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561B1 -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561B1
KR101722561B1 KR1020150143549A KR20150143549A KR101722561B1 KR 101722561 B1 KR101722561 B1 KR 101722561B1 KR 1020150143549 A KR1020150143549 A KR 1020150143549A KR 20150143549 A KR20150143549 A KR 20150143549A KR 101722561 B1 KR101722561 B1 KR 10172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message
user
detach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화
이슬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5014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 및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정확한 긴급 상황 발생 여부 결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FOR USER}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계나 목걸이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액세서리 역할을 하면서도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머니 또는 가방에 웨어러블 장치를 보관하거나, 손에 쥐어서 휴대하거나, 신체의 일부분(팔목, 발목, 목, 머리 등)에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주변에 존재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위협 상황에 있을 때 웨어러블 장치는 이러한 상황을 통신 수단을 통해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장치는 단순한 전자 기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 위협 상황인지 위협이 없는 일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착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장치 자체를 사용자가 위협 상황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 자체의 물리적인 변화나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물리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오작동이나 실수로 인해 웨어러블 장치나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 요소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통해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는 센서 활성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주변 상황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환경 정보 또는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환경 정보, 미디어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기 전에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보안 서버에서 발급한 웨어러블 장치를 위한 고유 토큰을 통해 보안 서버와 연결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네트워크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는 센서 활성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주변 상황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환경 정보 또는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환경 정보, 미디어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기 전에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보안 서버에서 발급한 웨어러블 장치를 위한 고유 토큰을 통해 보안 서버와 연결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네트워크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착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장치 자체를 사용자가 위협 상황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 자체의 물리적인 변화나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물리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오작동이나 실수로 인해 웨어러블 장치나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 요소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통해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은 웨어러블 장치(110)와 보안 서버(120)가 직접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110)와 보안 서버(120)는 3G, 4G, 5G 등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와 보안 서버(120)는 중장거리용 사물 인터넷 연결망으로 사용되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10)와 보안 서버(120)는 LPWAN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와 보안 서버(120)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먼저, 단계(101)에서, 웨어러블 장치(110)는 보안 서버(120)에 보안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가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102)에서, 보안 서버(120)는 가입자 등록된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해 고유 토큰을 발급하여 할당할 수 있다.
단계(103)에서, 웨어러블 장치(110)는 고유 토큰을 이용하여 보안 서버(120)에 가입자 등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등록은 웨어러블 장치의 고유 정보(ex, MAC address, ID) 또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입자 등록이 완료된 이후에, 보안 서버(120)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가입자 등록이 완료된 이후에, 단계(104)에서 웨어러블 장치(110)는 보안 서버(120)에 KEEP_ALIVE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KEEP_ALIVE 메시지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10)와 보안 서버(120) 간에 연결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KEEP_ALIVE 메시지는 일반적인 네트워크에서는 보안 서버(120)로 주기적으로 전달되나, 저전력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에서는 특정 상황(ex. 보안 서버의 요청, 웨어러블 장치(110)의 푸쉬 등)에서 보안 서버(120)로 전달된다.
이 후, 단계(105)에서 웨어러블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ex. 위험 상황 등)로 인해서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는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지만, 실제로 사용자에 가해진 외부 힘에 의해 사용자가 위험 상태가 되어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10)는, 사용자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로 인해서 웨어러블 장치(110)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다른 구조와 결합된 구성 요소인 안전핀이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밴드가 끊어져서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연결 고리 또는 구성 요소에 연결된 회로의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된 경우, 회로는 개방 상태가 되어 전압이 발생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웨어러블 장치(110)는 내부의 회로에서 개방 상태로 인해 전압이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 것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한 이벤트로 인해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단계(106)에서, 웨어러블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후, 단계(107)에서, 웨어러블 장치(110)는 생성된 메시지를 보안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보안 서버(120)로 메시지가 푸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되는 것이 사용자의 실수나 오작동으로 인해서 발생된 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사용자의 실수나 오작동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110)에 포함된 센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여 저전력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장치(110)에 포함된 센서들은 계속해서 활성화되지 않고,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되는 경우와 같은 이벤트가 발행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주변 상황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환경 정보 또는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 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의 주변 상황에 대한 환경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주변의 온도, 습도, 바람 등의 기상 상태 또는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상황은 네트워크의 연결 여부 또는 네트워크의 통신 속도, 트래픽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10)에 내장된 카메라나 마이크 등을 통해 수집한 웨어러블 장치(110)의 주변의 음성,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는 활성화된 환경 센서인 카메라나 마이크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10) 주변의 음성을 녹음하거나 또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의 위치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소지한 사용자의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를 의미한다. 이 때, 절대 위치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점의 GPS 정보나 행정 구역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위치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110)와 보안 서버(120) 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10)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모션), 진동, 사용자의 맥박 및 심박, 혈압, 체온, 호흡수, 혈류 속도, 땀 배출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생체 센서가 활성화되기 전에 수집한 생체 정보와 활성화된 이후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한 이벤트의 종류를 유추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한 이벤트가 사용자의 의도나 사용자의 오작동에 의해 발생했는지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한 이벤트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부 힘에 따라 위험 상태에서 발생했는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되기 전의 정상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박이 60회/분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만약,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된 경우 활성화된 생체 센서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맥박이 120회/분이라고 가정한다. 만약, 맥박의 차이가 40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라고 설정한다면, 웨어러블 장치(110)는 사용자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위험 상태로 인해 발생된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1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이탈된 경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생체 정보의 변화폭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한 이벤트가 사용자의 위험 상태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10)에 대한 이벤트는 사용자의 오작동이 아닌 사용자에 가해진 외부 힘에 따라 사용자의 위험 상태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면, 웨어러블 장치(110)는 활성화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 정보의 변화 폭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후, 웨어러블 장치(110)는 생성된 메시지를 보안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미디어 정보, 환경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110)는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과 이벤트가 발생된 이후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변화폭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생체 정보의 변화폭은 사용자의 위험 상태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변화폭이 클수록 위험 상태가 높다고 판단하여 보안 서버(120)에 메시지를 자주 보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의 변화폭이 클수록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위험 상태에 있다는 것과 사용자의 상황을 보안 서버(120)에 자주 알릴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과 달리 이벤트가 발생된 웨어러블 장치(210)가 보안 서버(220)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230)을 통해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그 외에 기본적인 동작은 도 1과 동일하다. 대부분의 통신 과정은 사용자 단말(203)과 보안 서버(220) 간에 이루어지고, 단지 웨어러블 장치(210)는 연결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KEEP_ALIV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30)에 전달하거나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210)와 사용자 단말(230)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Radio Frequency)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웨어러블 장치(210)와 사용자 단말(230)은 서로 근접한 위치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30)과 보안 서버(220)는 3G, 4G, 5G 등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단계(201)에서, 사용자 단말(230)은 보안 서버(220)에 보안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가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202)에서, 웨어러블 장치(210)는 KEEP_ALIV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230)은 KEEP_ALIVE 메시지를 보안 서버(220)에 전달할 수 있다. KEEP_ALIVE 메시지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10)와 사용자 단말(230) 간의 연결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230)과 보안 서버(220) 간의 연결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KEEP_ALIVE 메시지는 일반적인 네트워크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사용자 단말(230)로 주기적으로 전달되나, 저전력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에서는 특정 상황(ex. 보안 서버의 요청, 웨어러블 장치(210)의 푸쉬 등)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사용자 단말(230)로 전달된다.
단계(203)에서, 보안 서버(220)는 가입자 등록된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해 고유 토큰을 발급하여 할당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사용자 단말(230)은 고유 토큰을 이용하여 보안 서버(220)에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가입자 등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등록은 웨어러블 장치(210)의 고유 정보(ex, MAC address, ID)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의 사용자에 대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가입자 등록시에 웨어러블 장치(210)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230)에 대한 고유 정보도 함께 등록될 수 있다. 가입자 등록이 완료된 이후에, 보안 서버(220)는 사용자 단말(23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 단말(230)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지만, 사용자 단말(230)은 웨어러블 장치(210)와 근접한 위치에 있으므로 웨어러블 장치(210)의 위치를 수집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앞서 단계(202)와 같이 가입자 등록이 완료되기 전에 웨어러블 장치(210)가 KEEP_ALIV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30)에 전달한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10)는 가입자 등록이 완료된 이후에 KEEP_ALIV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단계(205)에서 웨어러블 장치(210)는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ex. 위험 상황 등)로 인해서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는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지만, 실제로 사용자에 가해진 외부 힘에 의해 사용자가 위험 상태가 되어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10)는, 사용자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로 인해서 웨어러블 장치(210)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다른 구조와 결합된 구성 요소인 안전핀이 웨어러블 장치(210)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는, 웨어러블 장치(210)의 밴드가 끊어져서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장치(210)는 웨어러블 장치(210)의 연결 고리 또는 구성 요소에 연결된 회로의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회로는 개방 상태가 되어 전압이 발생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웨어러블 장치(210)는 내부의 회로에서 개방 상태로 인해 전압이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 것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이벤트로 인해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단계(206)에서, 웨어러블 장치(210)는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후, 단계(207)에서, 웨어러블 장치(210)는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230)은 웨어러블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보안 서버(2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사용자 단말(230)을 통해 보안 서버(220)로 메시지가 푸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되는 것이 사용자의 실수나 오작동으로 인해서 발생된 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사용자의 실수나 오작동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210)에 포함된 센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웨어러블 장치(210)는 저전력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장치(210)에 포함된 센서들은 계속해서 활성화되지 않고,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되는 경우와 같은 이벤트가 발행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는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는 웨어러블 장치(210)의 주변 상황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환경 정보 또는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 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10)의 주변 상황에 대한 환경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210)의 주변의 온도, 습도, 바람 등의 기상 상태 또는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상황은 네트워크의 연결 여부 또는 네트워크의 통신 속도, 트래픽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210)에 내장된 카메라나 마이크 등을 통해 수집한 웨어러블 장치(210)의 주변의 음성,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는 활성화된 환경 센서인 카메라나 마이크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10) 주변의 음성을 녹음하거나 또는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10)의 위치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소지한 사용자의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를 의미한다. 이 때, 절대 위치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점의 GPS 정보나 행정 구역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위치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10)와 보안 서버(220) 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모션), 진동, 사용자의 맥박 및 심박, 혈압, 체온, 호흡수, 혈류 속도, 땀 배출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10)는 생체 센서가 활성화되기 전에 수집한 생체 정보와 활성화된 이후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이벤트의 종류를 유추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이벤트가 사용자의 의도나 사용자의 오작동에 의해 발생했는지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이벤트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부 힘에 따라 위험 상태에서 발생했는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되기 전의 정상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박이 60회/분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만약,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활성화된 생체 센서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맥박이 220회/분이라고 가정한다. 만약, 맥박의 차이가 40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라고 설정한다면, 웨어러블 장치(210)는 사용자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위험 상태로 인해 발생된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210) 자체가 끊겨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210)에서 이탈된 경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생체 정보의 변화폭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210)는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이벤트가 사용자의 위험 상태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210)에 대한 이벤트는 사용자의 오작동이 아닌 사용자에 가해진 외부 힘에 따라 사용자의 위험 상태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면, 웨어러블 장치(210)는 활성화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 정보의 변화 폭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후, 웨어러블 장치(210)는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30)를 통해 보안 서버(2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미디어 정보, 환경 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10)는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과 이벤트가 발생된 이후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변화폭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생체 정보의 변화폭은 사용자의 위험 상태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변화폭이 클수록 위험 상태가 높다고 판단하여 보안 서버(220)에 메시지를 자주 보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의 변화폭이 클수록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위험 상태에 있다는 것과 사용자의 상황을 보안 서버(220)에 자주 알릴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은 시계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를 착용하지 않고 가방이나 주머니에 소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는 모든 형태의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웨어러블 장치(300)에 가해진 외부 힘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300)의 밴드(320)를 연결하는 고리(310)가 분리되어 웨어러블 장치(300) 자체가 분리될 수 있다. 그러면, 웨어러블 장치(300)는 웨어러블 장치(300)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메시지를 직접 보안 서버에 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보안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서 고리(310)가 웨어러블 장치(300)의 보안 모듈에 대응한다.
이 때, 고리(310)는 개방 상태와 닫힘 상태로 스위칭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310)가 분리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회로는 닫힘 상태가 된다.
하지만, 고리(310)가 분리되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밴드(320)의 연결이 끊기는 경우, 고리(310)에 포함된 회로는 개방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회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거나 또는 전압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300)는 웨어러블 장치(300) 자체의 물리적인 분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300)의 연결 부분에 해당하는 고리(310)의 회로의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고리(310)가 분리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장치(300)에 대한 이벤트가 항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나타낸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스스로 웨어러블 장치(300)의 고리(310)를 분리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서 웨어러블 장치(300)의 고리(310)가 분리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300)의 고리(310)가 분리되는 것만으로 웨어러블 장치(300)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지만, 웨어러블 장치(300)의 고리(310)가 분리된 이후에 웨어러블 장치(300)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를 활성화하여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300)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경우, 웨어러블 장치(400)은 시계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4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400)를 착용하지 않고 가방이나 주머니에 소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웨어러블 장치(400)에 가해진 외부 힘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400)의 구성 요소인 안전핀(410)이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그러면, 웨어러블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400)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메시지를 직접 보안 서버에 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보안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서 안전핀(410)이 웨어러블 장치(400)의 보안 모듈에 대응한다.
이 때, 안전핀(410)은 개방 상태와 닫힘 상태로 스위칭되는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핀(410)이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웨어러블 장치(40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면 회로는 닫힘 상태가 된다.
하지만, 안전핀(410)이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이탈된 경우, 안전핀(410)과 연결된 회로는 개방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회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거나 또는 전압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400)의 구성 요소인 안전핀(410)이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400)의 구성 요소인 안전핀(410)에 연결된 회로의 개방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안전핀(410)이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이탈되어 안전핀(410)에 연결된 회로가 개방 상태가 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400)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장치(400)에 대한 이벤트가 항상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나타낸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스스로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안전핀(410)를 이탈시키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서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안전핀(410)이 이탈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안전핀(410)이 이탈되는 것만으로 웨어러블 장치(400)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지만, 웨어러블 장치(400)에서 안전핀(410)이 이탈된 이후에 웨어러블 장치(400)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를 활성화하여 센서를 통해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400)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는 센서 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기 전에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주변 상황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환경 정보 또는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환경 정보, 미디어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보안 서버에서 발급한 웨어러블 장치를 위한 고유 토큰을 통해 보안 서버와 연결 상태를 통지하는 웨어러블 장치.
  7.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는 센서 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네트워크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기 전에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활성화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주변 상황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환경 정보 또는 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환경 정보, 미디어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보안 서버에서 발급한 웨어러블 장치를 위한 고유 토큰을 통해 보안 서버와 연결 상태를 통지하는 웨어러블 장치.
  13.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기 전에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4.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었거나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네트워크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보안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거나 또는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 자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전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웨어러블 장치에서 이탈되기 전에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생체 센서가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43549A 2015-10-14 2015-10-14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549A KR101722561B1 (ko) 2015-10-14 2015-10-14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549A KR101722561B1 (ko) 2015-10-14 2015-10-14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561B1 true KR101722561B1 (ko) 2017-04-03

Family

ID=5858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549A KR101722561B1 (ko) 2015-10-14 2015-10-14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42B1 (ko) 2017-06-19 2018-11-22 (주)우퍼디자인 생체인증 형 실종방지 웨어러블 하니스를 이용한 반려동물 실종방지 방법
KR101914685B1 (ko) 2017-06-28 2018-12-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인증 형 실종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종방지 방법
KR20190007581A (ko) * 2017-07-12 2019-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65B1 (ko) * 2008-09-18 2010-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30007117A (ko) * 2011-06-29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생체신호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65B1 (ko) * 2008-09-18 2010-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30007117A (ko) * 2011-06-29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생체신호 측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42B1 (ko) 2017-06-19 2018-11-22 (주)우퍼디자인 생체인증 형 실종방지 웨어러블 하니스를 이용한 반려동물 실종방지 방법
KR101914685B1 (ko) 2017-06-28 2018-12-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인증 형 실종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종방지 방법
KR20190007581A (ko) * 2017-07-12 2019-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63030B1 (ko) * 2017-07-12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5465B2 (en) Facilitating a secure session between paired devices
KR101763151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센서 제어 방법
JP2018513716A (ja) 2つのステージで使用され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US20140073262A1 (en) Proximity tag for object tracking
CN105608837B (zh) 人体状况及行为监控报警系统
KR101722561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74408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스케줄 알림 방법 및 그 이동 단말
US8325032B2 (en) Miniature life-saving device
WO2008008666A3 (en) Alarm and alarm management system for remote tracking devices
KR102511695B1 (ko) 활성화된 장치로의 비콘 신호 전송을 기반으로 한 위치 결정
CN104050774A (zh) 具有影音功能之穿戴式电子表环件
JP7062687B2 (ja) 提示方法、提示装置および記録媒体
CN111182470A (zh) 一种可穿戴体温检测装置、监控系统及方法
WO2018218763A1 (zh) 基于电子地图的儿童防走失监控系统及方法
CN106714105A (zh) 一种穿戴设备的播放模式控制方法及穿戴设备
US104993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8691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7689148B (zh) 一种具有紧急报警功能的智能穿戴设备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JP2019009695A5 (ko)
CN204189273U (zh) 具有影音功能之穿戴式电子表环件
US10009724B2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CN113965880A (zh) 一种无线耳机查找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615323A (zh) 穿戴式装置防盗系统及其方法
KR101808986B1 (ko) 시계 탈부착형 스마트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