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309A -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 Google Patents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309A
KR20190007309A KR1020170088610A KR20170088610A KR20190007309A KR 20190007309 A KR20190007309 A KR 20190007309A KR 1020170088610 A KR1020170088610 A KR 1020170088610A KR 20170088610 A KR20170088610 A KR 20170088610A KR 20190007309 A KR20190007309 A KR 2019000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restraining
driving
elastic force
tatto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772B1 (ko
Inventor
박종오
김병규
이동규
조성건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7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니들 출입이 렌즈 전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를 통한 니들의 전방 시야 확보를 통해 양질의 문신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 탄성력을 이용한 니들 출입동작 구성을 통해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품을 소형화 및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신용액이 수용되며, 니들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와 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된 커버;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니들공을 통해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문신용액에 잠기며, 타단부는 커버의 출입공을 통해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내,외부를 출입하는 니들(needle):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은, 출입방향으로 탄성지지되되 한시적인 구속수단에 의해 출입방향으로의 진행이 구속되고, 상기 한시적인 구속수단은 인위적인 가열을 통해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니들의 몸체 출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A capsule endoscope having a front tattooing}
본 발명은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변을 향한 니들 인출이 렌즈 전방을 향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니들 출입 작용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소화 기관에 질병이나 병증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얻어진 화상을 살펴보는 초음파 검사나 자기장을 이용하여 얻어진 인체의 단층 화상을 살펴보는 단층(CT) 촬영 검사법이 있지만, 이들 검사 방법은 간접적으로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진단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진단 전문가가 피검사자의 소화 기관의 내부를 직접 시각적으로 살펴보면서 진단하는 내시경 검사방법이 가장 확실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검사를 위한 수단으로, 유선 내시경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환자의 구강이나 항문으로 내시경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환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이러한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약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구강을 통해 삼킴이 가능한 캡슐 타입의 내시경(이하, '캡술 내시경'이라 함)이 개발된 상태이다.
상기 캡슐 내시경은 알약과 같이 환자가 삼키기만 하면 내시경의 카메라에서 포착된 인체 내 소화기관의 영상 데이터가 외부의 수신장치로 전송되어 모니터에서 이를 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 내시경은 소화기관 내에서 진단자의 제어를 통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06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가 내장되어 제공되기도 한다.
한편, 캡술 내시경은 소화기관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상기한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관내 생체조직을 채취하는 기능을 겸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캡술 내시경에 표식용 니들(needle)을 설치하여 장내 병변에 문신술을 통한 표식을 실시함으로써, 복강경 수술과 같은 최소 침습 수술 시행시 편의성을 높이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는 실정이다.
즉, 복강경 수술과 같은 최소 침습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영상 진단 과정에서 발견한 장내 병변을 표시해놓은 후, 표시된 부위를 찾아 수술이 이루어지는데, 기존에는 유선형 내시경과 별도의 표식용 니들을 각각 이용해야 함으로써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내시경 캡슐에 표식용 니들을 일체로 설치하여 영상 진단과 동시에 장내 병변에 문신술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캡슐 내시경을 이용한 영상 진단 및 문신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논문 "A compact targeted drug delivery mechanism for a next generation wireless capsule endoscope" (June 2016, Journal of Micro-Bio Robotics)을 통해 이미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선행문헌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니들을 인출시키는 기술적 구성과 문신 용액을 주입하는 기술적 구성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문신술에 적합치 않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니들의 인출 방향은 캡슐 내시경의 전면(렌즈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병변에 문신술 수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캡술 내시경은, 문신술 수행보다는 소화기 내 약물전달을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기술이다.
둘째, 니들을 인출하고 문신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오작동 확률이 높아 문신술 수행을 위한 진단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어려우며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캡술 내부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진단자가 캡술 내시경을 임의로 제어하기 위한 자성체를 캡술 내에 구성하기가 어려워, 선행문헌은 소화기관의 소화연동에 의해서만 캡슐 내시경이 움직일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0624호
A compact targeted drug delivery mechanism for a next generation wireless capsule endoscope" (June 2016, Journal of Micro-Bio Robotic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진단 뿐만 아니라 병변 표식을 위한 문신술 수행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니들의 인출 방향이 내시경의 렌즈 전방을 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문신술 수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신술 수행을 위한 니들 및 문신 용액 주입의 기계적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오동작 등을 최소화하여 문신술 본연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신용액이 수용되며, 니들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와 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된 커버;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니들공을 통해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문신용액에 잠기며, 타단부는 커버의 출입공을 통해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내,외부를 출입하는 니들(needle):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은, 출입방향으로 탄성지지되되 한시적인 구속수단에 의해 출입방향으로의 진행이 구속되고, 상기 한시적인 구속수단은 인위적인 가열을 통해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니들의 몸체 출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니들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니들을 밀어내는 탄성력을 발생하면서 상기 니들을 통해 문신용액을 분출시키는 압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부;상기 제1구동부가 니들을 밀어내는 탄성력을 한시적으로 구속시키는 제1구속수단;상기 제1구속수단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제1해제수단;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 외부로 인출된 니들을 밀어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부;상기 제2구동부의 탄성력을 한시적으로 구속하는 제2구속수단;상기 제2구속수단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제2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구속수단 및 제2구속수단은, 가열에 의해 파손되어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제1해제수단 및 제2해제수단은 제1구속수단 및 제2구속수단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는, 몸체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나사봉 및 제2나사봉을 포함하며, 제1구속수단 및 제2구속수단은, 제1나사봉 및 제2나사봉에 나사 체결되어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의 탄성력을 구속시키는 너트로 제공되되, 상기 너트의 나사산에는 전열선(heating wire)이 설치되며, 제1해제수단 및 제2해제수단의 가열에 의해 상기 너트의 나사산을 파손시켜 나사봉과 너트 간에 체결력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구동부는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속수단은 제1구동부의 돌출바를 고정시키되, 돌출바의 둘레를 감싸는 전열선(heating wire)을 포함하며, 제1해제수단은 전열선을 발열하여 전열선의 열에 의해 돌출바가 절단되면서 제1구동부의 동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제2구동부는 제1구동부에 대향되며, 제2구속수단은 제2구동부가 제1구동부를 향해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나일론 와이어로 제공되며, 제2해제수단은 나일론 와이어를 가열하여 절단하는 전열선(heating wir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탄성력은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를 통해 발생되고, 제1구동부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재의 최대 탄성력은 제2구동부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탄성부재의 최소 탄성력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니들의 일단부는 제1구동부에 고정되되, 상기 니들의 일단부와 제1구동부 사이에는 니들의 일단부를 제1구동부로부터 이격시키고 문신용액이 통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니들 홀더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영상 진단과 문신술이 겸용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캡슐 내시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문신술을 위한 니들이 내시경의 렌즈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시경 전방 시야 확보를 통해 니들의 문신술 수행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니들 출입 구동을 위한 구성과 문신 용액 주입을 위한 구성이 내시경 내부에서 연동되도록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내시경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술적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성체 등의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단자가 내시경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내시경의 소형화가 가능해질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의 니들이 내시경으로부터 인출되고 인입되는 과정을 횡단면으로 나타낸 작용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작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방 문신술 겸용 내시경은 문신술과 영상 진단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문신술을 위한 니들 출입이 내시경 렌즈의 전방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문신술을 위한 니들 출입의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문신술 수행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방 문신술 겸용 내시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커버(200)와, 니들(300)과, 가이드바(400)와, 구동부(500)와, 구속수단(600)과, 해제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캡슐 내시경의 외관 일부를 구성하며, 그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 및 문신용액이 수용된다.
몸체(100)는 문신용액이 수용됨과 더불어 구동부(500)의 이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그의 전면에는 니들공(110) 및 가이드 공(120)이 형성된다.
니들공(110)은 후술하는 니들(300)의 전,후방 출입을 위한 통로이며, 가이드공(120)은 후술하는 가이드바(400)의 전,후방 출입을 위한 통로이다.
다음으로, 커버(200)는 몸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구성하며, 캡슐 내시경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커버(200)는 몸체(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몸체(100) 선단부의 커버(200)에는 영상 촬영을 위한 렌즈 및 촬영수단(200a)을 포함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이 커버(200)를 설명의 편의상 전방커버(210)라 한다.
그리고, 몸체(100) 후단부의 커버(200)는 설명의 편의상 후방커버(220)라 한다.
상기 커버(200)는 인체 내부에서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이 된다.
한편, 상기 전방커버(210)에는 니들(300)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211)이 형성된다.
출입공(211)은 커버(2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니들(300) 위치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니들(needle)(300)은 몸체(100) 내부의 문신용액을 병변에 주입시키는 역할을 하며, 문신용액이 니들(300)의 내부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니들(300)의 일단부는 몸체(100) 내부에 결합되어 문신용액에 잠기며, 니들(300)의 타단부는 몸체(100)의 니들공(110)을 통해 전방커버(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니들(300)의 타단부는 병변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니들(300)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1구동부에 고정이 되며, 제1구동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니들(300) 내부로 문신용액의 주입 및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니들(300)의 타단부에는 니들 홀더(31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니들 홀더(310)는 니들(300)의 타단부를 제1구동부로부터 이격시키며, 몸체(100)의 공간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311)를 형성한다.
이때, 개구부(311)의 직경은 니들(300)의 내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이 된다.
이에 따라, 문신용액은 니들 홀더(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니들(30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니들(300)을 통한 문신용액 분출시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바(400)는 니들(300)의 직선 경로를 가이드하며, 니들(300)의 일측에 니들(300)과 나란한게 설치된다.
즉, 니들(300) 왕복 이동시, 가이드바(400)가 니들(300)의 경로를 가이드해줌으로써, 니들(300)의 이동 경로는 직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바(400)의 일단부 역시, 후술하는 제1구동부에 고정되며, 가이드바(400)의 타단부는 몸체(100)에 형성된 가이드공(120)을 통해 움직임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바(400)의 타단부는 전방커버(210)의 내부에 위치되며, 니들(300)처럼 전방커버(21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가이드바(400)의 길이는 니들(300)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이 된다.
다음으로, 구동부(500)는 니들(300)을 전방커버(210) 밖으로 인출시키거나, 전방커버(210) 밖으로 인출된 니들(3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니들(300)을 전방커버(210) 밖으로 인출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00)는 제1구동부(510)라 하고, 전방커버(510) 밖으로 인출된 니들(3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00)는 제2구동부(520)라 한다.
제1구동부(510)는 몸체(100)의 문식용액에 잠긴 니들(300)을 밀어내는 동력을 발생하며, 제1원판(511)과 제1탄성부재(512)로 구성된다.
제1원판(511)은 몸체(1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니들(300)의 일단부 및 가이드바(40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부위이다.
정확하게는, 제1원판(511)의 양측에는 각각 니들 홀더(310) 및 가이드바(400)가 고정이 된다.
한편, 제1원판(511)은 몸체(100)의 내경을 따라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의 일면에는 문신용액이 몸체의 다른 공간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씰링부재(513)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512)는 몸체(100)의 일측에서 타측, 즉 제1원판(511)을 전방커버(210)측으로 밀어내는 동력을 발생하며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원판(511)이 이동됨과 더불어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탄성부재(512)는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재질이면 무방하지만, 스프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부재(512)는 스프링중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니컬(conical)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즉, 제1탄성부재(512)는 제1원판(511)에 압착되어 수축되어 있다가,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제1원판(511)을 밀어내는 힘을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원판(511)에는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나사봉(511a)이 형성된다.
제1나사봉(511a)은 후술하는 구속수단(600)과 나사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512)의 탄성력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원판(511)에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100) 밖으로 돌출된다.
이때, 몸체(100) 밖은 후방 커버(220)의 내측 공간이 된다.
상기 제1나사봉(511a)은 너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나사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2구동부(520)는 제1구동부(510)에 의해 전방 커버(210) 밖으로 인출된 니들(300)을 원위치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제2원판(521)과 제2탄성부재(522)로 구성된다.
제2원판(522)은 몸체(1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원판(511)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원판(522)은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제1원판(511)과 대향되며, 몸체(100)의 내경을 따라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문신용액은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되, 정확하게는 제1원판(511)과 제2원판(521) 사이에 충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탄성부재(522)는 몸체(100)의 타측에서 일측, 즉 제2원판(521)을 후방 커버(220)측으로 밀어내는 동력을 발생하며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방 커버(210)측으로 밀려나 있는 제1원판(511)을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탄성부재(522)의 탄성력에 의해 제2원판(521)은 제1원판(511)을 밀어내면서. 제1원판(511)에 고정된 니들(300)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것이다.
제2탄성부재(522)는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재질이면 무방하며, 스프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재(522) 역시, 스프링중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니컬(conical)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즉, 제2탄성부재(522)는 제2원판(521)에 압착되어 수축되어 있다가,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제2원판(521)과 제1원판(511)을 밀어내는 힘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제2탄성부재(522)의 탄성력은 제2원판(521) 및 제1원판(511)을 밀어내는 힘과 더불어 팽창된 제1탄성부재(512)를 압착시킬 수 있는 힘을 작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된다.
즉, 제1탄성부재(512)의 최대 탄성력은 제2탄성부재(522)의 최소 탄성력 미만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원판(521)에도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나사봉(521a)이 형성된다.
제2나사봉(521a)은 후술하는 구속수단(600)과 나사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522)의 탄성력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원판(521)에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 밖으로 돌출된다.
이때, 몸체(100) 밖은 전방 커버(210)의 내측 공간이 된다.
상기 제2나사봉(521a) 역시 너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나사 형태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구속수단(600)은 구동부(500)의 동력을 한시적으로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구속수단(600)은 탄성부재(512,522)가 팽창되는 것을 한시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속수단(600)은 제1구동부(510)의 동력을 구속하는 제1구속수단(610)과, 제2구동부(520)의 동력을 구속하는 제2구속수단(620)으로 구성된다.
제1구속수단(610)은 제1나사봉(511a)에 나사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512)의 탄성력을 구속하며, 제2구속수단(620)은 제2나사봉(521a)에 나사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522)의 탄성력을 구속한다.
이때, 제1구속수단(610) 및 제2구속수단(620)은 각 나사봉(511a,521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수단(610,620)은 너트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되, 그의 재질은 융점이 낮은 재질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부(500)의 동력을 구속하고 있는 구속수단(600)의 구속력을 용이하게 해제시키기 위함이다.
즉, 구속수단(600)인 너트에 열을 가하면, 너트(600)의 암나사가 열에 의해 뭉그러지면서 나사봉(511a,521a)과의 체결력이 해제되므로 탄성부재(512,522)의 탄성력에 의해 각 구동부(500)의 동력이 용이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해제수단(700)은 나사봉(511a,521a)과 구속수단(600) 간에 나사 결합된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속수단(60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가열수단으로 제공된다.
이때, 해제수단(700)은 제1구속수단(610)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제1해제수단(710)과, 제2구속수단(620)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제2해제수단(720)으로 구성된다.
이때, 해제수단(700)은 가열수단으로 제공되며, 상기 가열수단(700)은 각 구속수단(50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히팅와이어(711,721)와, 히팅와이어(711,721)에 열을 전달하는 전원(미도시)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히팅와이어(711,721)를 통해 너트(600)에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너트(600)의 암나사가 뭉그러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의 전방 문신술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캡슐 내시경은 환자의 몸속을 이동하면서 촬영수단에 의해 포착된 인체 내 소화기관의 영상 데이터가 외부의 수신장치로 전송되어 모니터에서 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후, 캡슐 내시경은 장내 병변을 찾아 최소 침습 시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병변에 문신술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캡슐 내시경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에 밀착이 되고, 상기 병변을 향해 니들(300)을 삽입할 준비를 갖춘다.
이후, 전문가는 컨트롤을 통해 제1해제수단(710)인 히팅와이어(711)를 통해 제1구속수단(610)을 가열시킨다.
이때, 제1구속수단(610)에 열이 가해지면서 제1구속수단(610)의 암나사산은 뭉그러짐에 따라, 제1나사봉(511a)과 제1구속수단(610) 간에 나사 체결력은 해제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512)는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1원판(511)을 전방 커버(210)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제1원판(511)에 고정된 니들(3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니들공(110) 및 전방커버(210)의 출입공(211)을 통해 병변에 삽입이 된다.
이때, 병변으로의 니들(300) 인출시 가이드바(400)의 가이드에 의해 상기 니들(300)은 유동 없이 직진도를 유지하면서 병변으로 삽입이 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몸체(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 지면서 문신용액은 니들 홀더(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니들(300) 내부를 거쳐 병변에 주입됨으로써 상기 병변에는 문신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병변에 문신술이 완료되면, 병변에 꽂혀 있는 니들(300)을 회수시킨다.
이를 위해, 전문가는 컨트롤을 통해 제2해제수단(720)인 히팅와이어(721)를 통해 제2구속수단(620)을 가열시킨다.
이때, 제2구속수단(620)에 열이 가해지면서 제2구속수단(620)의 암나사산은 뭉그러짐에 따라 제2나사봉(521a)과 제2구속수단(620) 간에 나사 체결력은 해제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522)는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2원판(521)을 후방커버(220) 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제2원판(521)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판(511)을 밀어냄에 따라, 제1원판(511)에 고정된 니들(300) 역시 후방커버(220)측으로 이동되면서 병변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후, 문신술이 완료된 캡슐 내시경은 소화기관을 통해 몸체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캡슐 내시경을 통한 영상 진단 및 문신술이 모두 완료된다.
한편, 구속수단의 구성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구동부(510)는 제1원판(511)을 포함하며, 제1원판(511)에는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바(511b)가 형성된다.
이때, 제1구속수단(610)은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바(511b)를 구속하여 제1원판(511)과 몸체(100) 사이에 개재된 제1탄성부재(512)의 탄성력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구속수단(610)은 몸체(100)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돌출바(511b)는 제1구속수단(610)에 고정이 된다.
이때, 돌출바(511b)와 제1구속수단(610)의 결합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나사 결합과는 달리 서로 고정된 상태로 제공이 된다.
물론, 돌출바(511b)와 제1구속수단(610)의 결합은 나사 결합이 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돌출바(511b)의 재질은 융점이 낮은 재질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돌출바(511b)는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1해제수단(710)은 돌출바(511b)를 구속하고 있는 제1구속수단(610)의 구속력을 해제하며, 돌출바(511b)의 둘레를 감싸는 전열선(heating wire)(711)과 상기 전열선(711)에 전류를 공급하여 히팅와이어(711)를 발열시키는 가열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구속수단(620)은 제2구동부(520)가 제1구동부(510)를 향해 밀려나지 않도록 제2탄성부재(522)의 탄성력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구속수단(620)은 제2원판(521)을 간섭하는 와이어(621)로 제공된다.
이때, 와이어(621)는 열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융점이 낮은 나일론 와이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해제수단(720)은 상기 나일론 와이어(621)에 열을 전달하여 나일로 와이어(621)를 절단하여 제2탄성부재(522)의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제2해제수단(720) 역시 와이어로 제공되며, 나일론 와이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SMA와이어 또는 니크롬 와이어(722)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SMA와이어 또는 니크롬 와이어(722)는 공지기술의 와이어로서, 전류를 통해 발열함으로써 나일론 와이어(621)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SMA와이어 또는 니크롬 와이어(722) 역시 과열되면서 절단되며, 상기 나일론 와이어(621)와는 꼬인상태로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문신술 캡슐 내시경의 니들 출입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캡슐 내시경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에 밀착이 되고, 상기 병변을 향해 니들을 주입할 준비를 갖춘다.
이후, 전문가는 컨트롤을 통해 제1해제수단(710)인 전열선(히팅와이어)(711)을 통해 돌출바(511b)를 가열시킨다.
이때, 돌출바(511b)는 가열되어 절단되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판(511)과 분리가 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512)는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1원판(511)을 전방 커버(210)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제1원판(511)에 고정된 니들(300)은 몸체(100)의 니들공(110) 및 전방커버(210)의 출입공(211)을 통해 병변에 삽입이 된다.
이때, 병변으로의 니들(300) 인출시 가이드바(400)의 가이드에 의해 상기 니들(300)은 유동 없이 직진도를 유지하면서 병변으로 삽입이 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몸체(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 지면서 문신용액은 니들홀더(310)의 개구부(311)를 통해 니들(300) 내부를 거쳐 병변에 주입됨으로써 상기 병변에는 문신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병변에 문신술이 완료되면, 병변에 꽂혀 있는 니들(300)을 회수시킨다.
이를 위해, 전문가는 컨트롤을 통해 제2해제수단(720)인 SMA와이어 또는 니크롬 와이어(722)를 통해 나일론 와이어(621)를 가열시킨다.
이때, 나일론 와이어(621)에 열이 가해지면서 나일론 와이어(621)는 절단이 되고, 상기 SMA와이어 또는 니크롬 와이어(722) 역시 과열되어 절단이 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522)는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2원판(521)을 후방커버(220) 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제2원판(521)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판(511)을 밀어냄에 따라, 제1원판(511)에 고정된 니들(300) 역시 후방커버(220)측으로 이동되면서 병변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후, 문신술이 완료된 캡슐 내시경은 소화기관을 통해 몸체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캡슐 내시경을 통한 영상 진단 및 문신술이 모두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은 니들의 양측에 마련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니들이 병변 전방을 향해 출입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문신술을 위한 니들이 내시경의 렌즈 전방으로 인출되어 내시경 전방 시야 확보를 통한 양질의 문신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오동작을 줄이고 내시경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되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니들공
120 : 가이드공 200 : 커버
210 : 전방커버 211 : 출입공
220 : 후방커버 300 : 니들
310 : 니들홀더 311 : 개구부
400 : 가이드바 500 : 구동부
510 : 제1구동부 511 : 제1원판
511a : 제1나사봉 511b : 돌출바
512 : 제1탄성부재 513 : 씰링부재
520 : 제2구동부 521 : 제2원판
521a : 제2나사봉 522 : 제2탄성부재
600 : 구속수단 610 : 제1구속수단
620 : 제2구속수단 621 : 나일론 와이어
700 : 해제수단 710 : 제1해제수단
711,721 : 히팅와이어(전열선) 720 : 제2해제수단
722 : 전열선

Claims (7)

  1. 문신용액이 수용되며, 니들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와 통하는 출입공이 형성된 커버;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니들공을 통해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문신용액에 잠기며, 타단부는 커버의 출입공을 통해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내,외부를 출입하는 니들(needle):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은,
    출입방향으로 탄성지지되되 한시적인 구속수단에 의해 출입방향으로의 진행이 구속되고,
    상기 한시적인 구속수단은 인위적인 가열을 통해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니들의 몸체 출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니들을 밀어내는 탄성력을 발생하면서 상기 니들을 통해 문신용액을 분출시키는 압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가 니들을 밀어내는 탄성력을 한시적으로 구속시키는 제1구속수단;
    상기 제1구속수단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제1해제수단;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구동부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 외부로 인출된 니들을 밀어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의 탄성력을 한시적으로 구속하는 제2구속수단;
    상기 제2구속수단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제2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3. 제 2항에 있어서,
    제1구속수단 및 제2구속수단은,
    가열에 의해 파손되어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제1해제수단 및 제2해제수단은 제1구속수단 및 제2구속수단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4. 제 3항에 있어서,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는,
    몸체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나사봉 및 제2나사봉을 포함하며,
    제1구속수단 및 제2구속수단은,
    제1나사봉 및 제2나사봉에 나사 체결되어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의 탄성력을 구속시키는 너트로 제공되되,
    상기 너트의 나사산에는 전열선(heating wire)이 설치되며, 제1해제수단 및 제2해제수단의 가열에 의해 상기 너트의 나사산을 파손시켜 나사봉과 너트 간에 체결력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5. 제 3항에 있어서,
    제1구동부는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속수단은 제1구동부의 돌출바를 고정시키되, 돌출바의 둘레를 감싸는 전열선(heating wire)을 포함하며,
    제1해제수단은 전열선을 발열하여 전열선의 열에 의해 돌출바가 절단되면서 제1구동부의 동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제2구동부는 제1구동부에 대향되며,
    제2구속수단은 제2구동부가 제1구동부를 향해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나일론 와이어로 제공되며,
    제2해제수단은 나일론 와이어를 가열하여 절단하는 전열선(heating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탄성력은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를 통해 발생되고,
    제1구동부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부재의 최대 탄성력은 제2구동부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탄성부재의 최소 탄성력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일단부는 제1구동부에 고정되되,
    상기 니들의 일단부와 제1구동부 사이에는 니들의 일단부를 제1구동부로부터 이격시키고 문신용액이 통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니들 홀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KR1020170088610A 2017-07-12 2017-07-12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KR10197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10A KR101979772B1 (ko) 2017-07-12 2017-07-12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10A KR101979772B1 (ko) 2017-07-12 2017-07-12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309A true KR20190007309A (ko) 2019-01-22
KR101979772B1 KR101979772B1 (ko) 2019-05-17

Family

ID=6528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610A KR101979772B1 (ko) 2017-07-12 2017-07-12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3135A1 (en) * 2019-02-19 2021-11-18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odular capsule endoscope reconfigurable in digestive orga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419A (ko) * 2003-09-29 2006-09-11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1980290A1 (en) * 2005-12-16 2008-10-15 Olympus Corporation Device to be introduced into subject s body and method of jetting liquid drug
WO2009041525A1 (ja) * 2007-09-26 2009-04-0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被検体内導入システム
JP2009291374A (ja) * 2008-06-04 2009-12-1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KR101620624B1 (ko) 2014-11-19 2016-05-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검 부재를 구비한 내시경 캡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419A (ko) * 2003-09-29 2006-09-11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캡슐 투약 시스템, 캡슐 투약 시스템을 이용하는 투약방법, 캡슐 투약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1980290A1 (en) * 2005-12-16 2008-10-15 Olympus Corporation Device to be introduced into subject s body and method of jetting liquid drug
WO2009041525A1 (ja) * 2007-09-26 2009-04-0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被検体内導入システム
JP2009291374A (ja) * 2008-06-04 2009-12-1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KR101620624B1 (ko) 2014-11-19 2016-05-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검 부재를 구비한 내시경 캡슐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compact targeted drug delivery mechanism for a next generation wireless capsule endoscope" (June 2016, Journal of Micro-Bio Robot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3135A1 (en) * 2019-02-19 2021-11-18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odular capsule endoscope reconfigurable in digestive organ
US11998175B2 (en) * 2019-02-19 2024-06-04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odular capsule endoscope reconfigurable in digestive org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772B1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4544B2 (en) Endoscopic capsule and endoscopic system
EP1765158B1 (en) Delivery device
JP4416990B2 (ja) 生体内で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0368723B2 (en) Endoscopic surgery device, method of inserting endoscope and treatment tool, and method of removing endoscope and treatment tool
US20240180518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per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probe positioning by using camera for ultrasound imaging
US20060189844A1 (en) Endoscopic devide
US8314836B2 (en) Medical capsule including shake absorption section and indwelled and fixed in vivo
US102515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and shortening bowel at the time of endoscopy
WO2007128084A2 (en) The controllable microcapsule type robot-endoscope
JP2016506784A (ja) 耳鏡
KR101499433B1 (ko) 주사기능이 구비된 내시경
KR20110052963A (ko) 캡슐형 마이크로 로봇 양방향 구동 시스템
WO2012137863A1 (ja) 医療用デバイス
KR101979772B1 (ko) 전방 문신술 겸용 캡슐 내시경
CN106419822B (zh) 一种一体化关节镜装置
KR102388737B1 (ko) 캡슐 내시경
KR102025219B1 (ko) 관절용 내시경
JP4472401B2 (ja) 被検体内情報取得装置
JP6610052B2 (ja) 医療装置
CN219557502U (zh) 探查装置
JPH0620455B2 (ja) 体腔内超音波診断装置
KR101693216B1 (ko) 영상 카테터
Mizuno Micromachines (The 23rd Annual Congress of the Japan Society for Bronchology)
CN118141299A (zh) 一种防抖组件、内窥镜插入部和内窥镜
JP2000217782A (ja) 肛門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