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356A -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356A
KR20190007356A KR1020170094754A KR20170094754A KR20190007356A KR 20190007356 A KR20190007356 A KR 20190007356A KR 1020170094754 A KR1020170094754 A KR 1020170094754A KR 20170094754 A KR20170094754 A KR 20170094754A KR 20190007356 A KR20190007356 A KR 2019000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erminal
coordinate data
terminal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803B1 (ko
Inventor
예재헌
김현식
계성훈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ublication of KR2019000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정보를 좌표 데이터로 생성하여 공유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자기 단말의 제1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1 터치를 인식하여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좌표 데이터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제2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제1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는 좌표 데이터 변환부; 및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 및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데이터를 기초로 자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Two-way touch-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information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장치와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터치 시스템(two-way touch system)은 두개 이상의 서로 다른 단말들이 영상 정보와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종래의 양방향 터치 시스템은 터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시켜 이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미지 데이터 자체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단말이 다른 하나의 단말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딜레이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단말들 간에 통신 상태가 불량할 경우 트래픽으로 인해 렉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504호 (공개일 : 2013.03.1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정보를 좌표 데이터로 생성하여 공유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기 단말의 제1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1 터치를 인식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좌표 데이터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제2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는 좌표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다른 단말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할 때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를 센싱한 시간과 상기 제2 터치를 센싱한 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는 상기 자기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터치 신호를 센싱하는 제1 단말인지 또는 상기 터치 신호를 센싱하지 않는 제2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말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자기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는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속도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될 때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는 상기 자기 단말과 각 다른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결정하는 수신 순서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는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이 최초 통신 연결될 때 상기 자기 단말에 제공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을 통신 연결시키는 접속 권한 부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자기 단말과 통신 연결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단말의 제1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1 터치를 인식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제2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는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와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다른 단말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할 때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제1 터치를 센싱한 시간과 상기 제2 터치를 센싱한 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 이전에, 상기 자기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터치 신호를 센싱하는 제1 단말인지 또는 상기 터치 신호를 센싱하지 않는 제2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말 상태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는 상기 자기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와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 사이에,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속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될 때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 속도 판단 단계와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 사이에, 상기 자기 단말과 각 다른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결정하는 수신 순서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는 상기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와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 사이에,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이 최초 통신 연결될 때 상기 자기 단말에 제공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을 통신 연결시키는 접속 권한 부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자기 단말과 통신 연결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들을 통하여 다음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터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지 않고 좌표 데이터로 생성하기 때문에 데이터 자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도 감축시킬 수 있다.
둘째, 복수개의 단말들이 터치 정보를 공유하게 되더라도 데이터 전송 딜레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 상태가 불량하더라도 데이터 전송량을 줄임으로써 트래픽으로 인한 렉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서로 다른 단말들 사이에 터치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다수의 인원이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작업이 가능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두 단말들 사이에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두 단말들 사이에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양방향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단방향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비실시간으로 터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터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양방향(2-way) 통신이 가능한 터치 모듈을 탑재한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양방향 터치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단말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터치 패널을 탑재한 디스플레이 단말들(110, 120, 130, 140, 150)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처럼 다수의 인원이 사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디스플레이 단말들(110, 120, 130, 140, 150)은 WiDi(Wireless Display),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블루투스(bluetooth), USB 등을 통해 유무선으로 상호 연결되며, 터치 정보, 영상 정보 등을 공유한다. 디스플레이 단말들(110, 120, 130, 140, 150)은 터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가 아닌 좌표 데이터로 양방향 통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단말들을 포함한다.
도 2의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단말들로 4개의 단말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단말들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마스터(master)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로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 제1 터치 패널(212), 제1 영상 I/F(213), 제1 터치 I/F(214), 제1 터치 C/B(21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이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로 설정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만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에서 영상 데이터 등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제1 영상 I/F(214)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과 영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212)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에서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터치 패널(212)은 제1 터치 I/F(214), 제1 터치 C/B(215) 등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과 터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영상 I/F(213)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을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들(220, 230, 240)과 상호 통신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터치 I/F(214)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터치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제1 터치 패널(212)을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들(220, 230, 240)과 상호 통신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터치 C/B(215)는 제1 터치 패널(212)에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면 이 터치와 관련된 좌표 데이터를 터치 정보로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터치 C/B(215)는 제1 터치 패널(212)에 연결되어 터치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보드 및 OS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터치 C/B(215)에 의해 획득된 터치 정보는 제1 터치 I/F(214)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들(220, 230, 240)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슬레이브(slave)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로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221), 제2 터치 패널(222), 제2 영상 I/F(223), 제2 터치 I/F(224), 제2 터치 C/B(22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한개의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과 다수개의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들로 구성되나,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이 두개 이상인 것도 가능하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221)은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제2 터치 패널(222)은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서 제1 터치 패널(212)과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제2 영상 I/F(223)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서 제1 영상 I/F(213)와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제2 터치 I/F(224)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서 제1 터치 I/F(214)와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제2 터치 C/B(225)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서 제1 터치 C/B(215)와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과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은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과 함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이다.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에 포함되는 제3 디스플레이 패널(231), 제3 터치 패널(232), 제3 영상 I/F(233), 제3 터치 I/F(234), 제3 터치 C/B(235) 등과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에 포함되는 제4 디스플레이 패널(241), 제4 터치 패널(242), 제4 영상 I/F(243), 제4 터치 I/F(244), 제4 터치 C/B(245) 등도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 포함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221), 제2 터치 패널(222), 제2 영상 I/F(223), 제2 터치 I/F(224), 제2 터치 C/B(225) 등과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 제1 터치 패널(212), 제1 영상 I/F(213), 제1 터치 I/F(214), 제1 터치 C/B(215) 등과 동일한 개념의 것이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서로 다른 두 단말들 사이에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두 단말들 사이에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두 단말들 사이에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사이에 터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나,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과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사이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터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하드웨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터치 C/B(215)는 제1 터치 컨트롤러(311)와 제1 MCU(312)를 포함한다.
제1 터치 컨트롤러(311)는 제1 MCU(312)의 제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 상에 위치하는 제1 터치 패널(212)을 터치 센서로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MCU(312)는 제1 터치 컨트롤러(311)를 제어하여 제1 터치 패널(212)에 입력된 터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MCU(312)는 제1 터치 패널(212) 상에 터치가 입력되면 이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터치 정보로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MCU(312)는 본 발명에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320)는 제1 MCU(312)에 의해 획득된 터치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제어부(320)는 제1 MCU(312)에 의해 획득된 터치 정보를 제2 제어부(340)에 전송하여 제2 디스플레이 패널(221)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도 동일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제어부(320)는 제2 MCU(332)에 의해 획득된 터치 정보를 제2 제어부(340)를 통해 전송받아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반영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제1 제어부(3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2 제어부(340)와 통신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제1 제어부(320)와 제2 제어부(340)를 통신 연결시키는 유무선 통신망에는 인트라넷(intranet), 인터넷(internet),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어(wire) 등이 있다. 제1 제어부(320)와 제2 제어부(340)는 본 발명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메인 컨트롤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터치 C/B(225)는 제2 터치 컨트롤러(331)와 제2 MCU(3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2 터치 컨트롤러(331) 및 제2 MCU(332)는 제1 터치 컨트롤러(311) 및 제1 MCU(312)와 동일한 개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340)도 제1 제어부(320)와 동일한 개념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소프트웨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터치 드라이버(410)는 제1 MCU(312)에 의해 수행되는 모듈로서, 터치 좌표 변환부(411)와 터치 좌표 인식부(412)를 포함한다.
터치 좌표 인식부(412)는 제1 터치 패널(212)에 입력되는 터치를 인식하여 이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터치 정보로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터치 좌표 인식부(412)는 획득된 터치 정보를 제1 터치 I/F(214)를 통해 타 단말들(220, 230, 24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좌표 변환부(411)는 타 단말들(220, 230, 240)에 의해 터치 정보가 획득되면 제1 터치 I/F(214)를 통해 이 터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터치 좌표 변환부(411)는 획득된 터치 정보에 포함된 좌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해상도에 적합하게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단말들(210, 220, 230, 240)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단말들(210, 220, 230, 240)에 구비되는 터치 패널들(212, 222, 232, 242)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도 공유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로부터 터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터치 좌표 변환부(411)는 제1 터치 패널(212)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제2 터치 패널(222)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로부터 수신된 좌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에 적합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터치 정보를 타 단말로 전송할 때 이 터치 정보에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OS 플랫폼(OS platform; 420)과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 430)는 제1 제어부(320)에 의해 수행되는 모듈이다. OS 플랫폼(420)은 제1 제어부(320)의 운영체제와 관련된 것이며, 어플리케이션 레이어(430)는 제1 제어부(320)의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것이다. OS 플랫폼(420)과 어플리케이션 레이어(430)는 터치 좌표 인식부(412)에 의해 획득된 자기 단말의 터치 정보, 터치 좌표 변환부(411)에 의해 변환된 타 단말의 터치 정보 등을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터치 드라이버(44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 구비되는 제2 MCU(332)에 의해 수행되는 모듈로서, 본 발명에서 제1 터치 드라이버(4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자기 단말에 의해 터치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터치 정보를 자기 단말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반영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단말로 전송한다.
(2) 타 단말에 의해 터치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타 단말로부터 수신된 터치 정보를 자기 단말의 터치 패널에 적합하게 좌표 데이터를 변환한 후 이 좌표 데이터를 자기 단말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반영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이 모두 터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양방향 동작)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만 터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단방향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한개의 디스플레이 단말과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한개의 디스플레이 단말을 대상으로 양방향 동작과 단방향 동작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양방향 동작과 단방향 동작은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한개의 디스플레이 단말과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단말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방향 동작과 단방향 동작이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과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사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양방향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단방향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양방향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터치 컨트롤러(311)는 제1 MCU(312)의 제어에 따라 제1 터치 패널(212)에 입력되는 제1 터치 신호를 센싱한다(touch signal sensing; S510).
이후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MCU(312)는 제1 터치 패널(212)에서 제1 터치 신호가 센싱된 부분의 좌표 데이터를 제1 터치 정보로 생성한다(touch coordinate recognition; S520). 제1 MCU(312)의 이 기능은 제1 터치 드라이버(410)의 터치 좌표 인식부(4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32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제1 터치 정보를 반영한다(S530).
한편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의 제2 터치 컨트롤러(331)가 제2 터치 패널(222)에 입력되는 제2 터치 신호를 센싱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터치 I/F(214)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2 터치 신호를 획득한다(S540).
이후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MCU(312)는 제2 터치 패널(222)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와 제1 터치 패널(212)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터치 신호가 센싱된 부분의 좌표 데이터를 제1 터치 패널(212)에 적합하게 변환시켜 제2 터치 정보로 생성한다(touch coordinate transformation; S550).
일례로 제1 터치 패널(212)의 해상도가 2 * 2이고 제2 터치 패널(222)의 해상도가 4 * 4이며 제2 터치 신호가 센싱된 부분의 좌표 데이터가 (2, 2)이면, 제1 MCU(312)는 이 좌표 데이터를 제1 터치 패널(212)에 적합하게 (1, 1)로 변환시켜 제2 터치 정보로 생성한다. 제1 MCU(312)의 이 기능은 제1 터치 드라이버(410)의 터치 좌표 변환부(4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32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제2 터치 정보를 반영한다(S560).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MCU(312)는 시간 순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제1 터치 정보와 제2 터치 정보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터치 정보와 제2 터치 정보를 생성할 때에 제1 터치 신호를 센싱한 시간과 제2 터치 신호를 센싱한 시간을 각각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MCU(312)는 제1 터치 컨트롤러(311)에 의해 제1 터치 신호가 센싱되면 제1 터치 I/F(214)를 통해 제1 터치 신호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로 전송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의 예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도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여 제2 디스플레이 패널(22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제1 터치 정보와 제2 터치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동일한 형태로 반영한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동작 과정이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단방향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방향 동작의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만 터치 신호를 센싱하며,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은 터치 신호를 센싱하지 않는다. 그래서 양방향 동작의 경우와 달리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동작 과정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의 동작 과정은 서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 6의 (a)를 참조하여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동작 과정을 먼저 설명하고, 이후 도 6의 (b)를 참조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터치 컨트롤러(311)는 제1 MCU(312)의 제어에 따라 제1 터치 패널(212)에 입력되는 제1 터치 신호를 센싱한다(touch signal sensing; S610).
이후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MCU(312)는 제1 터치 패널(212)에서 제1 터치 신호가 센싱된 부분의 좌표 데이터를 제1 터치 정보로 생성한다(touch coordinate recognition; S620).
이후 제1 제어부(320)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제1 터치 정보를 반영한다(S630).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MCU(312)는 제1 터치 컨트롤러(311)에 의해 제1 터치 신호가 센싱되면 제1 터치 I/F(214)를 통해 제1 터치 신호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로 전송한다(S640).
다음으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제1 터치 컨트롤러(311)가 제1 터치 패널(212)에 입력되는 제1 터치 신호를 센싱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의 제2 터치 I/F(224)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1 터치 신호를 획득한다(S610').
이후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의 제2 MCU(332)는 제1 터치 패널(212)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와 제2 터치 패널(222)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터치 신호가 센싱된 부분의 좌표 데이터를 제2 터치 패널(222)에 적합하게 변환시켜 제1 터치 정보로 생성한다(touch coordinate transformation; S620').
이후 제2 제어부(340)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221)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제1 터치 정보를 반영한다(S630').
다음으로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단말들(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이 터치 정보로 생성된 좌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한개의 디스플레이 단말(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세개의 디스플레이 단말들(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이 좌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나,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의 개수와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단말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터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비실시간으로 터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터치 정보 실시간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은 터치 신호들의 센싱에 따라 좌표 0, 좌표 1, 좌표 2, …, 좌표 n 등 좌표 데이터들이 획득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터치 정보로써 반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710)를 생성한다.
터치 신호들의 센싱에 따라 획득된 좌표 데이터들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에도 공유되어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도 제2 디스플레이 패널(221), 제3 디스플레이 패널(231), 제4 디스플레이 패널(241) 등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들에 터치 정보로써 반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720), 제3 영상 데이터(730), 제4 영상 데이터(740) 등을 생성한다.
그런데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의 처리 속도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처리 속도에 미치지 못한다면 도 7에서 설명한 터치 정보 실시간 처리 방법은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참작하여 비실시간으로 터치 정보를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터치 정보 비실시간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은 좌표 데이터들을 공유하기에 앞서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으로부터 처리 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의 처리 속도에 대한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이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통신 연결될 때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에 제공되거나,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이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에 등록될 때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의 처리 속도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은 자신의 처리 속도와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의 처리 속도를 비교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의 처리 속도가 자신의 처리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의 처리 속도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처리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는 도 7의 방법에 따라 터치 정보가 처리된다.
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처리 속도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의 처리 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는 도 8의 방법에 따라 터치 정보가 처리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은 사전에 등록 과정을 거쳐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과 통신 연결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WiFi, 블루투스, TCP-IP, UDP, USB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활용하여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접속하는 단말들끼리 공통된 핀(PIN) 번호로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한번 접속된 단말들끼리는 재접속시 별도의 핀 번호를 등록할 필요가 없는 잇점도 있다.
도 8에 따르면, 터치 정보 비실시간 처리 방법은 다음 순서에 따라 작동된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은 터치 신호들의 센싱에 따라 좌표 0, 좌표 1, 좌표 2, …, 좌표 n 등 좌표 데이터들이 획득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터치 정보로써 반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710)를 생성한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은 좌표 데이터들이 획득되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에 좌표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좌표 데이터들이 좌표 0, 좌표 1, 좌표 2 등의 순서로 획득되고 좌표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순서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은 좌표 0을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로 전송하고, 이어서 좌표 1과 좌표 2를 각각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과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로 전송한다.
제2 디스플레이 단말(220), 제3 디스플레이 단말(230), 제4 디스플레이 단말(240) 등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210)로부터 좌표 데이터들이 수신되면 이 좌표 데이터들을 기초로 제2' 영상 데이터(720'), 제3' 영상 데이터(730'), 제4' 영상 데이터(740') 등을 생성한다.
종래에는 터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로 전달했기 때문에 전송할 데이터량이 많아 고사양의 시스템이 아니면 접속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데이터 트래픽 발생으로 통신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시스템에 접속하는 인원이 증가할수록 데이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트래픽은 더욱더 심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좌표 데이터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다수의 인원이 접속하여도 데이터량이 많지 않은 잇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을 하나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처럼 다수의 인원이 사용함에 따라,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서 작업이 가능한 편리성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스마트 스쿨용 전자 칠판, 업무용 화상 회의 시스템, 빅 데이터를 활용한 DID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양방향 터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외에 AIO, PC, Note-PC, TV 등 터치 패널을 채용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는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 영상 데이터 처리부(930), 전원부(940) 및 주제어부(950)를 포함한다.
전원부(940)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950)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는 자기 단말의 제1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1 터치를 인식하여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는 터치 좌표 인식부(412)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제2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제1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는 터치 좌표 변환부(411)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할 때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처리부(930)는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에 의해 획득된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 및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에 의해 변환된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데이터를 기초로 자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데이터 처리부(930)는 제1 제어부(32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영상 데이터 처리부(930)는 제1 터치를 센싱한 시간과 제2 터치를 센싱한 시간을 기초로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와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는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에 의해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다른 단말로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제1 터치 I/F(214)와 제1 MCU(312)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는 단말 상태 판단부(9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상태 판단부(962)는 자기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터치 신호를 센싱하는 제1 단말인지 또는 터치 신호를 센싱하지 않는 제2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는 자기 단말이 제2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하지 않는다. 반면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는 자기 단말이 제1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는 처리 속도 판단부(9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속도 판단부(963)는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첫째,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동시에 전송한다.
둘째,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될 때마다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는 수신 순서 결정부(9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순서 결정부(964)는 자기 단말과 각 다른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는 접속 권한 부여부(9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권한 부여부(965)는 자기 단말과 다른 단말이 최초 통신 연결될 때 자기 단말에 제공된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자기 단말과 다른 단말을 통신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는 자기 단말과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에 대하여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9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가 자기 단말의 제1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1 터치를 인식하여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한다(STEP A).
이후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제2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제1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한다(STEP B).
이후 영상 데이터 처리부(930)가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 및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데이터를 기초로 자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TEP C).
한편 STEP A와 STEP B 사이에,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가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다른 단말로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STEP D).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에 의해 수행되는 이 단계는 STEP A 이후에 수행된다면 언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STEP A 이전에, 단말 상태 판단부(962)는 자기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터치 신호를 센싱하는 제1 단말인지 또는 터치 신호를 센싱하지 않는 제2 단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좌표 데이터 획득부(910)는 단말 상태 판단부(962)에 의해 자기 단말이 제2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STEP A와 STEP D 사이에, 처리 속도 판단부(963)는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TEP E). 이 경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동시에 전송한다. 반면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될 때마다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한편 STEP E와 STEP D 사이에, 수신 순서 결정부(964)는 자기 단말과 각 다른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961)는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TEP A와 STEP B 사이에, 접속 권한 부여부(965)는 자기 단말과 다른 단말이 최초 통신 연결될 때 자기 단말에 제공된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자기 단말과 다른 단말을 통신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좌표 데이터 변환부(920)는 자기 단말과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에 대하여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한다. 접속 권한 부여부(965)의 상기한 단계는 STEP B 이전에 수행된다면 언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자기 단말의 제1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1 터치를 인식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좌표 데이터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제2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는 좌표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다른 단말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할 때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를 센싱한 시간과 상기 제2 터치를 센싱한 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터치 신호를 센싱하는 제1 단말인지 또는 상기 터치 신호를 센싱하지 않는 제2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말 상태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자기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속도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될 때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단말과 각 다른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결정하는 수신 순서 결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이 최초 통신 연결될 때 상기 자기 단말에 제공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을 통신 연결시키는 접속 권한 부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자기 단말과 통신 연결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9. 자기 단말의 제1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1 터치를 인식하여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의 제2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는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 및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다른 단말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할 때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도 함께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제1 터치를 센싱한 시간과 상기 제2 터치를 센싱한 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와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터치 신호를 센싱하는 제1 단말인지 또는 상기 터치 신호를 센싱하지 않는 제2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말 상태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획득 단계는 상기 자기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속도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데이터 처리 속도들이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동시에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상기 자기 단말의 데이터 처리 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터치의 좌표 데이터가 획득될 때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단말과 각 다른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의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결정하는 수신 순서 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전송 제어 단계는 상기 좌표 데이터 수신 순서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다른 단말들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이 최초 통신 연결될 때 상기 자기 단말에 제공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을 통신 연결시키는 접속 권한 부여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표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자기 단말과 통신 연결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 터치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KR1020170094754A 2017-07-12 2017-07-26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2372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84 2017-07-12
KR20170088384 2017-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56A true KR20190007356A (ko) 2019-01-22
KR102372803B1 KR102372803B1 (ko) 2022-03-10

Family

ID=6532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54A KR102372803B1 (ko) 2017-07-12 2017-07-26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804A1 (ko) * 2019-08-22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912B1 (ko) * 2011-12-06 2012-09-06 이순창 복수의 휴대 단말을 연동시키는 더미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20130028504A (ko) 2011-09-09 2013-03-19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양방향통신을 이용하는 휴먼인터페이스상에서 상이 해상도 공조 가능한 모바일 장치
KR20130097400A (ko) * 2012-02-24 2013-09-03 (주)유브릿지 터치 입력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41954A1 (ja) * 2013-03-13 2014-09-1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50080831A (ko) * 2014-01-02 2015-07-10 둘툰 주식회사 스마트기기 간 양방향 원격 입출력 제어가 가능한 가상키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504A (ko) 2011-09-09 2013-03-19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양방향통신을 이용하는 휴먼인터페이스상에서 상이 해상도 공조 가능한 모바일 장치
KR101179912B1 (ko) * 2011-12-06 2012-09-06 이순창 복수의 휴대 단말을 연동시키는 더미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20130097400A (ko) * 2012-02-24 2013-09-03 (주)유브릿지 터치 입력 동기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41954A1 (ja) * 2013-03-13 2014-09-1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50080831A (ko) * 2014-01-02 2015-07-10 둘툰 주식회사 스마트기기 간 양방향 원격 입출력 제어가 가능한 가상키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804A1 (ko) * 2019-08-22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220046594A (ko) * 2019-08-22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1934651B2 (en) 2019-08-22 2024-03-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multiple screens and mapped coordin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803B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0599A (zh) 信息处理方法、程序和信息处理系统
CN103440116A (zh) 一种交互式电子演示系统
EP3780534B1 (en) Intelligent interactive all-in-one machine and corresponding method
WO2017143663A1 (zh) 电子交互系统及其设置方法
JP2001282714A (ja) マルチカメラデータ転送方式及びデータ転送方式
CN111381790A (zh) 操控方法、装置、系统、电子白板及移动端
US20100079444A1 (en) Displayport sleep behavior
KR20180071049A (ko) 전자 장치 및 그 이미지 동기화 방법
KR20190007356A (ko)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CN102945076B (zh) 一种显示终端图像旋转方法、装置及一种显示控制系统
CA2900169A1 (en) Wireless access point for facilitating bidirectional, application-layer communication among computing devices
KR101434830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CN107144751B (zh) 一种多信道矢量网络参数分析系统及方法
TWM504272U (zh) 通用串列匯流排(usb)電腦切換器(kvm)訊號延長器
KR20200012076A (ko) 멀티 터치 패널 기반의 양방향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JP2016533578A (ja) 複合マン・マシンインタラ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KR20140042365A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CN110162284B (zh) 一种操控接口装置及其操控系统
JP4560239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CN109200600B (zh) 智能积木系统及数据传输方法
KR20130135676A (ko) 전자칠판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13132783A (zh) 一种多机共享的多屏显示控制系统及方法
KR101368909B1 (ko)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CN101208703A (zh) 服务器装置、方法和程序
CN218036575U (zh) 超声探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