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344A - 방사선원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344A
KR20190007344A KR1020170088689A KR20170088689A KR20190007344A KR 20190007344 A KR20190007344 A KR 20190007344A KR 1020170088689 A KR1020170088689 A KR 1020170088689A KR 20170088689 A KR20170088689 A KR 20170088689A KR 20190007344 A KR20190007344 A KR 2019000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ource
radiation
support plate
height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섭
김정규
장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타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타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타젠
Priority to KR102017008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7344A/ko
Publication of KR2019000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comprising robots or similar manipula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obot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판에 접촉센서를 구성하여 대상물에 방사선원장치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었는지 확인하고, 받침판에 구성되어 비파괴검사 시에 발생되는 산란선을 차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켰으며, 승강부에 높이측정센서를 구성하여 방사선원장치을 대상물의 검사위치로 이동할 때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시켜 최적의 감도를 유지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의 상방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지지하우징(120)과, 상기 받침판(110)과 지지하우징(12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직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110)의 하단에 구성되어 대상물에 안착된 상태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센서(140)를 포함하는 받침수단(10)과; 상기 받침수단(10)에 구성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수단(20)과; 상기 승강수단(20)에 구성되어 대상물에 대하여 비파괴검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방사선수단(30);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20)은, 받침수단(10)의 지지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승강작용하는 승강봉(210)과;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Radiation source devices}
본 발명은 방사선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판에 접촉센서를 구성하여 대상물에 방사선원장치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었는지 확인하고, 받침판에 구성되어 비파괴검사 시에 발생되는 산란선을 차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켰으며, 승강부에 높이측정센서를 구성하여 방사선원장치을 대상물의 검사위치로 이동할 때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시켜 최적의 감도를 유지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사선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test, NDT)는 제품 또는 구조물 등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험 대상물을 손상하거나 분리 및 파괴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험 대상물의 표면 내부 결함 유무와 그 상태 및 대상물의 내부 구조 등을 조사한 후에 일정한 판정기준에 근거하여 시험 대상물의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리도록 하는 검사하는 방법이다.
상기 비파괴검사는 풍력발전기의 메인 샤프트와 같은 대형 부품의 표면 결함 여부를 판단하거나 파이프 등과 같은 용접라인에 기공 또는 균열과 같은 결함 여부를 검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초음파탐상검사, 방사선 투과검사, 자분탐상검사, 액체침투탐상검사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 중 방사선 투과검사인 감마선 비파괴검사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감마선 비파괴검사는 검사라인 예컨대, 대형 부품의 표면 또는 용접라인 등의 검사부위의 이면에 감광필름을 설치한 후 감마선을 투과하여 감광필름에 그 상을 재생하여 결함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이때, 감마선 즉, 방사선은 직진성을 가지는 성질이 있어, 검사라인의 대향되는 부분으로 방사선의 누출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피복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검사라인의 대향되는 위치에 방사선의 차폐기능을 가지는 납판을 올려놓게 된다.
종래의 비파괴검사 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원장치(100)는 배관(200)(210)의 연결부분(212)에서 배관의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연결부분(212)의 반대편에 부착된 이미지 플레이트(Image plate, 300)에 방사선을 조사한다. 즉, 배관의 하단부에 방사선원장치(100)가 구성되고, 상기 방사선원장치(100)와 대향되는 방향에 이미지 플레이트(3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사선원장치(100)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110)과, 상기 방사선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형성된 콜리메이터(Collimator, 130)로 구성된다.
상기 콜리메이터(130)는 대략 직경보다 길이가 긴 원기둥 형태이고, 원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방사선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콜리메이터(130)의 오목홈 형태인 오목부는 방사선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방사선원(110)이 위치되는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각도가 넓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사선원(110)은 방사성동위원소를 내장한 캡슐(112)과 상기 캡슐(112)에 연결된 케이블(114) 및 끝단부에 원격조작장치연결부가 구성된 방사선소스이다. 이러한, 상기 방사선원(110)은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캡슐(112)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이 콜리메이터(130)에 의해 전체적으로 이미지 플레이트(300)가 위치된 형상에 부합되게 직사각형 형태로 조사되어, 검사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사선원장치는 최초 대상물과의 측정거리를 고정하면 상기 대상물에 대한 측정이 완료될 때까지 측정거리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굴곡이 대응하지 못하고 측정이 이루어져 선명한 측정감도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사선원장치는 대상물의 상태 예컨대,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에 따라 각각의 전용의 방사선원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측정하여야 함으로써, 방사선원장치의 사용에 대한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494830호(2015.02.24.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506709호(2015.03.3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76744호(2015.03.30.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579684호(2015.12.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판에 접촉센서를 구성하여 대상물에 방사선원장치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었는지 확인하고, 받침판에 구성되어 비파괴검사 시에 발생되는 산란선을 차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켰으며, 승강부에 높이측정센서를 구성하여 방사선원장치을 대상물의 검사위치로 이동할 때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시켜 최적의 감도를 유지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사선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사선원이 연결되는 콜리메이터를 통해 비파괴검사를 수행하는 방사선원장치에 있어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방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받침판과 지지하우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직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구성되어 대상물에 안착된 상태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받침수단과; 상기 받침수단에 구성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구성되어 대상물에 대하여 비파괴검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방사선수단;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받침수단의 지지하우징에 삽입되어 승강작용하는 승강봉과;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정, 역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승강봉이 승강작용되도록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수단의 받참판에는, 상기 방사선수단을 통해 대상물을 비파괴검사할 때 발생되는 산란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지면서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수단의 받참판 하단에는, 대상물이 수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대상물이 수평 또는 수직 상태여도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원의 온(ON)/오프(OFF)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석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수단의 승강봉 일측면에는, 기어와 치합되어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승강봉이 왕복 승강작용되도록 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사선원이 연결되는 콜리메이터를 통해 비파괴검사를 수행하는 방사선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받침판의 하단에 구성되는 접촉센서를 통해 제어부로 상기 접촉센서의 센싱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센서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된 것이 확인되면, 전자석고정부를 사용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석고정부의 사용 여부에 대하여 선택이 완료되면, 대상물과 방사선수단 사이의 높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사선수단에 대한 높이가 설정되면, 대상물에 대하여 방사선원장치를 검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방사선원장치를 검사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승강판에 구성된 높이측정센서를 통해 대상물과의 높이를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송시켜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설정값과 측정된 측정값 사이의 오차를 판별하여 상기 설정값에 맞춰지도록 제어부에서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전송시켜 상기 대상물과 방사선수단 사이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높이로 자동 조정이 완료되면, 방사선수단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대상물의 검사위치에 대한 비파괴검사를 시작하고 일정시간 경과로 검사를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시작 및 완료되면, 대상물의 다음 검사위치로 이동할 것인지를 판별하여, 이동할 것이라면 방사선원장치를 다음 검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할 것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판에 접촉센서를 구성하여 대상물에 방사선원장치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었는지 확인하고, 받침판에 구성되어 비파괴검사 시에 발생되는 산란선을 차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켰으며, 승강부에 높이측정센서를 구성하여 방사선원장치을 대상물의 검사위치로 이동할 때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시켜 최적의 감도를 유지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사선원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콜리메이터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원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9의 방사선원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수단(10)과, 가이드수단(20)과, 방사선수단(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수단(10)은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받침수단(10)은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의 상방에 위치되어 가이드수단(20)을 지지하는 지지하우징(120)과, 상기 받침판(110)과 지지하우징(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받침판(110)과 지지하우징(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수직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110)은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받침판(110)이 상기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되었는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센서(14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센서(140)는 받침판(110)이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센싱하고, 이렇게 센싱된 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하여 비파괴검사가 수행되는 시작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140)는 상기 받침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고, 이 경우, 상기 받침판(110)의 각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140)는 리미트 스위치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받침판(110)이 대상물에 밀착되었는지를 센싱하고, 이를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110)의 상단에는 방사선수단(30)을 통해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때 발생되는 산란선을 차폐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폐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판(150)은 받침판(110)에서 지지하우징(120) 사이에 구성되어, 방사선수단(3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 또는 산란선의 차폐성능이 향상되도록 내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폐판(150)에는 방사선수단(30)에 구성되는 방사선원 등을 연결하는 원격조작장치 등의 케이블이 통과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1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공(152)에는 케이블 등의 외주연을 밀페시켜 외부 이물질 등이 임의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폐부재(154)가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장공(152)을 통해 외부 이물질 침투 또는 산란선 등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110)의 하단부에는 외부 전원에 위해 자기력을 발생하여 대상물에 자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전자석고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석고정부(160)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ON)/오프(OFF)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석고정부(160)에 의해 대상물이 수직상태로 세워질 경우에도 별도의 장비를 구성하지 않고도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하우징(120)은 상기 받침판(1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수단(20)을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수단(20)에 의해 방사선수단(30)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하우징(120)은 중앙에 가이드수단(20)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수단(20)이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삽입공(1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하우징(12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에 제어선 등이 연결되어 승강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122)에 연통되하는 절개공(124)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대(130)는 받침판(110)과 지지하우징(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수직대(130)는 받침판(110)과 지지하우징(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수단(20)은 받침수단(10)에 지지되어 상기 방사선수단(30)에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가이드수단(20)은 삽입공(122)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승강봉(210)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봉(210)의 하단부에는 방사선수단(30)이 장착되거나 또는 일정깊이를 형성하여 방사선원이 삽입되는 콜리메이터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봉(21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2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20)에는 모터(220) 및 기어(23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20)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기어(230)는 상기 모터(220)에 연결되어 정, 역회전되고, 일단이 상기 승강봉(210)의 랙기어(212)에 치합되어 상기 모터(220)에서 제공되는 정, 역회전력에 의해 상기 승강봉(210)이 왕복 승강되도록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봉(210)에 구성되는 방사선수단(30)과 대상물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봉(210)에는 대상물과 방사선수단(3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240)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측정센서(240)는 최초 대상물과 승강봉(210)에 구성된 방사선수단(30)과의 거리를 설정하면, 상기 설정된 거리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상기 승강봉(210)의 높이가 설정된 거리로 조정되도록 제어부(40)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대상물의 두께나 재질 또는 비파괴검사 위치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 대상물과 승강봉(210) 즉, 방사선수단(30)과의 거리를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감도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설정한 후, 이동시키면서 비파괴검사를 실시할 경우 상기 대상물의 검사위치 또는 자체 굴곡 등의 요인에 의해 검사위치에 따라 최초 설정된 높이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높이측정센서(240)를 통해 측정된 높이에 따라 제어부(40)에서 가이드수단(20)으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자동으로 방사선수단(30)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한다.
상기 방사선수단(30)은 가이드수단(20)에 의해 승강되면서 대상물과 일정거리 유지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대상물에 대한 비파괴검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단이다.
상기 방사선수단(30)은 콜리메이터(310)를 포함한다.
상기 콜리메이터(310)에는 방사선원이 삽입되어 방사선을 조사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방사선수단(30)은 콜리메이터(310)가 승강봉(210)의 하단부에 장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승강봉(210)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에 콜리메이터(310)가 구성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콜리메이터(310)를 생략하고, 상기 승강봉(210)에 방사선원이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승강작용하는 승강봉(210)에서 방사선이 안정적으로 조사되어 비파괴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가이드수단(20)의 승강높이를 제어하고, 방사선수단(30)의 방사선에 대한 조사여부를 제어하는 등의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가이드수단(2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스위치(410)와, 방사선수단(30)의 방사선조사 여부를 선택하는 온(ON)/오프(OFF) 기능을 가지는 전원스위치(420) 및 전자석고정부(160)에 대한 자기력을 온(ON)/오프(OFF)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석스위치(43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사선원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물에 방사선원장치를 안착한 후 전원을 온(ON)하고, 받침수단(10)의 접촉센서(140)에서 접촉센싱신호가 확인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이다.
만약, 상기 접촉센서(140)에서 접촉센싱신호가 제어부(40)로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방사선원장치(1)가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위치가 아니라는 것으로 판별하여 비파괴검사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접촉센서 신호가 확인되었다면(S1), 전자석 고정부(140)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한다(S2).
이는, 대상물이 수직일 경우에 방사선원장치(1)를 수직으로 고정시켜야 함으로써, 이에 대한 판단을 하여야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평상태의 대상물에 대하여도 전자석고정부(160)를 작동시켜 상기 방사선원장치가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자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작업환경 또는 대상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전자석고정부(160)에 대한 사용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자석고정부에 대한 사용 여부가 선택되면(S2), 방사선수단에 대한 높이를 설정한다(S3).
이는, 대상물의 두께나 재질 또는 기타 여러 요건들 예컨대, 검사위치, 검사환경 등에 따라 방사선수단(30)과 대상물의 조사높이를 테스트하여 최적의 감도를 얻을 수 있는 높이(또는 거리)를 설정한다.
상기 방사선수단에 대한 높이가 설정되면(S3), 대상물의 비파괴검사 위치로 방사선원장치(1)를 검사위치로 이동한다(S4).
상기 방사선원장치(1)를 검사위치로 이동하면(S4), 높이측정센서(240)를 통해 대상물과 방사선수단(30) 사이의 높이 거리를 측정하고, 만약 설정된 높이와 오차가 발생하면, 이를 보정하도록 상기 높이측정센서(240)의 측정 높이값을 제어부(4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전송된 높이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발생되는 오차만큼 방사선수단(30)이 구성된 승강봉(2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모터(22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측정센서(240)에서 측정된 높이값에 따라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22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이러한 정, 역회전력을 제공받은 기어(230)와 치합된 랙기어(212)가 형성된 승강봉(210)이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대상물과 방사선수단(30)과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상기 방사선수단이 설정된 높이로 자동 조정되면(S5), 상기 방사선수단(30)에 구성된 콜리메이터(310)를 통해 대상물의 검사위치에 대한 검사를 시작하고 일정시간 경과로 검사를 완료한다(S6).
상기 검사시작 및 완료되면(S6), 방사선원장치를 다음 검사위치로 이동할 것인지에 대하여 판단한다(S7).
만약, 방사선원장치(1)를 통해 대상물의 검사가 완료되면 제어방법이 종료된다.
또는, 방사선원장치(1)를 통해 대상물에 대하여 다음 검사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방사선원장치 검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4)로 이동하여 반복 실시 함으로써, 대상물에 대한 비파괴검사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방사선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방사선원장치 10: 받침수단
110: 받침판 120: 지지하우징
122: 삽입공 124: 절개공
130: 수직대 140: 접촉센서
150: 차폐판 160: 전자석고정부
20: 가이드수단 210: 승강봉
212: 랙기어 220: 모터
230: 기어 240: 높이측정센서
30: 방사선수단 310: 콜리메이터
40: 제어부 410: 높이조절스위치
420: 전원스위치 430: 전자석 스위치

Claims (5)

  1. 방사선원이 연결되는 콜리메이터를 통해 비파괴검사를 수행하는 방사선원장치에 있어서,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의 상방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지지하우징(120)과, 상기 받침판(110)과 지지하우징(12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직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110)의 하단에 구성되어 대상물에 안착된 상태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센서(140)를 포함하는 받침수단(10)과;
    상기 받침수단(10)에 구성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수단(20)과;
    상기 승강수단(20)에 구성되어 대상물에 대하여 비파괴검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방사선수단(30);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20)은, 받침수단(10)의 지지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승강작용하는 승강봉(210)과;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에 연결되고 정, 역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승강봉(210)이 승강작용되도록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10)의 받참판(110)에는,
    상기 방사선수단(30)을 통해 대상물을 비파괴검사할 때 발생되는 산란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형성되는 차폐판(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10)의 받참판(110) 하단에는,
    대상물이 수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대상물이 수평 또는 수직 상태여도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원의 온(ON)/오프(OFF)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석고정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20)의 승강봉(210) 일측면에는, 기어(230)와 치합되어 모터(220)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승강봉(210)이 왕복 승강작용되도록 하는 랙기어(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장치.
  5. 방사선원이 연결되는 콜리메이터를 통해 비파괴검사를 수행하는 방사선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받침판의 하단에 구성되는 접촉센서를 통해 제어부로 상기 접촉센서의 센싱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와;
    상기 접촉센서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된 것이 확인되면(S1), 전자석고정부를 사용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2)와;
    상기 전자석고정부의 사용 여부에 대하여 선택이 완료되면(S2), 대상물과 방사선수단 사이의 높이를 설정하는 단계(S3)와;
    상기 방사선수단에 대한 높이가 설정되면(S3), 대상물에 대하여 방사선원장치를 검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4)와;
    상기 방사선원장치를 검사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S4), 승강판에 구성된 높이측정센서를 통해 대상물과의 높이를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송시켜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설정값과 측정된 측정값 사이의 오차를 판별하여 상기 설정값에 맞춰지도록 제어부에서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전송시켜 상기 대상물과 방사선수단 사이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단계(S5)와;
    상기 설정높이로 자동 조정이 완료되면(S5), 방사선수단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대상물의 검사위치에 대한 비파괴검사를 시작하고 일정시간 경과로 검사를 완료하는 단계(S6); 및
    상기 검사 시작 및 완료되면(S6), 대상물의 다음 검사위치로 이동할 것인지를 판별하여, 이동할 것이라면 방사선원장치를 다음 검사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4)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할 것인지 판별하는 단계(S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원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20170088689A 2017-07-12 2017-07-12 방사선원장치 KR20190007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89A KR20190007344A (ko) 2017-07-12 2017-07-12 방사선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89A KR20190007344A (ko) 2017-07-12 2017-07-12 방사선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44A true KR20190007344A (ko) 2019-01-22

Family

ID=6532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689A KR20190007344A (ko) 2017-07-12 2017-07-12 방사선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73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66A (ko) * 2020-09-21 2022-03-29 고려검사주식회사 탱크 설비의 방사선투과검사에 사용하는 차폐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830B1 (ko) 2014-11-17 2015-02-24 나우 주식회사 비파괴검사용 콜리메이터 장착 모듈, 이를 포함한 콜리메이터 장치
KR200476744Y1 (ko) 2014-12-03 2015-03-30 나우 주식회사 비파괴검사용 콜리메이터 및 이를 포함한 방사선원 장치
KR101506709B1 (ko) 2014-12-08 2015-03-31 나우 주식회사 판재 검사용 x선 비파괴 검사장치
KR101579684B1 (ko) 2014-06-11 2015-12-23 주식회사 베타젠 비파괴검사용 방사선 차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684B1 (ko) 2014-06-11 2015-12-23 주식회사 베타젠 비파괴검사용 방사선 차폐장치
KR101494830B1 (ko) 2014-11-17 2015-02-24 나우 주식회사 비파괴검사용 콜리메이터 장착 모듈, 이를 포함한 콜리메이터 장치
KR200476744Y1 (ko) 2014-12-03 2015-03-30 나우 주식회사 비파괴검사용 콜리메이터 및 이를 포함한 방사선원 장치
KR101506709B1 (ko) 2014-12-08 2015-03-31 나우 주식회사 판재 검사용 x선 비파괴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66A (ko) * 2020-09-21 2022-03-29 고려검사주식회사 탱크 설비의 방사선투과검사에 사용하는 차폐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664Y1 (ko) 비파괴검사에서의 방사선사고방지를 위한 방사선방출부 정위치구동장치
CN101672829B (zh) 一种ω焊缝缺陷参数测量方法
CN117405707A (zh) 核废物包装体双模同步扫描检测装置
KR101209518B1 (ko) 헬리컬 ct장치
KR200472414Y1 (ko) 수직 용접부의 방사선 촬영장치
CN107271466B (zh) 一种无损检测系统
KR101526125B1 (ko) 교정용 감마선 조사장치의 턴테이블장치
KR20190007344A (ko) 방사선원장치
KR20130053252A (ko) 굴착공 내면의 거칠기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공의 내벽면에 대한 거칠기 정보 취득방법
KR20190007345A (ko) 방사선원장치
CN203772768U (zh) 一种上照式x荧光光谱仪
US8576974B2 (en) Apparatus for ultrasonic inspection of reactor pressure vessel
CN114324430B (zh) 一种基于中子活化的检测装置
KR102559182B1 (ko)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102400244B1 (ko) 휴대용 디지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
JP5064554B2 (ja) 原子炉圧力容器における溶接部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164523B1 (ko) 레이저 빔 프로파일러를 구비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KR20150145568A (ko)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CN107228866A (zh) 一种具有辐射防护功能的射线探伤机校验平台
JP2000249783A (ja) 炉内配管溶接部の位置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9323653B (zh) 一种x光光斑定位仪及其定位方法
RU87021U1 (ru) Устройство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контроля сварных кольцевых швов трубчатых элементов
KR20140115409A (ko) 방사선투과영상생성장치 및 방사선투과영상생성방법
CN201215549Y (zh) 一种定向x射线探伤机角度指示装置
CN217084750U (zh) 用于焊接气孔缺陷检测的x射线图像获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