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42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423A
KR20190007423A KR1020187032409A KR20187032409A KR20190007423A KR 20190007423 A KR20190007423 A KR 20190007423A KR 1020187032409 A KR1020187032409 A KR 1020187032409A KR 20187032409 A KR20187032409 A KR 20187032409A KR 20190007423 A KR20190007423 A KR 2019000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waist elastic
pair
absorbent article
absorb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마이카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44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having more than one pair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4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 A61F2013/490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at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5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 A61F2013/4905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being stretchable in both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 A61F2013/490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having multiple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은,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면서, 흡수체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한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및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적층체 내에 배치된 흡수체(4)를 구비한다. 또한,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하게 적층체 내에 배치된 허리 신축 부재(11)와,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적층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를 구비한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한쪽 및 다른 쪽은, 각각 적층체의 폭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형성된다. 허리 신축 부재는,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과 길이 방향에서 겹치고, 흡수체보다 두께 방향에서 비피부측에 배치되고,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와 겹치지만 비접합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는,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부재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신축 부재로는,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둘레 부분의 등쪽에 폭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허리 신축 부재나,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신축 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는,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일회용 흡수성 물품이나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은, 몸통 둘레 부분의 등쪽에 폭 방향을 따라서,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와 겹치지 않고 접합되지 않도록 배치된 엘라스토머 요소(허리 신축 부재에 상당)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탭(사이드 신축 부재에 상당)을 구비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일회용 기저귀는 몸통 둘레 부분의 등쪽에 폭 방향을 따라서,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와 일부 겹치며 접합되도록 배치된 시트형 탄성 요소(허리 신축 부재에 상당)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3023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46611호 공보
그런데, 흡수성 물품에서는, 허리 신축 부재는 예컨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다. 특허문헌 1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서는, 엘라스토머 요소, 즉 허리 신축 부재는,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 양면이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에 접합된다. 그러나, 허리 신축 부재는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에 겹치지 않고, 따라서 흡수체에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적층체에 있어서,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되어 착용자의 등면에 밀착되도록 가까워지더라도, 흡수체는, 신축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축될 수 없고, 또한 허리 신축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고, 따라서 착용자의 등면으로부터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즉 착용자의 등면쪽에서,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단차가 형성되면, 실질적으로 신체에 대한 적합성이 저하되어, 흡수성 물품의 장착 쾌적성이 저하되거나, 착용자의 등면쪽의 흡수체 부분이 배설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단차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예컨대 특허문헌 2의 일회용 기저귀와 같이, 착용자의 등면쪽의 흡수체 부분과 허리 신축 부재를 겹쳐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이 경우,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는 접착되기 때문에, 흡수체는 허리 신축 부재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그러나,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되면, 흡수체도 수축되어 그 형상이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착용자의 등면쪽의 흡수체 부분에서 흡수체의 흡수 성능이 저하되거나, 주름의 발생 등에 의해 흡수체의 장착 쾌적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면서, 흡수체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1)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적층체 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신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신축 방향을 상기 폭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적층체 내에 배치된 허리 신축 부재와, 신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신축 방향을 상기 폭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적층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로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한쪽 및 다른 쪽은, 각각 상기 적층체의 상기 폭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형성되는 것인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허리 신축 부재는,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과 상기 길이 방향에서 겹치고,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와 겹치지만 비접합인,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은, 허리 신축 부재 및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를 이용한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면서, 흡수체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는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만, 양자는 서로 비접합이며, 즉 양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는 상대적으로 서로 움직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착용시에,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도록 허리 신축 부재가 폭 방향으로 수축된 경우에도, 흡수체는 거의 수축되지 않고, 따라서 흡수체에 수축에 따르는 변형이 거의 생기지 않기 때문에, 흡수체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흡수체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되고, 피부측에 위치하는 흡수체가 거의 수축되지 않음으로써, 허리 신축 부재보다 피부측, 즉 흡수체측으로 향하는 압력이 가해지고, 흡수체를 피부측으로 압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흡수체가 피부측으로 압출될 때, 흡수체의 폭 방향의 주로 중앙부가 착용자의 피부면에 압박되는 한편, 흡수체의 폭 방향의 단부가 피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경향이 있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이,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작용하기 때문에, 적층체, 특히 이면 시트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에 인장됨으로써, 흡수체의 폭 방향의 단부가 이면 시트에 의해 피부면에 압박되어, 흡수체의 폭 방향의 단부가 피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허리 신축 부재에 의한 흡수체를 피부측으로 압출하는 작용을 흡수체의 폭 방향 전체에 미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2) 상기 허리 신축 부재와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은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허리 신축 부재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의 사이의 신축하지 않는 적층체 부분이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신장하지 않고서 인장하기 때문에, 흡수체를 피부측에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3) 상기 길이 방향의 한 방향은 앞쪽 방향이고, 다른 방향은 뒤쪽 방향이며,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뒤쪽 방향의 단부는, 상기 허리 신축 부재의 상기 앞쪽 방향의 단부와 상기 뒤쪽 방향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에서,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가 틀어져 있고, 즉 허리 신축 부재가 흡수체보다 길이 방향의 뒤쪽 방향으로 틀어져 있다. 따라서, 허리 신축 부재가 흡수체와 길이 방향에서 완전히 겹치는 경우와 비교하여,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의 마찰 등이 저감되어, 허리 신축 부재를 폭 방향으로 더욱 신장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허리 신축 부재는 흡수체측에 보다 강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고, 흡수체를 피부측으로 더욱 압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4)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은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허리 신축 부재에 겹치는 것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에서, 패스닝 테이프가 허리 신축 부재에 겹친다. 그 때문에,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가 늘어나, 각 사이드 신축 부재의 패스닝 테이프가 타겟 테이프에 부착되었을 때,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서는, 사이드 신축 부재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과 허리 신축 부재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이 협조하여, 흡수체를 피부측에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5)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은 상기 흡수체에 겹치는 것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에서,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가 각각 흡수체에 겹치기 때문에,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을 흡수체에 더욱 전달하기 쉽게 할 수 있고, 흡수체를 피부측에 더욱 압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면서, 흡수체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개략 전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테이프형(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흡수성 물품, 예컨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흡수성 물품(1)(일회용 기저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1은 흡수성 물품(1)을 전개하여 펼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a)는 도 1의 IIa-IIa'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도 1의 IIb-IIb'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과, 길이 방향(L)에 직교하는 폭 방향(W)과,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가지며, 폭 방향(W)의 중심을 통과하여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중앙축선(CL)과, 길이 방향(L)의 중심을 통과하여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중앙축선(CW)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에서, 착용자의 등쪽의 몸통 둘레에 대응하는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과, 착용자의 배쪽의 몸통 둘레에 대응하는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고,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과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S3)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 양단부의 패스닝 테이프(후술)와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의 폭 방향(W) 중앙의 접합 대상 부재(후술)가 각각 연결됨으로써 기저귀로서 장착된다. 가랑이 영역(S3)은 폭 방향(W)으로 잘록해져 있어도 좋다. 길이 방향(L)에서의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으로 향하는 방향 및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으로 향하는 방향을 각각 뒤쪽 방향 및 앞쪽 방향이라고도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전개하여 평탄하게 펼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상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순히 「평면시」라고 한다.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했을 때,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착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피부면으로부터 먼 쪽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중앙축선(CL)으로 향하는 방향을 폭 방향(W)의 내측 방향으로 하고, 중앙축선(C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폭 방향(W)의 외측 방향으로 한다. 중앙축선(CW)으로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L)의 내측 방향으로 하고, 중앙축선(CW)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길이 방향(L)의 외측 방향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와, 흡수체(4)를 구비한다. 다만,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및 흡수체(4)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모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과 일치한다. 따라서,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및 흡수체(4)에서도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에 관해 각각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이용하고,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착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먼 쪽에 대하여 각각 피부측 및 비피부측을 이용한다.
표면 시트(2)는,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시트이다. 표면 시트(2)로는, 예컨대 액투과성의 부직포나 직포, 액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이들의 복합 시트 등, 임의의 액투과성 시트를 들 수 있다. 이면 시트(3)는, 착용자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시트이다. 이면 시트(3)로는, 예컨대 액불투과성의 부직포나 합성 수지 필름, 이들의 복합 시트, SMS 부직포 등, 임의의 액불투과성 시트를 들 수 있다.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적층체(이하, 단순히 「적층체」라고도 함)의 내부, 즉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위치하는 액흡수성 및 액유지성의 재료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 코어(4a)와 흡수체 코어(4a)를 포섭하는 코어랩(4b, 4c)을 포함하고 있다. 흡수체(4)로는, 펄프 섬유, 합성 섬유, 흡수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체(4)와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고,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는 이들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표면 시트(2), 흡수체(4) 및 이면 시트(3)의 사이의 접합용 접착제는, 흡수성 물품(1)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은, 또한 한쌍의 샘방지벽(5, 5)과 다리 신축 부재(6, 6)와 외장 시트(9)를 구비한다. 한쌍의 샘방지벽(5, 5)은, 표면 시트(2)에서의 폭 방향(W)의 양측의 표면을 덮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고, 폭 방향(W)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측부 시트이다. 한쌍의 샘방지벽(5, 5)은 각각,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측의 표면에서, 폭 방향(W)의 외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고정단이 되고, 폭 방향(W)의 내측의 단부가 신축 가능한 개더부를 형성하는 자유단이 된다. 한쌍의 샘방지벽(5, 5)의 자유단 근방에는, 각각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는 고무와 같은 선형의 탄성체(5a)가 예컨대 2개씩 배치된다. 다리 신축 부재(6)는, 착용자의 대퇴부에 맞닿는 가랑이 영역(S3)의 폭 방향(W)의 양측을 각각 길이 방향(L)으로 신축시키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이다. 외장 시트(9)는,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이면 시트(3)를 보강하고, 감촉을 개선하고,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접합된 상태로 한쌍의 샘방지벽(5, 5)과 그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접속된다. 샘방지벽(5), 외장 시트(9)의 재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샘방지벽(5)으로서 표면 시트(2)의 재료, 외장 시트(9)로서 이면 시트(3)의 재료를 들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은, 또한,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에, 허리 신축 부재(11)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를 구비한다.
허리 신축 부재(11)는, 신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이며, 그 신축 방향이 폭 방향(W)을 따르도록 적층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허리 신축 부재(11)는, 예컨대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개더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신축 부재(11)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시의 신체, 특히 등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허리 신축 부재(11)의 재료로는, 신축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재질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형상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탄성 부재와의 조합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다. 허리 신축 부재(11)의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필름이나 폴리스티렌 필름 등의 필름 신축 부재나, 스티렌계 고무나 올레핀계 고무나 우레탄계 고무 등과 부직포나 종이 등을 복합한 시트형 신축 부재 또는 신축성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시트 이외에도 실고무형의 신축 부재이어도 좋다.
허리 신축 부재(11)는, 두께 방향(T)에서, 흡수체(4)와 표면 시트(2) 사이에 배치되고, 그 적어도 일부분이 흡수체(4)와 겹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신축 부재(11)의 일부분이 흡수체(4)와 두께 방향(T)에서 겹치며 접촉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에서, 흡수체(4)의 뒤쪽 방향의 단부(4E2)는, 허리 신축 부재(11)의 앞쪽 방향의 단부(11E1)와 뒤쪽 방향의 단부(11E2)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에서 허리 신축 부재(11)가 흡수체(4)보다 길이 방향(L)의 뒤쪽 방향으로 틀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평면시에서 허리 신축 부재(11)가 흡수체(4)와 길이 방향(L)에서 완전히 겹치며 접촉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허리 신축 부재(11)를 폭 방향(W)으로 더욱 신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신축 부재(11)는, 앞쪽 부분(11a)과 뒤쪽 부분(11b)을 포함하고 있다. 앞쪽 부분(11a)은, 길이 방향(L)의 앞쪽 부분으로, 두께 방향(T)에서 흡수체(4)와 겹치며 접촉하고(폭 방향(W)의 양단부를 제외), 흡수체(4)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한다. 한편, 뒤쪽 부분(11b)은, 길이 방향(L)의 뒤쪽 부분으로, 두께 방향(T)에서 흡수체(4)와는 겹치지 않고 표면 시트(2)와 겹치며 접촉한다. 여기서, 허리 신축 부재(11)에서는, 앞쪽 부분(11a)의 피부측의 면(11p11)은 흡수체(4)와 접하고 있지만, 흡수체(4)와 접합되어 있지 않아 비접합이며, 따라서 예컨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지 않다. 한편, 뒤쪽 부분(11b)의 피부측의 면(11p12)은 흡수체(4)와 접하지 않지만, 표면 시트(2)와 접하고 있고, 표면 시트(2)와 접합되어 있고, 따라서 예컨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앞쪽 부분(11a) 및 뒤쪽 부분(11b)의 비피부측의 면(11p2)은 이면 시트(3)와 접하고 있고, 이면 시트(3)와 접합되어 있고, 따라서 예컨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는 두께 방향(T)으로 겹쳐 있지만, 양자는 서로 비접합이며, 즉 양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는 상대적으로 서로 움직일 수 있다. 또, 앞쪽 부분(11a)에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두께 방향(T)에서 흡수체(4)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관해서는, 피부측의 면은 표면 시트(2)와 접하고 있고, 표면 시트(2)와 접합되어 있고, 비피부측의 면은 이면 시트(3)와 접하고 있고, 이면 시트(3)와 접합되어 있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신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이며, 그 신축 방향이 폭 방향(W)을 따르도록, 적층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한쪽 및 다른 쪽은, 각각 적층체의 폭 방향(W)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형성된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는, 예컨대 착용시에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을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에 연결하기 위한 신축성의 사이드 플랩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폭 방향(W)으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적층체의 폭 방향(W)의 양단부를 신장할 수 있고, 적층체 내의 흡수체(4)를 피부측에 압박할 수 있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길이 방향(L)에서 흡수체(4)에 겹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일부가 흡수체(4)와 길이 방향(L)에서 겹친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을 흡수체(4)에 더욱 전달하기 쉽게 할 수 있고, 흡수체(4)를 피부측에 더욱 압박할 수 있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재료로는, 신축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재질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형상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탄성 부재와의 조합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재료로는, 예컨대 허리 신축 부재(11)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의 표면 시트(2)(또는 샘방지벽(5))와 이면 시트(3)(또는 외장 시트(9))의 사이, 표면 시트(2)(또는 샘방지벽(5))의 피부측의 표면 및 이면 시트(3)(또는 외장 시트(9))의 비피부측의 표면의 어느 위치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다만,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표면 시트(2)(또는 샘방지벽(5)) 및 이면 시트(3)(또는 외장 시트(9))의 적어도 한쪽의 연장 부분에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표면 시트(2), 샘방지벽(5), 이면 시트(3) 및 외장 시트(9)와는 별도의 부재이며, 샘방지벽(5)과 외장 시트(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착용시에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의 접합 대상 부재(12)(후술)와 연결하기 위한 패스닝 테이프(7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L)에서 접합 대상 부재(12) 전체가 허리 신축 부재(11)에 겹친다. 그 때문에,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가 늘어나, 각 사이드 신축 부재(7)의 패스닝 테이프(7a)가 접합 대상 부재(12)에 부착되었을 때, 접합 대상 부재(12) 사이에서는, 사이드 신축 부재(7)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과 허리 신축 부재(11)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이 협조하여, 흡수체를 피부측에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허리 신축 부재(11)는,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허리 신축 부재(11)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는 길이 방향(L)에서 적어도 일부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허리 신축 부재(11)에서의 폭 방향(W)의 외측의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단부 근처(11e)의 중앙축선(CL)에 대한 사영과,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폭 방향(W)의 내측의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단부 근처(7e)의 중앙축선(CL)에 대한 사영은, 적어도 일부에서 겹친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착용시에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폭 방향(W)에서, 허리 신축 부재(11)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이격되어 있어도 좋고 부분적으로 겹쳐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W)에서, 허리 신축 부재(11)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11)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사이의 신축하지 않는 적층체 부분이 적층체의 폭 방향(W)의 양단부를 신장하지 않고 인장하기 때문에, 흡수체(4)를 피부측에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허리 신축 부재(11)보다 단위길이당 신장 응력이 높다. 다만, 허리 신축 부재(11) 및 사이드 신축 부재(7)와 같은 신축 부재의 신장 응력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했다.
(1) 신축 부재를 폭 방향(W)에 전부 포함하도록, 신축 부재를 포함하는 자재마다 절취하여 시료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허리 신축 부재(11) 또는 사이드 신축 부재(7)를 포함하는 자재를 개더가 소실될 정도로 신장시킨 상태로, 폭(기저귀의 길이 방향에 상당) 13 mm×길이 100 mm(기저귀의 폭 방향에 상당)의 시료를 절취했다. 또, 신축시킨 상태에서 길이가 100 mm보다 짧은 경우는, 폭 13 mm×절취 가능한 최장의 길이(기저귀의 폭 방향에 상당)의 시료를 절취했다. 그리고 절취한 시료를 동일하게 신장시킨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 각각으로부터 10 mm 내측에 마킹했다. 신장 응력의 측정에는, 인스론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사 제조의 인장 시험기(예시 : 모델 5564), 또는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예시 : 모델 AGS-1kNG)를 사용했다.
(2) 상기 (1)의 시료를, 양단부의 마킹부가 각각 상부 척 및 하부 척의 척 내측 단부가 되도록 상부 척 및 하부 척 사이에 끼웠다. 척 사이의 시료의 길이 치수는 80 mm가 된다. 또, 신축 부재의 길이가 100 mm보다 짧은 경우는, 개더로서 작용하고 있는 신축 부재의 길이 중 가장 짧은 길이보다 20 mm 짧은 길이를 척 사이의 시료의 길이로 설정했다. 초기의 척간 거리는 초기에 시료의 텐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료가 줄어들었을 때의 길이(자연 길이)보다 짧게 설정했다. 다음으로 척이 서로 이격되도록 시료를 100 mm/min의 속도로 상하 방향으로 인장하여, 시료를 신장했다.
(3) 신축 부재를 끼워 넣은 자재가 늘어짐없이 신장되었을 때의 시료의 척 사이의 길이 치수를 100%로 하여, 시료의 척 사이의 길이 치수가 90%가 될 때까지 시료를 늘리고, 그 때의 시료의 신장시 응력을 측정하여, 그 때의 값을 신축 부재의 신장 응력으로 했다. 즉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시료의 100% 길이 치수 80 mm일 때 90%의 72 mm까지 시료를 늘렸을 때의 신장시 응력을 측정했다.
흡수성 물품(1)은, 또한,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에, 접합 대상 부재(12)와 한쌍의 돌출부(8)를 구비하고 있다. 접합 대상 부재(12)는,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패스닝 테이프(7a)를 연결하는 대상이 되는 시트이며, 예컨대 패스닝 테이프(7a)가 면패스너의 후크인 경우에는 접합 대상 부재(12)는 면패스너의 루프이고, 패스닝 테이프(7a)가 점착 테이프인 경우에는 접합 대상 부재(12)는 점착 테이프가 점착 가능한 시트이다. 접합 대상 부재(12)는,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의 외장 시트(9)의 비피부측의 표면의 위치에, 예컨대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접합 대상 부재(12)는, 또한, 평면시에서 흡수체(4)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또는 전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대상 부재(12)는, 외장 시트(9)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평면시에서 접합 대상 부재(12)의 길이 방향(L)의 내측의 부분이 흡수체(4)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쪽에서도 흡수체(4)를 피부측에 압박할 수 있다. 한쌍의 돌출부(8, 8)는, 착용시에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을 등쪽 몸통 둘레 영역(S2)에 연결하기 위한 시트이며, 사이드 플랩으로서 기능한다. 한쌍의 돌출부(8)는,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배쪽 몸통 둘레 영역(S1)의 표면 시트(2)(또는 샘방지벽(5))와 이면 시트(3)(또는 외장 시트(9))의 사이, 표면 시트(2)(또는 샘방지벽(5))의 피부측의 표면 및 이면 시트(3)(또는 외장 시트(9))의 비피부측의 표면의 어느 위치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다만, 한쌍의 돌출부(8, 8)는, 표면 시트(2)(또는 샘방지벽(5)) 및 이면 시트(3)(또는 외장 시트(9))의 적어도 한쪽의 연장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8)는, 표면 시트(2), 샘방지벽(5), 이면 시트(3) 및 외장 시트(9)와는 별도의 부재로, 샘방지벽(5)과 외장 시트(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8)의 재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표면 시트(2)나 이면 시트(3)의 재료를 들 수 있다. 돌출부(8)는 없어도 좋다.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1)의 기능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흡수성 물품(1)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허리 신축 부재(611)는 표면 시트(602)와 이면 시트(603) 사이에 배치되고,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604)에 겹치지 않고, 따라서 흡수체(604)에는 접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표면 시트(602)와 이면 시트(603)의 적층체에서, 허리 신축 부재(611)와 흡수체(604)는 길이 방향(L)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허리 신축 부재(611)가 수축되어 착용자의 등면(BL)에 밀착되도록 가까워지면, 허리 신축 부재(611)에 대응하는 표면 시트(602)의 부분(FP01)은 착용자의 등면(BL)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체(604)는, 신축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축되지 않고, 또한 허리 신축 부재(611)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허리 신축 부재(6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기 때문에, 반대로 착용자의 등면(BL)으로부터 떨어져 버린다. 따라서, 흡수체(604)에 대응하는 표면 시트(602)의 부분(FP02)은 착용자의 등면(BL)으로부터 떨어져 버린다. 게다가, 흡수체(604)와 허리 신축 부재(611) 사이의 표면 시트(602) 및 이면 시트(603)도, 신축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축되지 않고, 또한 허리 신축 부재(611)와 두께 방향에서 겹치지 않고,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6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어, 착용자의 등면(BL)으로부터 떨어져 버린다. 따라서, 흡수체(604)와 허리 신축 부재(611) 사이의 표면 시트(602)의 부분(FP03)도 착용자의 등면(BL)으로부터 떨어져 버린다. 그 결과, 착용자의 등면쪽에서, 허리 신축 부재(611)와 흡수체(604) 사이에서 단차(ST0)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단차(ST0)가 형성되면,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이 저하되어, 흡수성 물품의 장착 쾌적성이 저하되거나, 착용자의 등면쪽의 흡수체(604) 부분이 배설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단차(ST0)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예컨대 특허문헌 2의 기술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등면쪽의 흡수체 부분과 허리 신축 부재의 부분을 겹치게 한 다음, 흡수체 부분과 허리 신축 부재의 부분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이 경우, 허리 신축 부재와 흡수체는 접착되기 때문에, 흡수체는 허리 신축 부재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그러나, 허리 신축 부재가 수축되면, 흡수체도 수축되어 그 형상이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착용자의 등면쪽의 흡수체 부분에서 흡수 성능이 저하되거나, 주름의 발생 등에 의해 장착 쾌적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에서는, 허리 신축 부재(11) 및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를 이용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구성에 의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면서, 흡수체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는 두께 방향(T)에 겹치며 접촉하고 있고, 허리 신축 부재(11)의 피부측의 면(11p11)은, 흡수체(4)와 접하고 있지만, 흡수체(4)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비접합이며, 따라서 예컨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는 서로 비접합이며,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움직임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는 상대적으로 서로 움직일 수 있다. 그 경우에도, 착용시에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도록 허리 신축 부재(11)가 폭 방향(W)으로 수축되어 착용자의 등면(BL)에 밀착되도록 가까워지면, 그 허리 신축 부재(11)에 대응하는 표면 시트(2)의 부분(FP11)은 착용자의 등면(BL)에 밀착될 수 있다. 다만, 흡수체(4)에서의 허리 신축 부재(11)와 겹치며 접촉하는 부분(4B)은 거의 수축되지 않고, 따라서 흡수체(4)에 수축에 따르는 변형이 거의 생기지 않기 때문에, 흡수체(4)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흡수체(4)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허리 신축 부재(11)가 수축되고, 피부측에 위치하는 흡수체(4)가 거의 수축되지 않음으로써, 허리 신축 부재(11)보다 피부측, 즉 흡수체(4)로 향하는 압력이 가해지고, 흡수체(4)를 피부측으로 압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4)에 대응하는 표면 시트(2)의 부분(FP12)도 착용자의 등면(BL)에 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체(4)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흡수체(4)가 피부측으로 압출할 때,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주로 중앙부가 착용자의 피부면에 압박되는 한편,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단부가 피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경향이 있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이,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적층체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적층체, 특히 이면 시트(3)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에 인장됨으로써,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단부가 이면 시트(3)에 의해 피부면에 압박되어, 피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허리 신축 부재(11)에 의한 흡수체(4)를 피부측으로 압출하는 작용을 흡수체(4)의 폭 방향(W) 전체에 미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은, 허리 신축 부재(11)보다 단위길이당 신장 응력이 높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신장 응력이 낮은, 즉 신장되기 쉬운 허리 신축 부재(11)를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보다 먼저 신장시킴으로써, 흡수체(4) 부분을 피부면에 더욱 피트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흡수성 물품(1)의 제조 장치(200)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 장치(200)는, 표면 시트 형성 유닛(200A), 흡수체 형성 유닛(200B), 이면 시트 형성 유닛(200C), 신축 부재 접합 유닛(200D), 일체 접합 유닛(200E) 및 절첩 유닛(200F)을 구비한다. 또한, 제조 장치(200)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은, 표면 시트 형성 공정과, 흡수체 형성 공정과, 이면 시트 형성 공정과, 신축 부재 접합 공정과, 일체 접합 공정과, 수축 공정과, 압박 공정과, 절첩 공정을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이나 그것을 구성하는 자재 등의 반송에 관해, 반송 방향(MD), 반송 방향(MD)에 직교하고 반송면을 따르는 횡단 방향(CD) 및 반송 방향(MD)과 횡단 방향(CD)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TD)을 갖는다. 다만, 흡수성 물품(1)이나 그것을 구성하는 자재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모두 반송 방향(MD), 횡단 방향(CD) 및 상하 방향(TD)과 동일하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이나 그것을 구성하는 자재에서도,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에 관해 각각 반송 방향(MD), 횡단 방향(CD) 및 상하 방향(TD)을 이용한다.
표면 시트 형성 공정에서는, 표면 시트 형성 유닛(200A)에 의해, 연속 샘방지벽 시트(105, 105)가 접합된 연속 표면 시트(102)가 형성된다. 즉, 표면 시트(2)용의 연속 시트인 연속 표면 시트(102)는,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면서 접착제 도포 장치(201)에 의해 한쪽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합 롤(210)에 공급된다. 한편, 한쌍의 샘방지벽용의 연속 시트인 한쌍의 연속 샘방지벽 시트(105, 105)는,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어 접합 롤(210)에 공급된다. 그리고, 접합 롤(210)에서는, 서로 대면 배치된 한쌍의 접합 롤 사이에 연속 표면 시트(102)와 한쌍의 연속 샘방지벽 시트(105, 105)가 공급된다. 이어서, 연속 표면 시트(102)에서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한쌍의 연속 샘방지벽 시트(105, 105)가 압박되어 양자가 접합됨으로써, 횡단 방향(CD)의 양측에 한쌍의 연속 샘방지벽 시트(105, 105)가 접합된 연속 표면 시트(102)가 형성된다. 그 후, 연속 표면 시트(102)는,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면서, 연속 샘방지벽 시트(105, 105)가 접합된 면과는 반대측의 다른쪽 면에, 접착제 도포 장치(202)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후, 일체 접합 유닛(200E)(접합 롤(240, 250))에 공급된다.
흡수체 형성 공정에서는, 흡수체 형성 유닛(200B)에서의 도시하지 않은 흡수체 형성 장치에 의해 흡수체(104)가 형성된다. 그 후, 흡수체(104)는 반송 벨트에 의해 일체 접합 유닛(200E)(접합 롤(240, 250))에 공급된다.
이면 시트 형성 공정에서는, 이면 시트 형성 유닛(200C)에 의해, 연속 외장 시트(109)가 접합된 연속 이면 시트(103)가 형성된다. 즉, 이면 시트(3)용의 연속 시트인 연속 이면 시트(103)는,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고, 접합 롤(220)에 공급된다. 한편, 외장 시트(9)용의 연속 시트인 연속 외장 시트(109)(다리 신축 부재(6), 사이드 신축 부재(7), 돌출부(8), 접합 대상 부재(12)가 부가됨)는,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면서 접착제 도포 장치(203)에 의해 한쪽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합 롤(220)에 공급된다. 접합 롤(220)에서는, 서로 대면 배치된 한쌍의 접합 롤 사이에 연속 외장 시트(109)와 연속 이면 시트(103)가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 외장 시트(109)에서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연속 이면 시트(103)가 압박되어 양자가 접합됨으로써, 이면측에 연속 외장 시트(109)가 접합된 연속 이면 시트(103)가 형성된다. 그 후, 연속 이면 시트(103)는,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면서, 연속 외장 시트(109)가 접합된 면과는 반대측의 다른쪽 면에, 접착제 도포 장치(204)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된 후, 일체 접합 유닛(200E)(접합 롤(240))에 공급된다.
신축 부재 접합 공정에서는, 신축 부재 접합 유닛(200D)에 의해, 허리 신축 부재(11)가 첩부된 연속 이면 시트(103)가 형성된다. 즉, 허리 신축 부재(11)용의 연속 시트인 연속 신축 부재 시트(111)가,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면서 절단 장치(230)에 공급되고, 절단 장치(230)의 커터(절단기)에 의해, 반송 방향(MD)의 선단부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절단편, 즉 허리 신축 부재(11)는, 횡단 방향(CD)의 양단부가 확폭 첩부 장치(400)에 유지되고, 확폭 첩부 장치(400)에 수취된다. 허리 신축 부재(11)는, 확폭 첩부 장치(400)에 의해 횡단 방향(CD)의 양단부가 횡단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약 180° 회전되어, 이면 시트 형성 공정후의 접합 롤(240) 상의 연속 이면 시트(103)에서의 접착제 도포면에 신장 상태로 압박되고, 연속 이면 시트(103)에 첩부된다. 이것에 의해, 허리 신축 부재(11)가 첩부된 연속 이면 시트(103)가 형성된다. 이 때, 연속 이면 시트(103)에는 반송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져, 횡단 방향(CD)으로 늘어나 신장 상태에 있는 허리 신축 부재(11)가 첩부되더라도, 연속 이면 시트(103)는 거의 폭이 감소하지 않는다. 그 후, 허리 신축 부재(11)가 첩부된 연속 이면 시트(103)는 접합 롤(240) 위에서 일체 접합 유닛(200E)(접합 롤(250))으로 이동하여, 일체 접합 유닛(200E)(접합 롤(240))에 공급된다. 이 때, 연속 이면 시트(103)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허리 신축 부재(11)가 첩부되고, 허리 신축 부재(11) 상에는 접착제가 없고, 허리 신축 부재(11)의 주변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일체 접합 공정에서는, 일체 접합 유닛(200E)에 의해, 연속 표면 시트(102)와 흡수체(104)와 연속 이면 시트(103)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반제품의 연속체(101a)가 형성된다. 즉, 연속 샘방지벽 시트(105, 105)가 접합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연속 표면 시트(102)가 표면 시트 형성 공정으로부터, 흡수체(104)가 흡수체 형성 공정으로부터, 연속 외장 시트(109)가 접합되고, 접착제가 도포되고, 허리 신축 부재(11)가 첩부된 연속 이면 시트(103)가 신축 부재 접합 공정으로부터, 각각 서로 대면 배치된 한쌍의 접합 롤(240, 250) 사이에 반송된다. 그리고, 연속 표면 시트(102)와, 흡수체(104)와, 연속 이면 시트(103)가 한쌍의 접합 롤(240, 250) 사이에 협지, 압축되고,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연속 표면 시트(102)와 흡수체(104)와 연속 이면 시트(103)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반제품의 연속체(101a)가 형성된다. 이 때, 허리 신축 부재(11)가 첩부된 연속 이면 시트(103) 중, 허리 신축 부재(11) 상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104) 사이에는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104)는 접하지만 접합되지 않는다. 또, 표면 시트(2)에 대한 접착제의 도공 패턴이나 이면 시트(3)에 대한 접착제의 도공 패턴은, 예컨대 접착제 도포 장치(202)나 접착제 도포 장치(203)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수축 공정에서는, 반제품의 연속체(101a)는 접합 롤(240)로부터 떨어지고, 복수의 반송 롤에 반송되면서, 반송 방향(MD)의 장력이 저하된다(예컨대, 반송 롤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등). 이것에 의해, 횡단 방향(CD)으로 신장된 상태의 허리 신축 부재(11)가 수축 가능해지므로, 허리 신축 부재(11)를 횡단 방향(CD)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그것에 대응하여, 반제품(1a)에서의 허리 신축 부재(11)를 포함하는 부분도 횡단 방향(CD)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허리 신축 부재(11)를 포함하는 부분이 횡단 방향(CD)으로 수축된 반제품의 연속체(101b)가 형성된다.
이어서, 압박 공정에서는, 절첩 유닛(200F)의 반송 롤(303)에 의해, 압박 부재(301) 및 반송 장치(310)에, 허리 신축 부재(11)가 수축된 반제품의 연속체(101b)가 공급된다. 계속해서, 반송 장치(310)에 의해, 반제품의 연속체(101b)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허리 신축 부재(11)의 횡단 방향(CD)의 길이보다 횡단 방향(CD)의 길이가 작은 압박 부재(301)에 의해, 반제품(1b)의 횡단 방향(CD)의 중앙 영역이 반제품(1b)의 배치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것에 의해, 허리 신축 부재(11)의 복수의 주름이 있는 영역이 압박된다.
절첩 공정에서는, 반송 장치(310)에 의해, 반제품의 연속체(101b)가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절첩 부재(302)에 의해, 반제품(1b)에서의 중앙 영역보다 횡단 방향(CD)의 외측의 한쌍의 측부 영역이, 반송 방향(MD)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쌍의 꺾은 선에서, 반제품(1b)의 배치면으로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중앙 영역의 상측에 각각 절첩된다. 이것에 의해 반제품의 연속체(101c)가 형성된다. 또, 압박 공정과 절첩 공정은 시간적으로 중복되어 행해져도 좋고, 압박 공정의 후에 절첩 공정이 행해져도 좋다. 반제품의 연속체(101c)는, 그 후, 하나의 제품의 흡수성 물품으로 분리되어, 흡수성 물품(1)이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흡수성 물품(1)이 제조된다.
본 흡수성 물품(1)에 의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면서, 흡수체의 흡수 성능의 저하나 장착 쾌적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허리 신축 부재(11)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이 이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허리 신축 부재(11)와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사이의 신축하지 않는 적층체 부분이 흡수체(4)를 피부측에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수체(4)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고,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길이 방향(L)에서, 허리 신축 부재(11)가 흡수체(4)보다 길이 방향(L)의 뒤쪽 방향으로 틀어져 있다. 따라서, 허리 신축 부재(11)가 흡수체(4)와 길이 방향(L)에서 완전히 겹치는 경우와 비교하여,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의 마찰 등이 저감되어, 허리 신축 부재(11)를 폭 방향(W)으로 더욱 신장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허리 신축 부재(11)는 흡수체를 향해 더욱 강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고, 흡수체(4)를 피부측으로 더욱 압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4)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길이 방향(L)에서, 패스닝 테이프(7a)가 허리 신축 부재(11)에 겹친다. 이 경우, 허리 신축 부재(11)에 겹치는 패스닝 테이프(7a)란, 패스닝 테이프(7a)에서의 사이드 신축 부재(7)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며 접합하는 부분이고, 상기 부분 중의 길이 방향(L)의 최대 길이를 갖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길이 방향(L)에서 패스닝 테이프(7a) 전체가 허리 신축 부재(11)에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가 늘어나, 각 사이드 신축 부재(7)의 패스닝 테이프(7a)가 접합 대상 부재(12)(타겟 테이프)에 부착되었을 때, 패스닝 테이프(7a) 사이에서는, 사이드 신축 부재(7)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과 허리 신축 부재(11)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이 협조하여, 흡수체(4)를 피부측에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4)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길이 방향(L)에서, 패스닝 테이프(7a)의 앞쪽 방향의 단부와 뒤쪽 방향의 단부 사이에, 흡수체(4)의 뒤쪽 방향의 단부(4E2)가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7a)를 인장하는 힘이 흡수체(4)에 가해지면서, 흡수체(4)의 단부(4E2)에 가해짐으로써, 흡수체(4)의 단부(4E2)를 폭 방향(W)으로 펼쳐서 몸에 바짝 댈 수 있어, 등에 간극을 발생시키기 어려운(샘방지) 작용을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길이 방향(L)에서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가 각각 흡수체(4)에 겹치기 때문에,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7, 7)의 각각의 수축하고자 하는 힘을 적층체 내의 흡수체(4)에 더욱 전달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적층체 내의 흡수체(4)를 피부측에 더욱 압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4)를 장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착용시의 신체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흡수성 물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가 겹치는 영역의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도 접착제를 배치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허리 신축 부재(11)와 흡수체(4)는 상대적으로 서로 잘 움직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4)에서의 주름(11S)의 발생이나 변형에 의한 흡수 성능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1: 흡수성 물품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7: 사이드 신축 부재
11: 허리 신축 부재

Claims (5)

  1.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적층체 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신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신축 방향을 상기 폭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적층체 내에 배치된 허리 신축 부재와,
    신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신축 방향을 상기 폭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적층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로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한쪽 및 다른 쪽은, 각각 상기 적층체의 상기 폭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형성되는 것인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허리 신축 부재는,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과 상기 길이 방향에서 겹치고,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와 겹치지만 비접합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신축 부재와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은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한 방향은 앞쪽 방향이고, 다른 방향은 뒤쪽 방향이며,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뒤쪽 방향의 단부는, 상기 허리 신축 부재의 상기 앞쪽 방향의 단부와 상기 뒤쪽 방향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은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허리 신축 부재에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신축 부재의 각각은 상기 흡수체에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87032409A 2016-05-10 2017-01-13 흡수성 물품 KR20190007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4942A JP6062093B1 (ja) 2016-05-10 2016-05-10 吸収性物品
JPJP-P-2016-094942 2016-05-10
PCT/JP2017/001073 WO2017195401A1 (ja) 2016-05-10 2017-01-13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423A true KR20190007423A (ko) 2019-01-22

Family

ID=5636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409A KR20190007423A (ko) 2016-05-10 2017-01-1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29559B2 (ko)
EP (1) EP3064180B1 (ko)
JP (1) JP6062093B1 (ko)
KR (1) KR20190007423A (ko)
CN (1) CN109069317A (ko)
AU (1) AU2017263858A1 (ko)
EA (1) EA039668B1 (ko)
MA (2) MA43607B1 (ko)
SA (1) SA518400376B1 (ko)
WO (1) WO201719540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0232A (ja) 2004-03-29 2007-11-0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着用者の解剖学的構造に適応でき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3146611A (ja) 2013-05-07 2013-08-01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3082B2 (ja) * 2003-06-20 2008-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8568382B2 (en) * 2004-03-29 2013-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co-elongation
WO2009082290A1 (en) * 2007-12-21 2009-07-0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garment provided with side panels or belt members
JP5238068B2 (ja) * 2008-04-18 2013-07-17 ディーエスジー テクノロジ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幅方向の弾性を持つ弾性複合材およびその弾性複合材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692635C (en) * 2010-02-25 2011-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JP5967689B2 (ja) * 2011-09-30 2016-08-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291224B1 (ja) * 2012-04-2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6059949B2 (ja) * 2012-10-24 2017-01-1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10447B1 (ja) * 2012-10-29 2013-06-12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78244B2 (ja) * 2014-05-07 2016-08-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0232A (ja) 2004-03-29 2007-11-0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着用者の解剖学的構造に適応でき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3146611A (ja) 2013-05-07 2013-08-01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9559B2 (en) 2022-01-25
EP3064180B1 (en) 2020-02-19
WO2017195401A1 (ja) 2017-11-16
CN109069317A (zh) 2018-12-21
AU2017263858A1 (en) 2018-10-25
US20190142652A1 (en) 2019-05-16
EA201891939A1 (ru) 2019-05-31
MA43607A1 (fr) 2018-12-31
EA039668B1 (ru) 2022-02-24
MA43607B1 (fr) 2021-10-29
JP6062093B1 (ja) 2017-01-18
JP2017202068A (ja) 2017-11-16
EP3064180A3 (en) 2017-01-25
SA518400376B1 (ar) 2022-08-04
EP3064180A2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574B2 (en) Absorbent article
WO2010140678A1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A036218B1 (ru) Растягивающийся/стягивающийся лист и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KR101615416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919649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CN109310545B (zh) 吸收性物品
EP2813197B1 (en) Disposable diaper
US11389342B2 (en) Pull-on absorbent article with pair of belt sections
JP5896914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KR20190007423A (ko) 흡수성 물품
CN111526844B (zh)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和吸收性物品的制造装置
KR20190007422A (ko) 흡수성 물품
KR102414560B1 (ko) 흡수성 물품
KR102414556B1 (ko) 흡수성 물품
JP5207389B2 (ja) 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901134B2 (ja) 使い捨てオム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