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384A - 커넥터 백 쉘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백 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384A
KR20190007384A KR1020180078683A KR20180078683A KR20190007384A KR 20190007384 A KR20190007384 A KR 20190007384A KR 1020180078683 A KR1020180078683 A KR 1020180078683A KR 20180078683 A KR20180078683 A KR 20180078683A KR 20190007384 A KR20190007384 A KR 2019000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ortion
slot
lateral width
cavity
back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가르시아 레페스
신티아 프라가 에르난데스
알레한드로 가르시아 카베요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8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tubular configuration, e.g. slotted tube-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백 쉘(32)이 설명된다. 백 쉘(32)은 그 외부 표면(12)에 제1 부착부(14)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백 쉘(32)은 제2 부착부(40)를 형성하는 부착부(34) 및 이 부착부(34)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관형인 지지부(36)를 갖는다. 제2 부착부(40)는, 백 쉘(32)을 커넥터 본체(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커넥터 본체(10)의 제1 부착부(1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백 쉘(32)의 부착부(34)의 외부 표면(12)은 제1 부착부(14)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제3 부착부(54)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백 쉘 조립체{CONNECTOR BACK SHELL ASSEMBLY}
본 출원은 2017년 7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647,66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 쉘(back shell)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조립체를 설계할 때, 케이블 및 궁극적으로는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를 보호하기 위해 엔지니어들은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넥터 백 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백 쉘의 목적은 케이블 와이어가 케이블 장력 또는 굽힘(bending)으로 인해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중 와이어 전기 케이블의 가장 취약한 부분은 와이어가 단자에 연결된 부분이다. 와이어의 어떠한 장력도 커넥터에서 와이어를 분리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데이터 또는 전력 전달이 손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된 커넥터 중 하나 근처에서 구부림으로 인해 케이블의 외부 와이어에 장력이 생겨 커넥터에서 와이어가 분리되면 전기 접촉이 손실될 수 있다. 백 쉘은 장력이나 굽힘으로 인한 응력이 와이어 대신 커넥터와 백 쉘에 의해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멀리 전달되도록 고안되었다.
백 쉘 커버는 그 주위에 배치되고 플러그(plugged)되어 있는 커넥터의 개별적인 부분으로서, 케이블을 부착하고 고정시키고 방향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며, 이로써 케이블의 부착된 와이어로부터의 기계적 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납땜 이음(solder joint) 또는 크림프(crimp) 연결에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제공한다. 백 쉘의 설계에 따라 커넥터에 먼지, 습기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백 쉘은 케이블이 과도한 각도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커넥터 종방향 축으로부터 13도 이상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커넥터와 백 쉘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백 쉘을 커넥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전용 부착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케이블 설계자가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 유형이 제한되고, 백 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용 커넥터 본체 설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 백 쉘 부착부 없이 커넥터 본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백 쉘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필요하다.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된 주제는 단지 배경기술 섹션에서 언급되었다는 결과만으로, 선행기술로 추정되어서는 안된다. 마찬가지로, 배경기술 섹션에서 언급되거나 배경기술 섹션의 주제와 관련된 문제는 이전에 선행기술에서 인식된 것으로 추정되어서는 안된다. 배경기술 섹션의 주제는 그 자체로서도 발명이 될 수 있는, 단지 다른 접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착부를 형성하는 제1 외부 표면을 갖는 커넥터 본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백 쉘이 제공된다. 백 쉘은 제2 부착부를 형성하는 부착부 및 부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관형(tubular)인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2 부착부는 커넥터 본체의 제1 부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부착부는 제1 부착부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제3 부착부를 형성하는 제2 외부 표면을 갖는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착부는 커넥터 본체의 제1 외부 표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제1 슬롯을 포함한다. 제1 슬롯은 제1 외부 표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외부 표면을 통해 커넥터 본체 내의 직사각형의 제1 공동으로 연장된다. 제1 공동은 제1 슬롯에 대해 종방향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공동은 제1 측방향 폭을 가지며, 제1 슬롯은 제1 측방향 폭보다 작은 제2 측방향 폭을 갖는다. 제1 부착부는 제1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로킹 탱(locking tang)을 더 포함한다. 제1 로킹 탱은 제1 슬롯의 전방에 위치된다.
또한,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착부는 부착부로부터 종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레일부를 갖는 T형 레일을 포함하고, 수직 레일부로부터 종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레일부를 더 포함한다. 수직 레일부는 제1 부착부의 제1 슬롯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수직 레일부는 제1 측방향 폭보다 작은 제3 측방향 폭을 갖는다. 측방향 레일부는 제1 부착부의 제1 공동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측방향 레일부는 제1 슬롯의 제1 측방향 폭보다 크고 제1 공동의 제2 측방향 폭보다 작은 제4 측방향 폭을 갖는다. 제2 부착부는 제1 부착부의 제1 로킹 탱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형성하는 가요성 로킹 탭(tab)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부착부는 백 쉘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제2 슬롯을 포함한다. 제2 슬롯은 백 쉘의 외부 표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슬롯에 대해 종방향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백 쉘의 부착부 내에서 백 쉘의 외부 표면을 통해 직사각형의 제2 공동으로 연장된다. 제2 공동은 제1 공동과 동일한 측방향 폭을 가지며, 제2 슬롯은 제1 슬롯과 동일한 측방향 폭을 갖는다. 제3 부착부는 백 쉘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2 슬롯의 전방에 위치된 제2 로킹 탱을 더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의 제1 공동은 커넥터 본체의 외부 표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제1 플로어(floor)를 포함할 수 있고, 백 쉘의 제2 공동은 백 쉘의 외부 표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제2 플로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제1 부착부를 형성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커넥터 본체 및 상술한 백 쉘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의 제1 부착부는 백 쉘의 제2 부착부와 결합됨으로써, 백 쉘을 커넥터 본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쉘 및 도 1의 커넥터 본체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백 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백 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커넥터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종방향”과 같은 방향 용어는 X축을 지칭하며, “측방향”은 X축에 수직인 Y축 (반드시 횡축은 아님)을 지칭한다. 또한, “상부” “하부”, “상위” “하위”와 관련된 용어는 반드시 수직축이 아닌, X축에 수직인 Z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정면” 및 “전방”은 삽입 방향의 종방향을 지칭하며 ‘후면”, “후부”, “후방”, 및 “뒤쪽”은 삽입 반대 방향의 종방향을 지칭한다.
도 1은 전기 와이어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조립체(도 2 참조)의 일부인 선행 기술의 커넥터 본체(10)의 비제한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커넥터 본체(10)는 와이어 케이블의 전기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 부착된 전기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단자 공동(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커넥터 본체(10)의 외부 표면(12)[이후 제1 외부 표면(12)이라 칭함]은 커넥터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10)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지지 구조체와 같은 다른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부착부(14)[이후 제1 부착부(14)라 칭함]를 형성한다. 제1 부착부는 자동차 산업 표준을 준수한다. 커넥터 본체(10)는 바람직하게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 아미드(PA, NYLON)와 같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다.
커넥터 본체(10)의 제1 부착부(14)는 제1 외부 표면(12)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슬롯(16)[이후 제1 슬롯(16)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제1 슬롯(16)은 X축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커넥터 본체(10) 내의 직사각형 공동(18)[이후 제1 공동(18)이라 칭함]까지 제1 외부 표면(12)을 통해 연장한다. 제1 공동(18)은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슬롯(16)에 평행하다. 제1 슬롯(16)은 제1 공동(18)에 대해 측방향으로 중심에 위치한다. 제1 슬롯(16)의 측방향 폭(20)은 제1 공동(18)의 측방향 폭(22)보다 작다. 제1 부착부(14)는 커넥터 본체(10)의 제1 외부 표면(12)으로부터 돌출하는 로킹 탱(tang)(24)[이후, 제1 로킹 탱(24)이라 칭함]을 더 포함한다. 제1 로킹 탱(24)은 제1 외부 표면(12) 상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의 주 축이 X축에 평행하다. 제1 로킹 탱(24)의 후방 에지(26)는 제1 외부 표면(12)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범위의 예각을 이루며 전방으로 경사진다. 제1 로킹 탱(24)의 전방 에지(28)는 직각을 형성하거나, 제1 외부 표면(12)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5°범위의 둔각을 이루며 약간 전방으로 경사진다. 제1 로킹 탱(24)은 제1 슬롯(16)의 전방에 위치된다.
도 2 내지 도 6은 상술한 커넥터 본체(10)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30)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본체(10)에 부착된 백 쉘(32)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백 쉘(32)은 백 쉘(32)을 커넥터 본체(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부착부(34) 및 부착부(34)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튜브형인 지지부(36)를 포함한다. 지지부(36)는 와이어와 단자 사이의 납땜 이음부(solder joint) 또는 크림프(crimp) 연결부에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백 쉘(32)은 케이블이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일반적으로 13도 이상 벗어난 과도한 각도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백 쉘(32)은 바람직하게는 폴리 아미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 안정화 충격 개질된 폴리 아미드 66(PA66 IM HS)와 같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34)의 내부 표면(38)은 커넥터 본체(10)의 제1 부착부(1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대응 부착부(40)[이후 제2 부착부(40)라 칭함]를 포함하고, 이로써 백 쉘(32)을 커넥터 본체(10)에 고정시킨다.
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착부(40)는 수직 레일부(42V) 및 측방향 레일부(42L)를 포함하는 T형 레일(42)을 포함한다. 수직 레일부(42V)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가지며, 부착부(34)로부터 종방향으로(즉, X축에 평행하게) 그리고 수직으로(즉, Z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측방향 레일부(42L)는 수직 레일부(42V)로부터 종방향으로(즉, X축에 평행하게) 그리고 측방향으로(즉,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측방향 레일부(42L)는 일반적으로 수직 레일부(42V)에 중심이 맞추어진다. 수직 레일부(42V)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14)의 제1 슬롯(16)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측방향 레일부(42L)는 제1 부착부(14)의 제1 공동(1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수직 레일부(42V)의 측방향 폭(44)은 제1 슬롯(16)의 측방향 폭(20)보다 작다. 측방향 레일부(42L)의 측방향 폭(46)은 제1 슬롯(16)의 측방향 폭(20)보다 크고 제1 공동(18)의 측방향 폭(22)보다 작다. 제2 부착부(40)는 제1 부착부(14)의 베이스보다 약간 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개구(50)를 형성하는 가요성 로킹 탭(tab)(48)을 더 포함한다. 개구(50)는 제2 부착부(40)의 T형 레일(42)이 X축과 평행한 삽입 방향(52)으로 제1 부착부(14)의 제1 공동(18) 및 제1 슬롯(16) 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 제1 부착부(14)의 제1 로킹 탱(24)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어떠한 특정 작동 이론을 따르지 않고, 제2 부착부(40)의 T형 레일(42)이 제1 공동(18) 및 제1 부착부(14)의 제1 슬롯(16) 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 가요성 로킹 탭(48)의 전방 단부는 제1 로킹 탱(24)의 후방 에지(26)와 접촉하여, 개구(50)의 전방 단부가 제1 로킹 탭의 전방 에지(28)를 통과하여 가요성 로킹 탭(48)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시점까지, 후방 에지(26)의 경사진 표면에 대해 구부러지며, 이로써 개구(50)의 전방 단부를 가요성 로킹 탭(48)의 전방 에지(28)와 결합시키고, 제1 부착부(14)의 제1 공동(18) 및 제1 슬롯(16)으로부터 제2 부착부(40)의 T형 레일(42)이 제거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백 쉘(32)은 제1 부착부(14)와 동일한 부착부(54)[이후 제3 부착부(54)라 칭함]를 하나 더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동일한”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정도로 아주 유사한 것을 의미한다. 백 쉘(32)의 제3 부착부(54)는 백 쉘(32)의 외부 표면(58)[이후 제2 외부 표면(58)이라 칭함]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슬롯(56)[이후 제2 슬롯(56)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이 제2 슬롯(56)은 X축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백 쉘(32) 내의 직사각형 공동(60)[이후 제2 공동(60)이라 칭함]까지 제2 외부 표면(58)을 통해 연장한다. 제2 공동(60)은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슬롯(16)에 평행하다. 제2 슬롯(56)은 제2 공동(60)에 대해 측방향으로 중심에 위치한다. 제2 슬롯(56)의 측방향 폭(62)은 제1 슬롯(16)의 측방향 폭(20)과 동일하고, 제2 공동(60)의 측방향 폭(64)은 제1 공동(18)의 측방향 폭(22)과 동일하다.
제3 부착부(54)는 백 쉘(32)의 제2 외부 표면(58)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로킹 탱(24)을 더 포함한다. 제2 로킹 탱(66)은 제2 외부 표면(58) 상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의 주 축이 X축에 평행하다. 후방 에지(68)는 제2 외부 표면(58)과 예각을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표면(12)과 제1 로킹 탱(24)의 후방 에지(68) 사이에 형성된 동일한 예각을 이루며 전방으로 경사진다. 제2 로킹 탱(66)의 전방 에지(70)는 직각을 형성하거나 제1 외부 표면(12)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표면(12)과 제1 로킹 탱(66)의 전방 에지(28) 사이에 형성된 동일한 둔각을 이루며 약간 전방으로 경사진다. 제2 로킹 탱(66)은 제2 슬롯(56)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3 부착부(54)는 커넥터 조립체(30)를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10)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지지 구조체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2 부착부(40)와 동일한 다른 부착부(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쉘(32)은 상부(72) 및 하부(74)를 갖고, 이들은 그 사이에서 종방향으로(즉, X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리빙 힌지(living hinge)와 같은 힌지부(76)에 의해 연결된다. 이 구성에 의해, 와이어 케이블이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백 쉘(32)이 커넥터 본체(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72, 74)는 백 쉘(32)의 자유 단부 상에 대응 로킹부를 포함하여, 백 쉘(32)이 커넥터 본체(1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한다. 백 쉘(32)의 지지부(36)는 지지부(36)를 와이어 케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타이와 같은 밴드를 수용할 수 있는 방사상(radial) 홈(76)을 포함하여, 케이블에 대한 추가적인 스트레인 릴리프를 제공한다.
본원에 제시된 실시예는 전기 와이어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광섬유 케이블, 공압 라인, 유압 라인, 또는 이들 중 임의의 조합을 연결하기 위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가 구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백 쉘(32) 및 이 백 쉘(32)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백 쉘(32)은 백 쉘(3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이 아닌 커넥터 본체(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10)는 커넥터 본체(10)를 자동차의 지지 구조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부착부(14)를 갖는다]. 백 쉘(32)은 또한 백 쉘(32)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이중 부착 구조(54)를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하고, 따라서 백 쉘(32)이 부착되는 커넥터 본체(10)를 자동차의 지지 구조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만 한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및/또는 그 양태)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교시에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치수, 재료의 유형, 다양한 구성 요소의 방향, 및 다양한 구성 요소의 수 및 위치는 특정 실시예의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지 원형의(prototypical) 실시예에 불과하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은 상기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와 그러한 청구범위에 해당하는 등가물의 전체 범위를 참조하여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 및 “어느 곳에”라는 용어는 각각의 용어 “구성하는” 및 “어떤 점에서”의 쉬운 영어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의 사용은 중요도의 순서를 나타내지 않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단수표현 등의 용어의 사용은 양의 제한을 나타내지 않고, 언급된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또한, 상부,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특정 방향을 나타내지 않지만, 상부, 하부 등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요소 사이의 관계의 위치를 확립한다.

Claims (6)

  1. 제1 부착부(14)를 형성하는 제1 외부 표면(12)을 갖는 커넥터 본체(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백 쉘(32)이며,
    제2 부착부(40)를 형성하는 부착부(34); 및
    부착부(34)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관형인 지지부(36)를 포함하고, 제2 부착부(40)는 커넥터 본체(10)의 제1 부착부(14)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부착부(34)는 제1 부착부(14)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제3 부착부(54)를 형성하는 제2 외부 표면(58)을 갖는, 백 쉘(32).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부착부(14)는 직사각형의 제1 슬롯(16)을 포함하고, 제1 슬롯(16)은 제1 외부 표면(12)에 형성되고 제1 외부 표면(12)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제1 외부 표면(12)을 통해 제1 슬롯(16)에 대해 종방향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하는 커넥터 본체(10) 내의 직사각형의 제1 공동(18)까지 연장하고, 제1 공동(18)은 제1 측방향 폭(20)을 가지며, 제1 슬롯(16)은 제1 측방향 폭(20)보다 작은 제2 측방향 폭(20)을 가지며, 제1 부착부(14)는 제1 외부 표면(12)으로부터 돌출하고 제1 슬롯(16)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로킹 탱(24)을 더 포함하는, 백 쉘(32).
  3. 제2항에 있어서, 제2 부착부(40)는 부착부(34)로부터 종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레일부(42V)를 갖는 T형 레일(42) 및 수직 레일부(42V)로부터 종방향 그리고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레일부(42L)를 포함하고, 수직 레일부(42V)는 제1 슬롯(16)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수직 레일부(42V)는 제1 측방향 폭(20)보다 작은 제3 측방향 폭(20)을 가지며, 측방향 레일부(42L)는 제1 공동(1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측방향 레일부(42L)는 제1 측방향 폭(20)보다 크고 제2 측방향 폭(20)보다 작은 제4 측방향 폭(20)을 가지며, 제2 부착부(40)는 제1 로킹 탱(24)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개구(50)를 형성하는 가요성 로킹 탭(48)을 더 포함하는, 백 쉘(32).
  4. 제2항에 있어서, 제3 부착부(54)는 직사각형의 제2 슬롯(56)을 포함하고, 제2 슬롯(56)은 제2 외부 표면(58)에 형성되고 제2 외부 표면(58)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제2 외부 표면(58)을 통해 제2 슬롯(56)에 대해 종방향으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하는 부착부(34) 내의 직사각형의 제2 공동(60)까지 연장하고, 제2 공동(60)은 제1 측방향 폭(20)을 가지며, 제2 슬롯(56)은 제2 측방향 폭(20)을 가지며, 제3 부착부(54)는 제2 외부 표면(58)으로부터 돌출하고 제2 슬롯(56)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 로킹 탱(66)을 더 포함하는, 백 쉘(32).
  5. 제4항에 있어서, 제1 공동(18)은 제1 외부 표면(12)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제1 플로어를 포함하고, 제2 공동(60)은 제2 외부 표면(58)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제2 플로어를 포함하는, 백 쉘(32).
  6. 커넥터 조립체(30)이며,
    제1 부착부(14)를 형성하는 제1 외부 표면(12)을 갖는 커넥터 본체(10); 및
    제1항에 따른 백 쉘(32)을 포함하고, 제1 부착부(14)는 제2 부착부(40)와 결합되어 백 쉘(32)을 커넥터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커넥터 조립체(30).
KR1020180078683A 2017-07-12 2018-07-06 커넥터 백 쉘 조립체 KR20190007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47,666 2017-07-12
US15/647,666 US10020599B1 (en) 2017-07-12 2017-07-12 Connector back shell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84A true KR20190007384A (ko) 2019-01-22

Family

ID=6271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83A KR20190007384A (ko) 2017-07-12 2018-07-06 커넥터 백 쉘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20599B1 (ko)
EP (1) EP3429033B1 (ko)
KR (1) KR20190007384A (ko)
CN (1) CN1092566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0970B1 (en) * 2018-02-08 2019-05-14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device
EP3723210A1 (en) * 2019-04-12 2020-10-14 Simon, S.A.U. Strain relief part for the mechanical union between a connector and a cable, assembly and luminaire comprising such part
EP3989371A1 (en) * 2020-10-20 2022-04-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strain relief device in two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780A (en) * 1979-07-03 1983-08-16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582529Y2 (ja) * 1993-09-29 1998-10-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ホルダ
CN1146646A (zh) * 1995-08-07 1997-04-02 住友电装株式会社 接线盒
JPH1027646A (ja) * 1996-07-12 1998-01-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146982B2 (ja) * 1996-07-12 2001-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86849B2 (ja) * 1996-08-06 2000-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3596729B2 (ja) * 1998-08-31 2004-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WO2006125460A1 (en) * 2005-05-24 2006-11-30 Fci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leasable locking means
JP5058870B2 (ja) * 2008-04-15 2012-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CN203674462U (zh) * 2014-01-17 2014-06-25 崔荣伟 拼接式电源插座
JP2016072067A (ja) * 2014-09-30 2016-05-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76385B2 (ja) * 2015-01-14 2017-02-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カバー
EP3121909B1 (en) * 2015-07-21 2018-09-19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djusted impedance
DE102015213751A1 (de) * 2015-07-21 2017-01-26 Apparatebau Kirchheim-Teck Gmbh Steckverbindung
CN106532358A (zh) * 2016-12-12 2017-03-22 深圳龙友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锁紧结构以及高压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56642B (zh) 2020-04-17
US10020599B1 (en) 2018-07-10
EP3429033B1 (en) 2021-05-19
EP3429033A1 (en) 2019-01-16
CN109256642A (zh)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63B2 (en) Connector for flat cables
CN111033909B (zh) 用于电路板的模块化插接连接器
US10594086B2 (en) Electrical shielding member for a network connector
EP2456018A1 (en) Waterproof structure
KR20190007384A (ko) 커넥터 백 쉘 조립체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JP5754380B2 (ja) コネクタの電線保護部材
US8758043B2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of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
EP3046189B1 (en) Connector insert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US20140154916A1 (en) Waterproof connector
US9979146B2 (en)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US8408934B2 (en) Connector
US20170054225A1 (en)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20150280359A1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US9410991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current sensor and electric conductive member
US10622766B2 (en) Electrical shielding member for a network connector
US7658640B2 (en) Cable connector,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connector and a cable
JP2021068579A (ja) 分岐用コネクタ
JP2011040264A (ja) 配線方向規制具
TWI696325B (zh) 插頭連接器
US791431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653944B1 (ko) 메일커넥터
CN108631074B (zh) 线对线连接器及提供该线对线连接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