하이라이트(776)는 상기 설정지역을 상기 지도와 구분되는 색상으로 덮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 3 실행화면(773)에는, 선택된 설정지역의 평균 공기오염 수치가 표시될 수 있다(S4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서버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공기오염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공기오염정보를 설정지역별로 분류한 뒤 대표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설정지역별로 산출된 대표값을 표시하는 공기오염지도(800)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서 다수의 설정지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공기오염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시 네트워크 서버는, 요청한 설정지역이 포함된 설정지역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가 공기오염감지부가 구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보다 정확한 공기오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정지역별로 공기오염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공기오염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55, 65)의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써, 모바일 기기(50, 60)을 경유하여 상기 네트워크 서버(90)에 공기오염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55, 65)의 통신부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 및 이동통신을 위한 이동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55, 65)는 상기 모바일 기기(50, 60)을 경유하지 않고도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및/또는 이동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공기오염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네트워크 시스템 10: 모바일 기기
30: 웨어러블 디바이스

Claims (15)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사용자 주변의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공기오염정보가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공기오염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상기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오염지도를 생성 및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물질의 수치를 측정하는 오염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감지센서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오염감지센서 각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오염물질을 검출하고, 검출한 오염물질의 수치를 측정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은, PM2.5, PM10,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오존, 및 일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디바이스 위치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위치정보부는,
    상기 공기오염정보가 획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지도를 생성하는 모바일 위치정보부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상에 표시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지도에 매칭하여 상기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는 모바일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지도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제어부는,
    상기 공기오염정보 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오염정보를 설정지역별로 분류하여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통신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상기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가 복수로 구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서 전달받은 공기오염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설정지역별로 분류하는 오염정보 분류부와,
    상기 설정지역별로 공기의 오염수준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설정지역별로 분류한 공기오염정보에 기초하여 대표값을 산출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설정지역을 상기 지도상에 지정하고, 지정된 설정지역에 산출한 대표값을 매칭하여 상기 설정지역 공기오염지도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공기오염정보에 포함된 오염물질 별로 상기 대표값을 산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오염정보는 복수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염물질 중 어느 하나의 오염물질에 대한 대표값은, 상기 설정지역별로, 상기 복수의 오염물질 중 어느 하나의 오염물질 수치들의 평균수치로 산출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공기오염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오염물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대표값을 산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선인터넷모듈 및 이동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공기오염정보 및 상기 공기오염정보가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70088685A 2017-07-12 2017-07-12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6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85A KR101963030B1 (ko) 2017-07-12 2017-07-12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85A KR101963030B1 (ko) 2017-07-12 2017-07-12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581A true KR20190007581A (ko) 2019-01-23
KR101963030B1 KR101963030B1 (ko) 2019-03-28

Family

ID=6528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685A KR101963030B1 (ko) 2017-07-12 2017-07-12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497A (ko) 2021-03-25 2021-05-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지역별 미세먼지 현황 측정시스템 및 방법
KR102479544B1 (ko) * 2022-01-18 2022-12-20 (주)케이알바트로스 대기질 측정센서가 부착된 마스크를 기반으로 한 능동적 참여형 대기질 측정 시스템 및 대기질 측정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마스크용 대기질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대기질 정보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199A (ko) * 2011-05-17 2012-11-27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67628A (ko) * 2012-11-27 2014-06-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Usn 가상 센서를 이용한 대기 위해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22561B1 (ko) * 2015-10-14 2017-04-03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4219B1 (ko) * 2016-12-09 2017-07-06 주식회사 엔즈 휴대용 에어 블로워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199A (ko) * 2011-05-17 2012-11-27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67628A (ko) * 2012-11-27 2014-06-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Usn 가상 센서를 이용한 대기 위해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22561B1 (ko) * 2015-10-14 2017-04-03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4219B1 (ko) * 2016-12-09 2017-07-06 주식회사 엔즈 휴대용 에어 블로워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497A (ko) 2021-03-25 2021-05-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지역별 미세먼지 현황 측정시스템 및 방법
KR102479544B1 (ko) * 2022-01-18 2022-12-20 (주)케이알바트로스 대기질 측정센서가 부착된 마스크를 기반으로 한 능동적 참여형 대기질 측정 시스템 및 대기질 측정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마스크용 대기질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대기질 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30B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783B1 (ko) 탐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19986B2 (en) Intelligen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control system, server, and method
US20180247511A1 (e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35082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059342A (ko) 환경 정보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EP3261073A1 (en) Wearable device for generating image sig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me
KR101648827B1 (ko) 실시간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US20150319569A1 (en) Mobi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configuring a remote device
KR101963030B1 (ko) 네트워크 시스템
CN105203109A (zh) 一种室内场所的逃生方法及用户终端
JP202002468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
CN111126697A (zh) 人员情况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44363A (ko) 로봇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42973B1 (ko) 휴대단말장치의 위치계산방법
CN111540095A (zh) 一种门禁设备的控制方法、电子设备及门禁系统
US10969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rtable gas detecting and communication
CN109155101A (zh) 电子设备、控制方法、以及控制程序
KR102415548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90239027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4105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hazard alerts for a site using wearable sensors
CN110298987A (zh) 服务器及火灾逃生方法
KR102088266B1 (ko) 측정 데이터 표시장치
KR102315893B1 (ko) 단말의 협력 센싱 방법 및 협력 센싱을 수행하는 단말
CN107835304B (zh) 控制移动终端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